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24145A - 공기조화기의 공기 흡입부 구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의 공기 흡입부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24145A
KR20030024145A KR1020010057161A KR20010057161A KR20030024145A KR 20030024145 A KR20030024145 A KR 20030024145A KR 1020010057161 A KR1020010057161 A KR 1020010057161A KR 20010057161 A KR20010057161 A KR 20010057161A KR 20030024145 A KR20030024145 A KR 200300241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orifice
filter
fan housing
air conditio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571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병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Priority to KR10200100571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24145A/ko
Publication of KR200300241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4145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8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fans
    • F24F1/0022Centrifugal or radial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05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mounted on the floor; standing on the flo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용이 저감되고 작업성이 향상된 공기조화기의 공기 흡입부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송풍력을 발생시키는 송풍팬 외측에 배치되고 흡입구 및 토출구가 형성되어 흡입구와 토출구의 사이에 공기 유로를 갖는 팬하우징과; 상기 팬하우징의 흡입구에 배치되어 공기의 흡입을 안내하는 오리피스와; 상기 오리피스의 전면측에 결합되어 공기 중에 혼재한 이물질의 흡입을 막는 에어필터로 구성되고, 상기 에어필터가 공기중의 이물질을 걸러주어 공기정화가 이루어지도록 함과 아울러 안전장치의 역할을 함으로써, 공기조화기의 내부 구조가 간단하고 생산비용이 저감되며 생산성이 향상 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의 공기 흡입부 구조{Air inlet structure of 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실내공간을 쾌적한 환경으로 유지시키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에어필터를 팬하우징측에 고정시켜 팬하우징의 전면측에 안정망을 별도로 설치할 필요가 없어 비용이 저감되고 작업성이 향상된 공기조화기의 공기 흡입부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난방기, 냉방기, 청정기 등으로 실내를 냉난방시키거나 공기를 정화할 목적으로 설치되어 인간에게 보다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하게 된다.
종래 기술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교환기(2)와 송풍기(4)가 내장된 캐비닛(10)과, 상기 캐비닛(10)의 전면 하부에 착탈되는 흡입그릴(12)과, 상기 캐비닛(10)의 전면 상부에 배치된 전면 상부패널(1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전면 상부패널(14)의 상측에는 상기 열교환기에서 열교환된 공기가 실내측으로 토출될 수 있도록 토출부(16)가 형성되고, 상기 흡입그릴(12)에는 실내측의 공기가 상기 캐비닛(10) 내측으로 흡입될 수 있도록 일정간격으로 개구된 흡입부(12a)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공기조화기는 상기 흡입그릴(12)의 후면측에 배치되어 흡입구(12a)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중의 이물질을 걸러주는 에어 필터(20)와, 실내의 공기를 상기 캐비닛(10)의 내부로 흡입하는 송풍력을 발생시키는 송풍팬(5) 외측에 배치되고 흡입구(6a) 및 토출구(6b)가 형성되어 흡입구(6a)와 토출구(6b)의 사이에 공기 유로를 갖는 팬하우징(6)과; 상기 팬하우징(6)의 흡입구(6a)에 배치되어 공기의 흡입을 안내하는 오리피스(8)로 이루어진 공기 흡입부 구조를 갖는다.
상기 에어 필터(20)는 상기 흡입그릴(12)의 후면 양측에 나사(13a,14a)로 체결되는 좌,우 필터 가이드(13,14)에 의해 흡입그릴(12)의 후면측에 설치된다.
상기 송풍팬(5)은 상기 캐비닛(10)에 고정된 모터(7)의 구동에 의해 팬하우징(6) 내측에서 회전됨으로써, 흡입그릴(12) 전방의 공기를 팬하우징(6) 내부로 강제 흡입한 후 토출구(6b)를 통해 캐비닛(10)의 상부로 토출토록 한다.
상기 오리피스(8)는 중앙에 상기 팬하우징(6)의 흡입구(6a)에 통하고 완만한 곡선부를 갖는 흡입홀부(8a)가 형성되고, 상기 팬하우징(6)의 흡입구 옆에 나사(6b) 체결된다.
