KR20030027990A - 음성 인식 시스템을 이용한 인터넷 영어 능력 평가 시스템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음성 인식 시스템을 이용한 인터넷 영어 능력 평가 시스템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27990A
KR20030027990A KR1020010059852A KR20010059852A KR20030027990A KR 20030027990 A KR20030027990 A KR 20030027990A KR 1020010059852 A KR1020010059852 A KR 1020010059852A KR 20010059852 A KR20010059852 A KR 20010059852A KR 20030027990 A KR20030027990 A KR 200300279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st
subject
data
level
data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598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티엔방송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티엔방송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티엔방송
Priority to KR10200100598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27990A/ko
Publication of KR200300279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7990A/ko

Links

Landscapes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성 인식 시스템을 이용한 인터넷 영어 능력 평가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영어 능력 평가 주관 단체가 인터넷을 통해 개인 컴퓨터 시스템으로 문자, 화상 또는 음성화된 문제를 출제하고 피시험자가 문제를 보거나 들은 후 문제 유형에 따라 객관식 선택 및 주관식 서술은 물론 음성 입력 수단을 통해 음성으로 전송하는 데이터를 비교, 분석, 평가하도록 하여 실질적인 영어 회화 능력을 평가할 수 있도록 하는 음성 인식 시스템을 이용한 인터넷 영어 능력 평가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영어 능력 평가를 주관하는 단체의 문제 입력 및 편집이 가능하도록 된 입력 시스템을 갖춘 컴퓨터 시스템과 시험장 및 개인의 컴퓨터 시스템이 인터넷을 통해 시험 문제를 관리하고 출제하는 한편 평가하는 관리 시스템에 접속되도록 하여 상호 데이터의 전송이 가능하도록 하되 각 지역 서버에 음성 인식이 가능하도록 음소 인식 엔진을 갖는 음성 인식 시스템을 탑재하여 시험장 및 개인의 컴퓨터 시스템의 음성 입력 수단으로부터 전송 입력되는 피시험자의 음성 데이터를 데이터 베이스에 보관된 표본 음성 데이터와 비교, 분석하도록 하고 결과값을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여 시험 평가 시스템이 정, 부를 판단하여 피시험자의 레벨을 결정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음성 인식 시스템을 이용한 인터넷 영어 능력 평가 시스템 및 그 방법 {System and method for english ability test using a voice cognition system}
본 발명은 음성 인식 시스템을 이용한 인터넷 영어 능력 평가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영어 능력 평가 주관 단체가 인터넷을 통해 개인 컴퓨터 시스템으로 문자, 화상 또는 음성화된 문제를 출제하고 피시험자가 문제를 보거나 들은 후 문제 유형에 따라 객관식 선택 및 주관식 서술은 물론 음성 입력 수단을 통해 음성으로 전송하는 데이터를 비교, 분석, 평가하도록 하여 실질적인 영어 회화 능력을 평가할 수 있도록 하는 음성 인식 시스템을 이용한 인터넷 영어 능력 평가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최근 전 세계가 글로벌화되어 가면서 영어가 세계 공용어화 되어 가는 추세에 있으며, 이러한 추세에 발맞추어 영어를 모국어로 하지 않는 외국인에 대해 그 영어 능력을 테스트하기 위한 다양한 시험 제도가 존재하고 있는 현실이다.
이러한 영어 능력을 테스트하기 위한 시험 제도로서 널리 알려져 있는 것은 토익(TOEIC), 토플(TOEFL), GRE 등이다.
