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23648A - 쇼핑몰의 입찰승인조건과 입찰할인율, 그 처리기법에근거한 즉석식 역경매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쇼핑몰의 입찰승인조건과 입찰할인율, 그 처리기법에근거한 즉석식 역경매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23648A
KR20030023648A KR1020030008655A KR20030008655A KR20030023648A KR 20030023648 A KR20030023648 A KR 20030023648A KR 1020030008655 A KR1020030008655 A KR 1020030008655A KR 20030008655 A KR20030008655 A KR 20030008655A KR 20030023648 A KR20030023648 A KR 200300236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d
price
shopping mall
product
a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86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관희
Original Assignee
이관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관희 filed Critical 이관희
Priority to KR10200300086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23648A/ko
Publication of KR200300236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3648A/ko

Links

Landscapes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터넷에서 익명의 판매자가 아닌, 신뢰성 있는 쇼핑몰들을 대상으로 역경매를 진행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며, 구매상품에 대한 가격결정권은 물론 입찰자 선정권한까지 구매자에게 제공하고, 역경매 신청과 동시에 구매자로 하여금 입찰결과를 바로 확인하여 구매로 이어지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즉석식 역경매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핵심은 입찰할인율과 입찰승인조건이라는 두 부류의 데이터 도안 및 그 처리기법을 창출하여 경매에 참여하는 판매자(쇼핑몰)의 입찰가격을 동적으로 결정할 수 있는 방법으로 이를 역경매에 적용시킴으로써 즉석식 역경매라는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한다. 입찰승인조건이 판매자의 입찰참여 여부를 동적으로 결정하는 근거를 제공하는 반면에, 입찰할인율은 입찰가를 즉석으로 계산하는데 활용된다. 본 발명에서는 입찰가를 동적으로 계산함에 있어 선행데이터로서 할인기준가라는 값을 활용한다. 기준할인가는 쇼핑몰의 자체 상품가격, 입찰에 참여한 쇼핑몰의 평균가, 최고가, 최저가 등을 참조해서 결정되므로 입찰가가 항상 현재의 시장가격을 반영하여 계산된다는 것이 본 발명의 특징이다.

Description

쇼핑몰의 입찰승인조건과 입찰할인율, 그 처리기법에 근거한 즉석식 역경매 시스템 및 그 방법{The Method of instant reverse-auction system based on the shopping-mall's pre-approved bidding conditions, the discount rates, and the processing methods}
전자 상거래가 활성화되면서 오프라인에서 취급되는 거의 모든 제품은 물론, 새로운 유형의 서비스가 인터넷에 기반을 둔 수많은 쇼핑몰에서 활발하게 판매되고 있다.
그러나 같은 제조사에서 생산한 동일한 제품도 쇼핑몰마다 판매가격이 서로 달라 보다 저렴한 곳을 찾아, 특히 배송, 반품, 환불에 있어 믿을만한 곳을 찾아 네티즌들은 여러 쇼핑몰을 방문하면서 귀중한 시간과 네트워크 대역폭을 낭비하고 있다. 최근에는 네티즌의 편의를 위해 쇼핑몰의 가격을 비교해주는 가격비교서비스도 활성화되고 있다. 하지만 가격비교 사이트는 현재 결정되어 있는 제품의 가격을 검색, 비교하여 가장 저렴한 쇼핑몰을 선택할 수 있도록 편의를 제공하지만 하지만, 그 자체로서는 쇼핑몰이 결정한 가격을 구매자가 동의해야만 거래가 성립되는 현재의 쇼핑몰에 의한 일방적 가격결정체계를 개선하는데 아무런 역할도 하지 못하고 있다. 구매자에게 가격결정권을 제공하는 경매방식으로서 새롭게 등장한 역경매는 쇼핑몰에 의한 일방적 가격결정체계를 개선하는 방법을 제시하지만, 역경매 그자체만으로는 취급품목이 제한적이고 익명의 판매자에 대한 고객의 신뢰성 부족이 문제로 대두된다. 더구나 역경매에 참여하는 판매자가 중소이하 규모업체이고 취급품목도 중저가 제품위주로 구성되어 구매자가 원하는 각양각색의 상품에 대한 구매욕구를 충족해 주지 못하는 것이 현재의 상황이다. 특히 역경매에서 취급하지 않는 상품을 구매하려면 구매자가 상품정보와 이미지를 직접 제공해야 하는 불편함은 역경매의 활성화를 막는 큰 장애요소이다. 특히 구매자가 역경매 신청 후 입찰결과를 일정기간 기다려야 하는 점은 역경매의 활성화에 가장 큰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 입찰대기의 문제점을 예로 들면 구매자가 구매조건을 밝히고 최종 구매결정이 나기까지 판매자의 입찰을 기다리기 위해 최소 수 시간에서 몇 일까지 장기간 대기해야 하는 관계로 나중에 낙찰이 되어도 실제구매로 이어지지 못하는 경우가 흔히 발생한다. 판매자 입장에서도 입찰에 참여하기 위해 시간과 인력을 지속적으로 투입해야 하므로 그에 따른 비용 및 관리업무가 큰 부담이 아닐 수 없다. 수익모델로서 확실한 자리 매김을 하고 있는 일반경매와 비교해 극도로 저조한 역경매 시장상황은 현재의 역경매 방식에 이러한 다양한 문제가 있음을 반영하고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구매자의 편의를 위해서 상품선택 범위를 복수의 쇼핑몰에서 취급하는 전 품목으로 확대하며, 역경매 입찰 대기시간을 완전히 없애고, 가격결정권은 물론 입찰에 참여하는 판매자 선정권한까지 동시에 제공하며, 판매자에게는 개별 경매에 참여하기 위한 시간과 비용과 노력을 전혀 들이지 않고도 자동으로 역경매에 입찰할 수 있는 경매 환경을 제공하며, 모든 취급 상품 및 상품분류에 따라서 다양한 할인율을 복합적으로 적용한 가격 마케팅 정책을 전개할 수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서 입찰승인조건과 입찰할인율이라는 두 부류의 데이터 도안 및 그 처리기법을 통해 쇼핑몰의 입찰가격을 동적으로 계산하여 구매자의 경매가에 대응하는 역동적인 즉석식 역경매를 구현하는 방법을 제시하는 것이다.
