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17739A - 휴대용 인식기 및 상기 휴대용 인식기를 이용한 네트워크상의 서비스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용 인식기 및 상기 휴대용 인식기를 이용한 네트워크상의 서비스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17739A
KR20030017739A KR1020010050731A KR20010050731A KR20030017739A KR 20030017739 A KR20030017739 A KR 20030017739A KR 1020010050731 A KR1020010050731 A KR 1020010050731A KR 20010050731 A KR20010050731 A KR 20010050731A KR 20030017739 A KR20030017739 A KR 200300177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able
communication means
image
server
portable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507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15899B1 (ko
Inventor
류중희
Original Assignee
(주)우주커넥션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우주커넥션스 filed Critical (주)우주커넥션스
Priority to KR10-2001-00507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15899B1/ko
Publication of KR200300177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77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58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589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5Retrieval from the web using information identifiers, e.g. uniform resource locators [UR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통신 수단에 부착되거나 일체로 형성되어 휴대용으로 사용될 수 있는 휴대용 인식기 및 그러한 휴대용 인식기를 이용하여 네트워크 상으로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휴대용 인식기는 인식 가능한 개체를 스캐닝하여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시키는 인식부와, 상기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된 이미지를 조합하여 하나의 이미지의 데이터로 생성하는 처리부와, 상기 처리부에 의해 생성된 이미지를 휴대용 통신 수단으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한다. 상기 서비스 제공 방법은, 서버가 휴대용 인식기에 의해 인식되어 생성된 이미지 데이터를 휴대용 통신 수단에 의해 전송 받는 단계와, 서버가 상기 전송 받은 이미지에 포함되어 있는 개체를 인식하기 위한 인식 소프트웨어 모듈을 작동시키는 단계와, 서버가 상기 인식 소프트웨어 모듈에 의해 인식된 개체의 종류에 따라 인식된 개체 데이터를 기본 정보 및 서비스 제공 모듈로 전송하는 단계와, 서버가 상기 기본 정보 또는 서비스 제공 모듈을 작동시켜 사용자의 휴대용 통신 수단으로 정보 또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휴대용 인식기 및 상기 휴대용 인식기를 이용한 네트워크 상의 서비스 제공 방법{Portable Recognizer and Method for Providing Service Using the Same Through Network}
본 발명은 휴대용 통신 수단 부착형 인식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핸드폰 및 개인용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 등에 부착되어 휴대용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문자, 기호, 코드 및 이미지 등을 인식할 수 있는 인식기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휴대용 인식기가 인식하여 상기 휴대용 통신 수단에 의해 전송 받은 이미지 데이터를 사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서비스를 네트워크 상에서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핸드폰은 모두 기본적인 무선 전화 통화 기능 이외에 문자 메시지 송신 및 수신 서비스 기능을 포함하고 있다. 나아가, 최근에 출시된 SK-텔레텍사의 모델명 IM-3100 핸드폰은 정지 영상을 전송하는 기능까지도 포함하고 있다. 그러나 비교적 소형인 핸드폰 및 그러한 핸드폰에 형성되어 있는 버튼의 작은 크기로 인해서, 메시지를 보내고자 하는 사용자는 매우 작은 핸드폰의 버튼을 계속 눌러서 문자열을 생성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특히, 핸드폰의 문자 입력 시스템에 의하면, 문자에 따라 하나의 버튼을 여러 번 계속 눌러야 하는 불편함도 있다.
한편, 현재 판매되고 있는 거의 대부분의 상품에는 바코드가 형성되어 있다. 상품을 구매하러 간 구매자 또는 사용해 보고자 하는 사용자는 상품 포장 및 그 포장에 인쇄되어 있지만 그 의미를 알 수 없는 바코드를 볼 수 있지만, 이것들만으로는 그 상품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얻기가 쉽지 않다. 이를 알기 위해서는 별도로인터넷에 접속하여 상기 상품을 검색하거나 상품을 판매하거나 제작한 회사에 문의해 보아야 한다.
그리고 어떤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그림을 간직하고 싶거나 누군가에게 전송하고 싶은 경우, 현재는 그 그림 내지 사진 등을 스캐닝하여 컴퓨터 파일로 변환한 다음, 컴퓨터에 저장하거나 타인에게 그 파일을 전송하는 방법이 있다. 상기 그림 내지 사진을 핸드폰이나 컴퓨터 화면의 배경으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상기 작업을 거친 전자 파일을 별도의 프로세스를 통해 다운로드받아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불편함을 해결하고, 보다 편리하게 문자, 기호, 코드 및 이미지를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개체들이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도록 하는 휴대용 인식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이 실시되기 위한 예시적인 환경을 도시한 도면.
