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24018A - 무선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위치 기반 채팅 서비스 방법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위치 기반 채팅 서비스 방법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24018A
KR20030024018A KR1020010056961A KR20010056961A KR20030024018A KR 20030024018 A KR20030024018 A KR 20030024018A KR 1020010056961 A KR1020010056961 A KR 1020010056961A KR 20010056961 A KR20010056961 A KR 20010056961A KR 20030024018 A KR20030024018 A KR 200300240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chat
server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569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태민
김규철
Original Assignee
(주)아이작소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이작소프트 filed Critical (주)아이작소프트
Priority to KR10200100569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24018A/ko
Publication of KR200300240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4018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5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communications indust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다자간 채팅 서비스 및 채팅 서비스 시스템에 접속한 회원들의 위치 정보를 사용자의 휴대폰에 지도와 함께 지번까지 제공하는 등 다양한 기능을 갖는 통신기기를 이용한 위치 기반 채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채팅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무선 통신 단말기,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의 위치에 관한 지리 좌표값을 갖고 있는 무선 기지국,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의 전송 및 다양한 채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채팅 서버,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의 현위치를 나타내는 지도의 생성 및 주소 정보에 관련된 작업을 수행하는 맵 서버, 상기 맵 서버가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의 현위치에 관한 주소 정보를 검색할 수 있도록 전국의 상호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상호 정보 데이터베이스 서버가 연결된 무선 인터넷 환경에서 채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가 채팅 서비스 시스템으로부터 채팅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전송받는 단계,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를 채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접속하는 단계, 사용자의 신상 정보를 입력하여 회원으로 등록하는 단계,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를 통해 회원 인증 과정을 거치는 단계,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에 채팅 서비스의 초기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를 사용해 상기 채팅 서비스를 이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채팅 서비스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채팅 서비스의 제공 방법은 무선 통신 단말기만 있으면 언제, 어디서나 다양한 사람들과 채팅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되어 보다 따뜻하고 정이 흐르는 사회를 만드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위치 기반 채팅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Location-based Chatting Service by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본 발명은 무선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채팅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종래 온라인 상에서 컴퓨터를 이용하여 제공했던 다양한 채팅(Chatting) 서비스 및 지리 정보를 이동 통신 단말기나 개인 정보 단말기(PDA : 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을 통해 이용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월드와이드웹(World Wide Web)으로 상징되는 인터넷 통신 서비스가 각광을 받기 시작한 이후, 통신 서비스는 이미 사회, 경제, 정치 등 모든 측면에서 인류의 삶에 큰 변화를 일으키고 있다. 인터넷이 불가능한 생활은 상상하기 힘들 정도로 인터넷은 생활의 일부로 인식되고 있는 현실이다. 그래서 최근에는 다양한 통신 서비스를 보다 나은 환경에서 이용하기 위해 초고속 통신망 등의 보급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컴퓨터를 이용한 인터넷 등의 통신 서비스는 전송 속도가 빠르고 데이터 입력이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통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환경을 벗어나면 더 이상 통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게 되므로 고정된 위치에서만 통신 서비스를 이용해야 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그래서 최근에는 공간을 초월하여 인터넷 등의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수많은 기업들이 무선 인터넷이라는 새로운 기술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무선 인터넷은 사용자가 이동하는 중 무선망(Wireless Network)을 통해 인터넷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환경과 기술을 말한다. 휴대폰 관련 기술의 발달과 휴대폰 보급율의 비약적인 증가는 이러한 무선 인터넷 환경의 발전을 더욱 촉진시켰다.
하지만, 휴대폰이나 개인 정보 단말기가 이용하는 통신망과 인터넷망에서 사용하는 통신 프로토콜이 서로 상이하므로 이들 망 사이에 원활한 데이터의 교환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프로토콜이 필요하게 된다. 이를 위해 여러 통신업체의 연합에 의해서 무선 응용 프로토콜(WAP : 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이하 WAP라 칭함)이 제안되었다.
WAP이란 휴대폰이나 개인 정보 단말기 등 무선 통신 단말기를 통해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해주는 통신 프로토콜의 총칭이다. 지금까지는 휴대폰을 통해 인터넷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휴대폰용 모뎀 카드를 장착한 노트북 컴퓨터를 휴대폰과 연결해야 했다. 하지만 WAP은 모뎀 카드와 컴퓨터 없이도 무선 통신 단말기 자체만으로 인터넷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획기적인 기술이다. WAP에서는 무선 통신의 느린 통신 속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인터넷상의 텍스트 코드(Text Code)를 그대로 송신하는 것이 아니고 WAP서버에서 이를 이진 코드(Binary Code)로 변환해서 무선 통신 단말기로 전달한다. 또한, WAP은 모델 설계부터 WAP을 이용할 컨텐츠 (Contents)와 무선 통신 단말기를 고려해 설계하므로 사용자들이 무선 단말기만으로 인터넷 사용을 가능하게 한다. 즉, 인터넷에서 검색한 전화번호에 해당하는 휴대폰으로 직접 전화를 걸 수 있고, 무선 통신 단말기상의 버튼을 서로 조합하여 문자를 입력하거나 컨텐츠마다 버튼을 할당하는 식으로 설계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휴대폰이나 개인 정보 단말기 등 무선 통신 단말기의 대중화와 WAP 등과 같은 통신 기술의 발달에 의해 최근에는 제공 가능한 서비스가 급증하고 있다. 예컨대, 휴대폰을 이용한 일대일 채팅 서비스, 증권, 뉴스, 기상 정보 등을 제공하는 서비스가 상용화되어 있다.