도 1은 즉석식 역경매에 관련된 시스템간의 관계 및 서비스에 대한 개요도이다.
도 2는 즉석식 역경매 시스템에 포함된 기능과 외부 단말시스템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가격정보생성프록시의 내부 구성과 동작원리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쇼핑몰상품검색로봇의 기능과 동작 원리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상품검색 서비스 화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가격비교 서비스 화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단위상품에 대한 입찰승인조건의 등록화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상품분류별 입찰승인조건 등록 중에서 소분류의 등록화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단위상품의 입찰할인율 등록화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상품분류별 입찰할인율 등록 중에서 소분류의 등록화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11는 즉석식 역경매에 대한 서비스 흐름을 나타낸 것이다.
도 12는 즉석식 역경매 입찰가 계산 및 낙찰자 선정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13은 즉석식 역경매 계산식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즉석식 역경매를 달성하기 위해서 역경매에 참여하는 쇼핑몰로부터 상품의 입찰할인율(상품분류(대/중/소)에 따른 상품의 수량별 할인율, 단위상품의 수량별 할인율)과 입찰승인조건(쇼핑몰이 입찰에 참여하는 것을 승인하는 조건 : 단위상품의 참여기간 및 수량한도, 상품분류별 참여기간, 수량한도, 및 금액한도)을 사전에 등록 받아서 구매자의 역경매 신청에 응찰시켜 구매자가 경매결과를 즉석에서 알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이다. 본 발명은 프록시형가격비교시스템을 직접 내장하여 편리한 상품 검색 및 가격비교 기능의 제공, 다양한 쇼핑몰에서 취급하는 전체 상품으로의 역경매 품목확대, 임의의 판매자가 아닌 구매자가 선호하고 신뢰하는 쇼핑몰로 입찰제한, 입찰가 계산에 필요한 할인기준가 산출에 현재의 시장가격을 반영하는 등의 여러 목적을 달성하는 기초시스템으로 활용한다. 본 발명은 역경매 낙찰시 구매자의 경매가가 낙찰가로 결정되는 방식을 택해서 구매자는 입찰가를 알 수 없고 낙찰자와 유찰자만 알 수 있다. 즉 사전에 쇼핑몰에서 입력한 입찰할인율 및 입찰승인 조건을 적용한 입찰가 계산결과가 제시된 구매가 이하이면 거기에 해당된 쇼핑몰이 낙찰자로 선정되며 구매자에게는 입찰가가 아닌 쇼핑몰 이름만 제시하는 방식이다. 낙찰자가 복수일 경우에 구매자는 결정된 쇼핑몰들을 대상으로 더 낮은 가격으로 재경매를 진행해서 최종적으로 쇼핑몰을 하나만 남게 해서 판매자를 결정할 수도 있으나, 복수의 낙찰된 쇼핑몰에서 구매자가 선호하는 쇼핑몰을 바로 결정할 수도 있다. 역경매와 관련하여 판매자의 입찰가격을 누구도 알 수 없도록 한 것은 판매자의 간의 가격경쟁 방지를 통한 공정한 경쟁유도 및 중개서비스 운영자의 임의의 조작 가능성을 완전히 차단하기 위한 조치이며 즉석식 역경매 입찰가 계산과정 및 그 계산식을 통해서 그 방법을 제시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기능과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도 1은 즉석식 역경매에 관련된 시스템간의 관계 및 서비스에 대한 개요도로서 상품을 구매하는 이용자 웹부라우져(30)와 경매에 참여하는 판매자인 쇼핑몰(40), 그리고 양자간의 거래를 중계하는 즉석식 역경매 시스템(100)의 구성과 경매 서비스의 흐름을 나타내고 있다. 즉석식 역경매 시스템(100)은 내부에 포함된 프록시형가격비교시스템(10)을 포함하고 있으며 시스템 운영자는 이 기능을 이용해서 쇼핑몰의 상품정보와 가격정보를 구축한다(S1). 쇼핑몰(40)은 경매에 참여하고자 하는 상품에 대한 입찰할인율과 입찰승인조건을 사전에 즉석식 역경매 시스템에 제공한다(S2). 이런 준비를 마치면 구매자는 프록시형 가격비교 시스템(10)을 통해서 상품검색을 요구하고 구매상품의 쇼핑몰별 가격정보를 확인한다(S3). 다음 단계로 구매자는 구매하려는 상품을 결정하고 입찰자 즉 쇼핑몰을 선정하고 역경매를 신청한다(S4). 즉석식 역경매 시스템(100)은 쇼핑몰이 제공한 정보를 근거로 입찰가를 계산하여 낙찰 혹은 유찰결과를 구매자에게 즉시 제공한다(S5). 입찰자가 구매가를 지불하면(S6) 즉석식 역경매 사이트(100)는 바로 쇼핑몰에게 제품발주를내리고(S7), 쇼핑몰의 상품배송(S8)이 확인되면 낙찰된 쇼핑몰에게 대금을 지불한다(S9).