이중에서 토플은 영어권 특히 미국에 유학을 준비하는 사람들이 주로 치루는 영어 능력 시험으로, 미국에서는 이미 페이퍼 시험에서 컴퓨터 시험으로 전환된 상태이며 우리 나라도 컴퓨터 시험으로 전환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렇게 토플 시험 등의 영어 시험이 종래의 페이퍼 시험에서 컴퓨터시험으로 전환됨에 따라 교육 방법이나 시험 방법 또한 변화가 요구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최근 소개되는 영어 능력 테스트들은 대부분 서버측의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문자 또는 음성 데이터로 이루어진 문제 데이터들을 차례로 피시험자에게 전송하고 피시험자가 재 전송하는 답안 데이터의 정, 부를 판단하여 피시험자의 수준을 스스로 평가하도록 된 단순한 모의 영어 능력 테스트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테스트 방법은 피시험자가 문제를 보거나 듣고 답안을 선택하거나 서술하는 형식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피시험자의 문제 이해도 및 단어 선택 능력은 어느 정도 평가할 수 있으나 실질적인 영어 회화 능력을 평가하는 발음의 정확도, 억양 및 어휘력 등을 테스트할 수 없어 정확한 피시험자의 영어 능력을 평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인된 기관에서 시행하는 영어 능력 평가를 받고자 하는 피시험자들의 대부분은 어느 정도 영어 능력을 나름대로 보유하고 있다 고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수준 높은 피시험자들은 오히려 테스트의 난이도 및 문제 유형의 폭을 평가하기에 이르러 테스트의 난이도 및 폭 넓은 문제 유형을 요구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피시험자들의 요구 사항을 만족시킬 수 있는 신 개념의 영어 능력 평가 시스템 및 그 방법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고 요구 사항을 만족시키기 위한 것으로, 영어 능력 평가 주관 단체가 인터넷을 통해 개인 컴퓨터 시스템으로 문자,화상 또는 음성화된 문제를 출제하고 피시험자가 문제를 보거나 들은 후 문제 유형에 따라 객관식 선택 및 주관식 서술은 물론 음성 입력 수단을 통해 음성으로 전송하는 데이터를 비교, 분석, 평가하도록 하여 실질적인 영어 회화 능력을 평가할 수 있도록 하는 음성 인식 시스템을 이용한 인터넷 영어 능력 평가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함을 기술적 과제로 삼는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영어 능력 평가를 주관하는 단체의 문제 입력 및 편집이 가능하도록 된 입력 시스템을 갖춘 컴퓨터 시스템과 시험장 및 개인의 컴퓨터 시스템이 인터넷을 통해 시험 문제를 관리하고 출제하는 한편 평가하는 관리 시스템에 접속되도록 하여 상호 데이터의 전송이 가능하도록 하되 각 지역 서버에 음성 인식이 가능하도록 음소 인식 엔진을 갖는 음성 인식 시스템을 탑재하여 시험장 및 개인의 컴퓨터 시스템의 음성 입력 수단으로부터 전송 입력되는 피시험자의 음성 데이터를 데이터 베이스에 보관된 표본 음성 데이터와 비교, 분석하도록 하고 결과값을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여 시험 평가 시스템이 정, 부를 판단하여 피시험자의 레벨을 결정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드웨어적인 네트워크 구성을 보인 네트워크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전체적인 흐름을 개략적으로 보인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입력 단계 블럭도.
도 4는 본 발명의 테스트 단계 블럭도.
도 5는 본 발명의 평가 단계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의 음성 인식 테스트 평가 및 결과 저장 단계의 블럭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0 : 컴퓨터 시스템 110 : 입력 시스템
200 : 컴퓨터 시스템 210 : 음성 입력 수단
300 : 관리 시스템 300': 지역 서버
310 : 시험 문제 관리 및 출제 시스템 320 : 데이터 베이스
330 : 시험 평가 시스템 400 : 음성 인식 시스템
410 : 음소 인식 엔진 N : 네트워크
A : 테스트 단체 B : 시험장
B': 개인
첨부 도면 중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영어 능력 평가를 주관하는 평가 단체(A)의 문제 입력 및 편집이 가능하도록 된 입력 시스템(110)을 갖는 컴퓨터 시스템(100)과 시험장(B) 또는 개인(B')의 음성 입력 수단(210)이 장착된 컴퓨터 시스템(200)이 인터넷(N)을 통해 시험 문제를 관리하고 출제하는 한편 평가하는 관리 시스템(300)에 접속되도록 하여 상호 데이터의 전송이 가능하도록 하되관리 시스템(300)에 음성 인식이 가능하도록 음소 인식 엔진(410)을 갖는 음성 인식 시스템(400)을 탑재하여 시험장(B) 또는 개인(B')의 컴퓨터 시스템(200)의 음성 입력 수단(210)으로부터 전송 입력되는 피시험자의 음성 데이터를 데이터 베이스(320)에 보관된 표본 음성 데이터와 비교, 분석하도록 하고 결과값을 데이터 베이스(320)에 저장하여 시험 평가 시스템(330)이 정, 부를 판단하여 피시험자의 레벨을 결정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상기 관리 시스템(300)은 입력된 문제를 편집하고 랜덤(RANDOM)하게 문제를 출제하도록 하는 시험 문제 관리 및 출제 시스템(310)과, 평가 문제 및 피시험자의 정보 및 각종 정보 데이터를 축적, 보관하는 데이터 베이스(320)와, 시험장(B) 또는 개인(B')의 컴퓨터 시스템(200)으로부터 전송 입력되는 답안 데이터의 정, 부를 판단하여 피시험자의 레벨을 결정하는 시험 평가 시스템(330)을 관리하는 다수개의 지역 서버(30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시험 문제 관리, 출제 시스템(310)은 인터넷(N) 및 인트라넷 등 네트워크를 통해 평가 단체(A)의 입력 시스템(110)으로부터 지속적으로 시험 문제를 업데이트 받게 되며, 시간,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수시로 문제를 입출력(문제 개발, 입력과 시험 응시)이 가능한 개방형 구조(Open Architecture)로 이루어지되 보안 시스템을 통하여 시험 고유의 보안 유지를 하도록 된 것이다.
