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18085A - 정보기술분야의 자격시험을 자동생성하는 프로그램이수록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정보기술분야의 자격시험을 자동생성하는 프로그램이수록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18085A
KR20030018085A KR1020010051633A KR20010051633A KR20030018085A KR 20030018085 A KR20030018085 A KR 20030018085A KR 1020010051633 A KR1020010051633 A KR 1020010051633A KR 20010051633 A KR20010051633 A KR 20010051633A KR 20030018085 A KR20030018085 A KR 200300180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questionnaire
user
determining
qualification
ans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516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재민
Original Assignee
윤재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재민 filed Critical 윤재민
Priority to KR10200100516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18085A/ko
Publication of KR200300180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8085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7/00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 G09B7/02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of the type wherein the student is expected to construct an answer to the question which is presented or wherein the machine gives an answer to the question presented by a stud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보기술(IT)분야의 자격시험을 자동생성하는 프로그램이 수록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기록매체에 수록된 방법은 수험자에게 저장된 정보취득용 설문을 제시하고 결정하는 설문 결정단계;와 수험자가 설문에 응답한 내용을 평가하는 기준을 결정하는 설문응답 평가기준 결정단계;와 수험자에게 제시되는 문제를 결정하는 문제와 정답 결정단계;와 수험자가 응답한 내용을 평가하는 기준을 정하는 문제응답 평가기준 결정단계;와 일정문항의 문제를 무작위로 선별하는 방법을 결정하는 문제선별 결정단계;와 출제되는 설문과 문제의 양식을 결정하는 출제양식 결정단계;와 상기 설문에 응한 내용과 문제의 배점에 따라 수험자의 자격과 인정기준을 정하는 자격기준 결정단계; 및 자격 및 인증기준에 따라 결정된 결과물의 형태를 결정하는 출력형태 결정단계;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발명에 의해 자격 및 인증제도의 시행을 용이하게 하는 자격 및 인증에 관한 애플리케이션 그 자체를 해당 기업 등의 요구에 맞게 자동으로 생성 및 수정할 수 있는 툴을 제공할 수 있게 되므로서, 일반기업체에서도 저렴한 비용으로 자격증과 관련된 업무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정보기술분야의 자격시험을 자동생성하는 프로그램이 수록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computer readable record medium having method for automatically generating qualifying examination in the field of information technology recorded thereon}
본 발명은 직무능력을 평가하여 일정한 자격기준에 해당되는가를 평가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신기술 개발이 급격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정보기술(IT : information technology) 분야에서 일정한 전문기술이 습득되었는지 문제풀이 과정을 통하여 수험자의 능력을 평가하는 자격 시험의 관리요소인 설문과 문제의 출제, 채점과 평가, 평가결과의 출력 및 자격증과 인증서의 발급 등 일련의 과정을 수행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사용자가 쉽게 자동제작할 수 있도록 하는 정보기술분야의 자격시험을 자동생성하는 방법이 수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문지식과 기술의 숙련도를 가늠하는 방법은 여러방법이 있으나, 최근에는 온라인을 이용한 시험서비스를 제공하기도 한다. 그리고 이러한 자격시험은 전문지식을 평가하는 목적으로만 이용되는 것이 아니라, 영업기법중의 하나로 특정기업의 인지도 확산과 마케팅 전략으로 이용되고 있다. 특히, 정보기술(IT : information technology) 분야에서의 자격증은, 오라클사의 OCP-DEA와 마이크로소프트사의 MCSE(Microsoft Certified Systems Engineer) 등이 있는데, 상기 엠씨 에스이(MCSE)는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NT 운영체계, 관련 데스크탑, 네트워킹 및 마이크로소프트의 백오피스 서버 제품에 관한 시험에 합격한 사람을 일컫는다. 이렇게 자사의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에 관련된 전문지식을 시험하고 자격증을 교부함으로써, 시험에 합격한 자격자는 관련지식을 습득한 것으로 인정되고, 이러한 자격자는 일반기업체에 입사하여도 본인이 손쉽게 사용할 수 있는 마이크로소프트사의 제품을 계속 구매하게 되므로, 마이크로소프트사는 저비용으로 시장지배력을 더욱 공고히 유지할 수 있다.