도 2는 즉석식 역경매 시스템(100)에 포함된 기능과 인터넷(60)을 통해서 연결되는 외부 단말 시스템을 나타낸 것이다. 먼저 즉석식 역경매 시스템(100)에 내장된 프록시형가격비교시스템(10)은 최소의 시간과 최저의 비용으로 효율적으로 가격비교 정보를 구축하는 것을 달성하기 위해서, 가격비교를 위한 데이터 구축에 있어 기존의 가격비교시스템과 그 방법을 달리한다. 즉 수작업 방식이나 검색엔진을 통한 데이터구축방식이 아닌 프록시 방식을 채택한다. 본 중개서비스 운영자가 먼저 추출대상과 조건을 결정하고 나서 가격비교 대상인 쇼핑몰의 상품화면을 부라우져로 검색하면 자동으로 필요한 데이터가 추출되고 저장되는 방식이다. 이를 위해 프록시형가격비교시스템(10)은 상품정보를 제공하는 쇼핑몰웹서버(40)와 운영자부라우져(30) 중간에서 HTTP(Hyper Text Transfer Protocol) 프로토콜을 중개하며 가격비교에 필요한 상품정보(상품화면의 URL, 상품명, 상품설명, 상품 이미지 등의 정보)와 가격정보(쇼핑몰명, 상품가격, 적립금, 배송정보 등의 정보)만를 추출하여 상품분류(대분류/중분류/소분류)별로 구분하여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가격정보생성프록시(11); 이렇게 구축된 가격비교DB(Database)(16)로부터 구매자의 상품검색 및 가격비교 요구에 대응하는 가격비교검색인터페이스(13); 가격비교DB(16)로부터 쇼핑몰 상품화면의 URL을 조회하여 설정된 주기로 쇼핑몰웹서버(40)의 상품화면을 검색하여 변경된 쇼핑몰의 가격정보를 갱신하는 쇼핑몰상품검색로봇(14); 그리고 가격비교정보생성프록시(11)와 쇼핑몰상품검색로봇(14)의 동작을 제어하고 가격비교DB(16)의 운용 전반을 관리하기 위한 가격비교관리인터페이스(15)로 구성된다. 쇼핑몰의 입찰할인율 및 입찰승인조건에 기초한 즉석식 역경매 시스템(100)은 쇼핑몰의 할인율과 입찰승인조건을 처리하는 쇼핑몰정보관리인테페이스(111); 구매자의 즉석식 역경매 요구처리 및 낙찰시 발주처리를 담당하는 사용자역경매인터페이스(112); 사용자역경매인터페이스(112)로부터 넘겨받은 구매자의 경매신청에 대응하여 쇼핑몰의 입찰가격을 동적으로 계산하여 그 결과를 제공하는 입찰가계산처리기(113); 즉석식 역경매 시스템 전체를 관리하고 매출/수납을 관리하는 매출관리인터페이스(115); 쇼핑몰의 입찰상품할인율정보 및 입찰승인조건 정보를 담고 있는 입찰승인조건/할인율DB(114)으로 구성된다.