도2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인식기의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
도3은 소프트웨어 모듈을 포함하고 있는 서버의 개략도를 도시한 도면.
도4은 사용자가 부가 서비스를 요청하는 경우의 처리 프로세스의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
도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인식기의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한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휴대용 인식기101: 문자, 기호, 코드 또는 이미지
102: 서버103, 104: 데이터 베이스
110: 인식부120: 처리부
130: 전송부140: 메모리부
200: 휴대용 통신 수단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인식기는, 인식 가능한 개체를 스캐닝하여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시키는 인식부와, 상기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된 이미지를 조합하여 하나의 이미지의 데이터로 생성하는 처리부와, 상기 처리부에 의해 생성된 이미지를 휴대용 통신 수단으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인식기는 네트워크 상의 서버로 이미지 데이터를 전송하지 않고, 개인용 컴퓨터에 연결하여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받는 것으로서, 상기 휴대용 인식기는 인식 가능한 개체를 스캐닝하여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키는 인식부와, 상기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이미지를 조합하여 하나의 이미지의 데이터로 생성하는 처리부와, 상기 처리부에 의해 생성된 이미지 데이터가 저장되는 메모리부와,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이미지 데이터가 컴퓨터로 전송될 수 있도록 하는 연결부와, 전원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인식기, 휴대용 통신 수단, 데이터 베이스를 포함하는 서버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환경에서, 휴대용 인식기에 의해 인식된 개체의 기본 정보 또는 소정의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방법은, 상기 서버가 상기 휴대용 인식기에 의해 인식되어 생성된 이미지 데이터를 휴대용 통신 수단에 의해 전송 받는 단계와, 상기 서버가 상기 전송 받은 이미지에 포함되어 있는 개체를 인식하기 위한 인식 소프트웨어 모듈을 작동시키는 단계와, 상기 서버가 상기 인식 소프트웨어 모듈에 의해 인식된 개체의 종류에 따라 인식된 개체 데이터를 기본 정보 및 서비스 제공 모듈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서버가 상기 기본 정보 또는 서비스 제공 모듈을 작동시켜 사용자의 휴대용 통신 수단으로 정보 또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방법은 휴대용 통신 수단의 배경 화면 제공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데, 상기 방법은, 상기 휴대용 인식기에 의해 인식된 이차원 영상의 이미지 데이터를 전송 받는 단계와, 상기 전송 받은 이미지 데이터를 휴대용 통신 수단의 배경 화면 표준 포맷으로 변환하는 단계와, 상기 변환된 포맷의 이미지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의 휴대용 통신 수단 또는 상기 사용자가 지정하는 타인의 휴대용 통신 수단으로 전송하여 휴대용 통신 수단의 배경 화면을사용되게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배경 화면 표준 포맷은 SIS 포맷이며, 상기 SIS 포맷 변환 단계 이후에, 변환된 이미지를 SIS 전송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이 실시되기 위한 시스템 및 네트워크 환경에 대해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가 적용되는 환경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이 실시되는 네트워크 환경은 문자, 기호, 코드 또는 이미지(101), 상기 문자, 기호, 코드 또는 이미지를 판독하여 인식할 수 있는 휴대용 인식기(100), 상기 휴대용 인식기(100)가 인식한 문자, 기호, 코드 또는 이미지를 전송할 수 있는 휴대용 통신 수단(200), 상기 휴대용 통신 수단(200)이 전송한 문자, 기호, 코드 또는 이미지를 네트워크를 통해 전달받아 예정된 소정의 처리 작업을 수행하는 서버(102) 및 데이터가 저장되는 데이터 베이스(103, 104)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휴대용 인식기(100)는 휴대용 통신 수단(200)에 부착 가능한 부착 수단을 포함할 수도 있다. 부착 수단은 예를 들어, 접착제가 될 수도 있고, 아니면 나사 결합 등의 기계적인 결합 부품이 될 수도 있다. 또는, 상기 휴대용 인식기(100)는 휴대용 통신 수단(200)에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네트워크는 상기 휴대용 통신 수단(200)과 서버(102)가 서로 통신할 수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예를 들어, 이동 전화망이 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동 전화망의 종류에 의해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광의의 이동 통신망을 포괄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이 인식하는 문자, 기호, 코드 또는 이미지(101)는 휴대용 인식기(100)에 의해 인식될 수 있는 것이면 어떠한 것이라도 가능하다.
