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24284A - 장목 추출물을 주요 활성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노화용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장목 추출물을 주요 활성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노화용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24284A
KR20030024284A KR1020010057347A KR20010057347A KR20030024284A KR 20030024284 A KR20030024284 A KR 20030024284A KR 1020010057347 A KR1020010057347 A KR 1020010057347A KR 20010057347 A KR20010057347 A KR 20010057347A KR 20030024284 A KR20030024284 A KR 200300242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cosmetic composition
aging
skin
eff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573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38008B1 (ko
Inventor
박성민
조영호
김진화
이정재
이범천
강기춘
표형배
Original Assignee
한불화장품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불화장품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불화장품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573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38008B1/ko
Publication of KR200300242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42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80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800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4Products or compounds obtained by lyophilisation, freeze-dry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목 추출물을 주요 활성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노화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구체적으로는 장목 추출물 0.001 - 30.0 중량%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주름의 개선효과와 항산화효과 등 항노화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 원료로부터 얻은 추출물이 탁월한 항산화 효과, 콜라겐 합성효과, 피부 잔주름 개선효과를 가져, 이 물질을 이용하여 피부 노화관련 기능성 화장료를 제조할 수 있다.

Description

장목 추출물을 주요 활성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노화용 화장료 조성물{A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AN EXTRACT OF Cinnamomum camphora}
본 발명은 피부의 주름을 향상시키거나 세포의 항산화효과를 가져 피부 노화를 완화시켜주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좀더 상세하게는 장목 추출물 0.001 - 30.0 중량%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주름의 개선효과와 항산화효과 등 항노화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천연식물 추출물을 함유한 항노화용 화장료 조성물은 사람에게 사용하였을 경우 효과뿐만 아니라 안전성 면에서도 우수하여 피부화장료의 성분으로서 적용이 가능하다.
사람의 피부는 나이를 먹으면서 끊임없이 변화하게 된다. 피부 노화는 크게 자연 노화(혹은 내인성 노화)와 외적 노화로 구분되며(E.B. Doris, Cosmetics & Toiletories, 111, 31-37, 1996), 자연 노화(내인성 노화)는 유전적인 요소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인위적인 조절이 어려운 반면 외적 노화는 환경적인 요소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인위적인 조절이 비교적 용이하다. 대표적인 외적 노화인자로는 자외선을 들 수 있으며, 가장 두드러진 외적인 노화현상이 바로 주름형성이다(H.M.Daniel, Ann Intern Med, 75, 873-880, 1971, M.J. Grove, J Am Acad Dermatol, 21, 631-637, 1989, T.S. Griffiths et al, Hrch Dermatol, 128, 347-351, 1992).
자외선에 의해 야기되는 광노화 메카니즘 중의 하나는 자유 라디칼 경로를 경유하는 것이다(D. Harman, J. Gerontol, 11, 298-301, 1956). 자유 라디칼들은 피부 콜라겐 등의 결합조직형성 파괴, 세포막 기능 저해, DNA 변이 촉진, 단백질 작용 변형, 세포간 에너지 전이, 신진대사와 관련된 분자들의 변형 등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A.F. Kligman and R.M. Lavker, J. Cutan. Aging Cosmet. Dermatol. 1, 5-12, 1988). 노화에 자유 라디칼이 관여한다는 사실은 자유 라디칼을 불활성화시키는 항산화제 또는 여러 가지 화학적 소거제들을 사용하여 노화과정을 지연시킬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자외선에 의한 노화를 방지하기 위하여 자외선 차단제가 함유된 제품을 피부에 직접 도포하는 방법이 가장 일반화되어 있으나, 1988년 레티노인산이 노화된 피부의 피부거칠음 및 잔주름의 완화에 효과가 있다고 보고되었고(K.S. Weiss et al, JAMA, 259, 527-532, 1988), 전세계적으로 피부 노화를 억제 혹은 개선시키는 물질을 개발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 중 비타민 A, C ,E 등 비타민류의 유도체 및 AHA(alpha -hydroxy acid)는 현재까지 알려진 노화피부개선의 대표적인 물질이다(Hermitte, Cosmetics & Toiletries, 107, 63-67, 1992, D.R. Rosenthal et al, J. Invest. Dermatol., 95, 510-515, 1990, T.D.Ditre et al, J. Invest. Dermatol, 34, 187-195, 1996).
