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25923A - 유체 역학적 커플링 - Google Patents

유체 역학적 커플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25923A
KR20030025923A KR1020027015564A KR20027015564A KR20030025923A KR 20030025923 A KR20030025923 A KR 20030025923A KR 1020027015564 A KR1020027015564 A KR 1020027015564A KR 20027015564 A KR20027015564 A KR 20027015564A KR 20030025923 A KR20030025923 A KR 200300259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ll
intermediate chamber
opening
hydrodynamic coupling
opening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155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옵저스테판
아들레프쿠르트
Original Assignee
포이트 투르보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포이트 투르보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포이트 투르보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0300259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5923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33/00Rotary fluid couplings or clutches of the hydrokinetic type
    • F16D33/18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 Retarders (AREA)
  • Mechanical Operated Clutches (AREA)
  • Friction Gearing (AREA)
  • Inorganic Insulating Materials (AREA)
  • Transition And Organic Metals Composition Catalysts For Addition Polymeriz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함께 원환형 작동실(4; 4.2; 4.3)을 형성하는 1차 휠(2; 2.2; 2.3)과 2차 휠(3; 3.2; 3.3); 회전이 불가능하게 1차 휠에 결합되고, 중간실(6; 6.2; 6.3)을 형성하면서 축 방향으로 및 반경 방향의 적어도 일부에 걸쳐 2차 휠을 에워싸는 쉘(5; 5.2; 5.3); 및 쉘의 반경 방향 외측 구역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관통 개구부를 구비하는 유체 역학적 커플링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제 2중간실(11; 11.2; 11.3)을 형성하면서 회전이 불가능하게 쉘 및/또는 1차 휠에 커플링되는 추가의 제 2쉘(10; 10.2; 10.3)을 구비하고; 제 2중간실은 관통 개구부(13; 13.2; 13.3)를 경유하여 제 1중간실에 접속되며; 제 2쉘의 반경 방향 외측 구역에 하나 이상의 관통 개구부를 구비하되, 제 1쉘에 있는 관통 개구부와 제 2쉘에 있는 관통 개구부가 둘레 방향으로 보았을 때에 서로 떨어져 배치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유체 역학적 커플링{HYDRODYNAMIC COUPLING}
유체 역학적 커플링은 다수의 문헌으로부터 각종의 구성으로 공지되어 있다. 대표적으로, Voith사의 인쇄물 번호 CR 277d 5.00 1000을 인용하기로 한다. 그 인쇄물은 오일 공급 설비가 통합된 유체 역학적 커플링을 개시하고 있다. 그 유체 역학적 커플링은 펌프 휠(pump wheel)로서의 기능을 하는 1차 휠과 2차 휠을 포함하는데, 1차 휠에는 그에 회전이 불가능하게 결합되어 축 방향으로 및 반경 방향 연장의 적어도 일부에 걸쳐 2차 휠을 에워싸는 소위 쉘(shell)이 배속된다. 그러한 쉘은 그 외주 구역, 특히 반경 방향 외측 연장의 구역에 관통 개구부를 구비하고, 그 관통 개구부는 작동 매체가 쉘로부터 그 쉘에 회전이 불가능하게 결합된 추가의 수집 쉘로 넘쳐흐를 수 있도록 하는데, 작동 매체는 유체 역학적 커플링의 작동 중에 그 수집 쉘로부터 램 압력 펌프(ram pressure pump)에 의해 폐회로로 안내되게 된다. 유체 역학적 커플링이 차단된 경우에는 쉘에 관통 개구부가 배치된 것에 기인하여 원심력의 작용 하에 원환형(toroidal) 작동실이 비워지고, 그로 인해 쉘과 접경된 중간실도 비워지게 된다. 그러나, 그 때에 구현되는 바와 같이 완전히 비워지는 것은 여하한 경우에도 바람직하지 않은데, 특히 빈번하게 교대되는 충전 과정 및 배출 과정을 필요로 하거나 신속한 모멘트 전달을 보장하기 위해 매우 신속한 충전 과정을 필요로 하는 용례에서는 더욱 그러하다.