상기 코드는 물체의 정보를 나타내도록 부여되어 있는 바코드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일반적으로는 일차원 바코드이겠지만, 이차원 코드 및 특수한 규칙에 의해 제작된 코드 예를 들어, 뷰메트릭사의 "아이콘 액트" 등도 포괄한다. 인식된 코드가 가리키는 물체에 대한 기본 정보는 서버(102)의 데이터베이스(103)에 기록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체에 대한 기본 정보 이외의 관련 정보는 상기 서버(102)의 데이터베이스(103)에 기록되어 있을 수도 있고, 아니면 네트워크 상의 다른 정보 소스에 존재할 수도 있다. 다른 정보 소스에 존재하는 경우에는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정보 소스에 액세스하여 관련 정보를 추출해내는 것이 가능하다.
도2에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인식기(100)의 블록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인식기(100)는 인식부(110), 처리부(120), 전송부(130) 및 메모리부(140)를 포함한다. 상기 휴대용 인식기(100)는 휴대용 통신 수단(200) 예를 들어, 휴대폰과 함께 사용되는데, 상기 휴대용 인식기(100)는 상기 휴대용 통신 수단(200)에 부착되어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휴대용 통신 수단(150)은 휴대하고 다닐 수 있는 통신 수단이면 어느 것이나 가능하며 휴대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사용자는 인식하고자 하는 문자 내지 기호에 휴대용 통신 수단(150)에 부착되어 있는 휴대용 인식기(100)를 대고 스캐닝하여, 상기 문자 내지 이미지를 인식한다. 즉, 문자 또는 기호 등의 영상을 디지털 전기 신호로 바꾸는 역할을 한다.
이렇게 변환된 디지털 전기 신호는 처리부(120)로 전송한다. 상기 전송은 실시간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인식부(110)에는 예를 들어, 미국 텍사스주 플라노시 소재의 타오스사(Taos Inc.)가 제작하여 판매하는 모델명 TSL2301의 CMOS 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처리부(120)는 휴대용 인식기(100)의 중앙 처리 장치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사용할 수 있다. 인식부(110)에서 스캐닝되어 전송되는 선형 이미지의 디지털 전기 신호는 버퍼 메모리부(140)에 저장되고, 상기 처리부(120)는 상기 저장된 디지털 전기 신호를 순차적으로 받아들여 전체 영상을 조합하여 하나의 이미지로 조합한다. 스캐닝이 완료되면 상기 처리부(120)는 조합된 이미지를 압축하여 전송하거나, 데이터의 크기가 크지 않으면 압축하지 않고 그대로 전송부(130)를 통해서 휴대용 통신 수단(200) 예를 들어, 핸드폰으로 전송한다. 상기 휴대용 통신 수단(200)은 전송받은 이미지를 서버(102)로 전송한다.
상기 전송부에는 예를 들어, 연결 케이블 RS-232c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연결 케이블은 휴대용 통신 수단(200)의 시리얼 통신 단자에 연결되어 데이터를 전송하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휴대용 통신 수단(200)에 별도로 정의된 단자에 연결될 수도 있고, 아니면 전송부를 휴대용 통신 수단(200)에 내장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휴대용통신 수단(200)이 PDA인 경우에는 Compact Flash slot 이나 PCMCIA slot 등의 확장 표준을 통하여 연결될 수 있고, 휴대용 통신 수단(200)이 무선 기능이 내장된 휴대용 PC의 경우에는 USB 등을 이용하여 연결될 수도 있다. 또는, 핸드폰이나 기타 기기 등에 있어서 블루 투스 등의 무선 통신 규약을 통하여 데이터를 전송할 수도 있다.
문자 또는 기호의 이미지 데이터를 전송받은 서버(102)는 문자 인식 소프트웨어 모듈를 동작시킴으로써 상기 전송받은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휴대용 인식기(100)가 스캐닝한 문자 내지 기호열이 무엇인지를 판독하게 된다. 서버(102)에 인식 소프트 웨어 모듈을 추가함으로써 영어, 한글, 일어 등 여러 가지 언어를 인식할 수 있고, 특수 기호 등도 인식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판독 과정에 의해서 문자 내지 기호 등이 특정되면, 서버(102)는 인식된 문자 내지 기호를 각종 사전 내지 검색 엔진으로 전송하거나 단문 서비스(Short Message Service: SMS), 개인 정보 관리 시스템(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PIMS), 전화 걸기 등의 모듈로 전송한다. 도3에는 상기 모듈들을 포함하고 있는 서버(102)가 도시되어 있다. 