즉석식 역경매 시스템(100)은 웹서버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행되는 CGI(Common Gateway Inteface)프로그램으로 구현된 가격비교검색인터페이스(13), 가격비교관리인터페이스(15), 쇼핑몰정보관리인터페이스(111), 사용자역경매인터페이스(112), 입찰가계산처리기(113), 매출관리인터페이스(115)와 인터넷 규약인 TCP/IP 프로토콜 기반의 네트워크 소프트웨어로 구현된 가격정보생성프록시(11) 및 쇼핑몰상품검색로봇(14)으로 구성되며, 소프트웨어를 실행하는 하드웨어 시스템을 포함한 개념이다. 가격비교DB(16)와 입찰승인조건/할인율DB(114)는 정보의 저장, 수정, 삭제, 조회 업무를 처리하는 DBMS(Database Management System), 기록 매체인 하드디스크, 저장된 데이터, 컴퓨터 운영체제, 하드웨어를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상품 및 가격정보의 원천이며, 동시에 상품의 입찰할인율과 입찰승인조건을 제공하는 쇼핑몰웹서버(40)는 HTTP 웹서버와 웹서버에 의해서 실행되는 상품화면을출력하는 프로그램인 CGI를 포함한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를 모두 포함하고, 역경매에 참여하는 쇼핑몰 운영자까지 함축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구매자 부라우져(30)는 HTML (Hyper-text Markup Language)문서나 WAP(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문서를 해석하고 표현할 수 있는 HTTP 혹은 WAP 클라이언트 소프트웨어로서 하드웨어를 모두 포함하는 것을 함축적으로 나타낸 것으로 인터넷(60)을 통해서 쇼핑몰웹서버 (40) 및 즉석식 역경매 시스템(100)과 통신한다.
도 3은 프록시형가격비교시스템(10)의 중요한 기능인 가격정보생성프록시(11)의 내부 구성과 동작원리를 나타낸 것이다. 프록시형가격비교시스템(10)은 가격비교를 위한 데이터 구축에 있어 기존의 가격비교시스템과 그 방법을 달리한다. 즉 수작업 방식이나 검색엔진을 통한 데이터 구축방식이 아닌 프록시 방식을 채택한다. 본 중개서비스 운영자가 먼저 추출대상과 조건을 결정하고 나서 가격비교 대상인 쇼핑몰웹서버(40)의 상품화면을 운영자 부라우져(50)로 검색하면 자동으로 필요한 데이터가 추출되고 저장되는 방식이다. 정보구축의 흐름은 다음과 같다. 먼저 상품화면 검색에 앞서 역경매 운영자는 쇼핑몰 상품화면에서 추출할 가격정보 및 상품정보의 대상과 그 구분자를 결정하여 가격비교DB(16)에 저장한다(S1). 쇼핑몰마다 상품화면은 일반적으로 동일한 패턴을 가지고 있어 구분자에 의한 패턴검색을 통해서 화면내용의 변동확인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운영자부라우져(50)의 인터넷 접속이 가격정보생성프록시(11)를 통해서 이루어지도록 접속방식을 변경한다. 일반적으로 모든 부라우저는 프록시 설정기능을 제공한다. 이러한 설정을 마치면 HTTP중계기(1101)가 운영자부라우져(50)와 쇼핑몰웹서버(40)의 중간에서 상호간의 모든 HTTP통신을 중계하게 된다. 이제 본격적으로 정보를 생성하기 위해서 쇼핑몰의 화면 주소 URL(Uniform Resource Location)에 접근하면(S2), 그 연결은 HTTP중계기(1101)를 통해서 쇼핑몰웹서버(40)로 중계된다(S3). 쇼핑몰웹서버(40)가 URL 요청을 처리한 후 해당 상품화면 파일을 전송하면(S4), 다시 HTTP 중계기(1101)가 받아서 우선 HTML문서 처리기(1102)에게 전달한다. HTML문서처리기(1102)는 데이터베이스처리기(1103)에게 추출대상 및 그 구분자를 요청하면 가격비교데이터베이스(16)를 조회(S5)하여 전달하면 HTML문서처리기(1102)는 전달받은 구분자를 이용해서 상품화면파일로부터 상품정보(상품화면의 URL, 상품명, 모델번호, 상품설명, 상품 이미지 등의 제반 상품정보)와 가격정보(쇼핑몰명, 상품가격, 적립금, 배송정보 등의 제반 가격정보)를 추출하여 가격비교DB(16)에 저장하도록 데이터베이스처리기(1103)에 전달한 후, 운영자부라우져(50)로 원본파일을 전송한다(S7). 동시에 데이터베이스처리기(1103)는 상품 및 가격정보를 가격비교DB(16)에 저장(S6)하는 과정을 거쳐 하나의 상품에 대한 상품정보와 가격정보가 구축된다. 상품 및 가격정보를 가격비교DB(16)에 저장할 때, 상품이 어떠한 분류(대/중/소)에 소속되는지 그 값을 설정하여 함께 저장하는데, 이런 준비는 구매자의 상품검색을 용이하게 하고, 쇼핑몰에서 입찰승인조건 및 할인율을 설정할 때, 상품분류에 대해서도 할인율과 입찰승인조건을 설정할 수 있어 쇼핑몰의 등록절차를 간소화하는데 기여한다. 예를 들어 LG CID 9871라는 전화기 상품은 대분류에 전자, 중분류에 전화기, 소분류에 무선전화기 등의 세가지 분류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쇼핑몰 상품화면 검색에 앞서, 운영자는 미리 상품분류 값을 설정하여 검색하는 상품들이 자동으로 상품분류가 설정되도록 준비과정을 거친다.