본 발명은 유체 역학적 커플링, 구체적으로는 청구항 1의 전제부에 따른 특징이 있는 유체 역학적 커플링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방안을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 도면 중에서,
도 1은 중간실이 축 방향으로 서로 나란히 배치되는 본 발명에 따라 형성된 유체 역학적 커플링의 하나의 실시예를 극히 단순화시켜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중간실이 반경 방향으로 서로 상하로 배치되는 본 발명에 따라 형성된 유체 역학적 커플링의 하나의 실시예를 극히 단순화시켜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중간실이 축 방향 및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개개의 관통 개구부의 배치를 축 방향 단면에 수직한 단면도로 단순화시켜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작동 중에 유입에 의한 충전이 유지되는 한편, 노즐을 경유한 배출이 보장되고, 커플링의 작동 정지 중에 부분 충전이 확보되도록 서두에 전제된 유형의 유체 역학적 커플링을 적은 구조적 및 제작 기술적 비용으로 개선시키는 것이다. 그럼으로써,
- 원하는 신속한 시동 시에 작동 매체의 충전 공급에 걸리는 시간이 단축될 수 있고/있거나,
- 유체 역학적 커플링의 어떠한 작동 상태에서도 로터 부품간의 동력 전달이 보장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방안은 청구항 1의 특징에 의해 특징지워진다. 바람직한 구성은 종속 청구항들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한 유체 역학적 커플링은 1차 휠 및 2차 휠을 포함한다. 1차 휠에는 이후로 제 1쉘로서 지칭되는 쉘이 회전이 불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제 1쉘은 중간실을 형성하면서 축 방향으로 및 반경 방향 연장의 적어도 일부에 걸쳐 2차 휠을 에워싼다. 그러한 제 1쉘은 쉘의 반경 방향 외측 구역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관통 개구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쉘 및/또는 1차 휠에는 제 2중간실을 형성하는 추가의 제 2쉘이 커플링되고, 그 제 2쉘은 제 1쉘에 있는 관통 개구부를 경유하여 제 1중간실에 접속된다. 제 2쉘도 역시 반경 방향 외측 구역에 하나 이상의 관통 개구부를 구비하고, 그 관통 개구부는 주위 또는 하우징에 의해 형성된 유체 역학적 커플링의 내실 또는 그것이 조립될 경우에는 그 하우징의 구동 장치에 접속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제 1쉘 및 제 2쉘에 있는 관통 개구부는 둘레 방향으로 보았을 때에 서로 떨어져 배치되고, 그에 따라 작동 매체는 제 1쉘로 배출된 후에 바로 주위로 벗어나는 것이 아니라, 제 2중간실에서 일정한 흐름 경로를 거쳐 흘러야만 비로소 유체 역학적 커플링으로부터 완전히 배출되게 된다.
매우 바람직한 구성에 따르면, 제 1쉘에 있는 관통 개구부는 제 2쉘에 있는 관통 개구부에 대해 180°만큼 돌려져 있다. 그 경우, 회전 축을 기점으로 한 반경 방향으로 보았을 때에 관통 개구부가 동일한 반경 상에 놓이거나, 아니면 제 2쉘에 있는 관통 개구부가 제 1쉘에 있는 관통 개구부보다 더 큰 반경 상에 놓이게 된다. 관통 개구부가 공간상으로 그와 같이 배속되기 때문에, 제 1쉘을 내부 쉘이라 말하고, 제 2쉘을 외부 쉘이라 말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안은 유체 역학적 커플링의 작동 정지 중에도 또는 유체 역학적 커플링을 비우는 과정 중에도 배출되기까지는 여전히 제 2쉘, 즉 외부 쉘로의 유효한 압송에 의거하여 유체 역학적 커플링 내에 항상 일정한 충전량이 남겨지도록 할 수 있다. 작동 정지 시에 그와 같이 부분 충전되는 것에 의해 주어지는 장점은 유체 역학적 커플링의 재시동 시에 이미 일정한 작동 매체 비축 분이 가용되므로, 작동 매체를 애초부터 작동 유체 공급 시스템에 의해 공급할 필요가 없어 충전 시의 시간을 지연시키지 않아도 된다는데 있다. 특히, 유체 역학적 커플링의시동과 작동 중지간에 신속한 교대가 이뤄지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하는 용례에서는 그러한 작동 매체에 의거하여 시동을 방해하는 힘이 무시될 정도로 작아진다는 현격한 장점이 본 발명에 따른 방안에 의해 제공된다. 그럴 경우, 특수한 충전 펌프, 특히 급송 출력이 높은 충전 펌프는 생략될 수 있게 된다.