분산된 문제 입, 출력 서버를 사용하여 중앙 서버의 부하를 줄이는 동시에 효율화하여 시험에 필요한 실시간 데이터 입, 출력이 가능하도록 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평가 단체(A)에서 컴퓨터 시스템(100)의 입력시스템(110)을 통해 관리 시스템(300)의 데이터 베이스(320)에 시험 관리 정보, 피시험자 정보, 문제, 시험 데이터 정보 및 각 파트별 데이터를 입력하는 입력 단계(S10)와, 관리 시스템(300)이 시험장(B) 및 개인(B')의 컴퓨터 시스템(200)에 인터넷(N)을 통해 문제를 전송하여 테스트가 진행되도록 하는 테스트 단계(S20)와, 시험장(B) 및 개인(B')의 컴퓨터 시스템(200)을 이용하여 인터넷(N)을 통해 피시험자가 관리 시스템(300)으로 텍스트 또는 음성 파일로 이루어진 답안을 전송하면 답안의 정, 부를 판단하여 피시험자의 레벨을 평가하여 점수를 산출하도록 하는 평가 단계(S30)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입력 단계(S10)는 시험 번호, 피시험자 번호, 시험 위치, 현 시험의 상태, 시험 날짜 등 피시험자가 등록한 특정 시험에 관한 정보를 입력하는 시험 관리 정보 입력 단계(S11)와, 피시험자 성명, 피시험자 아이디, 비밀 번호, 생년월일, 성별, 주민 번호, 연락처, 직업 등의 개인 정보를 입력하는 피시험자 정보 입력 단계(S12)와, 각 시험 문제에 대한 정보 입력, 문제 식별 번호, 문제가 속한 파트 번호, 문제 텍스트, 문제의 난이도에 따른 등급, 스피킹 테스트 정보, 음성 파일명, 이미지 파일명, 예문, 정답 등을 입력하는 문제 입력 단계(S13)와, 피시험자가 보게 될 시험의 정보. 시험 식별 번호, 시험명, 시험 종류, 총 파트 개수, 시험 소개문 등을 입력하는 시험 데이터 입력 단계(S14)와, 각 시험의 파트별 정보. 시험 식별 번호, 파트 이름, 제한 시간, 총 문제수, 파트 초기 설명 화면 등을 입력하는 각 파트별 데이터 입력 단계(S15)를 거쳐 각종 정보를 입력하게 된다.
테스트 단계(S20)는 피시험자가 시험장(B) 또는 개인(B')의 컴퓨터시스템(200)을 이용하여 인터넷(N)을 통해 관리 시스템(300)의 지역 서버(300')에 접속하여 로그인 후 테스트 시작을 요구하면 관리 시스템(300)의 시험 문제 관리 및 출제 시스템(310)은 본 시험에 앞서 지정된 소수의 문제로 피시험자의 레벨 측정 테스트 문제를 제출하여 응시자의 기본 레벨을 측정 후 해당 레벨에서 본 시험을 시작하도록 하는 레벨 측정 문제 제출 단계(S21)와, 시험 문제 관리 및 출제 시스템(310)에서 측정된 피시험자의 레벨에 해당되는 파트의 문제를 데이터 베이스(320)에서 리딩하여 피시험자의 컴퓨터 시스템(200)에 전송 제출하는 본 문제 출제 단계(S22)와, 본 시험에서 피시험자가 풀이한 문제들을 미리 설정된 단위의 문항수 및 문제 유형 별로 정, 부를 판단하고 그 결과 값에 따라 피시험자에게 출제되는 문제의 난이도를 조절하는 문제 난이도 조절 단계(S23)와, 피시험자가 파트별 최대 문제의 50% 이상을 풀었을 경우, 풀이한 문제의 전체 레벨 분포 중 특정 레벨이 일정 이상 집중되게 되면 현재까지의 진행된 문제의 답안을 데이터 베이스(320)에 저장하고 해당 파트를 종료하도록 하는 테스트 종료 단계(S24)를 거쳐 테스트를 수행한다.