도3에는 예시적으로, SMS모듈(320), PIMS모듈(330), 전화 걸기 모듈(340) 및 웹 검색 모듈(350)이 도시되어 있지만, 원하는 서비스 모듈들은 얼마든지 추가할 수 있다. 도3에 도시된 소프트웨어 모듈들(320, 330, 340)은 인식 소프트웨어(310)와 연동되어 서버에서 문자 또는 기호가 인식되면, 해당 인식 결과를 전달 받아 작동된다. 이때 소프트웨어 모듈이 인식 소프트웨어와 연동되는 방법은 라이브러리화가 되어 연동될 수도 있고, 메모리의 인식 결과를 바로 읽어들일 수 있는 등의 다양한 방법이 있다. 어느 소프트웨어 모듈을 작동시키는 지에 대해서는 각 기능의 선택이 자동으로 이루어 질 수도 있고 즉, 인식부(110)에서 바코드인지, 아이콘 액트인지, 문자인지를 구별할 수 있는 경우에는 파악하여 인식된 대상에 따라 소프트 웨어 모듈을 자동적으로 선택하게 할 수도 있고, 사용자가 선택하도록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대방으로부터 받은 명함에 기재되어 있는, 이름, 전화 번호, 팩스 번호, 이 메일 등을 휴대용 인식기(100)로 스캐닝하여 서버(102)로 전송하여 서버(102)가 상기 문자를 인식한 후, 다시 휴대용 통신 수단(200)으로 전송함으로써 명함에 기재되어 있는 상대방의 정보를 일일이 입력하지 않아도 휴대용 통신 수단(200)의 개인 정보 항목에 저장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상대방에게 전송하고자 하는 내용 특히, 활자화 되어 있는 내용을 다시 일일이 휴대용 통신 수단(200)을 통해 입력하지 않고, 단지 휴대용 인식기(100)로 스캐닝만 함으로써 서버(102)의 SMS 모듈(320)을 통해 상대방의 핸드폰 등의 휴대용 통신 수단으로 전송되도록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결과를 가공하여 서버(102)의 데이터 베이스(104)에 보관하고 사용자가 추후 유무선 인터넷으로 확인하도록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휴대용 인식기(100)가 바코드 등의 코드를 인식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휴대용 인식기(100)에 의해 인식되어 전송된 이미지를 받은 서버(102)에서 코드 인식 소프트웨어가 동작한다. 상기 코드 인식 소프트웨어에서 인식된 코드에 해당하는 일련번호를 판독하고, 판독된 식별번호에 해당하는 물체의 기본 정보를 데이터 베이스(103)를 참조하여 검색한다. 물체의 기본 정보는 당해 물체에 대한 속성을 나타내는 기본적인 정보이다. 상기 판독된 물체의 일련 번호와 기본 정보 간의 연관 관계를 통해 당해 식별 번호가 각인되어 있는 물체에 대한 기본적인 속성을 검색해 낼 수 있다. 이처럼 검색된 기본 정보는 당해 물체의 관련 정보를 서버(102) 또는 네트워크 상의 다양한 정보 소스로부터 검색하기 위한 참조어 또는 키워드의 역할을 한다. 또한, 기본 정보는 당해 물체와 관련된 인터넷의 특정 사이트를 지정하는 URL이 될 수 있다.
상기 기본 정보는 서버(102)에 기록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네트워크 상의 서버에는 다양한 물체에 관한 기본 정보와 함께 이 기본 정보와 물체에 각인되어 있는 코드가 가리키는 식별 번호와의 연관 관계가 기록되어 있다. 서버(102)는 별도의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이 데이터베이스 내에 물체에 기본 정보 및 식별 정보와의 연관 관계를 기록한다.
한편, 식별 번호에 사용자 식별 번호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사용자에 관한 기본 정보를 서버(102)에 기록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사용자 식별 번호와 당해 사용자에 대한 기본 정보와의 연관 관계도 기록해 둘 필요가 있다. 사용자에게 사용자 식별 번호를 할당할 때에는, 사용자의 기본 정보도 사용자로부터 직접 입력 받고, 이를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일반적인 상품에 표기되는 바코드에 대해서는, 당해 바코드를 발행한 기관의 데이터베이스와의 링크를 통해 식별 번호와 기본 정보와의 연동을 용이하게 달성한다. 또는, 별도의 프로그램, 예를 들어 에이전트 프로그램 등을 구동하여 당해 바코드와 관련된 기본 정보로의 링크를 자동으로 갱신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품의 바코드가 포함하고 있는 기본 정보는 상품명, 제조사, 제조 일자, 형태, 맛, 색깔 등의 상품 속성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서버(102)는 기본 정보 이외에 관련 정보를 검색할 수 있도록, 검색된 물체의 기본 정보를 네트워크 상의 다양한 정보 소스에 사용할 수 있는 형태로 변형한다. 서버(102)는 당해 기본 정보로부터 관련 정보를 검색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검색어 또는 키워드를 추출해 낸다. 관련 정보는 네트워크 상의 임의의 정보 소스에 존재하는 당해 물체와 관련된 다양한 정보이다. 이러한 관련 정보에는 당해 물체의 사용기, 판매처 정보 등이 있다.