한편, 상기 에어필터(20)와 오리피스(8)의 사이에는 상기 오리피스(8)의 흡입홀부(8a)를 통해 손이 들어가지 못하도록 안정망(30)이 설치되어 사고를 방지토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공기조화기의 공기 흡입부 구조는 상기 모터(7)의 구동에 의해 상기 송풍팬(5)이 회전되면 실내의 공기는 상기 흡입그릴(12)의 흡입부(12a)를 통해 캐비닛(10)의 내부로 흡입되고, 상기 에어 필터(20)를 지나면서 공기 중의 이물질이 걸러진 다음 상기 오리피스(8)의 흡입홀(8a)을 통해 상기 팬하우징(6)의 내부 유로로 안내되며 상기 팬하우징(6)의 토출구(6b)를 통해 캐비닛(10)의 상부로 이동된다.
상기 캐비닛(10)의 상부로 이동된 공기는 상기 열교환기(2)를 지나면서 냉기로 전환된 후 상기 캐비닛(10)의 전면 상부의 토출부(16)를 통해 실내로 다시 토출되어 사용자에게 시원함을 제공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공기조화기의 흡입부 구조는 상기 에어필터(20)가 흡입그릴(12)의 후면측에 좌,우 필터 가이드(13,14)에 의해 설치되고, 상기 에어필터(20)와 오리피스(8)의 사이에 안정망(30)이 설치되는 구조이므로, 상기 좌,우 필터 가이드(13,14) 및 안전망(30)으로 인해 내부 구조가 복잡함과 아울러 제조비용 및 작업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에어필터를 팬하우징 측에 설치하여 공기조화기의 내부구조가 간단하고 비용 및 작업성이 향상된 공기조화기의 공기 흡입부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개략 단면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공기 흡입부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개략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공기 흡입부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 필터가 오리피스에 결합된 모습이 도시된 확대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52: 열교환기55: 송풍팬
56; 팬하우징58: 오리피스
59: 플랜지부59a: 걸림홈부
62: 흡입그릴70: 에어필터
71: 망체72: 필터 본체
73: 걸림턱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공기 흡입부 구조는 송풍력을 발생시키는 송풍팬 외측에 배치되고 흡입구 및 토출구가 형성되어 흡입구와 토출구의 사이에 공기 유로를 갖는 팬하우징과; 상기 팬하우징의 흡입구에 배치되어 공기의 흡입을 안내하는 오리피스와; 상기 오리피스의 전면에 결합되어 공기 중에 혼재한 이물질의 흡입을 막는 에어필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싱시예의 개략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공기 흡입부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교환기(52)와 송풍기(54)가 내장된 캐비닛(60)과, 상기 캐비닛(60)의 전면 하부에 착탈되는 흡입그릴(62)과, 상기 캐비닛(60)의 전면 상부에 배치된 전면 상부패널(64)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전면 상부패널(64)의 상측에는 상기 열교환기에서 열교환된 공기가 실내측으로 토출될 수 있도록 토출부(66)가 형성되며, 상기 흡입그릴(62)에는 실내측의 공기가 상기 캐비닛(60) 내측으로 흡입될 수 있도록 일정간격으로 개구된 흡입부(62a)가 형성되어, 상기 캐비닛(60) 외부의 공기를 상기 흡입부(62a)을 통해 상기 캐비닛(60) 내부로 흡입하여 상기 열교환기(52)에서 냉기로 전환한 후 상기 토출부(66)를 통해 실내로 다시 토출시킨다.
이러한 공기조화기는 송풍력을 발생시키는 송풍팬(56) 외측에 배치되고 흡입구(56a) 및 토출구(56b)가 형성되어 흡입구(56a)와 토출구(56b)의 사이에 공기 유로를 갖는 팬하우징(56)과; 상기 팬하우징(56)의 흡입구(56a)에 배치되어 흡입구(56a) 전방의 공기를 팬하우징(56) 내측으로 안내하는 오리피스(58)와; 상기 오리피스(58)의 전면측에 결합되어 공기 중에 혼재한 이물질의 흡입을 막는 에어필터(70)로 이루어진 공기 흡입부 구조를 갖는다.
여기서, 상기 송풍팬(55)은 상기 캐비닛(60)에 고정된 모터(57)의 구동에 의해 팬하우징(56) 내측에서 회전됨으로써, 흡입그릴(62) 전방의 공기를 팬하우징(56) 내부로 강제 흡입한 후 토출구(56b)를 통해 캐비닛(60)의 상부로 토출토록 한다.