프록시형가격비교시스템(10)에 포함된 기능인 쇼핑몰상품검색로봇(14)은 설정된 주기로 가격비교DB(16)로부터 쇼핑몰 상품화면의 URL을 조회해서 쇼핑몰의 가격과 비교하여 변경된 가격정보를 갱신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 4는 그 기능과 동작 원리를 나타낸 것이다. 먼저 데이터베이스처리기(1403)가 가격비교DB(16)로부터 상품의 URL, 가격정보, 추출대상목록, 추출대상 구분자 등의 정보를 조회한다(S1), HTTP Client(1401)는 데이터베이스처리기(1403)로부터 넘겨받은 URL을 쇼핑몰(40)에 전송한다(S2). 쇼핑몰이 해당 URL의 상품화면 파일로 응답하면(S3), 파일을 수신해서 HTML문서처리기(1402)에게 넘긴다. HTML문서처리기(1402)는 추출대상과 구분자를 이용하여 가격정보를 추출해서 가격비교DB(16)에서 조회한 이전의 가격정보와 비교하여 변동사항이 있으면 새로운 가격정보를 데이터베이스처리기(1403)에게 넘긴다. 데이터베이스처리기(1403)은 가격비교DB(16)를 갱신함으로써(S4) 항상 쇼핑몰 상품에 대한 최신의 가격정보를 유지하여 입찰가 계산에 있어 항상 현재의 가격을 반영토록 한다.
프록시형가격비교시스템(10)의 기능인 가격비교검색인터페이스(13)는 가격비교 DB(16)를 조회하여 구매자가 원하는 체계적인 상품검색 서비스 및 쇼핑몰간의 가격비교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과, 즉석식 역경매의 진행을 위해 필요한 데이터인 쇼핑몰 목록와 가격정보를 사용자역경매인터페이스(112)로 전달하는 두 역할을 수행한다. 도 5는 상품검색 서비스 화면을 보여준다. 도 6은 가격비교 서비스 화면을 나타낸 것이다. 가격비교 서비스 화면에는 구매자가 상품에 대한 역경매 신청을할 수 있는 링크(S1)를 포함하고 있어서 구매자가 역경매를 신청하면 상품을 판매하는 쇼핑몰 목록과 가격 등의 정보를 사용자역경매인터페이스(112)로 전달한다. 이렇게 역경매 시스템과 가격비교서비스가 직접적으로 연동됨으로써 판매자 입찰자격을 상품을 취급하는 쇼핑몰로 제한하는 것이 가능하고, 더 나아가 이들 중에서 구매자는 선호하는 쇼핑몰을 선택하여 역경매를 신청할 수 있게 된다. 쇼핑몰의 현재 가격정보는 입찰가 산정의 기초자료로서 동적으로 입찰가를 계산하는 근거 데이터로 활용되어 현재의 시장가격에 기초한 역동적인 경매환경을 제공한다.
프록시형가격비교시스템(10)의 기능인 가격비교관리인터페이스(15)는 가격정보생성프록시(11)와 쇼핑몰상품검색로봇(14)의 동작을 제어하고, 가격비교DB(16)의 운용전반을 관리하기 위한 것이다. 가격정보생성프록시(11)가 상기에서 설명한 것처럼 상품 및 가격정보를 추출하려면 추출대상과 구분자를 필요로 하며, 본 기능에서 이들 정보를 가격비교 DB(16)에 저장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또한 쇼핑몰상품검색로봇(14)이 쇼핑몰의 상품정보를 검색하는 동작주기(예 하루에 2번)를 설정하는 기능도 여기서 제공한다.
즉석식 역경매 시스템(100)의 기능인 쇼핑몰정보관리인터페이스(111)는 쇼핑몰이 경매에 참여하고자 하는 상품 및 상품분류에 대한 입찰할인율 및 입찰승인조건을 인터넷(60)을 통해 등록/수정/삭제 등을 직접 처리하도록 지원하는 인터페이스이다. 먼저 입찰승인조건에는 참여기간, 금액한도(상한/하한), 수량한도(상한/하한)가 있으며, 단위상품 혹은 상품분류별로 이들 값을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대분류 항목에서 입찰승인조건에 대한 설정을 하면 하위분류에 속한 모든 분류와 상품에 대한 설정을 한번에 일괄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중분류, 소분류 레벨에서 설정하면 해당 중분류에 속한 모든 소분류 이하 모든 상품, 혹은 소분류에 속한 모든 단위상품에 대한 입찰승인조건이 일괄적으로 적용된다. 분류별 중복설정도 가능하며 입찰승인조건확인단계에서 하위분류가 상위분류보다 우선하여 고려된다. 도 7은 단위상품에 대한 입찰승인조건의 등록화면을 나타낸 것으로 대분류 항목에 전자, 중분류 항목에 전화기, 소분류 항목에 무선전화기를 선택하고, 무선전화기 분류에 포함된 각각의 상품에 대한 입찰승인조건을 개별로 설정하는 것을 나타낸 화면이다. LG CID 9671 상품을 예를 들면 2003년 2월 10일부터 5월 31일까지 수량은 5개 이상, 20개 이하이면 무조건 경매에 참여하는 조건을 나타낸다. 도 8에 나타난 화면은 소분류 레벨에서 입찰승인조건을 설정하는 보기화면이다. 상품의 금액이 5만원 이상 20만원 이하에 해당되는 모든 상품에 대해서 입찰수량과 관계없이 참여기간이 만족되면 자동으로 참여하는 것을 나타낸다. 대분류와 중분류 항목에 대한 등록방식도 유사하며 관련된 항목에 대해서만 설정을 한다.