하지만 이러한 WAP 기술은 무선 통신 단말기에 단순한 텍스트의 제공, 저속도의 네트워킹 및 단방향의 데이터 전송에는 적합하지만, 최근의 무선 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제공되는 서비스는 이러한 수준을 넘어서고 있다. 즉 무선 통신 단말기를 통해 다자간 채팅, 다양한 게임, 지리 정보 및 편리한 인터페이스 (Interface) 등을 제공하는 서비스들이 속속 소개되고 있는데, WAP 기술은 이러한 서비스의 제공을 충족시키기에는 역부족이라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정보 통신 서비스 환경을 고려하여 창출된 것으로서,무선 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컴퓨터 통신 환경에서 제공하는 수준의 다양하고 편리한 채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과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무선 인터넷 통신이 가능한 무선 통신 단말기,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와 무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에서 발생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무선 기지국, 상기 무선 기지국과 유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의 접속 요구를 처리하는 이동 전화 교환국, 상기 이동 전화 교환국과 연결되어 유선과 무선 통신 시스템을 연결해 주는 IWF,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로의 데이터 전송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인터넷상의 텍스트 파일 데이터를 이진 코드 형태의 데이터로 변환하는 WAP 게이트웨이, 상기 무선 기지국에서 전송되는 데이터들을 패킷 데이터 형태로 변환하여 인터넷망으로 전송하는 패킹 데이터 서빙 노드,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와 채팅 서버를 연결하고 이를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의 양을 기준으로 채팅 서비스의 이용 요금을 산정하는 자바 빌링 플랫폼, 상기 WAP 게이트웨이와 상기 자바 빌링 플랫폼을 통해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에 채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채팅 서버,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의 현위치에 관한 주소 정보를 검색할 수 있도록 전국의 상호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상호 정보 데이터베이스 서버,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의 현위치를 나타내는 지도를 생성하고, 상기 상호 정보 데이터베이스 서버를 통해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의 현위치의 주소 정보를 알아내어 이를 상기 채팅 서버로 전송하는 맵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채팅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목적에 따르면, 채팅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무선 통신 단말기,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의 위치에 관한 지리 좌표값을 갖고 있는 무선 기지국,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의 전송 및 다양한 채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채팅 서버,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의 현위치를 나타내는 지도의 생성 및 주소 정보에 관련된 작업을 수행하는 맵 서버, 상기 맵 서버가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의 현위치에 관한 주소 정보를 검색할 수 있도록 전국의 상호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상호 정보 데이터베이스 서버가 연결된 무선 인터넷 환경에서 채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가 상기 채팅 서버로부터 채팅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전송받는 단계,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가 상기 채팅 서버에 접속하는 단계,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 사용자의 신상 정보를 입력하여 회원으로 등록하는 단계,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를 통해 회원 인증 과정을 거치는 단계,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에 채팅 서비스의 초기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를 통해 상기 채팅 서비스를 이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채팅 서비스 방법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을 이용한 채팅 서비스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채팅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채팅 서비스의 사용자 정보 입력 메뉴의 블럭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채팅 서비스 초기 화면의 블럭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채팅 서비스 중 사용자 정보의 입력 과정 화면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채팅 서비스 중 채널 메뉴의 이용 과정 화면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채팅 서비스 중 지역방 메뉴의 이용 과정 화면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채팅 서비스 중 내 정보 메뉴의 이용 과정 화면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채팅 서비스 중 메신저 메뉴의 이용 과정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100 : 휴대폰102 : 무선 기지국
104 : 이동 전화 교환국106 : IWF
108 : WAP 게이트웨이110 : PDSN
112 : 자바 빌링 플랫폼114 : 채팅 서비스 시스템
116 : 채팅 서버118 : 맵서버
120 : 상호 정보 데이터베이스 서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무선 통신 단말기로서 휴대폰(100)을 예로 들어 설명하겠으나,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100)을 이용한 채팅 서비스 제공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채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먼저, 각 장치들에 대해 설명하면 각각의 휴대폰(100)은 채팅 서비스를 직접 이용하게 되는 통신기기로서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수용할 수 있는 무선 통신 단말기이다. 또한, 이 휴대폰(100)에는 자바(Java)를 이용한 버츄얼 머신(Virtual Machine)이 탑재되어 있다.
자바는 기존의 다른 프로그램 언어들에 비해 프로그램의 코딩(Coding)이 간단하고, 분산 네트워킹 환경을 지원하고, 보안이 뛰어나며, 시스템에 무관하게 동작이 가능한 높은 이식성 등의 특성을 갖는다. 따라서 적은 메모리 공간, 통신 보안에 취약 및 단말기의 기종에 따라 여러 가지 시스템이 존재하는 등 무선 통신 단말기가 갖는 단점들을 최대한 보완해 줄 수 있는 프로그래밍(Programming) 언어가 바로 자바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위에서 설명한 WAP 기술을 이용한 서비스가 갖는 단점들을 해결하고, 최근의 무선 통신 단말기를 이용하는 통신 환경이 요구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자바 버츄얼 머신을 이용한다. 자바 버츄얼 머신은 자바로 작성된 응용 프로그램을 윈도우즈(WindowsTM)나 유닉스(UnixTM) 등과 같은 다양한 운영 체계(Operating System)에서 운용할 수 있도록 해주는 소프트웨어이다.
본 발명에서는 핸드폰(100)에 탑재되는 자바 버츄얼 머신으로 케이브이엠 (KVM : Kilobyte Virtual Machine, 이하 KVM이라 칭함)을 채택하였다. KVM의 크기는 약 5 메가바이트(Megabyte)이며 동작할 경우에 필요로 하는 최소 메모리는 약 128 킬로바이트 (Kilobyte) 정도로 적다. 또한, KVM은 시스템의 자원이 제한된 기기에서도 뛰어난 작업 수행 능력을 보이며, 자바의 높은 이식성을 그대로 구현해다양한 시스템 환경에 쉽게 이식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무선 기지국(102)은 휴대폰(100)과 무선으로 연결되어, 휴대폰(100)에서 발생하는 통화 요청을 유선망을 통하여 이동전화 교환국(104)으로 전송하는 무선 송수신기를 갖는 기지국을 말한다. 이동전화 교환국(104)은 무선 기지국 (102)들이 효율적으로 운용될 수 있도록 하는 통제 기능과 공중전화망의 교환기와의 연동 기능을 가지고 있다.
망간 연동 장치(IWF : Inter-Working Function, 이하 IWF라 칭함)(106)는 무선 통신 시스템과 유선 통신 시스템 사이의 데이터 교환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각 망에 적합한 형태로 프로토콜, 신호 및 데이터를 변환하는 기능을 한다. 일반적으로 IWF(106)는 이동전화 교환국(104)과 직접 연결되어 유선 통신망과 무선 통신망을 연결한다.
WAP 게이트웨이(108)는 앞에서 설명했던 WAP 개념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시스템이다. WAP 게이트웨이(108)는 인터넷 상의 텍스트 파일 데이터를 이진 코드 구조로 변환시켜 주며, 휴대폰(100)을 사용하는 환경에서 도움이 되는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이나 휴대폰(100)으로의 정보 전송 기능을 한다.
