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장목을 정제수, 메탄올, 에탄올, 글리세린, 에틸아세테이트, 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디클로로메탄 및 헥산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장목을 주요 활성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장목을 40-95중량% 에탄올을 추출용매로 사용하여 추출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추출물이 상온에서 냉침, 가열, 여과하여 얻어진 액상물, 추가로 용매를 증발 또는 동결건조하여 얻은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이 화장수, 젤, 수용성 리퀴드, 크림, 에센스, 수중유(O/W)형 및 유중수(W/O)형의 제형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장목 추출물의 함량이 화장료 조성물 전체에 대하여 0.001 - 30.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장목 추출물의 함량이 0.001% 미만인 경우에는 항노화 기능성이 미미하며, 30%를 초과하면 항노화 효과의 증대도가 저하된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우수한 항산화 효과와 피부 잔주름 개선 효과 등 피부 항노화용으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단,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기재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장목 추출물 제조
세절하여 음건한 장목을 뜨거운(hot) 95%(V/V) 에탄올 수용액으로 5시간씩 3회 환류추출하고 냉침한 후, 와트만(Whatman) #5 여과지로 여과하였다. 여과된 추출물을 50℃ 이하에서 감압농축 및 동결건조하였다. 감압농축물 및 동결건조물이 0.001 ~ 30.0중량% 함유되게 정제수, 에탄올, 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용매를 사용하여 장목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NBT법을 이용한 항산화 효과 측정 실험
본 실시예는 실시예 1에서 수득한 장목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실험실 조건에서 다른 항산화제 즉, 녹차추출물과 비타민 E를 비교 샘플로 하였으며, NBT법을 이용하여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였다.
인간에게 분자상태의 산소는 생명을 유지하는데 필수적이지만, 산소의 소비로 인해 생체 내에서는 소량의 활성산소가 생성되며, 이것의 강한 산화작용으로 세포막이나 세포구성물을 파괴하게 된다. 이러한 활성산소는 피부세포의 손상과 노화에 큰 영향을 미치므로, 활성산소 소거 작용을 가지는 항산화 활성 물질들이 생체에 중요한 작용을 하게 되는 것이다.
항산화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서 크산틴과 크산틴옥시다제에 의해 생성되는 활성산소를 NBT법에 의해 측정하고 피검물질이 활성산소를 제거하는 효과, 즉 활성산소 소거효과를 평가한다. 크산틴과 크산틴옥시다제에 의해 활성산소를 생성시킨다. 이 활성산소가 니트로블루테트라졸리움(Nitro Blue Tetrazolium;NBT)과 반응하여 이것에 의해 생성되는 청색을 파장 560nm에서 측정하는 것으로 활성산소 소거율을 측정한다.
사용한 시약으로서는
1) 0.05M(50mM) Na2CO3완충액(MW=105.99) : 탄산나트륨(화광순약) 5.25g(50mM)을 정제수에 용해한 용액과 50mM NaHCO3(MW= 84.01)용액을 혼합하여 pH 10.2로 한다.
2) 3mM 크산틴 용액 : 크산틴(半井化學, MW=152.11)) 45.6mg을 물에 용해하여 10ml로 한다.
3) 3mM EDTA용액 : 에틸렌디아민4초산나트륨(同仁化學, MW=60.1)을 증류수에 용해하여 3mM로 한다.
4) 0.15% BSA용액 : BSA(Fraction V, powder,Sigma) 15mg을 증류수에 용해하여 10ml로 한다.
5) 0.75mM NBT용액 : 니트로블루 테트라졸리움(MW=817.65, 東京化學) 61.32mg을 증류수에 용해하여 100ml로 한다.
6) 크산틴 옥시다제(xanthine oxidase) 용액: 크산틴 옥시다제(Boehringer)를 증류수로 약 100배로 희석하고 측정조작에서 공시험의 흡광도가 0.2-0.23의 범위에 들도록 한다. 다시 말해 흡광도의 변화가 A560=0.3/20분이 되게 정제수로 희석한다.
7) 6mM CuCl2용액 : 염화동(CuCl2-2H2O, MW=134.45)를 102.29mg을 증류수에 용해하여 100ml로 한다.
측정방법으로서
1. 0.05M Na2CO3------------------------------------ 2.4ml
2. 3mM 크산틴 용액---------------------------------- 0.1ml
3. 3mM EDTA 용액------------------------------------ 0.1ml
4. BSA 용액----------------------------------------- 0.1ml
5. 0.72mM NBT 용액---------------------------------- 0.1ml
6. 크산틴 옥시다제 용액---------------------------- 0.1ml
7. 6mM CuCl2용액------------------------------------ 0.1ml
① 바이엘병에 1,2,3,4,5를 가하고 여기에 시료용액 0.1ml을 첨가하고 25℃에서 10분간 방치한다.