입찰할인율 설정은 크게 상품분류(대/중/소)별 할인율, 상품분류에 따른 상품의 수량별 할인율, 단위상품별 할인율, 단위상품의 수량별 할인율로 구분된다. 도 9는 단위상품의 입찰할인율 등록화면을 나타낸다. 대분류 항목에 전자, 중분류 항목에 전화기, 소분류 항목에 무선전화기를 선택하면 무선전화기로 분류된 개별 단위상품에 대한 할인율 등록을 처리할 수 있다. 보기에서는 먼저 LG CID 9671에 대해서 할인기준가로서 자체가격을 선택했고, 수량은 1개에 대해서만 3%, 1개이상-10개까지는 4%의 할인율 등 두 가지만 적용하고 있다. 10개 이상은 모두 4%의 할인율이 적용된다. 자체가격, 평균가, 최저가격 등의 할인기준가에 대해서 할인율을 똑같이 적용할 수도 있고, 각각 다르게 설정할 수도 있다. 선택된 나머지 단위상품도 동일하게 모두 혹은 일부분 등록할 수 있다. 단위상품에 설정값이 존재하면 상위분류에서 설정된 값에 우선하여 적용된다. 설정값이 등록되어 있지 않으면 상위분류(대/중/소)에서 설정된 값이 적용되면 소/중/대분류 순서로 우선순위가 결정된다. 할인기준가, 상품수량, 할인율을 복합적으로 적용하여 쇼핑몰의 단위상품의 재고상황에 맞는 가격정책을 펼칠 수 있다.
도 10은 대분류 항목에 전자, 중분류 항목에 전화기, 소분류 항목에 무선전화기 전체에 대한 할인율을 설정하는 보기 화면이다. 할인기준가는 가격비교에서 계산된 평균가를 선택했음을 알 수 있다. 수량에 대한 할인율은 1개는 3%, 1개 이상 20개 이하는 5%, 20개 이상 50개 이하는 8%, 51개 이상은 10%가 된다. 무선전화기 분류에 속한 모든 상품에 대한 입찰가 계산은 기준할인가와 경매 수량에 범위에 따라 설정된 입찰할인율에 의해서 자동 계산된다. 단위상품 입찰할인율 등록과 마찬가지로 할인기준가에 동일한 할인율을 일괄적으로 적용할 수도 있고, 각각 다른 할인율을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할인기준가, 상품수량, 할인율을 복합적으로 적용하여 쇼핑몰의 상품분류별 재고상황에 맞는 가격정책을 펼칠 수 있다. 상품의 취급여부에 관계없이 상품 분류별로 설정하면 쇼핑몰이 취급하는 제품에 대해서 일괄적인 할인정책을 펼칠 수 있어 편리하다. 쇼핑몰에서 상품의 품절상황이 발생하더라도 쇼핑몰의 상품화면에 품절상황을 나타내기만 하면 쇼굉몰상품검색로봇(14)에 의해서 본 시스템에 즉시 반영된다. 따라서 취급하지 않는 상품과 품절 혹은 단품상품에 대하여 해당 쇼핑몰이 해당 상품에 대해서 경매에 참여할 수 없도록 자동으로 조치된다.
즉석식 역경매 시스템(100)의 기능인 사용자역경매인터페이스(112)는 구매자의 즉석식 역경매 요구처리 및 낙찰 시 발주처리를 담당한다. 도 11에 이 기능을 통해서 즉석식 역경매에 대한 서비스 흐름을 나타낸다. 구매자가 본 기능을 통해서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을 취급하는 쇼핑몰을 선별하고, 구매가를 제시하고(S1), 즉석식 역경매를 신청하면(S2) 바로 입찰가계산처리기(115)가 의해서 낙찰 혹은 유찰 결과를 즉시 알려준다(S3). 낙찰결과를 확인하고(S4) 낙찰자가 복수이면 구매자가 선호하는 낙찰자를 선정한 후(S5), 대금지불을 하면(S6) 구매자의 역할은 종료된다. 사용자역경매인터페이스(112)는 이어서 낙찰된 쇼핑몰에 발주서를 전송함으로(S7) 내부 업무가 종료된다. 유찰이 되더라도 가격을 재조정하여 재경매를 하는 것은 가능하다(S8).
