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26484A - 전자제어식 철도차량용 공기제동시스템 - Google Patents

전자제어식 철도차량용 공기제동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26484A
KR20030026484A KR1020010059484A KR20010059484A KR20030026484A KR 20030026484 A KR20030026484 A KR 20030026484A KR 1020010059484 A KR1020010059484 A KR 1020010059484A KR 20010059484 A KR20010059484 A KR 20010059484A KR 20030026484 A KR20030026484 A KR 200300264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pressure
braking
load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594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26272B1 (ko
Inventor
박판상
Original Assignee
금천씨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천씨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금천씨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594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26272B1/ko
Publication of KR200300264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64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62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627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30Railway vehicles

Landscapes

  • Braking Systems And Boos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도차량용 공기제동시스템에 대한 것으로, 발명의 주된 목적은 각 차량 마다 전자제어장치를 구비하고, 이 전자제어장치에 의해 공압이 콘트롤되도록 하므로써 전, 후 차량간의 각 제동시간 및 제동해제시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으며, 또 한편으로는 전, 후 차량간의 제동력을 고르게 유지하고자 하는데 있으며, 다른 한편으로는 적재 하중에 따라 제동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전자제어가 불가능한 유사시에 안전한 제동력이 제공될 수 있도록 하고자 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은 제동이 필요한 철도 차량에 있어서, 상기 철도 차량의 일측에 구비하되, 전원 입력용 파워서킷(11)과, 메인CPU(12)와, 상기 메인CPU와 연결된 채 압력센서, 적재하중 감지센서, 비상감압센서가 연결된 자동입력보드부(13)와, 상기 메인CPU와 연결된 채 적재하중값 설정스위치가 연결된 수동입력보드부(14)와, 상기 메인CPU와 연결된 채 복합중계밸브를 콘트롤하기 위한 디지탈 출력보드부(15)와, 상기 메인CPU와 연결된 채 전공밸브를 콘트롤하기 위한 아나로그 출력보드부(16)를 포함하는 전자제어수단(10); 그리고 상기 공압 제동관의 중단으로부터 지관(SP)을 연결하되, 필터(21)와, 체크밸브(24a)와, 공급공기탱크(24)를 차례로 연결하고, 상기 공급공기탱크로부터 제동실린더(26)로 연결하여 상기 디지탈 출력보드부(15)에 의해 작동되도록 한 복합중계밸브(27)와, 상기 공급공기탱크로부터 체크밸브(25a)를 사용하여 연결한 제어압탱크(25)와, 상기 제어압탱크로부터 상기 복합중계밸브 사이에 연결하여 상기 아나로그 출력보드부(16)에 의해 작동되도록 한 전공밸브(23)와, 상기 제어압탱크와 전공밸브의 사이에서 압력조절밸브(29)를 개입시킨 채 상기 복합중계밸브로 연결하되, 상기 지관(SP)속의 압력에 따라 개폐 작동하도록 된 삼방밸브(28)를 포함하는 공압작동수단(20); 그리고 상기 지관(SP) 속의 압력을 감지하여 그 감지 값을 자동입력보드부(13)로 전달하는 압력센서(31)와, 상기 제동실린더의 직전에 연결하여 제동실린더의 공기 압력을 감지하도록 하되, 그 값을 자동입력보드부(13)로 전달하도록 한 비상감압센서(33)와, 상기 철도 차량의 차륜과 차체사이에 설치하되, 차체의 하중을 감지하여 그 값을 자동입력보드부(13)로 전달하도록 한 하중감지센서(32)를 포함하는 센싱수단(30)으로 구성하는데 있다.