그러나, 자사제품의 인지도와 마케팅 전략으로도 사용할 수 있는 이와 같은 자격증 제도는 오프라인이나 온라인 상에서 시행하고 있으며, 해당기업이나 단체 등이 개별적으로 개발, 구축, 운영 또는 아웃소싱 형태를 취하고 있어서, 이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많은 비용과 전문인력이 요구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시험을 위한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의 자체개발과 문제의 출제는 정보기술(IT)분야의 급속한 발전에 따른 적시성(適時性)이 유지되기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기술발전이 급속히 이루어지고, 혁신적 프로덕트의 산출이 빈번한 정보기술 관련분야에서, 혁신적 기술의 저변을 넓히고 상품성에 대한 인지도 확산과 효율적인 마케팅 전략으로서의 자격 및 인증제도의 시행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자격 및 인증에 관한 애플리케이션 그 자체를 해당 기업 등의 요구에 맞게 자동으로 생성 및 수정할 수 있는 툴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의 개략적인 전체흐름도.
도2는 도1에 따른 방법에서 수험자에 대한 정보취득용 설문을 결정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3은 도1에 따른 방법에서 정보취득용 설문에 대한 수험자의 응답을 평가하는 기준을 결정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4는 도1에 따른 방법에서 자격 및 인증에 필요한 분야별 문제와 정답을 결정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5는 도1에 따른 방법에서 자격 및 인증에 필요한 분야별 문제에 대한 평가기준을 결정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6은 도1에 따른 방법에서 출제되는 일정문항의 설문과 문제지 양식을 결정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7은 도1에 따른 방법에서 수험자의 평가에 따른 자격 및 인증기준을 결정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8은 도1에 따른 방법에서 자격 및 인증결과에 따른 출력형태를 결정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S10:설문 결정단계,S20:설문응답 평가기준 결정단계;
S30:문제와 정답 결정단계,S40:문제응답 평가기준 결정단계;
S50:문제선별 결정단계;S60:출제양식 결정단계;
S70:자격기준 결정단계;S80:출력형태 결정단계
이러한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의해 달성되며, 본 발명의 일면에 따라, 이러한 정보기술분야의 자격시험을 자동생성하는 방법이 수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수험자에게 대한 저장된 정보취득용 설문을 제시하고 결정하는 설문 결정단계;와 상기 설문결정 단계에서 결정된 설문에 수험자가 응답한 내용을 평가하는 기준을 결정하는 설문응답 평가기준 결정단계;와 수험자에게 제시되는 각 분야별 문제와 정답을 결정하는 문제와 정답 결정단계;와 상기 문제와 정답 결정단계에서 결정된 문제에 수험자가 응답한 내용을 평가하는 기준을 정하는 문제응답 평가기준 결정단계;와 상기 문제와 정답 결정단계에서 결정된 문제중 일정문항을 무작위로 선별하는 방법을 결정하는 문제선별 결정단계;와 수험자에게 출제되는 설문과 문제의 양식을 결정하는 출제양식 결정단계;와 상기 설문에 응한 내용과 문제의 배점에 따라 수험자의 자격과 인정기준을 정하는 자격기준 결정단계; 및 자격 및 인증기준에 따라 결정된 결과물의 형태를 결정하는 출력형태 결정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설문 결정단계는, 수험자에 대한 정보취득용 설문샘플을 제시하는 단계;와 상기 설문 샘플에서 사용자가 필요한 특정의 설문을 선택하는 단계;와 사용자가 정보취득용 설문내용을 추가할 의향이 있는가를 문의하는 단계;와 사용자가 정보 취득용 설문을 추가하는 단계; 및 선택되거나 추가된 상기 정보 취득용 설문을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설문응답 평가기준 결정단계는, 수험자의 정보취득용 설문에 대한 응답을 분류하고 평가하는 기준에 대한 샘플을 제시하는 단계;와 제시되는 설문에 대한 평가기준 중에서 사용자가 필요한 설문에 