즉석식 역경매 시스템(100)의 기능인 매출관리인터페이스(115)는 즉석식 역경매 시스템(100) 전체를 관리하고, 매출과 수납을 관리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즉석식 역경매 진행상황, 지불 시스템과의 연동, 매출에 따른 수납처리, 환불, 매출이 발생한 사안에 대해서 쇼핑몰에게 지급한 지불금액 등의 정보관리를 포함할 수 있다.
즉석식 역경매 시스템(100)의 기능인 쇼핑몰의 입찰가계산처리기(113)는 사용자역경매인터페이스(112)로부터 넘겨받은 구매자의 경매신청에 대응하여 쇼핑몰의 입찰가격을 동적으로 계산해서 다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 12는 즉석식역경매 입찰가 계산 및 낙찰자 선정과정을 나타내고 있다. 입찰가계산처리기(113)는 사용자역경매인터페이스(112)로부터 쇼핑몰목록과 쇼핑몰의 상품 현재가격, 경매가를 넘겨 받는다(S1). 쇼핑몰목록에서 순차적으로 쇼핑몰을 선택해(S2) 해당 쇼핑몰의 입찰할인율과 입찰승인조건을 입찰승인조건/할인율DB(114)로부터 조회한다(S3). 구매자의 경매가, 입찰수량, 현재 날짜 등이 상품 혹은 상품분류에 따른 입찰승인조건을 만족하는지 확인한다(S4). 만족되지 않으면 해당 쇼핑몰은 입찰자격을 상실한다(S5). 상품 분류에 따라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 단위상품에서 요구하는 각각의 기간, 수량, 한도금액 등의 입찰승인조건이 만족되어야 입찰에 참여할 수 있다. 낮은 레벨(예 단위상품)의 설정이 높은레벨(예 소분류)의 그것보다 항상 우선한다(입찰승인조건과 할인율 모두 해당됨). 다음은 기준할인가를 결정하는 단계로서 이 값은 입찰가 계산의 근거가 되며 쇼핑몰의 등록정보에 근거해 결정한다(S6). 이어서 경매대상 상품에 대한 입찰할인율을 판단하며(S7), 단위상품, 소분류, 중분류, 대분류 순으로 등록정보의 우선순위에 따라 결정한다. 입찰할인율은 경매수량, 기준할인가 및 등록우선순위에 따라서 매번 다른 값을 가질 수 있어 낙찰가를 미리 예측할 수 없도록 한다. 입찰가 계산방식은 계산식을 나타낸 도 13을 참조한다(S8). 계산된 결과에 따라서 입찰가가 경매가보다 적지 않으면 해당 쇼핑몰은 경매에서 제외된다(S9). 입찰가가 경매가보다 적은 경우 해당 쇼핑몰은 낙찰자로 선정될 수 있는 기회를 맞게 된다(S10). 혼자 결정된 경우에는 낙찰자로 자동 결정되고, 복수일 경우 구매자의 선택에 따라 낙찰자로 결정될 수 있다. 선택된 쇼핑몰목록에서 처리하지 않은 쇼핑몰이 존재하는지를 확인한다(S11). 존재하면 입찰가계산과정을 반복한다. 입찰자 중 경매가 보다 낮을 가격을 제시한 쇼핑몰이 없으면 본 경매는 유찰된다(S12). 그렇지 않으면 즉 낙찰자가 존재하면 낙찰가 명단을 사용자역경매인터페이스(12)에게 전달한다(S13).
본 발명을 통해서 인터넷에서 소정의 제품을 구매할 때, 여러 쇼핑몰에서 취급하는 모든 상품을 경매를 통해서 구매할 수 있고, 구매자가 신뢰하고 선호하는 쇼핑몰로 입찰기회를 제한해 카드결제와 배송에 대한 신뢰성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프록시형가격비교를 이용해 합리적인 가격으로 상품에 대한 역경매를 시작할 수 있으며, 역경매 신청과 동시에 입찰결과를 확인하여 대기시간을 완전히 없애는 것이 가능하고, 특히 동일상품의 다량구매에 대한 역경매의 경우 할인율이 높아짐에 따라 단일 상품 구매 시보다 훨씬 저렴하게 구매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또한 역경매에 참여하고자 하는 쇼핑몰은 본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공정한 경쟁이 가능한 환경에서 인력과 비용에 대한 부담 없이 모든 역경매에 자동으로 참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가격 마케팅 정책을 전개할 수 있게 되어 매출확대를 기대할 수 있다.