Description

전자제어식 철도차량용 공기제동시스템{Eletronically Controlled Brake System for Train Car}
본 발명은 철도차량용 공기제동시스템에 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공기제동시스템을 전자제어식으로 개량하여 전, 후 차량간의 각 제동시간 및 제동해제시간을 단축하고, 전, 후 차량간의 제동력을 고르게 유지하며, 적재 하중에 따라 제동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전자제어가 불가능한 유사시에 보다 안전한 제동력이 제공될 수 있도록 하고자 하는데 특징이 있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도 차량의 제동장치는 각 차량마다 공압 제동관이 설치되어 있는 바, 기관차의 자동제동변의 작동에 의해 규정압력으로 공급되어 있던 제동관의 압축공기를 일정량 대기로 배출하게 되면, 미리 저장되어 있던 공기통 속의 압축공기가 변동하중변을 타고 각 화차의 제동통으로 공급되어 제동통에 설치된 피스톤이 공압에 의해 밀리면서 피스톤에 연결된 로드와 레버, 빔 등의 연동작동에 의해 브레이크슈가 차륜에 밀착되어 제동체결이 이루어지게 되어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제동체결은 기관차에서 부터 후미 차량까지 직렬로 공압 제동관이 연결되어 있고, 또 순차적으로 작동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기관차에 가까운 차량이 먼저 제동되고, 후미 차량으로 갈수록 늦게 제동되는 것이 문제다.
또, 제동을 해제할 때는 기관차로부터 제동관에 규정된 압력공기를 공급하여 콘트롤밸브(삼동변)를 작동시키면, 제동통 내부의 공기를 배출시켜 브레이크슈가차륜에서 떨어지도록 하므로 제동장치가 해제되도록 하는 완해작동을 수행하게 된다.
이 완해작동시에는 제동통의 공기는 신속히 배출시키고, 제동관 및 공기통에는 기관차로부터 다시 압력공기가 보충되어야 완해작동이 완료되는 것으로서, 공기가 보충되는 과정이 기관차에 인접한 차량부터 후미차량을 향해 순차적으로 공기가 충진되기 때문에 기관차에 인접한 차량과 후미차량간의 완해작동 시차가 발생하게 되며, 이 시차발생으로 인하여 후미차량까지 완해작동이 완전히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열차가 출발하는 경우 후미차량은 제동장치가 미처 완해되지 않은 상태에서 끌려가기 때문에 차륜의 찰상을 유발하여 차륜 손상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손상된 차륜과 제동장치의 보수 및 교환으로 인한 차량의 유지, 보수비를 증가시킨다.
그 외에도 종래의 철도 차량 제동장치는 전, 후 차량간의 제동력이 균일하지 못하므로 상호 충돌로 소음, 진동, 바퀴 찰상이 많이 발생하고, 적제 하중에 관계없이 제동력이 작용하기 때문에 공차상태에서는 제동력 과다로 인한 찰상 문제가 발생하며, 만차상태에서는 제동력이 부족하여 제동거리가 길어지고, 연결 차량의 수를 늘리기 어려우며, 차량운행의 시간단축을 꾀하기 어려웠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하는 것으로, 발명의 주된 목적은 각 차량 마다 전자제어장치를 구비하고, 이 전자제어장치에 의해 공압이 콘트롤되도록 하므로써 전, 후 차량간의 각 제동시간 및 제동해제시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으며, 다른 한편으로는 전, 후 차량간의 제동력을 고르게 유지하고자 하는데 있으며, 또 다른 한편으로는 적재 하중에 따라 제동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으며, 또 다른 한편으로는 전자제어가 불가능한 유사시에 안전한 제동력이 제공될 수 있도록 하고자 하는데 있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은 철도 차량용 제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철도 차량의 일측에 구비하되, 전원 입력용 파워서킷과, 메인CPU와, 상기 메인CPU와 연결된 채 압력센서, 적재하중 감지센서, 비상감압센서가 연결된 자동입력보드부와, 상기 메인CPU와 연결된 채 적재하중값 설정스위치가 연결된 수동입력보드부와, 상기 메인CPU와 연결된 채 복합중계밸브를 콘트롤하기 위한 디지탈 출력보드부와, 상기 메인CPU와 연결된 채 전공밸브를 콘트롤하기 위한 아나로그 출력보드부를 