서버(102)는 기본 정보로부터 작성된 검색어 또는 키워드를 참조하여 네트워크 상의 다양한 정보 소스로부터 당해 물체와 관련된 관련 정보를 검색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에이전트 프로그램 등을 이용하여, 검색어 또는 키워드를 네트워크 상의 다른 서버로 전송하고, 이어서 다른 서버가 검색어 또는 키워드를 참조하여 관련 정보를 검색한다. 상기 다른 서버들은 다양한 관련 정보를 검색할 수 있는 검색 엔진 기능을 갖고 있는 검색 엔진 기능을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에이전트 프로그램은 상기 다른 서버들로부터 검색 결과를 전송받는다.
이와 같이 검색된 기본 정보 내지 관련 정보는 다시 휴대용 통신 수단(200)으로 전송되어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검색된 기본 정보 및 관련 정보는 서버(102)의 데이터베이스(103, 104)에 기록하고 있다가 추후 유무선 인터넷 등을 통한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확인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관련 정보를 서버(102)로부터 제공받은 사용자가 부가적인 서비스를 요구할 수 있다. 도4에는 본 발명에 따라 관련 정보를 제공받은 사용자가 부가 서비스를 요청하는 경우의 처리 프로세스의 일례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사용자가 부가 서비스를 요구하거나 또는 사용자의 행위에 따라 부가 서비스가 가능한 경우, 휴대용 통신 수단(200)에 버튼을 표시하거나 제공하여, 사용자에게 부가 서비스의 수행 여부를 묻는다.(402) 사용자가 버튼을 누름으로써 부가 서비스를 요구하는 경우(403), 당해 사용자의 요구를 서버(102)에 전달하고(404), 서버(102)는 사용자가 요구한 서비스를 수행한다.(405) 서버(102)가 전송한 서비스의 결과를 사용자에게 그대로 제공하거나, 또는 가공하여 제공한다.(406)
본 발명에 의하면 관련 정보를 제공받은 사용자가 당해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부가적인 정보의 가공을 서버에 요구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에게 둘 이상의 가격 정보를 포함하는 관련 정보가 제공되는 경우, 사용자는 제공받은 가격 정보 중 가장 저렴한 가격을 보장할 수 있는 쇼핑몰에 관한 정보를 받아보기를 원할 수 있다. 이 경우, 서버는 관련 정보를 분석하여 가장 저렴한 가격 정보를 보장할 수 있는 인터넷 쇼핑몰에 관한 관련 정보만을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관련 정보들이 상품의 가격 정보, 매매 정보, 경매 및 역경매 정보인 경우, 사용자는 당해 상품의 최적 구매를 서버(102)에 요구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서버(102)는 경매 및 역경매 에 자동적으로 참여하고 매매 정보 및 가격 정보를 분석하여 최적 구매 요구를 수행하게 된다.
또한, 검색된 관련 정보 및 가공된 정보는 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임시 저장되어 동일한 사용자의 동일한 물체에 대한 검색 요구에 더욱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검색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휴대용 인식기(100)가 스티커 사진 또는 그림 등의 이미지를 인식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인식된 이미지가 휴대용 통신 수단(200)을 통해 서버(102)로 전송된다. 또는, 서버(102)로 전송하지 않고 상기 인식된 이미지를 직접 처리하여 예를 들어, 핸드폰의 배경 화면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서버(102)로 전송된 이미지는 현재 핸드폰 배경 화면 표준으로 되어 있는 주식회사 네오엠텔의 SIS 포맷으로 변환된 후 SIS 전송 서버로 옮겨진 다음 사용자의 다운로드 기능 작동이나 해당 이미지의 URL을 호출하는 SMS 메시지, 또는 WAP Push 등의 방법으로 이미지를 스캐닝한 당사자 혹은 당사자가 지정하는 타인의 핸드폰 배경화면으로 전송이 가능하다. 그리고 이미지를 인식하는 프로세스 및 장치는 코드 및 문자를 인식하는 프로세스 및 장치와 동일하나, 이미지의 경우에는 서버(102)로 전송된 후에 인식 소프트웨어가 작동하지 않고 바로 이미지를 처리하는 (SIS로 변환한다던지) 소프트웨어 기능 모듈로 넘어가게 된다. 스캐닝하는 대상이 이미지인지 코드인지 문자인지는 사용자가 초기에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서버(102)로 전송된 이미지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서 다른 사용자로 전송되거나 서버(102)의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고 있다가 추후, 사용자가 유무선 인터넷을 통하여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인식된 이차원 영상을 휴대용 통신 수단(200)의 배경 화면으로 사용하는 방법에 관한 것만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사상이 그것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휴대용 인식기(100)에 의해 인식되어 휴대용 통신 수단(200)에 의해 전송된 이차원 영상은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서 사용자 또는 타인의 이메일 주소로 전송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휴대용 인식기(100)가 휴대용 통신 수단(200)에 부착되지 않은 상태로 단독 휴대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스캐닝을 한 후, 개인용 컴퓨터에 상기 휴대용 인식기(100)를 연결하여 스캐닝된 문자, 기호 또는 코드 등을 판독하고, 필요한 처리를 할 수 있도록 한다.