하지만, 이들은 자연환경에서 매우 불안정하여 사용상 문제점이 있거나, 혹은 가시적 효과를 나타내기엔 다소 미흡하다는데 문제가 있다. 최근 여러 화학 물질 등에 의한 피부 자극을 줄이기 위해 천연물을 사용한 화장품이 많이 개발되고 있다. 각종 한방 원료를 소정의 방법으로 추출하고, 그 추출물의 기능을 확인하여 각종 기능성 화장품을 개발하는 사례도 늘고 있다. 예를 들면 녹두는 피부를 청결하게 하는 기능이 알려져 있고, 그 외 인삼추출물, 상황버섯 추출물 등에 대해서도 그 특유의 노화방지 또는 미백 등의 효과가 밝혀져 각종 화장품에 응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천연 재료는 피부에 부작용이 적을 뿐 아니라, 최근 천연 재료를 이용한 화장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호응이 높아짐에 따라 화장품 원료로서 개발가치가 한층 늘어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이제까지 알려지지 않은 여러 천연물들에 있어서 화장품으로의 응용 가능성을 연구한 결과, 장목 추출물이 추출방법에 따라 피부 항산화 효과, 콜라겐 합성효과, 피부 잔주름 완화효과 등과 같은 항노화 화장품으로서의 효능이 기대 이상으로 커질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게 되었다.
장목(Cinnamomum camphora)은 녹나무과의 상록 활엽 교목으로 높이는 약 20m이며 작은 가지는 황록색이다. 잎은 어긋나고 난상 타원형 또는 난형으로 녹색으로 광택이 나며 향기롭다. 꽃은 황백색의 원추화서(圓錐花序)로서 5 - 6월에 피고 액생(腋生)하며, 수술은 12개이고 암술은 2개이다. 과실은 장과(漿果)로서 구형이며, 12월에 암자색으로 익는다. 목부를 말린 것을 장목(樟木, Camphorae Lignum)이라 한다. 성분은 정유, 캠포(camphor), 피넨(pinene), 캠펜(camphene), 씨-이네올(c-ineol), 사프롤(safrol), 디-리모넨(d-limonene), 카디넨(cadinene), 펠란드렌(phellandrene), 레티큘린(reticuline) 등이 함유되어 있으며, 강심, 흥분제, 주사액으로 호흡중추, 혈관신경중추, 심자의 흥분 및 세포의 기능자극제, 방충, 방부 작용이 있으며, 목질부는 거풍습(祛風濕), 심복냉통(心腹冷痛), 숙식불소(宿食不消), 곽란복창(藿亂腹脹), 풍습비통(風濕痺痛), 통경락(通經絡), 소식(消食), 타박상 등에 효과가 있다(장준근, 몸에 좋은 산야초, 넥서스, 2000).
종래의 화장품 조성물 관련 특허에서 육계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공개특허공보(10-2001-18668호)가 개시되어 있으나, 육계피 추출물은 육계(Cinnamomum cassia)라는 나무껍질(cortex, 피질) 부분을 추출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육계피와는 다른 종인 장목(Cinnamomum camphora)의 목질부위(Lignum) 부분만을 추출한 조성물에 대한 것으로서 피질과 목질은 그 성분 및 성상, 용도가 전혀 유사하지 아니하다. 생약은 활용 부위에 따라 그 구성성분과 생리활성이 크게 다르다. 즉, 같은 생약 중에서도 잎, 뿌리, 꽃 나무껍질, 목질부 등의 부위에 따라 활성이 다르며, 따라서 그 전체적인 특성 또한 다르다고 할 수 있다(한대석 등, 생약학, 동명사, 1996 참조).