포함하는 전자제어수단; 상기 공압 제동관의 중단으로부터 지관을 연결하되, 필터와, 체크밸브와, 공급공기탱크를 차례로 연결하고, 상기 공급공기탱크로부터 제동실린더로 연결하여 상기 디지탈출력보드부에 의해 작동되도록 한 복합중계밸브와, 상기 공급공기탱크로부터 체크밸브를 사용하여 연결한 제어압탱크와, 상기 제어압탱크로부터 상기 복합중계밸브 사이에 연결하여 상기 아나로그 출력보드부에 의해 작동되도록 한 전공밸브와, 상기 제어압탱크와 전공밸브의 사이에서 압력조절밸브를 개입시킨 채 상기 복합중계밸브로 연결하되, 상기 지관속의 압력에 따라 개폐 작동하도록 된 삼방밸브를 포함하는 공압작동수단; 상기 지관 속의 압력을 감지하여 그 감지 값을 자동입력보드부로 전달하는 압력센서와, 상기 제동실린더의 직전에 연결하여 제동실린더의 공기 압력을 감지하도록 하되, 그 값을 자동입력보드부로 전달하도록 한 비상감압센서와, 상기 철도 차량의 차륜과 차체사이에 설치하되, 차체의 하중을 감지하여 그 값을 자동입력보드부로 전달하도록 한 하중감지센서를 포함하는 센싱수단으로 구성하는데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공기제동시스템 구성을 보인 블럭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 전자제어수단
11 : 파워서킷12 : 메인CPU
13 : 자동입력보드부14 : 수동입력보드부
15 : 디지털 출력보드부16 : 아나로그 출력보드부
20 : 공압작동수단
21 : 필터22 : 오버플로우밸브
23 : 전공밸브24 : 공급공기탱크
25 : 제어압탱크26 : 제동실린더
27 : 복합중계밸브28 : 삼방밸브
29 : 압력조절밸브
30 : 센싱수단
31 : 압력센서32 : 하중감지센서
33 : 비상감압센서34 : 적재하중설정스위치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 도면에 따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구성은 크게 제동 전자제어수단(10)과, 공압작동수단(20)과, 센싱수단(30)으로 이루어 진다.
상기 전자제어수단(10)은 전원 입력용 파워서킷(11)과, 메인CPU(12)와, 상기 메인CPU와 연결된 채 압력센서, 적재하중 감지센서, 비상감압센서가 연결된 자동입력보드부(13)와, 상기 메인CPU와 연결된 채 적재하중값 설정스위치가 연결된 수동입력보드부(14)와, 상기 메인CPU와 연결된 채 복합중계밸브를 콘트롤하기 위한 디지탈 출력보드부(15)와, 상기 메인CPU와 연결된 채 전공밸브를 콘트롤하기 위한 아나로그 출력보드부(16)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이는 기관차 또는 화차 등 제동이 필요한 모든 철도 차량의 어느 일측에서 다음에 설명할 공압작동수단 가까이에 설치한다.
상기한 공압작동수단(20)은 기존의 공압 제동관(BP)의 중단으로부터 지관(SP)을 연결하여 제동실린더(26)까지 연결하도록 하되, 이물질을 걸러내기 위한 필터(21)와,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체크밸브(24a)와, 공급공기탱크(24)를 차례로 연결한다.
특히, 본 발명의 공압작동수단(20)은 상기 공급공기탱크로부터 제동실린더(26)로 연결하되, 상기 디지탈 출력보드부(15)에 의해 작동되도록 한 복합중계밸브(27)와, 상기 공급공기탱크로부터 체크밸브(25a)를 사용하여 연결한 제어압탱크(25)와, 상기 제어압탱크로부터 상기 복합중계밸브 사이에 연결하여 상기 아나로그 출력보드부(16)에 의해 작동되도록 한 전공밸브(23)와, 상기 제어압탱크와 전공밸브의 사이에서 압력조절밸브(29)를 개입시킨 채 상기 복합중계밸브로 연결하되, 상기 지관(SP)속의 압력에 따라 개폐 작동하도록 된 삼방밸브(28)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센싱수단(30)은 상기 지관(SP) 속의 압력을 감지하여 그 감지 값을 자동입력보드부(13)로 전달하는 압력센서(31)와, 상기 제동실린더의 직전에 연결하여 제동실린더의 공기 압력을 감지하도록 하되, 그 값을 자동입력보드부(13)로 전달하도록 한 비상감압센서(33)와, 상기 철도 차량의 차륜과 차체사이에 설치하되, 차체의 하중을 감지하여 그 값을 자동입력보드부(13)로 전달하도록 한 하중감지센서(32)로 이루어진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20a는 공기를 배출할 때, 소음을 줄이기 위한 소음기이며, 26a는 제동실린더 직전에서 인위적으로 고압을 차단하기 위한 차단밸브이다.