패킷 데이터 서빙 노드(PDSN : Packet Data Serving Node, 이하 PDSN이라 칭함)(110)는 코드 분할 다중 통신(CDMA :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망으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들을 모아서 패킷 데이터로 만들고, 이들 패킷 데이터들을 인터넷망으로 전송하는 기능을 한다.
자바 빌링 플랫폼(Java Billing Platform)(112)은 무선 인터넷 정보 제공자(Contents Provider)의 서비스에 대한 요금을 산정하기 위한 시스템이다. 즉, 무선 통신 단말기(100)와 서버 사이의 연결을 관리하고, 전송되는 데이터의 양을 계산하여 요금을 산정하게 된다. 여기서 플랫폼이란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하드웨어와 운영체제와 같은 소프트웨어를 함께 일컫는 용어이다. 그러나 자바 플랫폼은 하드웨어와 무관하게 동작하는 오직 소프트웨어적인 플랫폼이란 점에서 다른 플랫폼과 다르다. 즉, 자바 언어가 비주얼(Visual) C에 상응한다면, 자바 플랫폼은 윈도우 95/98/NT 등에 상응한다고 볼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부분은 일반적인 무선 인터넷 통신을 위한 시스템 장치들에 관한 것으로, 본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널리 알려져 있으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채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채팅 서비스 시스템(114)은 채팅 서버(116)와 맵 서버(118) 및 상호 정보 데이터베이스 서버(120)로 구성되어 있다. 채팅 서버(116)는 무선 통신 단말기(100)를 통한 채팅 서비스를 제공하며, 무선 통신 단말기(100)에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보여주기 위해 맵 서버(118)와 연동하여 동작한다. 채팅 서버(116)와 맵 서버(118)는 HTTP(Hyper Text Transfer Protocol) 통신 규약을 이용해서 데이터를 전송한다.
맵 서버(118)는 채팅 서버(116)로부터의 지도 정보 요청에 응답하여 자신이 가지고 있는 지도 생성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현재 위치에 대한 지도를 생성하여 이미지의 형태로 채팅 서버(116)로 전송하는 등 지리 정보에 관련된 작업을 수행하는 기능을 한다.
상호 정보 데이터베이스 서버(120)는 전국의 행정구역상 읍, 면, 동 단위의최소 한 개 이상의 상호 정보를 저장하여 맵 서버(118)에 사용자의 현위치에 대한 읍, 면, 동 수준의 주소 정보를 전달하는 기능을 한다.
사용자가 본 발명에 따른 채팅 서비스를 받기 위해서는 먼저 관련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채팅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핸드폰(100)으로 다운로드를 받아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채팅 서비스 관련 애플리케이션은 휴대폰(100)에 탑재된 KVM에서 동작되도록 자바를 이용하여 프로그래밍된 소프트웨어이다. 도 1에서 점선으로 표시된 부분이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는 경로를 표시한 것이다. 핸드폰(100)으로부터 애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 요청을 전달받은 채팅 서버(114)는 요청된 애플리케이션을 WAP 게이트웨이(108)로 보낸다. WAP 게이트웨이(108)는 채팅 서버(114)로부터 수신한 애플리케이션을 이진 코드로 변환하여 IWF(106), 이동 전화 교환국(104) 및 무선 기지국(106)을 거쳐서 핸드폰(100)으로 전송한다. 도 1에서 실선으로 표시된 부분은 데이터의 흐름을 표시한 것이다. 즉, 사용자의 핸드폰(100)에서 채팅 서비스를 이용하게 되면 실선을 따라서 데이터가 흐르게 된다. 사용자의 핸드폰(100)에서 송신된 이진 코드 형태의 데이터는 무선 기지국 (102)으로 전송된다. 무선 기지국(102)은 이 이진 코드 형태의 데이터를 공중 전화 교환망(110)으로 보내고 공중 전화 교환망(110)은 다시 이 데이터를 패킷 데이터로 만들어 무선망에 접속하기 위해 IWF(106)를 거쳐 자바 빌링 플랫폼 (112)으로 전송한다. 그러면, 자바 빌링 플랫폼 (112)은 패킷 데이터가 전송될 서버를 결정하고 패킷 데이터의 전송량을 계속 측정하여 미리 정한 일정한 방식에 의해 사용자가 부담할 요금을 산정한다. 마찬가지로, 채팅 서비스 시스템(114)에서 사용자의핸드폰(100)으로의 데이터 흐름과 과금 방식도 위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채팅 서비스의 위치 정보 제공 방법에 대해 설명하면, 사용자가 자신의 휴대폰(100)을 통해 위치 정보를 요구하면 휴대폰(100)은 자신이 속해 있는 셀(Cell)의 무선 기지국(102)에 이 사실을 알리게 된다. 그러면 해당 무선 기지국(102)은 자신의 위치 정보를 휴대폰(100)에게 전송한다. 즉, 사용자의 현위치가 아닌 사용자가 위치하고 있는 셀내에 속해 있는 무선 기지국의 위치가 지도에 표시되게 된다. 따라서 위치 정보의 오차 범위는 대략 수백 미터에서 일 킬로미터 정도의 정확성을 갖게 된다. 이러한 위치 정보의 정확성은 현재 단순히 무선 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만을 제공하는 서비스가 갖는 정확성(수 킬로미터 내지 수십 킬로미터)보다 훨씬 높은 것이다.
셀이란 하나의 무선 기지국이 담당하는 무선 통신 서비스 영역을 말하는데, 이는 주파수 자원을 효율적으로 재활용하기 위해서 제안된 개념이다.
한편, 사용자의 휴대폰(100)으로 전송된 무선 기지국(100)의 위치 정보는 지리 좌표계에서 사용하는 경도 및 위도값으로 이루어져 있다. 휴대폰(100)은 이러한 위치 정보를 채팅 서버(116)로 전송한다. 하지만 우리나라에서 사용하고 있는 좌표계는 지리 좌표계가 아닌 기준 타원체(TM : Transverse Mercator) 좌표계인데, 이는 베셀(Bessel) 타원체상의 좌표값을 이용하는 방식이다. 본 발명에 따른 맵 서버(116)도 이러한 베셀 좌표값을 이용해서 지도를 제작한다. 따라서, 채팅 서비스 시스템(114)내의 채팅 서버(116)는 전송된 경도와 위도 정보를 베셀 좌표값으로 변환해야 한다. 베셀 타원체 및 좌표값을 변환하는 방법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발명의 기술 사상의 핵심을 벗어나므로 생략하겠다.