본 발명자들은 여러 가지 천연물들 중 장목을 선택하여, 이의 화장품 원료로서의 효능을 확인하고 그 사용방법을 개발함으로써, 다양한 화장품의 원료의 선택범위를 높이고, 또 이 원료를 사용하여 좀더 자극이 없으면서도 소정의 기능성 효과를 나타내는 화장품을 제조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즉, 본 발명의 목적은 피부화장료에 적용 가능하고 화장료에 함유시 항산화효과, 콜라겐 합성 효과, 피부 잔주름 방지효과 등 우수한 항노화 효과를 나타내는 천연 추출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장목의 추출물 제조시 특정 추출용매 선택시 목적 효능이 더욱 크게 나타난 점으로부터 화장품 원료로서 이 물질을 이용하여 화장료를 제조하는 방법 및 그 화장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장목을 정제수, 메탄올, 에탄올, 글리세린, 에틸아세테이트, 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디클로로메탄 및 헥산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장목을 주요 활성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장목을 40-95중량% 에탄올을 추출용매로 사용하여 추출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추출물이 상온에서 냉침, 가열, 여과하여 얻어진 액상물, 추가로 용매를 증발 또는 동결건조하여 얻은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이 화장수, 젤, 수용성 리퀴드, 크림, 에센스, 수중유(O/W)형 및 유중수(W/O)형의 제형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장목 추출물의 함량이 화장료 조성물 전체에 대하여 0.001 - 30.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장목 추출물의 함량이 0.001% 미만인 경우에는 항노화 기능성이 미미하며, 30%를 초과하면 항노화 효과의 증대도가 저하된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우수한 항산화 효과와 피부 잔주름 개선 효과 등 피부 항노화용으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단,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기재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장목 추출물 제조
세절하여 음건한 장목을 뜨거운(hot) 95%(V/V) 에탄올 수용액으로 5시간씩 3회 환류추출하고 냉침한 후, 와트만(Whatman) #5 여과지로 여과하였다. 여과된 추출물을 50℃ 이하에서 감압농축 및 동결건조하였다. 감압농축물 및 동결건조물이 0.001 ~ 30.0중량% 함유되게 정제수, 에탄올, 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용매를 사용하여 장목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NBT법을 이용한 항산화 효과 측정 실험
본 실시예는 실시예 1에서 수득한 장목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실험실 조건에서 다른 항산화제 즉, 녹차추출물과 비타민 E를 비교 샘플로 하였으며, NBT법을 이용하여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였다.
인간에게 분자상태의 산소는 생명을 유지하는데 필수적이지만, 산소의 소비로 인해 생체 내에서는 소량의 활성산소가 생성되며, 이것의 강한 산화작용으로 세포막이나 세포구성물을 파괴하게 된다. 이러한 활성산소는 피부세포의 손상과 노화에 큰 영향을 미치므로, 활성산소 소거 작용을 가지는 항산화 활성 물질들이 생체에 중요한 작용을 하게 되는 것이다.
항산화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서 크산틴과 크산틴옥시다제에 의해 생성되는 활성산소를 NBT법에 의해 측정하고 피검물질이 활성산소를 제거하는 효과, 즉 활성산소 소거효과를 평가한다. 크산틴과 크산틴옥시다제에 의해 활성산소를 생성시킨다. 이 활성산소가 니트로블루테트라졸리움(Nitro Blue Tetrazolium;NBT)과 반응하여 이것에 의해 생성되는 청색을 파장 560nm에서 측정하는 것으로 활성산소 소거율을 측정한다.
사용한 시약으로서는
1) 0.05M(50mM) Na2CO3완충액(MW=105.99) : 탄산나트륨(화광순약) 5.25g(50mM)을 정제수에 용해한 용액과 50mM NaHCO3(MW= 84.01)용액을 혼합하여 pH 10.2로 한다.