평가 단계(S30)는 관리 시스템(300)의 시험 평가 시스템(330)이 데이터 베이스(320)에 저장된 피시험자의 답안의 정, 부를 판단하는 답안 최종 검사 단계(S31)와, 최종 검사된 답안의 정답 문항 수 및 정답으로 판정된 문제의 난이도에 따라 피시험자의 레벨을 결정하는 피시험자의 레벨 결정 단계(S32)와, 결정된 피시험자의 레벨에 따른 점수를 산출하도록 하는 피시험자 테스트 최종 평가 단계(S33)와, 최종 평가된 피시험자의 점수 및 레벨을 데이터 베이스(320)에 저장하는 결과값 저장 단계(S34)로 진행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기존 지필 위주의 시험에서 컴퓨터로 듣기, 읽기, 쓰기, 말하기 등을 테스트, 평가, 채점, 관리가 이루어지도록 한 것으로, 기본적인 시험 관리뿐 아니라 각 파트별 문제 이동 방식, 피시험자의 수준 판단 등 시험의 제어까지 관리 시스템(300)이 담당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의 문제는 모두 9단계 난이도로 분류되어 있으며 본 시험에 앞서 시험 평가 시스템(330)에서 4문제로 피시험자의 레벨을 테스트한 후 해당 레벨에서 본 시험을 시작하게 되며, 본 시험에서는 피시험자가 풀이한 문제들의 결과에 따라 난이도가 결정되어 다음 문제가 출제되도록 하여 정답일 경우 레벨을 상승시키고 오답일 경우 레벨을 하락시키게 된다.
파트별 최대 문제의 50% 이상을 풀었을 경우 풀이한 문제의 전체 레벨 분포 중 특정 레벨이 일정 이상 집중되었을 경우 해당 파트가 종료되므로 응시자는 레벨 측정을 위해 모든 문제를 풀 필요가 없어 시험 시간이 단축되게 된다.
본 발명은 데이터 베이스(320) 내에서 실시간으로 해당 레벨의 문제를 피시험자 별 중복 출제를 배제한 Random(무작위 추출)방식으로 출제하기 때문에 각 피시험자, 시험 시기마다 모두 다른 문제를 풀이하게 되어 공정성 및 안전성을 확보하게 되고, 각 문제들의 정답 여부에 의해 피시험자의 전체 레벨 이동 분석을 통해 전반적 레벨을 결정하여 시험 결과의 신뢰성이 향상되며, 시험 출제, 응시, 채점, 결과 출력이 모두 현장에서 실시간 자동으로 처리되어 곧바로 시험 결과를 확인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또한, 음성 인식 기술을 사용한 스피킹 테스트에서는 시험장(B) 또는 개인(B')의 컴퓨터 시스템(200)의 음성 입력 수단(210)으로부터 전송 입력되는 피시험자의 음성 데이터를 데이터 베이스(320)에 보관된 표본 음성 데이터와 비교, 분석하도록 하고 결과값을 데이터 베이스(320)에 저장하여 시험 평가 시스템(330)이 정, 부를 판단하여 피시험자의 레벨을 결정하게 된다.
즉, 첨부 도면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시험 문제 관리 및 평가 시스템(310)이 데이터 베이스(320)내의 스피킹 테스트 유형의 문제를 로딩하여 시험장(B) 또는 개인(B')의 컴퓨터 시스템(200)으로 전송하는 문제 출제 단계(S1)와, 데이터 베이스(320)의 정답 영역에서 문제에 대한 문법 및 단어에 따른 정답을 음성 인식 시스템(400)의 음소 인식 엔진(410)이 로딩하여 전송되는 음성 데이터와 비교할 수 있도록 준비하는 문, 답 비교 준비 단계(S2)와, 피시험자가 시험장(B) 또는 개인(B)의 컴퓨터 시스템(200)의 마이크로폰(210)을 통해 음성으로 답하는 음성 데이터가 음소 인식 엔진(410)으로 전송 입력되는 음성 데이터 입력 단계(S3)와, 음소 인식 엔진(410)은 입력된 피시험자의 음성 데이터를 단어별로 분류하고, 분류된 단어들과 문법을 사전에 로딩하여 둔 정답의 단어 및 문법과 비교하여 정, 부를 판단하는 음성 데이터 비교, 판단 단계(S4)와, 음성 데이터의 비교, 판단 결과를 시험 평가 시스템(330)으로 전송하여 정, 부를 평가하고 그 결과를 데이터 베이스(320)에 저장하도록 하는 음성 인식 테스트 평가 및 결과 저장 단계(S5)로 이루어진다.