② 6을 가하여 빨리 교반하고 25℃에서 20분간의 배양을 개시한다.
③ 그 후 7을 가하여 반응을 정지시키고 560nm에서의 흡광도 St를 측정한다.
④ 공시험은 시료용액 대신에 증류수를 사용한 것을 상기와 똑같이 조작해 흡광도 Bt를 측정한다.
⑤ 역시, 시료용액의 블랭크(Blank)는 6대신에 증류수를 사용해 똑같이 조작하여 흡광도 Bo를 측정한다.
효과의 결과는 수학식 1에 의하여 산출하였으며, 결과는 표1과 같다.
억제율(%) = 〔1-(St-So)/(Bt-Bo)〕X 100
St : 시료용액의 효소 반응 후의 560nm에서의 흡광도
Bt : 공시험용액의 효소 반응 후의 560nm에서의 흡광도
So : 시료용액의 효소 무첨가시 반응전의 560nm에서의 흡광도
Bo : 공시험용액의 효소 무첨가시 반응전의 560nm에서의 흡광도
결과는 표1과 같이 시험한 모든 시료에서 우수한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었고,장목 추출물도 항산화제로 많이 이용되고 있는 녹차추출물과 비타민 E와 비슷한 항산화력을 갖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시료명 |
항산화효과(%) |
장목 추출물 |
99 |
녹차추출물 |
94 |
비타민 E |
87 |
[실시예 3] 콜라겐 합성 효과 측정 실험
본 실시예는 실시예 1에서 수득한 장목 추출물의 콜라겐 합성 효과를 관찰하기 위해 인간으로부터 직접 채취하거나 상업적으로 구입한 인간의 섬유아세포에 처리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96공 평판배양기(96-well plate)에 2.5% 우태아 혈청이 함유된 DMEM (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a)배지와 인간의 섬유아세포(5000세포/well)를 넣고, 70-80% 정도 자랄 때까지 배양하였다. 그다음 장목 추출물을 각각 0.01% 및 0.001%의 농도로 1일 처리후 세포배양액을 채취하였다. 채취한 세포배양액을 콜라겐 단백질 측정기구(Catalog N. : MK 101, Takara Shuzo Co. Ltd, 일본)를 이용하여 콜라겐 합성량을 측정하였다.
측정 방법은 우선 1차 콜라겐 항체가 균일하게 도포된 96공 평판배양기에 채취된 세포 배양액을 넣고 3시간 동안 항원-항체 반응을 실시하였다. 3시간 후 발색단이 결합된 2차 콜라겐 항체를 96공 평판배양기에 넣고 15분간 반응시켰다. 15분 후 발색유발물질을 넣어 실온에서 발색시키고, 1M 황산을 넣어 발색을 중지시켰다. 반응색의 색깔은 노란색을 띠며, 반응의 정도에 따라 진하기가 달라진다. 노란색을 띤 96공 평판배양기를 흡광광도계를 이용하여 450nm에서 측정하고, 아래 수학식 2에 의해 콜라겐 합성 정도를 계산하였다. 이때 상기 추출물을 처리하지 않은 세포배양액의 반응 흡광도를 대조군으로 하였다.
결과는 표 2에 나타나 있으며, 장목 추출물이 콜라겐 생성 촉진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콜라겐 합성효과(%) = (추출물의 세포배양액의 반응 흡광도/대조군의 반응 흡광도)×100
시료 |
콜라겐 합성효과(%) |
장목 추출물 |
0.01% |
90 |
0.001% |
45 |
대조군 |
0 |
[실시예 4 내지 6 및 비교예 1]
본 실시예는 실시예 1에서 수득한 장목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를 제조하여 사람을 대상으로 피부 잔주름 개선 효과를 비교예 1과 비교실험을 행하여 평가하였다.
비교실험에 사용된 화장료는 크림형태이고, 그 조성은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다. 우선 표 3에 기록되어 있는 나)상을 가열하여 70℃에 보존한다. 이것에 가)상을 가하여 예비유화 후 호모믹서로 균일하게 유화하고 다음에 서서히 냉각하여 크림(실시예 4 내지 6, 비교예 1)을 제조한다. 실험자(20세-35세의 여성) 20명을 대상으로 얼굴 오른쪽부위에는 실시예 4 내지 6에서 제조된 크림을 얼굴 왼쪽부위에는 비교예 1에서 제조된 크림을 각각 1일 2회씩 연속 2개월간 도포하였다.