2) 3mM 크산틴 용액 : 크산틴(半井化學, MW=152.11)) 45.6mg을 물에 용해하여 10ml로 한다.
3) 3mM EDTA용액 : 에틸렌디아민4초산나트륨(同仁化學, MW=60.1)을 증류수에 용해하여 3mM로 한다.
4) 0.15% BSA용액 : BSA(Fraction V, powder,Sigma) 15mg을 증류수에 용해하여 10ml로 한다.
5) 0.75mM NBT용액 : 니트로블루 테트라졸리움(MW=817.65, 東京化學) 61.32mg을 증류수에 용해하여 100ml로 한다.
6) 크산틴 옥시다제(xanthine oxidase) 용액: 크산틴 옥시다제(Boehringer)를 증류수로 약 100배로 희석하고 측정조작에서 공시험의 흡광도가 0.2-0.23의 범위에 들도록 한다. 다시 말해 흡광도의 변화가 A560=0.3/20분이 되게 정제수로 희석한다.
7) 6mM CuCl2용액 : 염화동(CuCl2-2H2O, MW=134.45)를 102.29mg을 증류수에 용해하여 100ml로 한다.
측정방법으로서
1. 0.05M Na2CO3------------------------------------ 2.4ml
2. 3mM 크산틴 용액---------------------------------- 0.1ml
3. 3mM EDTA 용액------------------------------------ 0.1ml
4. BSA 용액----------------------------------------- 0.1ml
5. 0.72mM NBT 용액---------------------------------- 0.1ml
6. 크산틴 옥시다제 용액---------------------------- 0.1ml
7. 6mM CuCl2용액------------------------------------ 0.1ml
① 바이엘병에 1,2,3,4,5를 가하고 여기에 시료용액 0.1ml을 첨가하고 25℃에서 10분간 방치한다.
② 6을 가하여 빨리 교반하고 25℃에서 20분간의 배양을 개시한다.
③ 그 후 7을 가하여 반응을 정지시키고 560nm에서의 흡광도 St를 측정한다.
④ 공시험은 시료용액 대신에 증류수를 사용한 것을 상기와 똑같이 조작해 흡광도 Bt를 측정한다.
⑤ 역시, 시료용액의 블랭크(Blank)는 6대신에 증류수를 사용해 똑같이 조작하여 흡광도 Bo를 측정한다.
효과의 결과는 수학식 1에 의하여 산출하였으며, 결과는 표1과 같다.
억제율(%) = 〔1-(St-So)/(Bt-Bo)〕X 100
St : 시료용액의 효소 반응 후의 560nm에서의 흡광도
Bt : 공시험용액의 효소 반응 후의 560nm에서의 흡광도
So : 시료용액의 효소 무첨가시 반응전의 560nm에서의 흡광도
Bo : 공시험용액의 효소 무첨가시 반응전의 560nm에서의 흡광도
결과는 표1과 같이 시험한 모든 시료에서 우수한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었고,장목 추출물도 항산화제로 많이 이용되고 있는 녹차추출물과 비타민 E와 비슷한 항산화력을 갖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시료명 항산화효과(%)
장목 추출물 99
녹차추출물 94
비타민 E 87
[실시예 3] 콜라겐 합성 효과 측정 실험
본 실시예는 실시예 1에서 수득한 장목 추출물의 콜라겐 합성 효과를 관찰하기 위해 인간으로부터 직접 채취하거나 상업적으로 구입한 인간의 섬유아세포에 처리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96공 평판배양기(96-well plate)에 2.5% 우태아 혈청이 함유된 DMEM (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a)배지와 인간의 섬유아세포(5000세포/well)를 넣고, 70-80% 정도 자랄 때까지 배양하였다. 그다음 장목 추출물을 각각 0.01% 및 0.001%의 농도로 1일 처리후 세포배양액을 채취하였다. 채취한 세포배양액을 콜라겐 단백질 측정기구(Catalog N. : MK 101, Takara Shuzo Co. Ltd, 일본)를 이용하여 콜라겐 합성량을 측정하였다.