채팅 서버(116)는 이 변환된 좌표값을 맵 서버(118)로 전달하여 지도 정보를 요청하게 된다. 그러면, 맵 서버(118)는 자체적으로 내장하고 있는 프로그램을 통해 전송된 좌표값에 대한 지도를 생성하여 이미지 형태로 채팅 서버(116)에게 지도를 전송하게 된다. 그런 다음, 채팅 서버(116)는 전송된 지도를 휴대폰(100)으로 다시 전송하여 휴대폰(100)의 화면에 사용자의 위치가 표시된 지도가 나타나게 된다.
한편, 사용자가 현위치에 대한 행정구역상의 지명 정보를 핸드폰(100)을 통해 요청하면, 채팅 서버(116)는 휴대폰(100)으로 전송한 지도를 중심으로 주변에 어떠한 상호가 있는지를 검색하도록 맵 서버(118)에게 요청하게 된다. 이때, 검색할 지도상의 범위는 지도의 축척 정도에 따라 미리 검색할 지역의 반경을 정해 놓게 된다. 맵 서버(118)는 상호 정보 데이터베이스 서버(120)를 통해 검색 작업을 수행하여 지명 정보를 알아낸 후 이를 채팅 서버(116)로 전송한다. 채팅 서버(116)는 맵 서버(118)로부터 전송된 지명 정보를 다시 핸드폰(100)으로 전송하여 핸드폰 (100)의 화면에 사용자가 위치하고 있는 지역의 지명 정보가 나타나게 한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과정을 거쳐 사용자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채팅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을 휴대폰(100)으로 다운받아 설치한다. 사용자가 휴대폰(100)을 이용하여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과정을 거쳐 채팅 서비스 시스템(114)에 접속을 시도하면, 자바 빌링 플랫폼(112)은 휴대폰(100)을 어느 서버로 접속시킬지를 결정하여 채팅 서비스 시스템(114)에 접속한다. 이렇게 되면, 사용자의 휴대폰(100)은 채팅 서비스 시스템(114) 또는 채팅 서비스 시스템(114)에 접속된 다른 회원들과 교신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하, 전술한 구성을 갖는 채팅 서비스 시스템(114)의 서비스 방법을 도 2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사용자가 본 발명의 채팅 서비스 시스템(114)에 접속하여 채팅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서는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은 사용자 정보를 입력하여 회원 가입을 하여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채팅 서비스의 사용자 정보 입력 메뉴(200)의 블럭 구성도이고, 도 4는 사용자 정보의 입력 과정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와 도 4를 동시에 참조하여 보면, 사용자 정보 입력 메뉴(200)는 기본 정보 입력 메뉴(202)와 부가 정보 입력 메뉴(204)의 두 가지로 나뉘어져 있다. 기본 정보 입력 메뉴(202)에는 사용자의 ID(Identification), 패스워드, 이름, 대화명, 직업, 이메일(E-mail) 주소, 주민등록번호, 주소 등의 항목이 있으며, 직업 항목은 초등학생, 중학생, 고등학생, 대학생, 직장인, 전문직, 프리랜서, 자영업, 주부, 군인, 무직자, 기타 등의 항목으로 이루어져 있다.
사용자의 회원 가입 단계는 도 4의 화면 4A에서 '가입' 아이콘을 선택하면 채팅 서비스의 약관을 보여주는 화면(4B)이 나타난다. 여기서 '확인' 아이콘을 선택하면 ID와 패스워드 및 주소를 입력할 때 유의할 사항을 보여주는 화면(4C)이 나타난다. 기본 정보는 도 4에 보여지듯이 화면 4D, 4E, 4F, 4G순으로 사용자의 기본 정보를 입력한다. 이러한 기본 정보는 본 발명에 따른 채팅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 필수적으로 입력해야 하는 항목이다. 기본 정보를 모두 입력하면 기본 정보의 입력이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문구와 함께 부가 정보를 입력할 것인지를 묻는 화면(4H)이 나타난다. 이때 사용자가 부가 정보를 계속 입력하길 원하면, '계속' 아이콘을 선택하여 부가 정보를 입력하는 단계로 넘어간다.
부가 정보 입력 메뉴(204)는 채팅 서버(116)가 사용자에게 적합한 채팅 대상자를 검색하여 알려주기 위해 사용자가 입력하는 메뉴이다. 따라서, 부가 정보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입력되는 항목이다. 부가 정보 입력 메뉴(204)는 '즉석만남 의도'(206), '성격'(208), '스타일'(210), '이상형'(212), '취미'(214) 등의 항목으로 이루어져 있다.
먼저, '즉석만남 의도'(206) 항목은 영화 보기, 고민 나누기, 편안한 대화, 친구 사귀기, 이상형 찾기, 술 마시기, 드라이브 하기, 공연 가기, 동호회 활동, 지금 만나기 등의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성격'(208) 항목은 명랑 활발, 화끈 터프(Tough), 얌전 내숭, 차분 조용, 섬세함, 이판사판, 일편단심, 카리스마(Charisma), 만나서 확인 등의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스타일'(210) 항목과 '이상형'(212) 항목은 남자용 항목과 여자용 항목이 따로 있는데, 이전에 입력한 기본 정보들 중에서 주민등록번호를 확인하여 사용자가 남자면 남자용 항목이 나타나고, 여자면 여자용 항목이 나타난다. '스타일'(210) 항목 중 남자용 항목은 핸섬, 샤프(Sharp), 킹카, 근육질, 세련, 순수, 섹시(Sexy), 지적, 평범, 귀여움 등의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고, 여자용 항목은이쁨, 청순가련, 퀸카, 글래머(Glamour), 세련, 순수, 섹시(Sexy), 지적, 평범, 귀여움 등의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킹카란 최고로 멋진 남자를 의미하며, 퀸카는 최고로 멋진 여자를 의미한다. '이상형'(212) 항목은 '스타일'(210) 항목과 반대로 구성된다. 즉, 남자용 스타일 항목이 여자용 이상형 항목으로, 여자용 스타일 항목이 남자용 이상형 항목이 된다.