다음은 상기 구성의 주요부품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한 공급공기탱크(24)는 모터카 또는 디젤차 등의 제동지령차 즉, 기관차의 제동관에 연결된 지관(SP)에서 체크밸브(24a)를 통해 제동완해 시에 공기를 축적해 두기 위한 것으로서, 제동지령시에 감압이 되면 제동실린더에 필요한 공기를 제동실린더에 공급하고, 제동완해 시 재보충을 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복합중계밸브(27)는 유량증폭밸브로서, 디지털 출력보드부(15)의 전기신호 유무에 따라 전공밸브(23)쪽 제어공기압(이하 "P2"라 함)과 삼방밸브(28)쪽의 제어공기압(이하 "P1"라 함)을 선택적으로 받아들여 동일한 출력공기압을 공급하는 구실을 하는 것이다.
상기 전자제어수단(10)이 정상 상태인 경우에는 복합중계밸브(1)는 ON연결된 전기신호에 의해 제동제어압력 P2에 따라 출력공기압을 생성하는데, P2는 제동지령공기압의 감압정도에 따른 제동지령의 세기와, 하중감지센서(32)에서 전달 받은 하중값의 대소와 제동지령의 속도 등에 따른 저어크제어 등을 고려하여 전자제어장치(3)에서 최적으로 계산하고 전공밸브(2)를 제어하여 생성된 제어공기압을 이용하므로 신속할 뿐만 아니라 차체의 적재 하중을 감안한 최적의 제동공기압을 생성하게 된다.
전원의 고장, 전자제어장치의 이상 등에 의해 디지털 전기신호가 없을 시에는 안전장치로서 압력조절밸브(29)를 통해 미리 설정된 비상제동공기압을 삼방밸브(28)를 거쳐 P1을 통해 받아들이게 된다.
이때 삼방밸브(28)는 공압작용식 삼방밸브로서 제동관 지령공기압이 설정압보다 낮으면 비상제동상황으로서 압력조절밸브(29)를 통해 미리 설정된 비상제동용 제어공기압을 P1에 공급해 주어 비상제동이 체결되게 하지만, 제동관 지령공기압이 충기되어 제동완해 상황이 되면 비상제동용 제어공기압 공급을 차단하면서 P1압을 배기하여 비상제동을 완해시켜준다.
이는 전기공급이 차단되거나 전자제어장치가 고장나더라도 비상제동의 체결/완해가 가능하게 되어 안전을 확보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상기 하중감지센서(32)는 특별히 고안된 변위센서로서 화차 차체의 스프링이 하중에 의해 처지는 것을 감지하여 전기신호로 바꾸어 주는 장치이며, 화차의 하중에 따라 비례하는 제동력을 계산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메인CPU(12)의 자동입력보드부(13)로 제공한다.
이때, 하중감지센서의 구조는 광센서를 이용하는 방법과 유도자기방식(LVDT)변위센서를 이용하는방법, 로드셀을 이용하는 방법 등이 있다.
상기한 제어압탱크(25)는 제동 시 일시적으로 많은 공기가 복합중계밸브(27)를 거쳐 제동실린더쪽으로 공급될 때, 공급탱크(13) 내부 압력이 떨어지더라도 제어공기압 생성에 필요한 공기가 안정적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마련한 보조 탱크이며, 입구에 체크밸브(25a)를 달아 역류를 방지한 것이다.
그리고, 오버플로우밸브(22)는 입력측 압력이 일정압력에 도달하기 전까지는 가능한 공급공기탱크(24)의 공기충진을 차단하는 밸브이다. 즉, 제동 체결 후 완해를 위해 제동관 압력이 다시 충기될 때, 공급공기탱크(24)에 즉시 공기를 충진시키면 기관차에 가까운 차량의 공급공기탱크(24)가 우선적으로 채워질 수 있기 때문에 전체 제동관 압의 상승이 충분히 이루어진 다음에 각 차량의 오버플로우밸브(22)들이 열려 모든 공급공기탱크들이 동시에 채워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제동관 압력감지용 압력센서(31)는 제동관의 지령공기압을 감지하여 자동입력보드부(13)로 보내는 역할을 하며, 제동관 압력의 변화가 즉각 전기신호로 전달되므로 신속한 제동의 체결/완해가 가능하게 한다.