측정 방법은 우선 1차 콜라겐 항체가 균일하게 도포된 96공 평판배양기에 채취된 세포 배양액을 넣고 3시간 동안 항원-항체 반응을 실시하였다. 3시간 후 발색단이 결합된 2차 콜라겐 항체를 96공 평판배양기에 넣고 15분간 반응시켰다. 15분 후 발색유발물질을 넣어 실온에서 발색시키고, 1M 황산을 넣어 발색을 중지시켰다. 반응색의 색깔은 노란색을 띠며, 반응의 정도에 따라 진하기가 달라진다. 노란색을 띤 96공 평판배양기를 흡광광도계를 이용하여 450nm에서 측정하고, 아래 수학식 2에 의해 콜라겐 합성 정도를 계산하였다. 이때 상기 추출물을 처리하지 않은 세포배양액의 반응 흡광도를 대조군으로 하였다.
결과는 표 2에 나타나 있으며, 장목 추출물이 콜라겐 생성 촉진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콜라겐 합성효과(%) = (추출물의 세포배양액의 반응 흡광도/대조군의 반응 흡광도)×100
시료 콜라겐 합성효과(%)
장목 추출물 0.01% 90
0.001% 45
대조군 0
[실시예 4 내지 6 및 비교예 1]
본 실시예는 실시예 1에서 수득한 장목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를 제조하여 사람을 대상으로 피부 잔주름 개선 효과를 비교예 1과 비교실험을 행하여 평가하였다.
비교실험에 사용된 화장료는 크림형태이고, 그 조성은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다. 우선 표 3에 기록되어 있는 나)상을 가열하여 70℃에 보존한다. 이것에 가)상을 가하여 예비유화 후 호모믹서로 균일하게 유화하고 다음에 서서히 냉각하여 크림(실시예 4 내지 6, 비교예 1)을 제조한다. 실험자(20세-35세의 여성) 20명을 대상으로 얼굴 오른쪽부위에는 실시예 4 내지 6에서 제조된 크림을 얼굴 왼쪽부위에는 비교예 1에서 제조된 크림을 각각 1일 2회씩 연속 2개월간 도포하였다.
실험완료 후 피부 잔주름 완화 효과는 제품 사용 전과 2개월간 사용 후에 안면 눈꼬리 주위의 주름을 실리콘 수지 복사물(레플리카)로 채취하고, 이것을 피부 미세 주름 장치와 피부 영상 분석기로 눈가 잔주름의 상태를 비교한다.
표 4는 실시예 4 내지 6에서 제조된 크림을 사용한 실험자의 눈가 평균 잔주름 깊이 및 주름 감소율을 비교예 1의 크림을 사용한 실험자와 비교한 것이다. 표 4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장목 추출물을 함유한 크림을 도포한 실험자의 안면 눈주위 피부에서 피부 잔주름 개선 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원료 실시예 비교예1
4 5 6
스테아릴 알콜 8 8 8 8
스테아린산 2 2 2 2
스테아린산 콜레스테롤 2 2 2 2
스쿠알란 4 4 4 4
2-옥틸도데실알콜 6 6 6 6
폴리옥시에틸렌(25몰부가)알콜에스테르 3 3 3 3
글리세릴모노스테아린산아스테르 2 2 2 2
장목 추출물 10 1 0.1 -
프로필렌글리콜 5 5 5 5
정제수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주)단위: 중량%
사용제품 사용전 사용 2개월 후 비고
실시예 6 0.201 0.177 평균 잔주름 깊이
11.94% 사용전 대비 주름 감소율(%)
비교예 1 0.205 0.201 평균 잔주름 깊이
1.95% 사용전 대비 주름 감소율(%)
n=20, p<0.01
이하에 그 외의 실시예를 나타내었다. 즉, 실시예 1에서 수득한 장목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수, 유액 및 미용액을 실시예 7 내지 9에서 제조하였다. 이들 장목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수, 유액 및 미용액은 항산화 효과, 콜라겐 합성 촉진 효과, 피부 잔주름 개선 효과 등 피부개선에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실시예 7] 실시예 1에서 수득한 장목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수의 제조
95%에탄올 8g에 폴리피로리돈 0.05g, 올레일알콜 0.1g, 폴리옥시에틸렌모노올레이트 0.2g, 향료 0.2g, 파라옥시안식향산메틸에스테르 0.1g, 소량의 산화방지제, 소량의 색소를 혼합용해 한다. 실시예 1에서 수득한 장목 추출물 0.05g, 글리세린 5g을 정제수 85.33g에 용해한 것에 상기 혼합액을 첨가한 후 교반하여 피부개선효과가 있는 화장수를 얻었다.