상기 오리피스(58)는 상기 팬하우징(56)의 흡입구(56a)에 통하는 흡입홀부(58a)가 형성되고 상기 팬하우징(56)의 내측을 향해 직경이 작아지는 단면 형상을 갖는 곡면부(58b)와, 상기 곡면부(58b)의 전면측에서 일체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에어필터(70)의 일단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에어필터(70)의 외직경보다 큰 내경으로 이루어진 플랜지부(59)로 이루어진고, 상기 곡면부(58b)의 외측 가장자리가 상기 팬하우징(56)의 흡입구(56a) 옆에 나사(58c) 체결된다.
상기 에어필터(70)는 공기중의 이물질이 걸름될 수 있도록 메쉬구조로 이루어진 망체(71)와, 상기 망체(71) 외측의 중공 원통모양으로 형성되고 상기 오리피스(58)에 착탈되는 필터 본체(72)로 구성되어 상기 망체(71)에 이물질이 걸림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흡입그릴(62)이 캐비닛(60)에서 분리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손이 오리피스(58)의 흡입홀부(58a)를 통해 유입되는 것을 막는 안전장치로의 기능을 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 필터가 오리피스에 결합된 모습이 도시된 확대 단면도이다.
상기 오리피스(58)와 에어필터(70)의 사이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에어필터(70)를 오리피스(58)의 전면측에 결합하기 위한 착탈수단이 형성되고,상기 착탈수단은 상기 에어필터(70)의 필터 본체(72)에서 돌출된 걸림턱(73)와, 상기 오리피스(58)의 전면에 돌출된 플랜지부(59)에 형성되어 상기 걸림턱(73)이 끼움되는 걸림홈부(59a)로 이루어지고, 상기 필터 본체(72)는 그 외직경이 상기 플렌지부(59)의 내직경보다 작도록 이루어져 상기 에어필터(70)의 장착시 에어필터(70)의 일단이 상기 플렌지부(59)의 내측에 상태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공기 흡입부 구조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모터(57)의 구동에 의해 상기 송풍팬(55)이 회전되면 실내의 공기는 상기 흡입그릴(62)의 흡입부(62a)를 통해 캐비닛(60)의 내부로 흡입되고, 상기 오리피스(58)에 장착된 상기 에어 필터(70)를 지나면서 공기 중의 이물질이 걸러진 다음 상기 오리피스(58)의 흡입홀(58a)을 통해 상기 팬하우징(56)의 내부 유로로 안내되며 상기 팬하우징(56)의 토출구(56b)를 통해 캐비닛(60)의 상부로 이동된다.
상기 캐비닛(60)의 상부로 이동된 공기는 상기 열교환기(52)를 지나면서 냉기로 전환된 후 상기 캐비닛(60)의 전면 상부의 토출부(66)를 통해 실내로 다시 토출되어 사용자에게 시원함을 제공하게 된다.
한편, 상기 에어필터(70)의 청소 기타의 사유로 상기 에어 필터(70)를 분리시키고자 할 때, 상기 필터 본체의 걸림턱(73)이 상기 플랜지부(59)의 걸림홈부(59a)에서 걸림 해제되도록 상기 걸림턱(59)을 플랜지부(59) 내측을 향해 밀면서 상기 에어 필터(70)를 잡아당기면 상기 에어 필터(70)는 간편하게 분리되게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공기 흡입부 구조는 에어필터를 팬하우징의 전면에 설치된 오리피스에 착탈가능하게 설치하여 에어필터가 안정망의 역할을 함과 동시에 흡입된 공기중의 이물질이 걸름되도록 함으로써, 공기조화기의 내부 구조가 간단하고 비용 및 작업성이 향상된 효과가 있다.