제 2쉘, 즉 외부 쉘의 세부적 구성 및 그에 따라 중간실을 제 1쉘, 즉 내부 쉘 또는 내부 쉘에 의해 형성되는 중간실에 배속시키는 것에 대해서는 다수의 방안이 있다. 그러한 방안은 가용되는 구조 공간 여건에 따라
a) 제 2쉘 또는 외부 쉘에 의해 형성되는 제 2중간실을 축 방향으로 제 1쉘 또는 내부 쉘에 의해 형성되는 제 1중간실의 옆에 배치하는 방안이거나,
b) 제 2외부 중간실을 반경 방향으로 외측에, 즉 반경 방향으로 제 1중간실을 에워싸도록 배치하는 방안이다.
전자의 경우, 제 2중간실은 반경 방향으로 제 1중간실의 반경 방향 연장에 해당하는 구역까지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서로 나란히 배치된 제 1쉘과 제 2쉘간에 단이 지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후자의 경우, 제 2중간실의 축 방향 연장이 제 1중간실의 최대 축 방향 연장과 일치되는 크기로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한 양자의 방안에 의해, 혹시 있을 수도 있는 밸브 손실과 관련하여 최적화된 커플링 구성이 조성될 수 있다. 그러나, 양자의 방안을 조합시키는 것도 생각해 볼 수 있다. 즉, 제 2외부 중간실이 축 방향으로는 물론 반경 방향으로도 어느 정도 제 1중간실을 에워싸도록 하되, 양자의 중간실이 제 1내부 쉘의 벽에 의해 분리되도록 하는 것도 생각해 볼 수 있다.
관통 개구부는 가장 간단한 경우에 관통 구멍으로서 실시된다. 그러나, 관통 개구부는 원하는 부가의 효과에 상응하게 횡단면의 변동을 수반할 수도 있다. 그것은 관통 개구부를 정향시키는데도 역시 마찬가지이다. 관통 개구부는 반경 방향으로 정향되거나 회전 축에 대한 수직선과 각을 이룬 채로 정향될 수 있다.
세부적인 구성, 특히 제 2외부 커플링 쉘을 제 1내부 커플링 쉘 또는 1차 휠에 결합시키는 구성에 대해서도 다수의 방안이 있지만, 그들 방안은 모두 당업자의 통상의 기술 분야에 속하는 것이다. 그러한 방안에서는 제 2외부 중간실이 제 2쉘의 구성에 상응하게 환형 공간 또는 환형 채널로서 마련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형성된 유체 역학적 커플링(1)을 극히 단순화시켜 축 방향 단면도로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그러한 유체 역학적 커플링(1)은 견인 작업 중에 펌프 휠로서의 기능을 하는 1차 휠(2) 및 터빈 휠로서의 기능을 하는 2차 휠(3)을 포함하고, 양자의 휠(2, 3)은 함께 원환형 작동실(4)을 형성한다. 1차 휠(2)에는 쉘(5)이 배속되고, 그 쉘(5)은 제 1중간실(6)을 형성하면서 회전이 불가능하게 그 1차 휠(2)에 결합되어 축 방향으로 및 반경 방향의 적어도 일부에 걸쳐 2차 휠(3)을 에워싼다. 쉘(5)의 외주(7) 구역에는 제 1중간실(6) 내에 있는 작동 매체가 쉘(5)로부터 넘쳐흐를 수 있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관통 개구부(8)가 마련된다. 그 경우, 관통 개구부(8)는 쉘(5)의 반경 방향 외측 구역에 배치된다. 쉘(5)과 접경된 제 1중간실(6)은 반경 방향으로는 물론 축 방향으로도 연장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추가의 제 2중간실(11)을 형성하면서 제 1쉘(5)에 배속되는 제 2쉘(10)이 마련된다. 그 경우, 제 2쉘(10)은 회전이 불가능하게 직접 제 1쉘(5)에 결합되거나, 아니면 회전이 불가능하게 직접 1차 휠(2)에 결합된다. 제 2쉘(10)은 도 1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축 방향으로 제 1쉘(5)에 배속되어 제 2중간실(11)이 축 방향으로는 물론 반경 방향으로도 연장되게끔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실시예에서는 제 2쉘(10)이 제 1쉘(5)의 옆에 배치되는데, 그 경우에 제 1쉘(5)에 있는 관통 개구부(8)는 제 1중간실(6)을 제 2중간실(11)에 접속시킨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제 2쉘(10)의 외주(12) 구역에는 하나 이상의 관통 개구부(13)가마련되어 작동 매체를 제 2쉘(10)로부터 배출시키는데, 제 2쉘(10)에 배치된 그러한 관통 개구부(13)는 회전 축(R)을 중심으로 한 둘레 방향으로 보았을 때에 제 1쉘(5)에 있는 관통 개구부(8)에 대해 떨어져 배치된다. 