대한 평가 기준을 선택하는 단계;와 사용자가 설문에 대한 평가기준을 추가할 의향이 있는가를 문의하는 단계;와 사용자가 설문에 대한 새로운 평가기준을 추가하는 단계; 및 수험자의 정보취득용 설문에 대한 응답을 분류하고 평가하는 기준을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문제와 정답 결정단계;는 수험자의 자격과 인증에 필요한 각 분야별 문제와 정답을 제시하는 단계;와 상기와 같이 제시되는 문제와 정답 중에서 사용자가 필요한 문제를 선택하는 단계;와 사용자가 문제와 정답을 추가할 의향이 있는가를 문의하는 단계; 및 사용자가 분야별 새로운 문제와 정답을 추가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각 분야별로 제시되는 문제와 정답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주기적으로 다운로드되어 갱신하는 단계;와 사용자가 추가하는 새로운 문제와 정답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송되는 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평가기준 결정단계;는 각 문제에 대한 차등있는 배점과 문제 해결에 소요되는 시간에 따라 가중치가 부여되는 평가기준의 샘플을 제시하고, 제시되는 평가기준에서 사용자가 선택하는 단계;와 사용자가 문제와 정답의 평가기준을 새롭게 수정할 의향이 있는가를 문의하는 단계;와 문제와 정답의 평가기준을 사용자가 새롭게 수정하는 단계; 및 문항별 문제의 평가기준을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문제선별 결정단계;는 문제와 정답이 결합된 문제를 한 개씩 생성하는 문제생성 단계;와 상기 문제생성 단계에서 생성된 복수의 문제중 일정 갯수의 수를 무작위로 선택하는 문제선택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문제생성 단계;는 한 개의 질문과 이에 해당되는 정답과 오답으로 이루어진 복수의 답을 선별하는 단계;와 최소한 하나 이상의 정답이 포함되게 상기 복수의 답에서 일정한 답을 무작위로 선별하는 단계;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출제양식 결정단계;는 출제되는 일정문항의 설문과 문제지 양식 샘플을 제시하는 단계;와 사용자가 설문과 문제지 양식을 새롭게 수정할 의향이 있는가를 문의하는 단계;와 사용자가 출제되는 일정형태의 설문과 문제지 양식을 수정하는 단계; 및 출제되는 설문과 문제지가 디스플레이 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자격기준 결정단계;는 평가에 따른 자격 및 인증기준의 샘플을 제시하는 단계;와 제시된 평가에 따른 자격 및 인증기준을 선택하는 단계;와 사용자가 평가에 따른 자격 및 인증기준을 수정할 의향이 있는가를 문의하는 단계; 및 사용자가 평가에 따른 자격 및 인증기준을 수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출력형태 결정단계;는 자격과 인증결과에 따른 출력형태를 제시하는 단계;와 사용자가 출력형태를 선택하는 단계;와 사용자가 자격과 평가에 따른 출력형태를 수정할 의사가 있는가를 문의하는 단계; 및 자격 및 인증결과에 따른 출력형태를 수정하는 단계;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은 본발명의 일실시에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의 개략적인 전체흐름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보기술분야의 자격시험을 제작하고 관리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취득용 설문을 제시하면 사용자가 설문을 결정하고(S10)), 이와 같이 결정된 설문에 수험자가 응답한 내용을 평가하는 기준을 결정하는 설문응답 평가기준을 결정(S20)한다. 그리고 수험자의 전문지식을 평가하기 위하여 제시되는 각 분야별 문제와 정답을 결정(S40)하며, 동일한 문제가 출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일정문항의 문제와 정답을 무작위로 선별하는 방법을 선택(S50)하며, 상기 문제와 정답 결정단계에서 결정된 문제에 수험자가 응답한 내용을 평가하는 기준을 결정(S60)하며, 결정된 문제중 일정문항을 무작위로 선별하는 방법을 결정(S50)한다. 또한, 수험자에게 출제되는 설문과 문제의 양식을 결정(S60)하며, 상기 설문에 응한 내용과 문제의 배점에 따라 수험자의 자격과 인정기준을 정하고(S70), 평가결과에 따라 결정된 결과물의 형태를 결정(S80)한다.
