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13059A -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차량용 핸즈프리 킷 사용 안내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차량용 핸즈프리 킷 사용 안내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13059A
KR20030013059A KR1020010047346A KR20010047346A KR20030013059A KR 20030013059 A KR20030013059 A KR 20030013059A KR 1020010047346 A KR1020010047346 A KR 1020010047346A KR 20010047346 A KR20010047346 A KR 20010047346A KR 20030013059 A KR20030013059 A KR 200300130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hands
free kit
identification c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73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01207B1 (ko
Inventor
임준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473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01207B1/ko
Publication of KR200300130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30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12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120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33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for providing handsfree use or a loudspeaker mode in telephone sets
    • H04M1/6041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 H04M1/6075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adapted for handsfree use in a veh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내에서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하는 핸즈프리 킷을 사용하도록 안내하는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가 차량의 시동을 걸면 핸즈프리 킷의 전원이 온된다. 이동 통신 단말기는 핸즈프리 킷으로부터 이동 통신 단말기에 고유로 부여되는 식별 코드를 수신한다. 이동 통신 단말기는 핸즈프리 킷으로부터 수신된 식별 코드와 이동 통신 단말기의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식별 코드를 비교한다. 비교한 결과가 일치하면 핸즈프리 킷을 사용하도록 안내하는 음성 안내 메시지를 출력한다. 그리고 이동 통신 단말기가 핸즈프리 킷에 장착이 되면 이동 통신 단말기의 동작 모드를 핸즈프리 모드로 전환한다.

Description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차량용 핸즈프리 킷 사용 안내 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FOR GUIDING A USE OF HANDS FREE-KIT FOR VEHICLE USING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량 내에서 사용되는 핸즈프리 킷에 관한 것이다.
현재 정보 통신의 기술은 급속한 속도로 발달하고 있다. 이러한 기술 가운데최근 주목을 받는 기술은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이다.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은 가전기기, 컴퓨터, 노트북, 디지털 카메라 등 다양한 분야에 사용되고 있다.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은 크게 적외선 통신(IrDA : infrared data association)과 블루투스(blue tooth)로 나눌 수 있다. 적외선 통신은 적외선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시리얼(serial)하게 전송하는 기술로서 4Mbps의 최대 전송 속도와, 일대일 통신, 저 전력, 저 비용의 특징을 지니고 있다. 그리고 블루투스는 에릭슨(Ericsson)사에 의해서 정의된 기술로 적외선 통신을 개선한 기술이다. 블루투스는 2.4GHz의 고주파를 사용하여 장애물에 상관없이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고, 10m 이내의 장비들과 데이터 통신을 할 수 있다. 그리고 10Mbps의 최대 전송 속도와, 79개의 최대 채널 용량, 저 전력의 특징을 지니고 있다. 또한 블루투스 모듈의 부품수도 줄어들어 주요 칩 제조 회사에서는 단일 칩 구조를 개발하여 공급하고 있다. 블루투스 기술은 이동 통신 단말기와 핸즈프리 장치에서도 응용되고 있다.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는 일반 사람들에게 필수품이 되어 현재 국내에서만 이동 통신 가입자가 2000천만 명을 넘어섰다. 그런데 이동 통신 단말기 사용자의 급증에 따른 사회적인 문제도 많이 발생하고 있다. 그 중 가장 대표적인 것이 운전 중 이동 통신 단말기 사용으로 인한 교통 사고이다. 이에 대응하여 사용자가 차량 운전 중 이동 통신 단말기를 사용하여 적발될 경우 사용자에게 범칙금을 부과하고 있다. 그래서 최근 이동 통신 단말기 사용자들은 차량 운전 중에 핸즈프리 장치와 같은 음성 입출력 장치를 이용하여 음성 통화를 실시하고 있다. 이러한 핸즈프리 장치는 통상 차량의 전원과 연결된 핸즈프리 킷을 포함하고 있다. 사용자는 차량에탑승을 하면 통상 핸즈프리 킷에 이동 통신 단말기를 장착하여 차량 운전 중 통화를 한다.
그런데 사용자의 부주의로 인해 이동 통신 단말기를 핸즈프리 킷에 장착하지 않고 차량 운전 중 호가 착신이 되면, 사용자는 핸즈프리 킷를 사용하지 않고 음성 통화를 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즉, 핸즈프리 킷를 구비하고도 사용자들은 핸즈프리 킷을 사용하지 않을 수가 있으며, 이에 따라 차량 운전 중 이동 통신 단말기의 사용으로 인해 교통 사고가 날 위험이 아직 남아 있다.