'취미'(214) 항목은 독서, 음악, 게임, 춤, 스포츠, 등산/여행, 통신/인터넷, 영화/연극/콘서트 등의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부가 정보는 도 4에 보여지듯이 화면 4I, 4J, 4K, 4L, 4M 순서로 입력하게 된다.
기본 정보 및 부가 정보를 모두 입력하게 되면 가입 축하 화면(4N)이 나타난다. 여기서 '확인' 버튼을 누르면 도 3에서 보여지는 것과 같은 콘텐츠 구성을 갖는 채팅 서비스의 초기 화면(300)이 나타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채팅 서비스의 초기 화면의 블럭 구성도이고 도 5는 '채널' 메뉴, 도 6은 '지역방' 메뉴, 도 7은 '내 정보' 메뉴, 도 8은 '메신저' 메뉴의 이용 과정을 보여주는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과 도 5 내지 도 8을 각각 참조하여 설명하면, 초기 화면(5A, 6A, 7A, 8A)은 '채널(Channel)'(302), '지역방'(304), '내 정보'(306), '메신저' (308) 등의 메뉴로 이루어져 있다.
먼저 '채널'(302) 메뉴에 대해서 설명하면, '채널'(302) 메뉴는 '친구' (310), '취미'(312), '남녀 1:1'(314), '자유'(316) 등의 항목으로 이루어져있다(5B). '친구' 채널을 제외한 나머지 채널들도 '친구' 채널의 이용법과 유사하므로 여기서는 '친구' 채널에 대해서만 도면과 함께 설명하고, 나머지 채널은 간단히 설명하겠다.
'친구'(310) 채널을 선택하면 현재 채팅 서비스 시스템(114)에 접속된 회원들 중 뒤에 설명될 친구 등록 단계에서 친구로 등록된 회원들의 대화명과 참여하고 있는 대화방이 표시되어 있는 예컨대 '나의 친구들'이란 화면(5C)이 나타난다. 그리고, '나의 친구들' 화면의 '메뉴' 아이콘(Icon)을 선택하면 '방으로', '전체 선택', '메세지', '초대+방개설', '새로 고침' 등의 항목(5C)이 나타난다.
'방으로' 항목은 사용자가 '나의 친구들' 화면상의 여러 대화방들 중 하나의 방을 선택하면 사용자를 선택된 대화방으로 입장시키는 기능을 한다. '전체 선택' 항목은 '나의 친구들' 화면에 표시된 모든 회원들을 선택하는 기능을 한다. '메세지' 항목은 메세지를 보내고자 하는 회원에게 사용자가 입력한 메세지를 보내는 기능을 한다. '초대+방개설' 항목은 사용자가 새로운 대화방을 개설하고 함께 대화하고자 하는 친구에게 초대의 메세지를 보내는 기능을 한다. 이때 새로운 대화방의 개설 화면은 '방제', '인원', '패스워드' 및 '공개/비공개 여부'를 결정하는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방제는 대화방의 제목을 의미한다. '새로 고침' 항목은 '나의 친구들' 화면을 사용자가 '새로 고침' 항목을 선택한 순간의 데이터를 갖는 화면으로 갱신하는 기능을 한다.
하나의 대화방을 선택한 후 '방으로' 항목을 다시 선택하여 대화방에 입장하면 사용자는 대화방에 있는 다른 가입자들과 대화를 할 수 있게 된다(5D). 대화방의 화면은 대화명과 대화 내용이 표시되는 부분과 '위치' 아이콘과 '메뉴' 아이콘이 표시되는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대화방에서 '위치' 아이콘을 선택하면 현재 대화방에 위치하고 있는 회원의 대화명이 나타난다. 이때 위치를 확인하고 싶은 회원의 대화명을 선택하면, 도 1에서 설명한 방법을 이용하여 휴대폰(100) 화면에 선택한 회원이 위치하고 있는 지역의 지도(5M)가 나타난다. 그리고, 지도가 표시된 화면에 있는 '기능보기' 아이콘을 선택하면 다양한 방법으로 지도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대화방에서 '메뉴' 아이콘을 선택하면 '나가기', '방장 메뉴', '전화', '초대', '귓속말', '표정' 등의 항목이 나타난다. 여기서 방장이란 대화방을 개설한 회원을 지칭하고, 귓속말은 사용자가 선택한 가입자에게만 대화 내용이 전달되는 비밀 대화 기능을 말한다.
'나가기' 항목은 현재 사용자가 입장한 대화방에서 '나의 친구들' 화면으로 나가는 기능을 한다.
'방장 메뉴' 항목은 '방 변경(방 속성 변경)' 항목과 '강퇴(강제 퇴장)' 항목으로 이루어져 있다(5E). '방 변경' 항목은 현재 대화방에 다른 회원들이 패스워드의 입력없이 입장할 수 있는 공개방으로 할 것인지 아니면 패스워드를 입력해야만 입장할 수 있는 비공개방으로 할 것인지를 설정하는 기능을 한다. 따라서, 현재 대화방을 비공개방으로 설정하고자 할 경우 방장은 패스워드를 입력해야 한다.
'강퇴' 항목은 방장이 현재 대화방에 있는 회원들 중에서 특정한 가입자를 선택하여 대화방에서 강제로 퇴장시키는 기능을 한다.
'전화' 항목은 현재 대화방에 있는 회원에게 전화를 거는 기능을 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전화' 항목을 선택하면 현재 대화방에 있는 회원들의 대화명이 모두 나타난다(5F). 사용자가 전화를 걸고자 하는 상대방의 대화명을 선택하면 사용자의 휴대폰(100)은 상대방의 휴대폰(100)으로 전화 연결을 시도한다. 그러면 사용자의 휴대폰(100) 화면에는 상대방에게 전화 걸기를 요청했다는 메세지와 응답이 올 때까지 기다리라는 메세지가 함께 표시된 화면(5G)이 나타난다. 한편, 상대방의 휴대폰(100) 화면에는 사용자로부터 전화가 왔다는 메세지와 이를 수락할 것인지를 묻는 화면(5H)이 나타난다. 통화 요청을 수락하면 통화가 연결되고, 만약 이를 거절하면 상대방의 휴대폰(100) 화면에는 전화를 건 사용자를 통화 거부자 명단에 추가할 것인지를 묻는 화면(5I)이 나타난다. 이때 'Yes' 아이콘을 누르면 거부자 명단에 추가된다. 만약, 거부자 명단에 등록되면 거부자 명단에 포함되어 있는 회원의 통화 요청은 무시된다.