비상감압센서(33)는 생성된 제동공기압을 전자제어장치로 귀환하여 정확한 공기압이 생성되도록 하는역할을 하며, 만약 전공밸브 제어계통 또는 전공밸브의 이상으로 인해 목표 제동력이 일정 시간내에 감지되지 않으면 제어압력 선택용 디지털전기신호를 차단하므로서 P2대신 P1이 선택되게 하여, 비상제동이 자동적으로 걸리게 되어 고장에 대한 안전장치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다음은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설명한다.
먼저, 평상시 각 차량의 제동을 위한 작동을 본다.
철도차량 운전자가 제동을 하기 위해 기기를 조작하면, 제동에 필요한 밸브(도시하지 않았음)가 열려 제동관(BP)의 압력이 빠지고, 압력이 빠지면 압력센서(31)가 변화된 압력값을 감지하여 전자제어수단(10)의 자동입력보드부(13)에 전달하고, 이 값을 메인CPU(12)가 분석하여 복합중계밸브(27)와 함께 전공밸브(23)를 작동시킨다.
즉, 전공밸브(23)는 P2쪽 압력을 제공하므로써 복합중계밸브(27)를 정상적인 제동작동을 진행시키며, 복합중계밸브(27)는 전공밸브(23)의 작동에 따라 공급공기탱크(24)에 있던 압력을 제동실린더(26)로 보내 제동을 실시하게 한다.
이때, 제동에 필요한 압이 충분하지 않다거나 하중감지센서(32)에서 감지된값이 커서 더 큰 제동력이 필요하다거나 하면, 그 정보값이 다시 전자제어수단(10)의 자동입력보드부(13)에 전달되고, 그 값을 다시 메인CPU(12)가 계산하여 복합중계밸브(27) 및 전공밸브(23)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도록 지시한다.
또, 경우에 따라서 각 차량의 적재하중이 다를 때, 이들 하중을 미리 계산하여 적재하중설정스위치(34)로써 조절을 해 두면, 그 값이 수동입력보드부(14)를 통해 메인CPU(12)에 전달되고, 이와 같이 전달된 값은 실제의 하중감지센서(32)에서 감지된 값과 함께 계산되어 복합중계밸브(27)로 하여금 필요한 만큼의 제동력을 제동실린더(26)에 보내게 되는 것이다.
다음은 평상시 각 차량의 제동 해제를 위한 작동을 본다.
철도차량 운전자가 제동을 해제하고자 조작하면, 기관차에 구비된 공압제공수단(도시하지 않았음)으로부터 제동관(BP) 속의 압력을 채우게 되는데 이 압력변화값을 압력센서(31)가 감지하여 전자제어수단(10)의 자동입력보드부(13)에 전달하고, 이 값을 메인CPU(12)가 분석하여 복합중계밸브(27)와 함께 전공밸브(23)를 반대로 작동시킨다.
즉, 전공밸브(23)는 P2쪽 압력을 제공하지 않므로써 복합중계밸브(27)를 정상적인 해제작동을 진행시키며, 복합중계밸브(27)는 전공밸브(23)의 작동에 따라 제동실린더(26)에 걸려있던 압력을 제거하게 하므로써 제동이 완료되는 것이다.
한편, 비상시의 경우에는 다음과 같이 작동된다.
비상시라 하면, 전자제어수단(10)에 전원 공급이 차단되는 경우, 또는 각종 센서가 미작동하는 경우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전자제어수단(10)에 비상시의 조건이 입력되거나, 자체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으면, 그 상태가 즉시 삼방밸브(28)에 전달된다. 삼방밸브(28)는 전원이 OFF되면 제어압탱크(25)에 있는 공기 압력을 압력조절밸브(29)를 통해 복합중계밸브(27)의 P1쪽으로 압력을 제공하게 한다.
복합중계밸브(27)는 P2쪽 압력보다 P1쪽 압력에 우선 작동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복합중계밸브(27)는 즉시 공급공기탱크(24)의 압력을 제동실린더(26)로 보내 제동이 이루어지게 한다.