도5는 본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인식기(500)의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휴대용 인식기(500)는 인식부(510), 처리부(520), 메모리부(530), 전원부(도시되지 않음) 및 범용 직렬 버스(Universal Serial Bus; USB) 연결부(540)를 포함한다.
상기 범용 직렬 버스 연결부(540)에 연결되는 연결 케이블을 통해 상기 휴대용 인식기(400)는 컴퓨터에 연결 가능하고, 서로 간에 데이터 전송도 가능해 진다.그러나 본 발명은 범용 직렬 버스 연결부(540)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휴대용 인식기(500)와 컴퓨터 간의 데이터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모든 연결 수단을 포함하도록 해석되어야 한다.
휴대용 인식기(500)의 인식부(510), 처리부(520)의 역할은 전술한 휴대용 인식기(100)의 그것들과 거의 동일하다. 다만, 휴대용 인식기(500)는 서버(102)로 스캐닝된 이미지를 전송하는 것이 아니라, 추후 개인용 컴퓨터에 연결하여 전송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스캐닝된 이미지는 컴퓨터에 연결될 때까지 메모리부(530)에 저장된다. 그리고 인식부(510)에 의해 스캐닝되어 전달된 선형 이미지들은 버퍼 메모리부(도시되지 않음)에 일시 저장된 후에 처리부(420)에 의해 처리된다.
한편, 상기 처리부(520)는 인식부(510)에 의해 스캐닝되어 전달된 선형 이미지들을 조합하여 하나의 이미지로 만드는 역할을 수행하는데,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처리부(520)를 휴대용 인식기(500)에 포함시키지 않고, 나중에 상기 휴대용 인식기(500)가 연결되는 개인용 컴퓨터에 포함시킬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메모리부(530)에는 상기 인식기(510)에 의해 스캐닝된 선형 이미지들이 저장되고, 저장된 선형 이미지들은 추후에 연결되는 컴퓨터에서 조합되고 판독되게 된다. 또한, 이 경우에는 휴대용 인식기(500)에 버퍼 메모리가 필요없게 된다.
스캐닝되어 전송된 이미지가 문자 내지 기호인 경우에는 컴퓨터의 문자 인식 소프트웨어가 동작하여 해당 문자 내지 기호를 인식하고, 해당 문자열을 각종 사전 또는 검색 엔진으로 전송하거나 단문 서비스(Short Message Service: SMS), 개인정보 관리 시스템(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PIMS), 전화 걸기 등의 다양한 기능 모듈로 전송한다.
그리고 상기 기능 모듈에서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서 소정의 작업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상기 컴퓨터는 인터넷 서비스 등을 통해서 상기 문자 내지 기호를 예정된 수신자에게 송신하거나 컴퓨터의 데이터 베이스 등에 기록한다.
상기 휴대용 인식기(100)에 의해 스캐닝되고 컴퓨터로 전송된 이미지가 소정의 코드인 경우에는 컴퓨터의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자료를 참조하여 상기 코드가 가리키는 식별 번호를 판별해 내고, 그러한 식별 번호가 의미하는 것의 기본 정보 및 관련 정보를 검색해 낼 수 있다. 컴퓨터의 데이터 베이스에 상기 정보들이 기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컴퓨터는 통신망을 이용해서 서버(102)에 접속하여 서버(102)의 데이터 베이스에 기록되어 있는 자료들을 검색하여 상기 기본 정보 및 관련 정보를 검색하여 그 결과를 전송 받는다. 관련 정보가 다른 서버에 기록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서버에 접속하여 그 서버에 기록되어 있는 관련 정보를 검색하고 전송 받도록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현재 대부분의 사람들이 소유하고 있는 휴대용 통신 수단 예를 들어, 휴대폰에 소형의 인식기를 함께 부착하여 휴대함으로써 문자, 기호, 코드 내지 그림 등을 곧바로 인식할 수 있으며, 인식된 개체는 서버 또는 개인용 컴퓨터로 전송되어 상기 인식된 개체에 대해 수행하고자 하는 소정의 작업이 용이하게 되는 작용 효과가 제공된다. 특히, 문자 메시지를 타인에게 전송한다거나 또는어떠한 상품의 기본 정보 및 관련 정보를 단지 휴대용 통신 수단에 부착되어 있는 휴대용 인식기를 사용하여 스캐닝만함을써 매우 간단하게 획득할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된다. 상기 정보들을 손쉽게 획득하게 되면 어떠한 상품의 구입시나 사용시 정확한 정보에 입각하여 고려할 수 있는 효과도 제공된다.