이하 도2내지 도9를 참조하여 이하 상술한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험자에 대한 정보취득용 설문결정단계(S10)는, 데이타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타에 의하여, 성명, 성별, 주민등록번호, 근무경력, 과거의 프로젝트수행 경력, 취득한 자격증 등을 문의하는 수험자에 대한 정보취득용 설문 샘플을 제공(S110)하고, 사용자는 정보 취득용 설문 샘플에서 특정의설문을 선택(S120)한다.
제시되는 상기 설문 샘플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샘플이 없거나, 추가하고자 하는 설문 샘플이 있는가를 확인(S130)하여, 사용자가 추가하고자 하는 설문이 있는 경우에는 정보취득용 설문을 추가(S140)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선택하거나 추가한 정보취득용 설문을 디스플레이 한다(S150).
상기 단계에서 수험자에 대한 정보취득용 설문을 결정(S10)한 후에는, 설문에 대한 수험자의 응답을 평가한다. 예를 들어 과거의 정보기술분야에서 근무경력을 근무년수에 따라 얼마만큼의 배점을 하고, 프로젝트를 수행한 경력이 있는 수험자에게는 또한 얼마 만큼의 배점을 할당할 것인가를 결정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결정하는 기준은 상기 정보취득용 설문에 대한 응답 평가기준 결정단계(S20)에서 평가기준을 결정하는데, 이와 같은 단계(S20)는 먼저 수험자의정보 취득용 설문에 대한 응답을 분류하고 평가하는 기준에 대한 샘플을 제시(S210)하고, 사용자가 설문에 대한 평가 기준을 선택(S220)하게 된다. 상기에서 제시되는 평가기준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로서 사용자가 원하는 평가 기준이 누락될 수도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새로운 평가 기준을 추가할 것인가를 문의(S230)하고, 새로운 평가기준을 추가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설문에 대한 새로운 평가기준을 추가 한(S240) 후 수험자의 정보취득용 평가 기준을 화면에 디스플레이 한다(S250).
도4는 자격 및 인증에 필요한 전문 분야별 문제와 정답을 결정하는 과정(S30)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와 같은 과정도 먼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문제와 정답을 제시(S310)하면, 사용자는 제시된 문제와 정답을 선택(S320)한다. 이와 같이 제시되는 문제들은 적시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주기적으로 네트워크를 통하여 다운로드하여 데이터를 갱신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새로운 문제를 추가할 의향이 있는가를 문의(S330)한 후, 필요에 따라서 새로운 문제와 정답을 추가(S340)하고, 이와 같이 추가되는 문제와 정답은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전송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출제되어질 문제들에 대한 평가방법은 도5에 도시된 자격 및 인증에 필요한 분야별 문제에 대한 평가 기준결정 단계(S40)에서 결정된다. 이와 같은 단계는 문제의 난이도에 대한 배점별, 수험자가 문제풀이에 소요되는 시간별, 등으로 기설정된 평가기준을 제시(S410)하고, 이를 사용자가 선택한다. 그리고 사용자에게 평가 기준을 수정할 것인가를 문의(S420)하고, 각각의 문제에 대한 평가기준을 수정(S430)하고, 문제의 문항별 평가기준을 디스플레이 한다(S440).