'초대' 항목은 현재 채팅 서비스 시스템(114)에 접속해 있는 회원들 중에서 특정한 회원에게 사용자가 현재 위치하고 있는 대화방으로 초대하는 메세지를 보내는 기능을 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초대' 항목을 선택하면 '대기실', '슬롯(Slot)으로', '조건으로', '이상형으로', '이름으로' 등의 항목이 나타난다 (5J). 이 항목들을 이용하여 사용자는 현재 대화방으로 초대하고 싶은 회원을 검색할 수 있다.
'대기실' 항목은 뒤에 설명할 '자유' 채널의 대기실에 있는 회원들을 보여주는 기능을 한다.
'슬롯으로' 항목은 대기실에 있는 회원들을 대화명, 나이, 이름으로 된 표 형식으로 보여주는 기능을 한다.
'조건으로' 항목을 선택하면 성별, 나이, 직업, 지역, 취미 등의 항목을 입력하는 화면이 나타난다. 이러한 항목들을 입력하면 채팅 서비스 시스템(114)에 접속하고 있는 회원들 중에서 입력한 조건들에 해당하는 회원들을 보여주는 화면이 나타난다. 그리고 조건 검색 결과를 보여주는 화면에서 '메뉴' 아이콘을 선택하면 '새로 고침', '재검색', '메세지', '초대' 등의 항목이 표시된다. '새로 고침' 항목은 이전에 입력했던 조건대로 다시 검색을 수행하는 기능을 한다. '재검색' 항목은 검색 조건 입력 화면을 다시 보여주고, 사용자가 입력한 새로운 검색 조건에 따라서 다시 검색을 수행하는 기능을 한다. '메세지' 항목은 조건 검색 결과에 해당하는 회원에게 사용자가 입력한 메세지를 보내는 기능을 한다. '초대' 항목은 조건 검색 결과에 해당하는 회원에게 초대 메세지를 보내는 기능을 한다.
'이상형으로' 항목은 앞에서 설명한 부가 정보의 이상형 항목을 보여주고 원하는 이상형을 검색하는 기능을 한다.
'이름으로' 항목은 실명, ID 및 대화명을 입력하여 초대하고자 하는 회원을 검색하는 기능을 한다.
위의 '조건으로' 항목에서 설명한 '새로 고침', '재검색', '메세지', '초대' 등의 항목으로 구성된 '메뉴' 아이콘은 '대기실', '슬롯으로', '이상형으로', '이름으로' 등의 항목들에서도 동일한 기능을 한다.
'귓속말' 항목은 현재 대화방에 위치하고 있는 가입자들 중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특정한 가입자에게만 사용자가 입력한 메세지를 보내는 기능을 한다. 따라서, 같은 대화방에 위치하고 있더라도 당사자 이외의 다른 회원들은 이 메세지를 볼 수 없게 된다. 도 5의 화면 5K에서 경아K가 예삐1에게만 귓속말을 보냈다면 예삐1의 휴대폰(100)에만 경아K가 보낸 메세지가 표시된다.
'표정' 항목을 선택하면 웃음, 슬픔, 화남, 기쁨, 따분 등을 나타내는 사람의 표정이 아이콘으로 표시(5L)되는데, 그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면 그 표정을 휴대폰(100) 화면에 표시하는 기능을 한다.
'취미'(312) 채널은 독서, 음악, 게임, 춤, 스포츠, 등산/여행, 통신/인터넷, 영화/연극/콘서트 등의 항목으로 이루어지고, 사용자는 원하는 항목을 선택한 후 원하는 대화방에 입장하여 채팅 서비스를 이용한다.
'남녀 1:1'(314) 채널은 이성간의 1:1 채팅 서비스를 제공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남녀 1:1'(314) 채널을 선택하면 채널에 있는 회원들이 표시된 화면이 나타난다. 이 화면의 '메뉴' 아이콘을 선택하면 '새로 고침', '신상 정보', '검색', '추파 던지기' 등의 항목이 나타난다.
'새로 고침' 항목은 앞에서 설명한 것처럼 현재 화면의 구성 데이터를 최신의 데이터로 구성하여 다시 보여주는 기능을 한다.
'신상 정보' 항목은 사용자가 이미 입력해 두었던 자신의 신상정보의 공개/비공개 여부를 변경하는 기능을 한다.
'검색' 항목은 '슬롯으로', '조건으로', '이상형으로' '이름으로'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기능은 '친구'(310) 채널의 '초대' 항목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다.
'추파 던지기' 항목은 '남녀 1:1' 채널에 있는 특정한 회원에게 자신과의 채팅을 수락할 것인지의 여부를 묻는 메세지를 보내는 기능을 한다. 여기서, 상대방이 이를 수락하면 둘만의 대화방이 만들어지고 채팅을 할 수 있게 된다. 만약 상대방이 이를 거절하면 상대방 핸드폰(100)의 거부자 명단에 추파를 던진 회원이 등록된다.
'자유'(316) 채널은 특정한 주제의 설정없이 임의의 주제들에 관하여 회원들이 다수의 대화방을 개설하여 채팅을 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한편, 앞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친구' 채널의 다양한 기능들은 '취미', '자유' 채널에서도 유사하게 제공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겠다.
초기 화면(300)의 '지역방'(304) 메뉴는 '입장'(318)과 '지역'(320)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다(6A).
'입장'(318) 항목을 선택하면 지역방에 이미 개설된 대화방이 있는 경우는 그 대화방이 나타난다(6B). 여기서 화면에 있는 '메뉴' 아이콘을 선택하면 '방으로' 항목과 '방개설' 항목이 나타난다(6B). '방으로' 항목을 선택하면 선택한 대화방으로 입장하게 되고(6C), '방개설' 항목을 선택하면 새로운 지역방을 개설하게 된다(6D). 반면에 지역방에 개설된 대화방이 없으면 바로 방개설 화면(6D)이 나타난다 . 여기서, 방제목과 정원 및 패스워드를 입력하고 정보 공개 여부를 선택하면 새로운 대화방이 개설된다.