나아가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그림도 인식할 수 있음으로 해서 예를 들어, 마음에 드는 그림을 간단하게 스캐닝함으로써 핸드폰의 배경 화면이나, 개인용 컴퓨터의 배경 화면으로 사용할 수도 있게 되는 작용 효과가 제공된다.

Claims (21)

  1. 인식 가능한 개체를 스캐닝하여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시키는 인식부와,
    상기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된 이미지를 조합하여 하나의 이미지의 데이터를 생성하는 처리부와,
    상기 처리부에 의해 생성된 이미지를 휴대용 통신 수단으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인식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데이터들이 저장되는 버퍼 메모리부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인식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인식기는 휴대용 통신 수단에 부착되도록 하는 부착 수단도 포함하는, 휴대용 인식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생성된 이미지 데이터를 압축하도록 되어 있는, 휴대용 인식기.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인식기는 휴대용 통신 수단과 일체로 형성되는, 휴대용 인식기.
  6. 제1항 중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통신 수단은 핸드폰 및 PDA 중 어느 하나인, 휴대용 인식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부는 상기 핸드폰 또는 PDA의 시리얼 통신 단자에 연결되는, 휴대용 인식기.
  8. 휴대용 인식기, 휴대용 통신 수단, 데이터 베이스를 포함하는 서버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환경에서, 휴대용 인식기에 의해 인식된 개체의 기본 정보 또는 소정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서버가 상기 휴대용 인식기에 의해 인식되어 생성된 이미지 데이터를 휴대용 통신 수단에 의해 전송 받는 단계와,
    상기 서버가 상기 전송 받은 이미지에 포함되어 있는 개체를 인식하기 위한 인식 소프트웨어 모듈을 작동시키는 단계와,
    상기 서버가 상기 인식 소프트웨어 모듈에 의해 인식된 개체의 종류에 따라 설정되어 있는 기본 정보 및 서비스 제공 모듈로 개체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서버가 상기 기본 정보 또는 서비스 제공 모듈을 작동시켜 기본 정보 또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 소프트웨어 모듈은 문자 인식 소프트웨어 모듈 및 코드 인식 소프트웨어 모듈을 포함하는, 방법.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제공되는 기본 정보 또는 서비스는 사용자의 휴대용 통신 수단 또는 사용자가 지정하는 타인의 휴대용 통신 수단으로 전송되는, 방법.
  11.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 정보 및 서비스 제공 모듈은 단문 서비스 모듈, 개인 정보 관리 서비스 시스템 모듈, 전화 걸기 모듈, 웹 검색 모듈을 포함하는, 방법.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개체는 개체가 인쇄되어 있는 매체의 식별 기호로 사용되는 코드인,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 정보는 서버의 데이터 베이스에 기록되어 있는, 방법.
  14.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가 네트워크 상의 정보 소스들을 검색하여 관련 정보를 사용자의 휴대용 통신 수단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5.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관련 정보를 제공받은 사용자가 부가 서비스를 요구하면 서버가 요청된 서비스를 수행하여 그 결과를 사용자의 휴대용 통신 수단으로 전송하는 단계도 포함하는,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서버가 상기 부가 서비스 수행 결과를 가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7. 휴대용 인식기, 휴대용 통신 수단 및 서버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환경에서, 휴대용 인식기에 의해 인식된 그림 또는 사진 등의 이차원 영상을 휴대용 통신 수단의 배경 화면으로 제공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인식기에 의해 인식된 이차원 영상의 이미지 데이터를 전송 받는 단계와,
    상기 전송 받은 이미지 데이터를 휴대용 통신 수단의 배경 화면 표준 포맷으로 변환하는 단계와,
    상기 변환된 포맷의 이미지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의 휴대용 통신 수단 또는 상기 사용자가 지정하는 타인의 휴대용 통신 수단으로 전송하여 휴대용 통신 수단의 배경 화면으로 사용되게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배경 화면 표준 포맷은 SIS 포맷이며, 상기 SIS 포맷 변환 단계 이후에, 변환된 이미지를 SIS 전송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9. 인식 가능한 개체를 스캐닝하여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시키는 인식부와,
    상기 디지털 데이터를 조합하여 하나의 이미지의 데이터로 생성하는 처리부와,
    상기 처리부에 의해 생성된 이미지의 데이터가 저장되는 메모리부와,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이미지 데이터가 컴퓨터로 전송될 수 있도록 하는 연결 케이블이 접속되는 연결부와,
    전원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인식기.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USB 연결부인, 휴대용 인식기.