상기 분야별 새로운 문제와 정답을 사용자가 추가한 경우에도 추가된 각각의 문제들에 대한 배점을 결정하며. 각 분야별로 사용자가 추가하는 새로운 문제와 정답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송되게 한다.
상기 단계에서 분야별로 결정된 문제와 정답은 출제되는 횟수가 증가할 수록 중복되어 출제될 가능성이 높아지고, 이와 같이 중복되어 출제되는 문제는 수험자의 능력을 평가하는데 저해요인이 된다. 따라서 동일문제와 동일정답이 중복되어 출제되는 것을 최대한 예방하기 위하여 출제되는 일정문항(보통 40문항)의 문제와 정답을 무작위로 선별하는 방법을 선택(S50)하게 된다. 이와 같은 단계는, 문제와 정답이 결합된 문제를 한 개씩 생성하는 문제생성 단계;와 상기 문제생성 단계에서생성된 복수의 문제중 일정 갯수의 수를 무작위로 선택하는 문제선택 단계;로 이루어지고, 상기 문제생성 단계;는 한 개의 질문과 이에 해당되는 정답과 오답으로 이루어진 복수의 답을 선별하는 단계;와 최소한 하나 이상의 정답이 포함되게 상기 복수의 답에서 일정한 답을 무작위로 선별하는 단계로 구분된다.
즉, 문제들이 (문1), (문2), (문3), (문4), (문5), (문6), (문7), (문8), (문9), (문10),........... 이 있고, 이에 대응되는 답은 (답1-2), (답2-1), (답3-5,9), (답4-3,45), (답5-8), (답6-1,2), (답7-6), (답8-8,10), (답9-5), (답10-1,3,14), (답11-4), (답12-25), (답13-7), (답14-12), (답15-10), (답16-4), (답17-8), (답18-9), (답19-5), (답20-9,33), (답21-5,87), (답22-2,3), (답23-15), (답24-4), (답25-32)........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답1-2)의 첫번째 아라비아 숫자1은 답의 고유번호를 의미하고, 두번째 숫자 2는 질문이 (문2)인 경우 정답을 표시한다. 그리고, (답3-5,9)은 한개의 답이 복수의 문제의 답이 되는 경우로서 고유번호3의 답으로서 (문5)와 (문9)의 질문에 대한 정답이 되는 경우이다.
만약에 문제를 (문3)으로 선택하고 답은 (답1-2), (답4-3,45), (답6-1,2), (답7-6), (답12-25)을 선택하는 경우에는 5지선다형 문제가 되고, 정답은 2번인 (답4-3,45),이고 오답은 1번(답1-2)와 3번(답6-1,2)와 4번(답7-6)와 5번(답12-25)이 된다. 따라서 수험자는 (문3)의 질문에 2번을 선택하여야 올바른 답이 된다. 그리고, 똑같은 문제를 (문3)으로 선택하고 답은 (답5-8) (답22-2,3), (답12-25), (답6-1,2), (답22-2,3)로 선택한 경우에는 4지선다형 문제가 되고, 정답은 4번인 (답22-2,3)이다. 따라서, 저장된 문제와 답의 조합에 의하여 여러가지 내용의 문제를 출제할 수 있으므로 동일한 내용의 문제가 중복되어 출제되는 것을 최대한 예방할 수 있다. 여기서 주의할 것은 각 문제에 제시되는 답 중 최소한 하나 이상의 정답이 반드시 선택되도록 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도6에는 출제되는 일정문항의 설문과 문제양식을 결정(S60)하는 단계는 도6에 되시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것 처럼 먼저 출제되는 일정문항의 설문과 문제지 샘플 양식을 제시(S610)하고, 제시되는 양식 중에서 바탕색, 글짜의 크기, 글꼴, 문잔 배열 등을 사용자가 선택한다. 그리고 사용자에게 문제지 양식을 수정할 것인가를 문의(S620)하고, 양식을 수정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출제되는 일정양식의설문과 문제지 양식을 사용자가 수정(S630)고, 문제지 양식을 화면에 디스플레이된다(S640).