또, 동영상 재생 기술을 사용하여 데이터 베이스(320)에 저장된 동영상 데이터를 시험장(B) 또는 개인(B)의 컴퓨터 시스템(200)의 피시험자에게 전송하는 동영상 파일 전송하고, 피시험자의 컴퓨터 시스템(200)으로부터 재 전송 입력되는 답안 데이터를 시험 평가 시스템(330)이 정, 부를 평가하고 그 결과를 데이터 베이스(320)에 저장하도록 하는 비디오 테스트를 실시하도록 되어 있다.
즉, 동영상 재생 기술을 사용한 비디오 테스트에서는 CBT(Computer Based Test) 시험의 기능을 살려 동영상을 이용하여 보고 듣고 답 선택하기, 보고 듣고 문제에 대하여 말로 답하기 등을 통해 피시험자의 레벨을 결정하게 된다.
상기 동영상 재생 기술은 스트리밍(Streaming: 동영상 데이터 일부만 다운로드 받아도 즉시 재생하는 기술) 기술을 사용하여 동영상 다운로드 시간을 최소화하여 실제 시험에서 대기 시간 없이 즉시 문제 출제가 가능하도록 하고 있으며, 대용량 동영상 자료만을 따로 지역 데이터 베이스(Local Database)로 관리하여 네트워크의 과부하를 줄여 빠른 속도를 유지하도록 하였다.
이와 같이 되는 본 발명은 음성 인식 기술을 사용한 스피킹 테스트를 도입하여 피시험자가 시험장 또는 개인의 컴퓨터 시스템을 통해 문제를 보거나 들은 후 문제 유형에 따라 객관식 선택 및 주관식 서술은 물론 음성 입력 수단을 이용하여 음성 데이터를 전송하면 관리 시스템이 데이터 베이스에 보관된 표본 음성 데이터와 비교, 분석하도록 하고 결과값을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여 시험 평가 시스템이 정, 부를 판단하여 피시험자의 레벨을 결정하도록 하므로써 실질적인 영어 회화 능력을 평가할 수 있게 되어 영어 능력 평가의 정확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10)

  1. 인터넷을 통한 영어 능력 평가 시스템에 있어서,
    영어 능력 평가를 주관하는 평가 단체(A)의 문제 입력 및 편집이 가능하도록 된 입력 시스템(110)을 갖는 컴퓨터 시스템(100)과 시험장(B) 또는 개인(B')의 음성 입력 수단(210)이 장착된 컴퓨터 시스템(200)이 인터넷(N)을 통해 시험 문제를 관리하고 출제하는 한편 평가하는 관리 시스템(300)에 접속되도록 하여 상호 데이터의 전송이 가능하도록 하되 관리 시스템(300)에 음성 인식이 가능하도록 음성 인식 시스템(400)을 탑재하여 시험장(B) 또는 개인(B')의 컴퓨터 시스템(200)의 음성 입력 수단(210)으로부터 전송 입력되는 피시험자의 음성 데이터를 데이터 베이스(320)에 보관된 표본 음성 데이터와 비교, 분석하도록 하고 결과값을 데이터 베이스(320)에 저장하여 시험 평가 시스템(330)이 정, 부를 판단하여 피시험자의 레벨을 결정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인식 시스템을 이용한 인터넷 영어 능력 평가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관리 시스템(300)은 입력된 문제를 편집하고 랜덤(RANDOM)하게 문제를 출제하도록 하는 시험 문제 관리 및 출제 시스템(310)과, 테스트 문제 및 피시험자의 정보 및 각종 정보 데이터를 축적, 보관하는 데이터 베이스(320)와, 시험장(B) 또는 개인(B')의 컴퓨터 시스템(200)으로부터 전송 입력되는 답안 데이터의 정, 부를판단하여 피시험자의 레벨을 결정하는 시험 평가 시스템(330)을 관리하는 다수개의 지역 서버(300')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인식 시스템을 이용한 인터넷 영어 능력 평가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음성 인식 시스템(400)은 데이터 베이스(320)에 음운학 상의 최소 단위인 음소로 저장된 표본화 