  21. 인식 가능한 개체를 스캐닝하여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시키는 인식부와,
    상기 디지털 데이터가 저장되는 메모리부와,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이미지 데이터가 컴퓨터로 전송될 수 있도록 하는 연결부와,
    전원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인식기.
KR10-2001-0050731A 2001-08-22 2001-08-22 휴대용 인식기 및 상기 휴대용 인식기를 이용한 네트워크상의 서비스 제공 방법 KR1004158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0731A KR100415899B1 (ko) 2001-08-22 2001-08-22 휴대용 인식기 및 상기 휴대용 인식기를 이용한 네트워크상의 서비스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0731A KR100415899B1 (ko) 2001-08-22 2001-08-22 휴대용 인식기 및 상기 휴대용 인식기를 이용한 네트워크상의 서비스 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7739A true KR20030017739A (ko) 2003-03-04
KR100415899B1 KR100415899B1 (ko) 2004-01-24

Family

ID=277203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0731A KR100415899B1 (ko) 2001-08-22 2001-08-22 휴대용 인식기 및 상기 휴대용 인식기를 이용한 네트워크상의 서비스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1589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6710B1 (ko) * 2005-08-12 2007-05-09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다양한 형식의 코드를 이용한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0813956B1 (ko) * 2003-09-24 2008-03-14 삼성전자주식회사 단일 스캔 작업을 구성하는 일군의 문서들을 식별하기위한 스캔 장치 및 그 방법 및 문서의 귀접힘을 검출하기위한 장치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7508Y1 (ko) * 2000-02-22 2000-12-15 주식회사씨스앤레코 휴대용 스캐너
KR200212379Y1 (ko) * 2000-05-26 2001-02-15 김준석 인터넷 이용을 위한 휴대용 데이터 입력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3956B1 (ko) * 2003-09-24 2008-03-14 삼성전자주식회사 단일 스캔 작업을 구성하는 일군의 문서들을 식별하기위한 스캔 장치 및 그 방법 및 문서의 귀접힘을 검출하기위한 장치 및 그 방법
US7688475B2 (en) 2003-09-24 2010-03-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Scanning apparatus and method of identifying group of papers constituting single scan job and apparatus and method of detecting dog-ears of papers
KR100716710B1 (ko) * 2005-08-12 2007-05-09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다양한 형식의 코드를 이용한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15899B1 (ko) 2004-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07581B1 (en) Remote information access system which utilizes handheld scanner
US6138151A (en) Network navigation method for printed articles by using embedded codes for article-associated links
JP5529082B2 (ja) レンダリングされた文書からのハンドヘルド装置を用いたデータ取得
US20030069806A1 (en) System and method for sharing needs and information using physical entities
JP2001337978A (ja) デジタル情報入力システム
US20070021969A1 (en) Mobile electronic transaction system, device and method therefor
JP2002366941A (ja) パームオフィスアシスタント
US20060204098A1 (en) Wireless telecommunications terminal comprising a digital camera for character recognition, and a network therefor
US20100025470A1 (en) Bar code reader, optical mouse, and bar code reading method
US20020165801A1 (en) System to interpret item identifiers
JP2010536188A6 (ja) レンダリングされた文書からのハンドヘルド装置を用いたデータ取得
CN100471204C (zh) 在短信中动态显示相关信息的系统及其方法
KR100415899B1 (ko) 휴대용 인식기 및 상기 휴대용 인식기를 이용한 네트워크상의 서비스 제공 방법
WO2002001379A2 (en) Remote information access system which utilizes handheld scanner
JP2002077994A (ja) サーバ・アクセス方法及びその装置並びに移動端末
KR20040079625A (ko) 코드 패턴을 이용한 컨텐츠 제공방법
JP2000250854A (ja) カメラで撮影した画像をサーバで表示するシステム、そのサーバ及びそのサーバ用制御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KR20040081890A (ko) 코드 패턴을 이용한 전자 상거래 제공장치 및 그 방법
JP2003108452A (ja) インターネット情報提供システム及びインターネット情報提供方法並びにインターネット情報提供用プログラム。
KR100491249B1 (ko) 코드 패턴을 이용한 개인 연락 정보 제공장치 및 그 방법
JP2002281171A (ja) 携帯端末装置
KR20020050404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바코드 정보 전송을 통한 데이터 처리방법 및 장치
JP2000224328A (ja) 携帯電話機と一体を成す文字、図柄などの読取装置。
JP3104763U (ja) 携帯電話機用icタグ読取装置
JP2006023901A (ja) 商品情報提供方法及びシステム並びに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03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