[실시예 8] 실시예 1에서 수득한 장목 추출물을 함유한 유액의 제조
세틸알콜 1.2g, 스쿠알란 10g, 바세린 2g, 파라옥시안식향산에틸에스테르 0.2g, 글리세린모노에스테아레이드 1g, 폴리옥시에틸렌(20몰부가)모노올레이트 1g 및 향료 0.1g을 70 에서 가열혼합용해하고, 실시예 1에서 수득한 장목 추출물 0.5g, 디프로필렌글리콜 5g, 폴리에틸렌글리콜-1500 2g, 트리에탄올아민 0.2g, 정제수 76.2g을 75 로 가열해서 용해시킨다. 양자를 혼합하여 유화시킨 후 냉각하여 수중유(O/W)형의 피부개선효과가 있는 유액을 얻었다.
[실시예 9] 실시예 1에서 수득한 장목 추출물을 함유한 미용액의 제조
95% 에틸알콜 5g에 폴리옥시에틸렌솔비탄모노올레이트 1.2g, 키툴로오즈 0.3g, 히야론산나트륨 0.2g, 비타민 E-아세테이트 0.2g, 감초산 나트륨 0.2g, 파라옥시안식향산에틸에스테르 0.1g, 실시예 1에서 수득한 장목 추출물 1g 및 적량의 색소를 혼합하여 피부개선효과가 있는 미용액을 얻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장목 추출물은 항산화 효과와 콜라겐 합성 촉진 효과, 피부 잔주름 개선 효과 등 우수한 항노화 효과를 가지며, 천연 식물 추출물로 화장품 기재에 의해 야기되는 피부 자극을 완화시켜 주는 효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이러한 장목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수, 크림, 유액, 팩 등의 화장료 조성물은 항산화 효과와 콜라겐 합성 촉진 효과, 피부 잔주름 개선 효과 등 우수한 항노화 효과를 가짐을 알 수 있다.