그리고, 수험자가 출제되는 문제와 설문에 응한 후에는 상기 과정에 서 결정되는 평가기준에 의하여 연산되고, 그 결과에 의하여 만점의 몇 퍼센트(%)를 취득하면 전문가의 자격이 있고, 또 최저 몇 퍼센트(%)에서 최고 몇 퍼센트(%)의 취득하면 보통수준의 해결능력이 있는 자라고 판다하며, 또한 최하 몇 퍼센트(%) 이상을 취득하는 경우에만 자격증을 수여하는지를 판단하는 수험자의 평가에 따른 자격 및 인증 기준결정(S70) 단계는 도7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과정에서와 같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평가에 따른 자격 및 인증 기준샘플을 제시(S710)하고 사용자는 제시된 기준을 선택(S720)한다. 그리고 사용자에게 자격 및 인증기준을 수정할 의향이 있는가를 문의(S730)한 후 평가에 따른 자격 및 인증기준을 새롭게 수정한다. 이와 같은 일련의 수험자를 평가한 경우에는 해당되는 수험자에게 그 결과를 출력하는 자격 및 인증결과에 따른 출력형태 결정(S80) 과정은 도8에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과정은 사용자에게 출력형태를 제시(S810)하고, 제시되는 출력형태에서 특정의 형태를 선택(S820)한다. 그리고 사용자에게 출력형태를 수정할 것인가를 문의(S830)한 후 자격 및 인증결과에 따른 출력형태를 수정한다.(S840)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라, 기술발전이 급속히 이루어지고, 혁신적 프로덕트의 산출이 빈번한 정보기술 관련분야에서, 혁신적 기술의 저변을 넓히고 기업의 생산품에 대한 인지도 확산과 효율적인 마케팅 전략으로서의 자격 및 인증제도의 시행을 용이하게 하는 자격 및 인증에 관한 애플리케이션 그 자체를 해당 기업 등의 요구에 맞게 자동으로 생성 및 수정할 수 있는 툴을 제공할 수 있게 되므로서, 일반기업체에서도 저렴한 비용으로 자격증과 관련된 업무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이탈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다.

Claims (11)

  1. 수험자에 대한 저장된 정보취득용 설문을 제시하고 결정하는 설문 결정단계;
    상기 설문결정 단계에서 결정된 설문에 수험자가 응답한 내용을 평가하는 기준을 결정하는 설문응답 평가기준 결정단계;
    수험자에게 제시되는 각 분야별 문제와 정답을 결정하는 문제와 정답 결정단계;
    상기 문제와 정답 결정단계에서 결정된 문제에 수험자가 응답한 내용을 평가하는 기준을 정하는 문제응답 평가기준 결정단계;
    상기 문제와 정답 결정단계에서 결정된 문제중 일정문항을 무작위로 선별하는 방법을 결정하는 문제선별 결정단계;
    수험자에게 출제되는 설문과 문제의 양식을 결정하는 출제양식 결정단계;
    상기 설문에 응한 내용과 문제의 배점에 따라 수험자의 자격과 인정기준을 정하는 자격기준 결정단계; 및
    자격 및 인증기준에 따라 결정된 결과물의 형태를 결정하는 출력형태 결정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기술분야의 자격시험을 자동생성하는 방법이 수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문 결정단계;는
    수험자에 대한 정보취득용 설문 샘플을 제시하는 단계;와
    상기 설문 샘플에서 사용자가 필요한 특정의 설문을 선택하는 단계;와
    사용자가 정보취득용 설문내용을 추가할 의향이 있는가를 문의하는 단계;와
    사용자가 정보 취득용 설문을 추가하는 단계; 및
    선택되거나 추가된 상기 정보 취득용 설문을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기술분야의 자격시험을 자동생성하는 방법이 수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문응답 평가기준 결정단계;는
    수험자의 정보취득용 설문에 대한 응답을 분류하고 평가하는 기준에 대한 샘플을 제시하는 단계;와
    제시되는 설문에 대한 평가기준 중에서 사용자가 필요한 설문에 대한 평가 기준을 선택하는 단계;와
    사용자가 설문에 대한 평가기준을 추가할 의향이 있는가를 문의하는 단계;와
    사용자가 설문에 대한 새로운 평가기준을 추가하는 단계; 및
    수험자의 정보취득용 설문에 대한 응답을 분류하고 평가하는 기준을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기술분야의 자격시험을 자동생성하는 방법이 수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문제와 정답 결정단계;는
    수험자의 자격과 인증에 필요한 각 분야별 문제와 정답을 제시하는 단계;와
    상기와 같이 제시되는 문제와 정답 중에서 사용자가 필요한 문제를 선택하는 단계;와
    사용자가 문제와 정답을 추가할 의향이 있는가를 문의하는 단계; 및
    사용자가 분야별 새로운 문제와 정답을 추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기술분야의 자격시험을 자동생성하는 방법이 수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5. 제4항에 있어서, 각 분야별로 제시되는 문제와 정답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주기적으로 다운로드되어 갱신하는 단계;와