데이터와 시험장(B) 및 개인(B')의 컴퓨터 시스템(200)의 음성 입력 수단(210)으로부터 전송 입력되는 음성 파일을 비교 판단하도록 된 음소 인식 엔진(410)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인식 시스템을 이용한 인터넷 영어 능력 평가 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시험 문제 관리 및 평가 시스템(310)이 데이터 베이스(320)내의 스피킹 테스트 유형의 문제를 로딩하여 시험장(B) 또는 개인(B')의 컴퓨터 시스템(200)으로 전송하는 문제 출제 단계(S1)와, 데이터 베이스(320)의 정답 영역에서 문제에 대한 문법 및 단어에 따른 정답을 음성 인식 시스템(400)의 음소 인식 엔진(410)이 로딩하여 전송되는 음성 데이터와 비교할 수 있도록 준비하는 문, 답 비교 준비 단계(S2)와, 피시험자가 시험장(B) 또는 개인(B)의 컴퓨터 시스템(200)의 마이크로폰(210)을 통해 음성으로 답하는 음성 데이터가 음소 인식 엔진(410)으로 전송 입력되는 음성 데이터 입력 단계(S3)와, 음소 인식 엔진(410)은 입력된 피시험자의음성 데이터를 단어별로 분류하고, 분류된 단어들과 문법을 사전에 로딩하여 둔 정답의 단어 및 문법과 비교하여 정, 부를 판단하는 음성 데이터 비교, 판단 단계(S4)와, 음성 데이터의 비교, 판단 결과를 시험 평가 시스템(330)으로 전송하여 정, 부를 평가하고 그 결과를 데이터 베이스(320)에 저장하도록 하는 음성 인식 테스트 평가 및 결과 저장 단계(S5)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인식 시스템을 이용한 인터넷 영어 능력 평가 방법.
  5. 평가 단체(A)에서 컴퓨터 시스템(100)의 입력 시스템(110)을 통해 관리 시스템(300)의 데이터 베이스(320)에 시험 관리 정보, 피시험자 정보, 문제, 시험 데이터 정보 및 각 파트별 데이터를 입력하는 입력 단계(S10)와, 관리 시스템(300)이 시험장(B) 및 개인(B')의 컴퓨터 시스템(200)에 인터넷(N)을 통해 문제를 전송하여 테스트가 진행되도록 하는 테스트 단계(S20)와, 시험장(B) 및 개인(B')의 컴퓨터 시스템(200)을 이용하여 인터넷(N)을 통해 피시험자가 관리 시스템(300)으로 텍스트 또는 음성 파일로 이루어진 답안을 전송하면 시험 평가 시스템(330)이 답안의 정, 부를 판단, 평가하여 피시험자의 레벨을 평가하여 점수를 산출하도록 하는 평가 단계(S30)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인식 시스템을 이용한 인터넷 영어 능력 평가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입력 단계(S10)는 시험 번호, 피시험자 번호, 시험 위치, 현 시험의 상태,시험 날짜 등 피시험자가 등록한 특정 시험에 관한 정보를 입력하는 시험 관리 정보 입력 단계(S11)와, 피시험자 성명, 피시험자 아이디, 비밀 번호, 생년월일, 성별, 주민 번호, 연락처, 직업 등의 개인 정보를 입력하는 피시험자 정보 입력 단계(S12)와, 각 시험 문제에 대한 정보 입력, 문제 식별 번호, 문제가 속한 파트 번호, 문제 텍스트, 문제의 난이도에 따른 등급, 스피킹 테스트 정보, 음성 파일명, 이미지 파일명, 예문, 정답 등을 입력하는 문제 입력 단계(S13)와, 피시험자가 보게 될 시험의 정보. 시험 식별 번호, 시험명, 시험 종류, 총 파트 개수, 시험 소개문 등을 입력하는 시험 데이터 입력 단계(S14)와, 각 시험의 파트별 정보. 시험 식별 번호, 파트 이름, 제한 시간, 총 문제수, 파트 초기 설명 화면 등을 입력하는 각 파트별 데이터 입력 단계(S15)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인식 시스템을 이용한 인터넷 영어 능력 평가 방법.