실험완료 후 피부 잔주름 완화 효과는 제품 사용 전과 2개월간 사용 후에 안면 눈꼬리 주위의 주름을 실리콘 수지 복사물(레플리카)로 채취하고, 이것을 피부 미세 주름 장치와 피부 영상 분석기로 눈가 잔주름의 상태를 비교한다.
표 4는 실시예 4 내지 6에서 제조된 크림을 사용한 실험자의 눈가 평균 잔주름 깊이 및 주름 감소율을 비교예 1의 크림을 사용한 실험자와 비교한 것이다. 표 4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장목 추출물을 함유한 크림을 도포한 실험자의 안면 눈주위 피부에서 피부 잔주름 개선 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원료 |
실시예 |
비교예1 |
가 |
|
4 |
5 |
6 |
스테아릴 알콜 |
8 |
8 |
8 |
8 |
스테아린산 |
2 |
2 |
2 |
2 |
스테아린산 콜레스테롤 |
2 |
2 |
2 |
2 |
스쿠알란 |
4 |
4 |
4 |
4 |
2-옥틸도데실알콜 |
6 |
6 |
6 |
6 |
폴리옥시에틸렌(25몰부가)알콜에스테르 |
3 |
3 |
3 |
3 |
글리세릴모노스테아린산아스테르 |
2 |
2 |
2 |
2 |
나 |
장목 추출물 |
10 |
1 |
0.1 |
- |
프로필렌글리콜 |
5 |
5 |
5 |
5 |
정제수 |
적량 |
적량 |
적량 |
적량 |
주)단위: 중량%
사용제품 |
사용전 |
사용 2개월 후 |
비고 |
실시예 6 |
0.201 |
0.177 |
평균 잔주름 깊이 |
|
11.94% |
사용전 대비 주름 감소율(%) |
비교예 1 |
0.205 |
0.201 |
평균 잔주름 깊이 |
|
1.95% |
사용전 대비 주름 감소율(%) |
n=20, p<0.01
이하에 그 외의 실시예를 나타내었다. 즉, 실시예 1에서 수득한 장목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수, 유액 및 미용액을 실시예 7 내지 9에서 제조하였다. 이들 장목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수, 유액 및 미용액은 항산화 효과, 콜라겐 합성 촉진 효과, 피부 잔주름 개선 효과 등 피부개선에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실시예 7] 실시예 1에서 수득한 장목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수의 제조
95%에탄올 8g에 폴리피로리돈 0.05g, 올레일알콜 0.1g, 폴리옥시에틸렌모노올레이트 0.2g, 향료 0.2g, 파라옥시안식향산메틸에스테르 0.1g, 소량의 산화방지제, 소량의 색소를 혼합용해 한다. 실시예 1에서 수득한 장목 추출물 0.05g, 글리세린 5g을 정제수 85.33g에 용해한 것에 상기 혼합액을 첨가한 후 교반하여 피부개선효과가 있는 화장수를 얻었다.
[실시예 8] 실시예 1에서 수득한 장목 추출물을 함유한 유액의 제조
세틸알콜 1.2g, 스쿠알란 10g, 바세린 2g, 파라옥시안식향산에틸에스테르 0.2g, 글리세린모노에스테아레이드 1g, 폴리옥시에틸렌(20몰부가)모노올레이트 1g 및 향료 0.1g을 70 에서 가열혼합용해하고, 실시예 1에서 수득한 장목 추출물 0.5g, 디프로필렌글리콜 5g, 폴리에틸렌글리콜-1500 2g, 트리에탄올아민 0.2g, 정제수 76.2g을 75 로 가열해서 용해시킨다. 양자를 혼합하여 유화시킨 후 냉각하여 수중유(O/W)형의 피부개선효과가 있는 유액을 얻었다.
[실시예 9] 실시예 1에서 수득한 장목 추출물을 함유한 미용액의 제조
95% 에틸알콜 5g에 폴리옥시에틸렌솔비탄모노올레이트 1.2g, 키툴로오즈 0.3g, 히야론산나트륨 0.2g, 비타민 E-아세테이트 0.2g, 감초산 나트륨 0.2g, 파라옥시안식향산에틸에스테르 0.1g, 실시예 1에서 수득한 장목 추출물 1g 및 적량의 색소를 혼합하여 피부개선효과가 있는 미용액을 얻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