회전 축을 면대칭 선으로서 보았을 때에 제 1쉘(5)에 있는 관통 개구부(8)에 대해 바로 그와 같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약 180°만큼 떨어져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관통 개구부(13)는 제 2쉘(10)의 반경 방향 외측 구역(14)에 배치된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2개의 중간실, 즉 제 1중간실(6) 및 제 2중간실(11)이 축 방향으로 서로 나란히 배치되되, 제 1쉘(5)의 벽에 의해 분리되게 된다.
도 2는 함께 원환형 작동실(4.2)을 형성하는 1차 휠(2.2) 및 2차 휠(3.2)을 구비한 본 발명에 따라 형성된 유체 역학적 커플링(1.2)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도 역시 1차 휠(2.2)은 회전이 불가능하게 쉘(5.2)에 커플링되고, 쉘(5.2)은 제 1중간실(6.2)과 접경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 1중간실이 원환형 작동실(4.2)에 대해 반경 방향으로 연장될 뿐만 아니라, 회전 축(R)에 대해 축 방향으로 연장된다. 본 실시예에서도 역시 쉘(5.2)의 외주 구역, 특히 반경 방향 외측 구역(9.2)에 관통 개구부(8.2)가 마련된다. 그 관통 개구부(8.2)는 제 1중간실(6.2)을 제 2쉘(10.2)에 의해 폐쇄되는 추가의 중간실(11.2)에 접속시킨다. 그 경우, 제 2중간실(11.2)은 제 2쉘(10.2)과 접경되고, 제 2쉘(10.2)은 회전 축(R)에 대해 반경 방향으로 제 1쉘(5.2)을 에워싸서 환형 중간실, 즉 중간실(11.2)을 형성한다. 즉, 제 1중간실(6.2)과 제 2중간실(11.2)의 양자의 중간실은 반경 방향으로 서로 나란히 배치된다. 작동 매체가 제 2중간실(11.2)로부터 주위로 범람되는 것은 제 2쉘(10.2)의 외주(12.2) 구역에 있는 하나 이상의 관통 개구부(13.2)를 경유하여 가능하게 된다. 그 경우, 외주(12.2)는 반경 방향 외측 구역(14.2)에 해당된다. 본 실시예에서도 역시 관통 개구부(8.2)와 관통 개구부(13.2)는 둘레 방향으로 보았을 때에 서로 떨어져, 바람직하게는 180°의 각만큼 서로 떨어져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형성된 유체 역학적 커플링(1.3)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제 2중간실(11.3)이 축 방향으로 및 반경 방향으로 제 1중간실(6.2)의 옆 또는 부분적으로 그 둘레에 연장된다. 본 실시예에서도 역시 제 1쉘(5.2)은 축 방향 및 반경 방향으로 2차 휠(3.3)을 에워싸도록 회전이 불가능하게 1차 휠(2.3)에 커플링된다. 그 경우, 제 2중간실(11.3)은 축 방향으로는 물론 반경 방향으로도 제 1쉘(5.3)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에워싸도록 회전이 불가능하게 1차 휠(2.3) 또는 제 1쉘(5.3)에 결합된 제 2쉘(10.3)에 의해 형성된다. 그것은 제 2쉘(10.3)의 벽이 축 방향으로 제 1쉘(5.3)의 옆에 연장되고, 제 1쉘(5.3)의 외주의 외측 연장을 넘어 연장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실시예에서도 역시 관통 개구부(8.3 또는 13.3)는 반경 방향 외측 연장의 구역에 각각 배치되어 비우고자 하는 작동 매체가 원심력의 작용 하에 최적으로 신속하게 이송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제 2중간실(11 또는 11.2)의 연장은 제 1중간실(6 또는 6.2)의 연장에 각각 맞춰 조절된다. 