참고로 이와 같이 비상제어작동이 이루어지면 수리 보수를 통해 비상발생 사유가 치유되기 전에는 해제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압력센서, 적재하중설정스위치, 하중감지센서, 비상감압센서 등을 포함하는 센싱수단과, 이 센싱수단을 구비한 전자제어수단과, 상기 전자제어수단에 의해 작동하되, 전공밸브, 복합중계밸브, 삼방밸브 등으로 이루어진 공압작동수단으로 구성하였기 때문에 전, 후방차량의 제동을 일시에 실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동시간과 제동해제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 공급공기탱크의 앞에 오버프로우밸브를 구비하여, 제동 해제시 후미 차량의 제동관까지 압력이 다 채워지고 난 다음에 각각의 공급공기탱크에 압력이 채워지도록 하였기 때문에 전, 후 차량의 제동 해제가 동시에 이루어져 운행시간을 단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차륜의 찰상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인위적으로 입력할 수 있는 적재하중설정스위치와, 자동적으로 입력되는 하중감지센서를 구비하였기 때문에 각 차량의 적재하중이 다를 경우, 그 하중값에 따라 제동력을 달리 할 수 있어 제동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더 나가서 이러한 제동효과는 전, 후 차량의 균형잡힌 제동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삼방밸브를 구비하여 본 발명의 시스템상에서 전원이 단락된다든지 각종 센서가 작동되지 못하는 비상의 사태가 발생하였을 경우, 자동적으로 비상 제동이 걸릴 수 있도록 하였기 때문에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등 안전성을 높일 수 있는 것이다.

Claims (4)

  1. 제동이 필요한 철도 차량에 구비하되, 전원 입력용 파워서킷(11)과, 메인CPU(12)와, 상기 메인CPU와 연결된 채 압력센서, 적재하중 감지센서, 비상감압센서가 연결된 자동입력보드부(13)와, 상기 메인CPU와 연결된 채 적재하중값 설정스위치가 연결된 수동입력보드부(14)와, 상기 메인CPU와 연결된 채 복합중계밸브를 콘트롤하기 위한 디지탈 출력보드부(15)와, 상기 메인CPU와 연결된 채 전공밸브를 콘트롤하기 위한 아나로그 출력보드부(16)를 포함하는 전자제어수단(10);
    상기 공압 제동관(BP)의 중단으로부터 지관(SP)을 연결하되, 필터(21)와, 체크밸브(24a)와, 공급공기탱크(24)를 차례로 연결하고, 상기 공급공기탱크로부터 제동실린더(26)로 연결하여 상기 디지탈 출력보드부(15)에 의해 작동되도록 한 복합중계밸브(27)와, 상기 공급공기탱크로부터 체크밸브(25a)를 사용하여 연결한 제어압탱크(25)와, 상기 제어압탱크로부터 상기 복합중계밸브 사이에 연결하여 상기 아나로그 출력보드부(16)에 의해 작동되도록 한 전공밸브(23)와, 상기 제어압탱크와 전공밸브의 사이에서 압력조절밸브(29)를 개입시킨 채 상기 복합중계밸브로 연결하되, 상기 지관(SP)속의 압력에 따라 개폐 작동하도록 된 삼방밸브(28)를 포함하는 공압작동수단(20);
    상기 지관(SP) 속의 압력을 감지하여 그 감지 값을 자동입력보드부(13)로 전달하는 압력센서(31)와, 상기 제동실린더의 직전에 연결하여 제동실린더의 공기 압력을 감지하도록 하되, 그 값을 자동입력보드부(13)로 전달하도록 한비상감압센서(33)와, 상기 철도 차량의 차륜과 차체사이에 설치하되, 차체의 하중을 감지하여 그 값을 자동입력보드부(13)로 전달하도록 한 하중감지센서(32)를 포함하는 센싱수단(30); 으로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어식 철도차량용 공기제동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관(SP)에 연결한 필터(21)와 체크밸브(24a)사이에서 오버플로우밸브(22)를 연결하여 제동지령 공기압을 회복할 때, 일정압력이 될 때까지 지연시킬 수 있도록 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어식 철도차량용 공기제동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한 하중감지센서(32)는 차체와 차축의 상대변위를 이용한 광센서형 응하중센서, 자기유도저항식 변위센서, 로드셀 타입의 응하중센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어식 철도차량용 공기제동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한 전자제어수단(10)의 메인CPU(12)에는 상기한 센싱수단의 하중감지센서(32)와 병행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차체의 무게를 수동으로 입력할 수 있는 적재하중설정스위치(34)를 부착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어식 철도차량용 공기제동시스템.