또, 에어필터에 형성된 걸림턱이 오리피스 전면의 플랜지부에 형성된 걸림홈부에 걸림식으로 체결되도록 하여 에어필터의 착탈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 에어필터의 일단이 플랜지부의 내측에 삽입되어 지지되도록 하여 그 지지구조가 견고한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송풍력을 발생시키는 송풍팬 외측에 배치되고 흡입구 및 토출구가 형성되어 흡입구와 토출구의 사이에 공기 유로를 갖는 팬하우징과;
    상기 팬하우징의 흡입구에 배치되어 공기의 흡입을 안내하는 오리피스와;
    상기 오리피스의 전면측에 결합되어 공기 중에 혼재한 이물질의 흡입을 막는 에어필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공기 흡입부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리피스는 상기 팬하우징의 내측을 향해 직경이 작아지는 단면 형상을 갖는 곡면부와, 상기 곡면부의 전면측에서 일체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에어필터의 일단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에어필터의 외직경보다 큰 내경으로 이루어진 플랜지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공기 흡입부 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리피스와 에어필터의 사이에는 에어필터를 오리피스에 결합하기 위한 착탈수단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공기 흡입부 구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수단은 상기 에어필터에 형성된 걸림턱와, 상기 오리피스의 플랜지부에 형성되어 상기 걸림턱이 끼움되는 걸림홈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공기 흡입부 구조.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필터는 공기중의 이물질이 걸름될 수 있도록 메쉬구조로 이루어진 망체와, 상기 망체 외측의 중공 원통모양으로 형성되고 상기 오리피스에 착탈되는 필터 본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공기 흡입부 구조.
KR1020010057161A 2001-09-17 2001-09-17 공기조화기의 공기 흡입부 구조 KR2003002414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7161A KR20030024145A (ko) 2001-09-17 2001-09-17 공기조화기의 공기 흡입부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7161A KR20030024145A (ko) 2001-09-17 2001-09-17 공기조화기의 공기 흡입부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4145A true KR20030024145A (ko) 2003-03-26

Family

ID=277242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7161A KR20030024145A (ko) 2001-09-17 2001-09-17 공기조화기의 공기 흡입부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24145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2013B1 (ko) * 2004-12-31 2006-09-18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용 하우징조립체
KR100767998B1 (ko) 2004-03-11 2007-10-18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US7728327B2 (en) 2004-07-15 2010-06-01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2-terminal semiconductor device using abrupt metal-insulator transition semiconductor material
CN104174238A (zh) * 2014-07-23 2014-12-03 中山大洋电机股份有限公司 一种送风设备的滤网堵塞检测方法及其应用的送风设备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7998B1 (ko) 2004-03-11 2007-10-18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US7728327B2 (en) 2004-07-15 2010-06-01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2-terminal semiconductor device using abrupt metal-insulator transition semiconductor material
KR100622013B1 (ko) * 2004-12-31 2006-09-18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용 하우징조립체
CN104174238A (zh) * 2014-07-23 2014-12-03 中山大洋电机股份有限公司 一种送风设备的滤网堵塞检测方法及其应用的送风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016042A1 (en) Fresh air module and air conditioner
CN211575280U (zh) 空调室内机和具有其的空调器
CN111306633A (zh) 新风模块及空调器
KR20030024145A (ko) 공기조화기의 공기 흡입부 구조
CN219243743U (zh) 空调室内机和具有其的空调器
KR100564440B1 (ko)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CN211575282U (zh) 空调室内机和具有其的空调器
KR101158124B1 (ko) 일체형 공기조화기
CN211822733U (zh) 空调室内机和空调器
JPH10141698A (ja) 床置型空気調和機
KR20090022643A (ko) 공기조화시스템
KR200331905Y1 (ko) 창틀 장착형 환기시스템
KR100244205B1 (ko) 공기조화기의 에어필터 결합장치
CN214009385U (zh) 一体式空调器
CN219083268U (zh) 空调室内机及空调器
JP2002276992A (ja) 天井埋込形空気調和機
CN215260083U (zh) 空调室内机及具有其的空调器
KR100294674B1 (ko) 공기조화기의집진필터결합장치_
CN216716548U (zh) 过滤装置、新风风机和空调室内机
KR101230683B1 (ko) 공기조화시스템
KR20040015874A (ko) 액자형 공기조화기의 디스플레이 패널 개폐구조
CN210373757U (zh) 空调室内机和空调器
KR101532574B1 (ko) 공기조화기
KR20070077642A (ko) 공기조화기 및 그 실내기
CN118391804A (zh) 空调室内机和具有其的空调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