Claims (1)

  1. 입찰할인율 및 입찰승인조건에 기반해서 즉석식 역경매를 구현하기 위해서, 쇼핑몰로부터 단위상품에 대해서는 입찰참여기간과 수량한도에 대한 조건을, 상품분류(대분류, 중분류, 소분류)별로는 입찰참여를 허가하는 최저 및 최고 금액한도, 입찰참여기간, 상품수량범위 등의 입찰승인조건을 등록 받는 단계; 쇼핑몰로부터 단위상품 혹은 상품분류(대분류, 중분류, 소분류)별로 할인기준가, 상품수량에 근거한 입찰할인율 등 입찰가 계산에 필요한 할인율정보를 등록 받는 단계; 구매자에게 입찰자 선정권한을 부여하기 위해서 가격비교시스템으로부터 쇼핑몰목록을 넘겨받는 단계 및 입찰가 계산의 기초가 되는 할인기준가 계산의 근거로 삼기 위해서 쇼핑몰의 가격을 넘겨받는 단계; 구매자가 즉석식 역경매를 통해 제시한 경매가 및 상품수량을 선택된 쇼핑몰의 상기 입찰승인조건과 일일이 대응시켜 해당 경매에 대해서 쇼핑몰의 입찰참여 여부를 동적으로 확인하는 단계; 상기 단계에서 입찰이 결정된 쇼핑몰의 할인기준가(쇼핑몰의 상품가격, 상기단계에서 입찰이 결정된 쇼핑몰들의 최저가, 혹은 평균가 중에서 쇼핑몰이 해당 상품 혹은 상품분류에 대해서 사전에 설정한 것에 의해 동적으로 계산 혹은 판단되는 값)를 구매자가 제시한 경매수량에 따라 상기 단계에서 등록한 입찰 할인율을 적용하여 상기 입찰가 계산식(도 13)에 의거해 입찰가를 동적으로 계산하는 단계; 상기 단계에서 결정된 쇼핑몰의 입찰가를 구매자가 제시한 경매가와 비교하여 낙찰자를 즉석으로 선정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즉석식 역경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0030008655A 2003-02-11 2003-02-11 쇼핑몰의 입찰승인조건과 입찰할인율, 그 처리기법에근거한 즉석식 역경매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3002364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8655A KR20030023648A (ko) 2003-02-11 2003-02-11 쇼핑몰의 입찰승인조건과 입찰할인율, 그 처리기법에근거한 즉석식 역경매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8655A KR20030023648A (ko) 2003-02-11 2003-02-11 쇼핑몰의 입찰승인조건과 입찰할인율, 그 처리기법에근거한 즉석식 역경매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3648A true KR20030023648A (ko) 2003-03-19

Family

ID=277306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8655A KR20030023648A (ko) 2003-02-11 2003-02-11 쇼핑몰의 입찰승인조건과 입찰할인율, 그 처리기법에근거한 즉석식 역경매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2364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7790B1 (ko) * 2013-08-19 2014-08-11 배기정 고정가 패키지 상품의 판매 방법 및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7790B1 (ko) * 2013-08-19 2014-08-11 배기정 고정가 패키지 상품의 판매 방법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2308407B2 (en) System and method for pooled electronic purchasing
US9070167B2 (en) Centralized, online multi-seller interface system
US6415270B1 (en) Multiple auction coordination method and system
US20030050861A1 (en) System and method for running a dynamic auction
AU2002308407A1 (en) System and method for pooled electronic purchasing
US20140310120A1 (en) Auction system, auction processing apparatus, auction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of same
US2010028706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acilitating Buyer Driven Transaction
WO2004008267A2 (en) Agent controlled commission system
WO2020160209A1 (en) Anonymized online shopping system and method and point-of-sale pricing system and method
KR100365018B1 (ko) 사용자의 상품정보 제공에 의한 전자상거래 방법과 시스템및 이를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WO2001002926A2 (en) Ready listed electronic commerce system and method
JP2002063406A (ja) 販売仲介システム
KR20030023648A (ko) 쇼핑몰의 입찰승인조건과 입찰할인율, 그 처리기법에근거한 즉석식 역경매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3016269A (ja) 先物自動取引システム
KR101948305B1 (ko) 무형 가치를 거래하기 위한 타임 옥션 플랫폼을 이용한 전문가 시간 옥션 서비스 제공 방법
KR20020006619A (ko) 거래 중개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
KR100360589B1 (ko) 전자 상거래 에이전트 처리 방법및 장치
KR20230150459A (ko) 기여도에따른 보상시스템을포함하는 공동구매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JP2001319096A (ja) 商品入札情報処理装置
JP2001243406A (ja) 電子的取引システム及び電子的取引方法並びに電子的取引サーバ及び電子的取引支援方法
WO2001029720A2 (en) Method and system for conducting an inverse auction
KR20010097500A (ko) 공동구매방식의 전자상거래 방법
JP2001243405A (ja) 電子オークション方法及び電子オークションシステム並びに電子オークション用サーバ及びプログラムが記録され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並びに電子オークション用入札者クライアント
JP2001290983A (ja) 取引方法、取引システム、端末および記録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