그것은 도 1의 경우에는 반경 방향 연장이 제 1중간실(6)의 연장과 유사한 반면에, 도 2의 경우에는 제2중간실(11.2)의 축 방향 연장이 제 1중간실(6.2)의 축 방향 연장을 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 경우, 유체 역학적 커플링(1)의 외곽이 단이 지게 형성됨으로써 불필요한 손실이 생기게 되는 것을 피하기 위해, 개개의 중간실을 항상 단이 지지 않도록, 즉 직경이 아주 급격하게 변동되지 않도록 조절하거나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개개의 쉘(5.4, 10.4)에 관통 개구부(8.4 또는 13.4)가 배치된 유체 역학적 커플링(1.4)을 축 방향 단면에 수직한 단면도로 아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그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양자의 관통 개구부(8.4, 13.4)는 둘레 방향으로 바람직하게는 180도의 각만큼 서로 떨어져 배치된다. 그 도면에서 충전 높이가 도면 부호 "15"로 지시되어 있는 최소의 충전 상태를 유체 역학적 커플링의 작동 정지 시에도 구현하기 위해, 그와 같이 개구부를 배치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면, 작동 매체는 회전 축(R)을 중심으로 회전될 때에 원환형 작동실(4.4)을 통해 흘러서 원심력에 의해 바깥쪽으로 제 1쉘(5.4)에 도달되고, 그 곳으로부터 역시 원심력의 작용 하에 관통 개구부(8.4)를 경유하여 제 2중간실(11.4)에 도달되며, 그 곳으로부터 역시 원심력의 작용에 의해 관통 개구부(13.4)를 경유하여 주위 또는 하우징에 인도된다. 그 경우, 관통 개구부가 동일한 반경 상에 배치되거나, 제 2쉘에 있는 관통 개구부가 제 1쉘에 있는 관통 개구부보다 더 큰 반경 상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작동 매체는 작동 정지 시에 유체 역학적 커플링이 완전히 비워지는 것이 아니라, 제 1쉘의 위치와 무관하게, 그에 따라 제 2쉘의 위치와도 무관하게 부분 충전이 이뤄질 수 있도록 주위 또는 하우징으로 범람되기 전에 제 1쉘(5.4)로부터 추가의 중간실(11.4)을 경유하여 인도되게 된다.
<도면 부호의 설명>
1; 1.2; 1.3 : 유체 역학적 커플링
2; 2.2; 2.3 : 1차 휠
3; 3.2; 3.3 : 2차 휠
4; 4.2; 4.3 : 원환형 작동실
5; 5.2; 5.3 : 쉘
6; 6.2; 6.3 : 제 1중간실
7; 7.2; 7.3 : 제 1쉘의 외주
8; 8.2; 8.3 : 관통 개구부
9; 9.2; 9.3 : 반경 방향 외측 구역
10; 10.2; 10.3 : 제 2쉘
11; 11.2; 11.3 : 제 2중간실
12; 12.2; 12.3 : 외주
13; 13.2; 13.3 : 관통 개구부
14; 14.2; 14.3 : 반경 방향 외측 구역
15; 15.2; 15.3 : 충전 높이
R : 회전 축

Claims (10)

1.1 함께 원환형 작동실(4; 4.2; 4.3)을 형성하는 1차 휠(2; 2.2; 2.3)과 2차 휠(3; 3.2; 3.3);
1.2 회전이 불가능하게 1차 휠(2; 2.2; 2.3)에 결합되고, 중간실(6; 6.2; 6.3)을 형성하면서 축 방향으로 및 반경 방향의 적어도 일부에 걸쳐 2차 휠(3; 3.2; 3.3)을 에워싸는 쉘(5; 5.2; 5.3); 및
1.3 쉘(5; 5.2; 5.3)의 반경 방향 외측 구역(9; 9.2; 9.3)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관통 개구부(8; 8.2; 8.3)를 구비하는 유체 역학적 커플링(1; 1.2; 1.3)에 있어서,
1.4 추가의 제 2중간실(11; 11.2; 11.3)을 형성하면서 회전이 불가능하게 쉘(5; 5.2; 5.3) 및/또는 1차 휠(2; 2.2; 2.3)에 커플링되는 추가의 제 2쉘(10; 10.2; 10.3)을 구비하고;
1.5 제 2중간실(11; 11.2; 11.3)은 관통 개구부(8; 8.2; 8.3)를 경유하여 제 1중간실(6; 6.2; 6.3)에 접속되며;
1.6 제 2쉘(10; 10.2; 10.3)의 반경 방향 외측 구역(14; 14.2; 14.3)에 하나 이상의 관통 개구부(13; 13.2; 13.3)를 구비하되, 제 1쉘(5; 5.2; 5.3)에 있는 관통 개구부(8; 8.2; 8.3)와 제 2쉘(10; 10.2; 10.3)에 있는 관통 개구부(13; 13.2; 13.3)는 둘레 방향으로 보았을 때에 서로 떨어져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역학적 커플링(1; 1.2; 1.3).