'지역'(320) 항목은 '특별/광역시'와 '도'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다(6E).
'특별/광역시' 항목은 서울특별시와 부산, 대구, 대전, 인천, 광주, 울산광역시의 항목으로 되어 있다(6F). '도' 항목은 경기도, 강원도, 충청북도, 충청남도, 전라북도, 전라남도, 경상북도, 경상남도의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다(6G). 한편, '특별/광역시' 항목의 각 시는 행정구역상 그 시에 속하는 '구' 항목으로 나뉘어지고, 특정한 구를 선택하면 그 '구' 항목 내에 개설된 대화방이 표시된다. 마찬가지로, '도' 항목도 각 도에 속하는 '시' 또는 '군' 항목으로 나뉘어지고(6H), 특정한 시나 군을 선택하면 그 시나 군 항목 내에 개설된 대화방이 표시된다(6I). 여기서, 특정한 대화방을 선택하여 그 대화방에 입장하면 채팅을 할 수 있게 된다.
초기 화면(300)의 '내 정보'(306) 메뉴에서 사용자는 회원 가입 단계에서 입력했던 신상 정보를 변경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내 정보'(306) 메뉴를 선택하면 '메뉴' 아이콘 등이 표시된 화면(7B)이 나타난다. '메뉴' 아이콘은 '거부자 명단', '이전', '변경'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거부자 명단' 항목에는 사용자가 이전에 초대나 전화 통화 요청을 거부했던 회원들이 등록되어 있다. '거부자 명단' 항목에서 사용자는 새로운 거부자를 등록하거나 기존의 거부자에서 명단을 삭제할 수 있다(7C).
'이전' 항목은 채팅 서비스의 초기 화면(7A)으로 돌아가는 기능을 한다.
'변경' 항목은 사용자의 신상 정보를 변경하는 기능을 하는데 이를 선택하면 '내 정보 변경' 화면(7D)으로 넘어간다. '내 정보 변경' 화면은 대화명, 직업, 주소를 새로 입력하는 부분과 채팅 요구의 수락/거부, 정보의 공개/비공개를 선택하는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화면에 있는 '변경목록' 아이콘을 선택하면,즉석만남 의도, 성격, 취미, 스타일, 이상형 등의 신상 정보 항목이 표시된다. 여기서, 변경하고자 하는 항목을 선택한 후 나타나는 화면(7E)에서 신상 정보를 변경하면, 신상 정보가 변경되었음을 알리는 화면(7F)이 나타난다.
초기 화면(300)의 '메신저'(308) 메뉴는 사용자의 핸드폰(100)에 친구로 등록된 회원에게 사용자가 입력한 메세지를 보내거나 전화를 거는 기능을 한다. 초기 화면(300)의 '메신저'(308) 메뉴를 선택하면 사용자의 핸드폰(100)에 친구로 등록된 회원이 표시된다(8B). 화면에 있는 '위치보기' 아이콘을 선택하면 사용자가 선택한 회원의 위치가 지도상에 표시되어 핸드폰(100)의 화면에 나타난다. 그리고, '메뉴' 아이콘을 선택하면 '이전', '새로고침', '기능', '메세지' 등의 항목이 표시된다 (8B).
'이전'과 '새로고침' 항목은 이전에 설명했던 것과 동일한 기능을 한다.
'기능' 항목은 '전화걸기', '전체선택', '삭제', '등록' 등의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전화걸기' 항목은 선택한 친구에게 전화를 거는 기능을 하고, '전체선택' 항목은 친구로 등록된 회원 모두를 선택하는 기능을 한다.
'삭제' 항목은 친구로 등록된 회원들 중 특정한 회원을 등록 명단에서 지우는 기능을 하고, '등록' 항목은 새로운 회원을 친구 등록 명단에 올리는 기능을 한다. '등록' 항목을 선택하면 친구 등록 화면(8C)이 나타나는데, 여기서 ID나 핸드폰 번호를 입력하여 친구로 등록한다.
'메세지' 항목은 '보내기', '수신함', '발신함' 등의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다(8B). '보내기' 항목은 사용자가 입력한 문자 메세지를 선택한 친구에게 보내는기능을 한다. '수신함' 항목은 사용자가 친구로부터 받은 문자 메세지들을 저장하여 확인하거나 수신함에 저장된 메세지를 지우는 기능을 한다. '발신함' 항목은 사용자가 친구에게 보낸 메세지들을 저장하여 확인하거나 발신함에 저장된 발신 메세지를 지우는 기능을 한다.
'보내기' 항목을 선택하면 메시지를 입력하는 화면(8D)이 나타나고, 메세지를 입력한 후 '전송' 아이콘을 선택하면 전송 완료를 알리는 메세지와 함께 발신함에 저장할 것인지를 묻는 화면(8E)이 나타난다.
'수신함' 항목을 선택하면 핸드폰(100)의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수신 메세지가 표시된 화면(8F)이 나타난다. 여기서 내용 확인을 원하는 메세지를 선택하면 메세지의 내용을 확인할 수 있고, '휴지통' 아이콘을 선택하면 수신 메세지를 핸드폰(100)의 메모리에서 완전히 삭제한다(8G).
'발신함' 항목도 수신함 항목과 동일한 기능을 한다(8H).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채팅 서비스 제공 방법은 어디에서나 사람들이 단지 무선 통신기기만 가지고 있다면, 다른 사람들과 채팅를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채팅자의 위치 정보를 제공하므로 보다 많은 만남의 기회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 각박하고 힘든 삶을 사는 현대인들에게 만남의 기쁨을 주고 사람들 사이에 다양한 공동체를 형성해 주어 인간다운 정이 흐르는 사회를 만드는데 이바지할 것이다.