KR10-2001-0059484A 2001-09-26 2001-09-26 전자제어식 철도차량용 공기제동시스템 KR1004262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9484A KR100426272B1 (ko) 2001-09-26 2001-09-26 전자제어식 철도차량용 공기제동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9484A KR100426272B1 (ko) 2001-09-26 2001-09-26 전자제어식 철도차량용 공기제동시스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9628U Division KR200261336Y1 (ko) 2001-09-26 2001-09-26 전자제어식 철도차량용 공기제동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6484A true KR20030026484A (ko) 2003-04-03
KR100426272B1 KR100426272B1 (ko) 2004-04-14

Family

ID=295622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9484A KR100426272B1 (ko) 2001-09-26 2001-09-26 전자제어식 철도차량용 공기제동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2627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1178B1 (ko) * 2017-12-12 2018-04-24 이원우 견인차와 피견인차의 동시 제동을 위한 보조제동부를 포함하는 궤도 특수차 제동시스템
CN111439244A (zh) * 2020-04-26 2020-07-24 中车青岛四方车辆研究所有限公司 一种机车电子制动控制系统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0254B1 (ko) 2020-09-29 2022-05-24 한국철도기술연구원 화차용 제동시스템
KR102503001B1 (ko) * 2021-04-21 2023-02-24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대륙철도차량용 제동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9019A (ja) * 1991-08-02 1993-02-19 Railway Technical Res Inst 鉄道車両用ブレーキ制御装置
JPH05294237A (ja) * 1992-04-16 1993-11-09 Akebono Brake Res & Dev Center Ltd 列車ブレーキ分散制御方法
JP3484697B2 (ja) * 1996-04-15 2004-01-06 財団法人鉄道総合技術研究所 鉄道車両用ブレーキ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1178B1 (ko) * 2017-12-12 2018-04-24 이원우 견인차와 피견인차의 동시 제동을 위한 보조제동부를 포함하는 궤도 특수차 제동시스템
CN111439244A (zh) * 2020-04-26 2020-07-24 中车青岛四方车辆研究所有限公司 一种机车电子制动控制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26272B1 (ko) 2004-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69308B1 (en) Brake system for railway vehicles
RU2514986C2 (ru) Тормозная система рельсового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CA2203605C (en) Brake pipe sensing unit
EP0855321B1 (en) Dual pneumatic trainline control unit
EP0855320B1 (en) Universal pneumatic brake control unit
CN108137022B (zh) 用于控制铁路车辆的制动的电动气动设备
JPH10203348A (ja) 空気列車指令線制御ユニット
CA2203606C (en) Brake assurance module
KR200261336Y1 (ko) 전자제어식 철도차량용 공기제동시스템
CA2174910C (en) Pneumatic empty/load proportioning for electro-pneumatic brake
MXPA00007640A (es) Valvula de ventilacion electronica.
AU741513B2 (en) Improved method of controlling brake pipe pressure
CZ289532B6 (cs) Brzdový systém pro lokomotivu
KR100426272B1 (ko) 전자제어식 철도차량용 공기제동시스템
TWI382938B (zh) 用以控制供應至制動氣缸之加壓空氣的氣動制動氣缸控制電路
US6017098A (en) Brake pipe control portion to enhance operation under low main reservoir pressure conditions
CA2202938C (en) Penalty brake scheme for straight air pipe brake control equipment
JP7073342B2 (ja) 空気供給システム
CA2203048C (en) Penalty brake design for straight air pipe brake control equipment
MXPA99002336A (en) Improved method to control the pressure of the fr tube
MXPA99008698A (en) Method for controlling emergency brake applications for bidirectional devices of train tail, using electronic equipment existing from air brakes compri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6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3

Year of fee payment: 1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1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2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