    사용자가 추가하는 새로운 문제와 정답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송되는 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기술분야의 자격시험을 자동생성하는 방법이 수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평가기준 결정단계;는
    각 문제에 대한 차등있는 배점과 문제 해결에 소요되는 시간에 따라 가중치가 부여되는 평가기준의 샘플을 제시하고, 제시되는 평가기준을 사용자가 선택하는 단계;와
    사용자가 문제와 정답의 평가기준을 새롭게 수정할 의향이 있는가를 문의하는 단계;와
    문제와 정답의 평가기준을 사용자가 새롭게 수정하는 단계; 및
    문항별 문제의 평가기준을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기술분야의 자격시험을 자동생성하는 방법이 수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문제선별 결정단계;는
    문제와 정답이 결합된 문제를 한 개씩 생성하는 문제생성 단계;와
    상기 문제생성 단계에서 생성된 복수의 문제중 일정 갯수의 수를 무작위로 선택하는 문제선택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기술분야의 자격시험을 자동생성하는 방법이 수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문제생성 단계;는
    한 개의 질문과 이에 해당되는 정답과 오답으로 이루어진 복수의 답을 선별하는 단계;와
    최소한 하나 이상의 정답이 포함되게 상기 복수의 답에서 일정한 답을 무작위로 선별하는 단계;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기술분야의 자격시험을 자동생성하는 방법이 수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제양식 결정단계;는
    출제되는 일정문항의 설문과 문제지 양식 샘플을 제시하는 단계;와
    사용자가 설문과 문제지 양식을 새롭게 수정할 의향이 있는가를 문의하는 단계;와
    사용자가 출제되는 일정형태의 설문과 문제지 양식을 수정하는 단계; 및
    출제되는 설문과 문제지가 디스플레이 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기술분야의 자격시험을 자동생성하는 방법이 수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격기준 결정단계;는
    평가에 따른 자격 및 인증기준의 샘플을 제시하는 단계;와
    제시된 평가에 따른 자격 및 인증기준을 선택하는 단계;와
    사용자가 평가에 따른 자격 및 인증기준을 수정할 의향이 있는가를 문의하는 단계; 및
    사용자가 평가에 따른 자격 및 인증기준을 수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기술분야의 자격시험을 자동생성하는 방법이 수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형태 결정단계;는
    자격과 인증결과에 따른 출력형태를 제시하는 단계;와
    사용자가 출력형태를 선택하는 단계;와
    사용자가 자격과 평가에 따른 출력형태를 수정할 의사가 있는가를 문의하는 단계; 및
    자격 및 인증결과에 따른 출력형태를 수정하는 단계;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기술분야의 자격시험을 자동생성하는 방법이 수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010051633A 2001-08-27 2001-08-27 정보기술분야의 자격시험을 자동생성하는 프로그램이수록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2003001808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1633A KR20030018085A (ko) 2001-08-27 2001-08-27 정보기술분야의 자격시험을 자동생성하는 프로그램이수록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1633A KR20030018085A (ko) 2001-08-27 2001-08-27 정보기술분야의 자격시험을 자동생성하는 프로그램이수록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8085A true KR20030018085A (ko) 2003-03-06

Family

ID=277209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1633A KR20030018085A (ko) 2001-08-27 2001-08-27 정보기술분야의 자격시험을 자동생성하는 프로그램이수록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18085A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9389U (ko) * 1998-02-10 1998-04-30 원인제 전자 정답 알림기
US5797753A (en) * 1995-03-22 1998-08-25 William M. Bancroft Method and system for computerized learning response, and evaluation
KR19990022030A (ko) * 1995-05-24 1999-03-25 앤 싱글레톤 블로커 자동 학습 및 성취 평가를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000010899A (ko) * 1997-03-11 2000-02-25 조에르그-우위 지플 원격적으로 감독하고 안전하게 시험을 실시하기 위한 시스템및 그 방법