Claims (7)

  1. 무선 통신 서비스를 이용하여 무선 통신 가입자간 채팅 서비스를 제공하고 가입자의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무선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위치 기반 채팅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무선 인터넷 통신이 가능하고, 자바 버츄얼 머신이 탑재되어 있는 무선 통신 단말기,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와 무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에서 발생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무선 기지국,
    상기 무선 기지국과 유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의 접속 요구를 처리하는 이동 전화 교환국,
    상기 이동 전화 교환국과 연결되어 유선과 무선 통신 시스템을 연결해 주는 망간 연동 장치(Inter-Working Function),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로의 데이터 전송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인터넷상의 텍스트 파일 데이터를 이진 코드 형태의 데이터로 변환하는 WAP(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게이트웨이,
    상기 무선 기지국에서 전송되는 데이터들을 패킷 데이터 형태로 변환하여 인터넷망으로 전송하는 패킹 데이터 서빙 노드,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가 송수신하는 데이터를 기초로 채팅 서비스의 이용 요금을 산정하는 자바(Java) 빌링 플랫폼,
    상기 WAP 게이트웨이와 상기 자바 빌링 플랫폼을 통해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에 채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채팅 서버,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의 현위치에 관한 주소 정보를 검색할 수 있도록 전국의 상호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상호(商號) 정보 데이터베이스 서버,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의 현위치를 나타내는 지도를 생성하고, 상기 상호 정보 데이터베이스 서버를 통해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의 현위치의 지리 정보를 알아내어 상기 지리 정보를 상기 채팅 서버로 전송하는 맵 서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위치 기반 채팅 서비스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리 정보는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가 위치하고 있는 셀내에 속한 상기 무선 기지국의 위치에 관한 지리 좌표값을 상기 무선 기지국으로부터 전달받는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 상기 지리 좌표값을 베셀 좌표값으로 변환하는 상기 채팅 서버 및 직접 지도를 생성하는 상기 맵 서버를 이용하여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위치 기반 채팅 서비스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는 휴대폰 또는 개인 정보 단말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위치 기반 채팅 서비스 시스템.
  4. 채팅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무선 통신 단말기,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의 위치에 관한 지리 좌표값을 갖고 있는 무선 기지국,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의 전송 및 다양한 채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채팅 서버,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의 현위치를 나타내는 지도의 생성 및 지리 정보에 관련된 작업을 수행하는 맵 서버 및 상기 맵 서버가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의 현위치에 관한 상기 지리 정보를 검색할 수 있도록 전국의 상호(商號)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상호 정보 데이터베이스 서버가 연결된 무선 인터넷 환경에서 지리 정보 및 채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가 상기 채팅 서버로부터 채팅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전송받는 단계,
    (b)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가 상기 채팅 서버에 접속하는 단계,
    (c)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 사용자의 신상 정보를 입력하여 회원으로 등록하는 단계,
    (d)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를 통해 회원 인증 과정을 거치는 단계,
    (e)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에 채팅 서비스의 초기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f)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를 통해 상기 채팅 서비스를 이용하는 단계,
    (g) 상기 맵 서버 및 상기 상호 정보 데이터베이스 서버를 이용하여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 사용자의 지리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위치 기반 채팅 서비스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에서 원활히 작동할 수 있도록 자바로 프래그래밍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위치 기반 채팅 서비스 방법.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지리 정보는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 사용자의 위치를 표시한 지도 정보와 행정구역상의 읍, 면, 동 수준의 주소 정보까지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위치 기반 채팅 서비스 방법.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채팅 서비스 이용 중 언제든지 상대방과의 통화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위치 기반 채팅 서비스 방법.
KR1020010056961A 2001-09-15 2001-09-15 무선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위치 기반 채팅 서비스 방법및 시스템 KR2003002401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6961A KR20030024018A (ko) 2001-09-15 2001-09-15 무선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위치 기반 채팅 서비스 방법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6961A KR20030024018A (ko) 2001-09-15 2001-09-15 무선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위치 기반 채팅 서비스 방법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4018A true KR20030024018A (ko) 2003-03-26

Family

ID=277241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6961A KR20030024018A (ko) 2001-09-15 2001-09-15 무선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위치 기반 채팅 서비스 방법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24018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4720A (ko) * 2002-11-21 2004-05-31 주식회사 코모바일 유무선 인스턴트 메시지 전송 시스템
KR20150073488A (ko) * 2013-12-23 2015-07-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외부 서버와 디바이스를 연동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WO2021125499A1 (en) * 2019-12-16 2021-06-24 Hwacom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ommunity service using short-range broadcasting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4720A (ko) * 2002-11-21 2004-05-31 주식회사 코모바일 유무선 인스턴트 메시지 전송 시스템
KR20150073488A (ko) * 2013-12-23 2015-07-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외부 서버와 디바이스를 연동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WO2021125499A1 (en) * 2019-12-16 2021-06-24 Hwacom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ommunity service using short-range broadcast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05497B2 (en) Method for providing human network management service in mobile terminal
JP5980850B2 (ja) ターゲット広告の位置ベースサービス(lbs)システム及び方法
US8374584B1 (en) Active phone book enhancements
US6539232B2 (en) Method and system for connecting mobile users based on degree of separation
US8725175B2 (en) Network manager system for location-aware mobile communication devices
US8204513B2 (en) Location-based social software for mobile devices
EP1480473A2 (en) Tags for location based services in wireless networks
US20020107008A1 (en) Method and system for selectively connecting mobile users based on physical proximity
US20020111173A1 (en)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ically initiating a telecommunications connection based on distance
US7904066B2 (en)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of telephone number owner using wire/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nd system for implementing the same
KR20020074304A (ko) 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휴대 단말기의 모바일 메신저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JP2002082893A (ja) チャット手段を有する端末装置、編集装置、チャットサーバ、および記録媒体
WO2001097542A1 (en) Method and system for connecting mobile users based on degree of separation
JP2008507749A (ja) 移動通信端末機を通じたモブログ基盤の地域コミュニティーサービス提供システム及び方法
US20090061943A1 (en) System for obtaining information and communicating using the sms channel
US20040203896A1 (en) Proximity-based matching method and system
KR20010085696A (ko) 클라이언트 서버 시스템 및 이것을 이용한 통신방법
KR20060097882A (ko) 스타 포탈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JP2008518505A (ja) ターゲット広告の位置ベースサービス(lbs)システム及び方法
JP2008518505A6 (ja) ターゲット広告の位置ベースサービス(lbs)システム及び方法
RU82897U1 (ru) Система знакомства по мобильному телефону с функцией определения пространственного положения
KR20030024018A (ko) 무선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위치 기반 채팅 서비스 방법및 시스템
EP2013774A1 (en) System and method based on mobile or portable devices for searching and finding people with common or mutual interests
CN102035808A (zh) 多媒体交互方法、系统、多媒体终端及多媒体服务端
KR101094063B1 (ko) 위치에 기반한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 시스템,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장치 및 그 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