  7. 제 5항에 있어서,
    테스트 단계(S20)는 피시험자가 시험장(B) 또는 개인(B')의 컴퓨터 시스템(200)을 이용하여 인터넷(N)을 통해 관리 시스템(300)의 지역 서버(300')에 접속하여 로그인 후 테스트 시작을 요구하면 관리 시스템(300)의 시험 문제 관리 및 출제 시스템(310)은 본 시험에 앞서 지정된 소수의 문제로 피시험자의 레벨 측정 테스트 문제를 제출하여 응시자의 기본 레벨을 측정 후 해당 레벨에서 본 시험을 시작하도록 하는 레벨 측정 문제 제출 단계(S21)와, 시험 문제 관리 및 출제 시스템(310)에서 측정된 피시험자의 레벨에 해당되는 파트의 문제를 데이터베이스(320)에서 리딩하여 피시험자의 컴퓨터 시스템(200)에 전송 제출하는 본 문제 출제 단계(S22)와, 본 시험에서 피시험자가 풀이한 문제들을 미리 설정된 단위의 문항수 및 문제 유형 별로 정, 부를 판단하고 그 결과 값에 따라 피시험자에게 출제되는 문제의 난이도를 조절하는 문제 난이도 조절 단계(S23)와, 피시험자가 파트별 최대 문제의 50% 이상을 풀었을 경우, 풀이한 문제의 전체 레벨 분포 중 특정 레벨이 일정 이상 집중되게 되면 현재까지의 진행된 문제의 답안을 데이터 베이스(320)에 저장하고 해당 파트를 종료하도록 하는 테스트 종료 단계(S24)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인식 시스템을 이용한 인터넷 영어 능력 평가 방법.
  8. 제 5항에 있어서,
    평가 단계(S30)는 관리 시스템(300)의 시험 평가 시스템(330)이 데이터 베이스(320)에 저장된 피시험자의 답안의 정, 부를 판단하는 답안 최종 검사 단계(S31)와, 최종 검사된 답안의 정답 문항 수 및 정답으로 판정된 문제의 난이도에 따라 피시험자의 레벨을 결정하는 피시험자의 레벨 결정 단계(S32)와, 결정된 피시험자의 레벨에 따른 점수를 산출하도록 하는 피시험자 테스트 최종 평가 단계(S33)와, 최종 평가된 피시험자의 점수 및 레벨을 데이터 베이스(320)에 저장하는 결과값 저장 단계(S34)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인식 시스템을 이용한 인터넷 영어 능력 평가 방법.
  9. 제 5항에 있어서,
    동영상 재생 기술을 사용하여 데이터 베이스(320)에 저장된 동영상 데이터를 시험장(B) 또는 개인(B)의 컴퓨터 시스템(200)의 피시험자에게 전송하는 동영상 파일 전송하고, 피시험자의 컴퓨터 시스템(200)으로부터 재 전송 입력되는 답안 데이터를 시험 평가 시스템(330)이 정, 부를 평가하고 그 결과를 데이터 베이스(320)에 저장하도록 하는 비디오 테스트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인식 시스템을 이용한 인터넷 영어 능력 평가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동영상 재생 기술은 데이터 베이스(320)의 비디오 파일을 시험 관리 및 출제 시스템(310)이 피시험자의 컴퓨터 시스템(200)으로 전송하는 동영상 데이터를 일부만 다운로드 받아도 즉시 재생할 수 있도록 하는 스트리밍 기술을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인식 시스템을 이용한 인터넷 영어 능력 평가 방법.