제 1항에 있어서, 제 1쉘(5; 5.2; 5.3)에 있는 관통 개구부(8; 8.2; 8.3)와 제 2쉘(10; 10.2; 10.3)에 있는 관통 개구부(13; 13.2; 13.3)는 둘레 방향으로 보았을 때에 180도의 각만큼 서로 떨어져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역학적 커플링(1; 1.2; 1.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제 2중간실(11)은 축 방향으로 제 1중간실(6)의 옆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역학적 커플링(1).
제 3항에 있어서, 제 2중간실(11)의 반경 방향 연장은 제 1중간실(6)의 반경 방향 연장과 동일하거나 그보다 더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역학적 커플링(1).
제 3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제 1쉘(5)에 있는 관통 개구부(8)와 제 2쉘(10)에 있는 관통 개구부(13)는 회전 축(R)을 기점으로 하여 동일한 크기의 반경 또는 직경 상에 각각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역학적 커플링(1).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제 2중간실(11.2)은 반경 방향으로 제 1중간실(6.2)을 에워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역학적 커플링(1.2).
제 6항에 있어서, 제 2중간실(11.2)의 축 방향 연장은 제 1중간실(6.2)의 축 방향 연장과 동일하거나 그보다 더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역학적 커플링(1.2).
제 6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제 2쉘(10.2)에 있는 관통 개구부(13.2)는 제 1쉘(5.2)에 있는 관통 개구부(8.2)보다 더 큰 직경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역학적 커플링(1.2).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제 2중간실(11.3)은 축 방향으로 제 1중간실(6.3)을 에워쌀 뿐만 아니라, 반경 방향으로 제 1중간실(6.3)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에워싸고, 제 2쉘(10.3)에 있는 관통 개구부(13.3)는 제 1쉘(5.3)에 있는 관통 개구부(8.3)가 배치된 직경과 동일하거나 그보다 더 큰 크기의 직경 상에 놓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역학적 커플링(1.3).
제 1항 내지 제 9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1쉘(5; 5.2; 5.3)에 있는 관통 개구부(8; 8.2; 8.3) 과 제 2쉘(10; 10.2; 10.3)에 있는 관통 개구부(13; 13.2; 13.3)는 둘레 방향으로 보았을 때에 90°내지 270°의 각만큼 서로 떨어져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역학적 커플링.