KR200198382Y1 (ko) * 2000-05-12 2000-10-02 김삼유 영어교육 및 시험을 위한 클라이언트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97753A (en) * 1995-03-22 1998-08-25 William M. Bancroft Method and system for computerized learning response, and evaluation
KR19990022030A (ko) * 1995-05-24 1999-03-25 앤 싱글레톤 블로커 자동 학습 및 성취 평가를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000010899A (ko) * 1997-03-11 2000-02-25 조에르그-우위 지플 원격적으로 감독하고 안전하게 시험을 실시하기 위한 시스템및 그 방법
KR980009389U (ko) * 1998-02-10 1998-04-30 원인제 전자 정답 알림기
KR200198382Y1 (ko) * 2000-05-12 2000-10-02 김삼유 영어교육 및 시험을 위한 클라이언트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hillips et al. Survey basics
Hoffman et al. Multiple intelligences of transformational leaders: An empirical examination
Brahm et al. The role of trust climate in virtual teams
Singh A STUDY ON EMPLOYEE PARTICIPATION IN DECISION MAKING.
Gregory Public relations and evaluation: does the reality match the rhetoric?
US20080144882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like-mindedness
Schwarzwald et al. Usage of and compliance with power tactics in routine versus nonroutine work settings
US8332257B2 (en) Behavior mapped influence analysis tool with coaching
GB2375628A (en) A computer implemented method of actioning surveys directed to given categories of users
Vlosky et al. A model of employee satisfaction: Gender differences in cooperative extension
Lawley et al. Evidence of competency: Exploring coach, coachee and expert evaluations of coaching
Bourdage et al. Personality, interview performance, and the mediating role of impression management
Avkiran Interpersonal skills and emotional maturity influence entrepreneurial style of bank managers
Shay et al. Expatriate adjustment and effectiveness: The mediating role of managerial practices
Cruz et al. Testing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an instrument measuring engineering students’ perceptions of transversal competency levels
Peñalba-Aguirrezabalaga et al. Putting knowledge to work: the combined role of marketing and sales employees’ knowledge and motivation to produce superior customer experiences
Watson et al. Applying a unified public relations evaluation model in a European context
Powell Skilled and satisfied: Research findings regarding executive pastors
Al-Hinai Factors influencing academic staff job satisfaction of higher education in the Sultanate of Oman
KR20030018085A (ko) 정보기술분야의 자격시험을 자동생성하는 프로그램이수록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Roberts et al. Effects of data collection method on organizational climate survey results
Van Scotter et al. Influence of prior acquaintance with the ratee on rater accuracy and halo
Stine Crowdsourced pedagogy: Editing Wikipedia and the Framework for Information Literacy for Higher Education
McRee Managerial perceptions of employee motivation
Mahar Factors affecting participation in online communities of pract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