KR1020010059852A 2001-09-27 2001-09-27 음성 인식 시스템을 이용한 인터넷 영어 능력 평가 시스템및 그 방법 KR2003002799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9852A KR20030027990A (ko) 2001-09-27 2001-09-27 음성 인식 시스템을 이용한 인터넷 영어 능력 평가 시스템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9852A KR20030027990A (ko) 2001-09-27 2001-09-27 음성 인식 시스템을 이용한 인터넷 영어 능력 평가 시스템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7990A true KR20030027990A (ko) 2003-04-08

Family

ID=295624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9852A KR20030027990A (ko) 2001-09-27 2001-09-27 음성 인식 시스템을 이용한 인터넷 영어 능력 평가 시스템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27990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436815A (zh) * 2011-09-13 2012-05-02 东南大学 一种应用于英语口语网络机考系统的语音识别装置
KR20200081092A (ko) * 2018-12-27 2020-07-07 주식회사 한국지텔프 항공영어 구술 능력 시험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KR20210074580A (ko) * 2019-12-12 2021-06-22 주식회사 마블러스 사용자의 말하기 능력을 평가하는 방법 및 시스템
CN113256465A (zh) * 2021-06-04 2021-08-13 黄莉 基于区块链技术的远程教育培训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34086A (en) * 1993-03-12 1997-05-27 Sri International Method and apparatus for voice-interactive language instruction
KR20000019259A (ko) * 1998-09-10 2000-04-06 김종남 외국어 말하기 평가 시스템
KR20010076517A (ko) * 2000-01-26 2001-08-16 김욱 대화식 어학 학습 시스템 및 방법
KR20020007597A (ko) * 2000-07-18 2002-01-29 윤덕용 인터넷 상에서의 자동발음 비교방법을 이용한 외국어 발음학습 및 구두 테스트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34086A (en) * 1993-03-12 1997-05-27 Sri International Method and apparatus for voice-interactive language instruction
KR20000019259A (ko) * 1998-09-10 2000-04-06 김종남 외국어 말하기 평가 시스템
KR20010076517A (ko) * 2000-01-26 2001-08-16 김욱 대화식 어학 학습 시스템 및 방법
KR20020007597A (ko) * 2000-07-18 2002-01-29 윤덕용 인터넷 상에서의 자동발음 비교방법을 이용한 외국어 발음학습 및 구두 테스트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436815A (zh) * 2011-09-13 2012-05-02 东南大学 一种应用于英语口语网络机考系统的语音识别装置
CN102436815B (zh) * 2011-09-13 2012-12-19 东南大学 一种应用于英语口语网络机考系统的语音识别装置
KR20200081092A (ko) * 2018-12-27 2020-07-07 주식회사 한국지텔프 항공영어 구술 능력 시험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KR20210074580A (ko) * 2019-12-12 2021-06-22 주식회사 마블러스 사용자의 말하기 능력을 평가하는 방법 및 시스템
CN113256465A (zh) * 2021-06-04 2021-08-13 黄莉 基于区块链技术的远程教育培训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ang et al. Empirical approaches to measuring the intelligibility of different varieties of English in predicting listener comprehension
Yeldham Second language listening instruction: Comparing a strategies‐based approach with an interactive, strategies/bottom‐up skills approach
Florez Improving adult English language learners' speaking skills
CN112307742B (zh) 会话式人机交互口语测评方法、装置及存储介质
Wagner Video listening tests: A pilot study
Pishkar et al. Modern English Drama and the Students' Fluency and Accuracy of Speaking.
Jiang et al. How well does Duolingo teach speaking skills
KR100995847B1 (ko) 인터넷상에서의 소리분석 기반 어학 학습방법 및 시스템
KR101004913B1 (ko) 음성인식을 활용한 컴퓨터 주도형 상호대화의 말하기 능력평가 장치 및 그 평가방법
Anckar Assessing foreign language listening comprehension by means of the multiple-choice format: Processes and products
Medina et al. L2 Spanish listening comprehension: The role of speech rate, utterance length, and L2 oral proficiency
Wang Bilingual working memory capacity of professional Auslan/English interpreters
Ke et al. Explo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aural decoding and listening comprehension among L2 learners of English
Hamada et al. Listening to Global Englishes: Script‐assisted shadowing
KR20030027990A (ko) 음성 인식 시스템을 이용한 인터넷 영어 능력 평가 시스템및 그 방법
Koizumi et al. Comparing the story retelling speaking test with other speaking tests
Sura ESP listening comprehension for IT-students as a language skill
KR100385892B1 (ko) 외국어말하기평가시스템
Sánchez Vaca Improving Speaking Fluency and Self Confidence through Timed Monologue Recordings in Beginner EFL Students
Shea L2 proficiency and L2 dialect processing during study abroad
O'Sullivan et al. The impact on candidate language of examiner deviation from a set interlocutor frame in the IELTS Speaking Test
KR100701270B1 (ko) 외국어 강의 및 학습 평가 시스템과 그 시스템을 이용한외국어 강의 및 학습평가 방법
Luo et al. Naturalness Judgement of L2 English Through Dubbing Practice.
Wijayanti A study on media in listening comprehension at Second Year Students of English Language Education Program
Joyce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second language listening reduced forms tes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