KR1020027015564A 2001-03-28 2002-03-22 유체 역학적 커플링 KR2003002592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115561A DE10115561A1 (de) 2001-03-28 2001-03-28 Hydrodynamische Kupplung
DE10115561.1 2001-03-2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5923A true KR20030025923A (ko) 2003-03-29

Family

ID=76795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15564A KR20030025923A (ko) 2001-03-28 2002-03-22 유체 역학적 커플링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826907B2 (ko)
EP (1) EP1287268B1 (ko)
JP (1) JP4323807B2 (ko)
KR (1) KR20030025923A (ko)
AT (1) ATE413540T1 (ko)
DE (2) DE10115561A1 (ko)
WO (1) WO200207748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303414B4 (de) * 2003-01-29 2006-01-05 Voith Turbo Gmbh & Co. Kg Hydrodynamische Maschine
DE102007020615A1 (de) * 2007-04-30 2008-11-06 Voith Patent Gmbh Antriebsstrang für eine tauchende Energieerzeugungsanlage
DE102020002580B4 (de) * 2020-04-29 2024-01-25 Maschinenfabrik Bernard Krone GmbH & Co. KG Förder- und Sammelvorrichtung mit einer antreibbaren Förder- und Sammeleinheit und landwirtschaftliche Erntegutpresse mit der Förder- und Sammelvorrichtung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44279C (ko)
DE270744C (ko)
US2167382A (en) * 1936-10-28 1939-07-25 American Blower Corp Interrupted core ring coupling
US2707376A (en) * 1947-10-08 1955-05-03 American Blower Corp Rotary hydraulic coupling
US3237409A (en) 1964-04-06 1966-03-01 Charles Robson Hydraulic turbo-couplings
FR1423657A (fr) * 1964-05-22 1966-01-07 Ferodo Sa Perfectionnements apportés aux coupleurs hydrauliques
DE1750761A1 (de) * 1967-10-06 1971-02-18 Voith Getriebe Kg Regelkreislauf fuer eine fuellungsregelbare Stroemungskupplung
DE2614476C2 (de) * 1976-04-03 1982-04-29 Voith Getriebe Kg, 7920 Heidenheim Hydrodynamische Kupplung
US4345884A (en) * 1980-01-28 1982-08-24 Peerless Pump Division, Indian Head Inc. Pump drive
JPS57129931A (en) 1981-02-02 1982-08-12 Hitachi Ltd Controller for rotational frequency of rotary machine
DD270744A1 (de) * 1988-04-19 1989-08-09 Stroemungsmasch Veb Hydrodynamische kupplung
FR2673987B1 (fr) * 1991-03-13 1995-09-22 Sime Ind Coupleur hydrocinetique a remplissage fixe et chambres de retardement principale et auxiliai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4519633A (ja) 2004-07-02
JP4323807B2 (ja) 2009-09-02
DE50212978D1 (de) 2008-12-18
EP1287268A1 (de) 2003-03-05
DE10115561A1 (de) 2002-10-24
US6826907B2 (en) 2004-12-07
US20030172649A1 (en) 2003-09-18
ATE413540T1 (de) 2008-11-15
EP1287268B1 (de) 2008-11-05
WO2002077482A1 (de) 2002-10-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222734A (en) Scroll machine using discharge pressure for axial sealing
US20020149273A1 (en) Electric asynchronous motor
JPS59501073A (ja) 回転静液圧ラジアルピストン機械
CN101099049A (zh) 用于调节工作机械的最大转速的方法以及用于该方法的液力耦合器
US7878779B2 (en) Vane pump with housing end wall having an annular groove and a pressure groove that communicate via a curved connecting groove
EP0433042B1 (en) Degasifying liquid pump
KR20030025923A (ko) 유체 역학적 커플링
US5435133A (en) Hydrodynamic clutch
US6266958B1 (en) Stator wheel for a hydrodynamic torque converter
US5778668A (en) Hydrodynamic clutch arrangement in a drive system
US4047859A (en) Axial vane pump with non-rotating vanes
US20070007093A1 (en) Hydrodynamic retarder
CA1333857C (en) Gerotor pumps
US4541791A (en) Vaned hydraulic system
US6932203B2 (en) Torque converter
US3724209A (en) Fluid unit with dump and fill control
EP1282778B1 (en) Mechanically driven roller vane pump
AU640031B2 (en) Improvements in gerotor pumps
US20080000223A1 (en) Hydrodynamic Modular Unit and Method for Accelerating the Filing Process of a Hydrodynamic Modular Unit
KR20060100418A (ko) 유체 역학적 클러치
KR970005854B1 (ko) 게로터 펌프
CN107585205A (zh) 液压动力辅助转向器的旋转分配器
JP2881435B2 (ja) クローズドセンター流体装置
CN211951256U (zh) 液力的离合器
WO2013119369A2 (en) Seal arrangement along the shaft of a liquid ring pum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