Claims (6)

  1. 장목 추출물을 주요 활성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노화용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추출용매로서 정제수, 메탄올, 에탄올, 글리세린, 에틸아세테이트, 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디클로로메탄 및 헥산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장목 추출물을 주요 활성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노화용 화장료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40∼95% 에탄올을 추출용매로 사용하여 추출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장목 추출물을 주요 활성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노화용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추출물은 상온에서 냉침, 가열 여과하여 얻어진 액상물, 추가로 용매를 감압농축 또는 동결건조하여 얻은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장목 추출물을 주요 활성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노화용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장목 추출물의 함량은 화장료 조성물 전체에 대하여 건조중량 기준 0.001∼30.0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목 추출물을 주요 활성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노화용 화장료 조성물.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수, 젤, 수용성 리퀴드, 크림, 에센스, 수중유(O/W)형 및 유중수(W/O)형의 제형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목 추출물을 주요 활성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노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01-0057347A 2001-09-17 2001-09-17 장목 추출물을 주요 활성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노화용화장료 조성물 KR1004380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7347A KR100438008B1 (ko) 2001-09-17 2001-09-17 장목 추출물을 주요 활성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노화용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7347A KR100438008B1 (ko) 2001-09-17 2001-09-17 장목 추출물을 주요 활성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노화용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4284A true KR20030024284A (ko) 2003-03-26
KR100438008B1 KR100438008B1 (ko) 2004-06-30

Family

ID=277243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7347A KR100438008B1 (ko) 2001-09-17 2001-09-17 장목 추출물을 주요 활성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노화용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3800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014307A1 (en) * 2008-03-31 2011-01-20 Shiseido Company, Ltd. Blood vessel maturation, normalization or stabilization agent and wrinkle preventer/improver
CN109908059A (zh) * 2019-04-16 2019-06-21 王云轲 一种植物提取的龙脑精华液及其制备方法
CN111840156A (zh) * 2020-07-15 2020-10-30 上海应用技术大学 一种香樟花活性物质的提取方法和抗氧化性能的测定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675685A5 (ko) * 1988-06-24 1990-10-31 Flachsmann Ag Emil
JP2001226218A (ja) * 2000-02-17 2001-08-21 Ichimaru Pharcos Co Ltd 植物水蒸気蒸留水含有化粧料組成物
KR100439627B1 (ko) * 2001-06-18 2004-07-12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피부주름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014307A1 (en) * 2008-03-31 2011-01-20 Shiseido Company, Ltd. Blood vessel maturation, normalization or stabilization agent and wrinkle preventer/improver
US9320770B2 (en) * 2008-03-31 2016-04-26 Shiseido Company, Ltd. Blood vessel maturation, normalization or stabilization agent and wrinkle preventer/improver
CN109908059A (zh) * 2019-04-16 2019-06-21 王云轲 一种植物提取的龙脑精华液及其制备方法
CN111840156A (zh) * 2020-07-15 2020-10-30 上海应用技术大学 一种香樟花活性物质的提取方法和抗氧化性能的测定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38008B1 (ko) 2004-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9520B1 (ko) 항염증, 항산화 또는 항세균 조성물
US20230070929A1 (en) Extract of moringa peregrina seed cake, method for obtaining same and use thereof in cosmetic or nutricosmetic compositions
KR100732564B1 (ko) 진피 추출물을 주요 활성 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외용제조성물
KR102063686B1 (ko) 콩뿌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839491B1 (ko) 어성초 추출물의 추출방법 및 이를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AU2021274894B2 (en) Moringa peregrina seed extract rich in 2,5-diformylfuran, process for obtaining same and use thereof in cosmetic compositions
KR101744889B1 (ko) 항산화, 미백 및 주름개선 효과를 갖는 조성물
KR100438007B1 (ko) 향나무 목질부 추출물을 주요 활성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노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0561036B1 (ko) 설련 추출물 및 권백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피부외용제 조성물
KR101027113B1 (ko) 해송의 송기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0438008B1 (ko) 장목 추출물을 주요 활성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노화용화장료 조성물
KR20030039726A (ko) 머위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노화용 화장료 조성물
KR20110037462A (ko) 님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염증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0525994B1 (ko) 복방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086227B1 (ko) 나도개감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552269B1 (ko) 금등화 추출물 또는 비자 추출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주요 활성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외용 화장료 조성물
KR20070109426A (ko) 포황 추출물을 주요 활성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60110B1 (ko) 아사이베리 추출물 및 새싹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030086933A (ko) 잘피 추출물을 주요 활성성분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137952B1 (ko) 피부 진정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KR100298132B1 (ko) 단풍이 든 잎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961761B1 (ko) 산당화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997707B1 (ko) 달뿌리풀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JP6424137B2 (ja) 活性酸素消去剤、抗糖化剤、メラニン産生抑制剤および皮膚外用剤
KR101854158B1 (ko) 콩꽃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7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5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