그러므로 사용자가 차량의 시동을 걸었을 때 핸즈프리 킷 사용을 권고하는 메시지가 출력된다면, 사용자가 핸즈프리 킷을 사용함으로써 위와 같은 교통 사고가 발생할 위험성이 더 줄어들게 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 내에서 이동 통신 단말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하는 핸즈프리 킷을 사용하도록 안내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이동 통신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핸즈프리 킷 사용 안내 장치의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차량용 핸즈프리 킷 사용 안내 처리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교환국의 처리 흐름도.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차량 내에서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하는 핸즈프리 킷을 사용하도록 안내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에 고유로 부여되는 식별 코드를 저장하는 핸즈프리 킷의 메모리와, 상기 식별 코드를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로 전송하기 위한 핸즈프리 킷의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과, 상기 핸즈프리 킷에 전원이 공급되면 상기 핸즈프리 킷의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식별 코드를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에 전송하도록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을 제어하는 핸즈프리 킷의 제어부를 포함하는 핸즈프리 킷과, 상기 핸즈프리 킷으로부터 상기 식별 코드를 수신하기 위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과,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식별 코드와, 사용자가 상기 핸즈프리 킷을 사용하도록 안내하는 음성 안내 메시지의 음성 데이터를 저장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메모리와, 상기 핸즈프리 킷으로부터 수신된 식별 코드와 이동 통신 단말기의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식별 코드를 비교하는 비교기와,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가 상기 핸즈프리 킷에 장착되면 장착 감지 신호를 발생하는 핸즈프리 킷 장착 감지부와, 상기 비교기에서 비교한 결과가 일치하면 상기 음성 안내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음성 처리부를 제어하고, 상기 장착 감지 신호가 발생하면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동작 모드를 핸즈프리 모드로 전환하도록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면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이동 통신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이동 통신 시스템은 기지국 제어부(BSC : Base Station Controller)(21,,30)를 구비한 이동 교환국(10)이 다수의 기지국(31,,40)과 유선으로 연결되어 다수의 기지국(31,,40)을 제어한다. 다수의 기지국(31,,40)은 다수의 이동 통신 단말기(51,,100)와 무선으로 연결되어 음성 및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핸즈프리 킷 사용 안내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차량용 핸즈프리 킷 사용 안내 장치는 핸즈프리 킷(200)과 이동 통신 단말기(100)로 이루어진다. 핸즈프리 킷(200)은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220), 메모리(230), 전원 구동부(240) 및 제어부(2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전원 구동부(240)는 차량에 시동이 걸렸을 때, 차량의 전원을 핸즈프리 킷(200)에 공급한다. 메모리(230)는 플래시 메모리 형태로 이동 통신 단말기(100)에 고유로 부여되는 식별 코드를 저장한다. 예를 들어,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일련 번호(ESN : Electronic Serial Number)를 식별 코드로써 미리 저장하고 있다. 이러한 식별 코드는 사용자가 핸즈프리 킷(200) 구입 시에 핸즈프리 킷(200) 판매자가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일련 번호를 확인하여 식별 코드를 핸즈프리 킷의 메모리(230)에 저장시키도록 하면 된다.
제어부(210)는 핸즈프리 킷(200)에 전력이 공급되면 식별 코드를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220)을 통해 이동 통신 단말기(100)로 전송한다.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220)은 이동 통신 단말기의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120)과 데이터 통신을 하며, 식별 코드를 이동 통신 단말기(100)에 전송한다.
그리고 이동 통신 단말기(100)는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120), 비교기(130),메모리(140), 핸즈프리 킷 장착 감지부(150), 송수신부(160), 음성 처리부(170) 및 제어부(1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메모리(140)는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각종 데이터와,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식별 코드와 핸즈프리 킷(200)을 사용하도록 안내하는 핸즈프리 킷 사용 안내 메시지의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다. 비교기(130)는 핸즈프리 킷(200)으로부터 수신된 식별 코드와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식별 코드를 비교한다. 핸즈프리 킷 장착 감지부(150)는 이동 통신 단말기(100)가 핸즈프리 킷(200)에 장착이 되면 장착을 감지하여 장착 감지 신호를 발생한다. 송수신부(160)는 안테나를 통해 기지국과 음성 및 데이터 송수신한다. 음성 처리부(170)는 송수신부(160)로부터 수신된 음성 신호를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고, 마이크로부터 입력된 음성을 음성 신호로 전환하여 송수신부(160)로 전송한다. 제어부(110)는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제반 동작을 제어하며, 음성 안내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이동 통신 단말기(100)가 핸즈프리 킷(200)에 장착이 되면,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동작 모드를 핸즈프리 모드로 전환하도록 한다.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은(120) 핸즈프리 킷의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220)과 데이터 통신을 한다. 이동 통신 단말기의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210)과 핸즈프리 킷의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22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적외선 통신 모듈이나 블루투스 모듈 칩을 사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차량용 핸즈프리 킷 사용 안내 처리 흐름도를 300 내지 340 단계로 보인 도 3을 참조하여 차량용 핸즈프리 킷 사용 안내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가 차량에 탑승하여 차량의 시동을 걸면 핸즈프리 킷(200)에 전력이 공급된다. 이동 통신 단말기(100)는 300단계에서 핸즈프리 킷(200)으로부터 식별 코드를 수신한다. 그리고 310단계에서 이동 통신 단말기의 메모리(140)에 있는 식별 코드와 비교한다. 비교한 결과가 일치하면, 320단계에서 음성 안내 메시지를 스피커를 통해 출력한다. 음성 안내 메시지 출력 후 330단계에서 일정 시간 내에 이동 통신 단말기(100)에 핸즈프리 킷(200)이 장착이 되어 장착 감지 신호가 발생하면, 340단계에서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동작 모드를 핸즈프리 모드로 전환한다. 여기서 일정 시간은 1분 또는 2분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런데 33O단계에서 장착 감지 신호가 발생하지 않으면, 이동 통신 단말기(100)는 350단계에서 음성 수신을 거부하는 수신 거부 신호를 상기 송수신부를 통하여 기지국(40)에 전송한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이동 교환국의 처리 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동 교환국(10)은 400단계에서 수신 거부 신호를 기지국(40)으로부터 수신한다. 이 후, 410단계에서 이동 통신 단말기(100)에 대한 호출이 있을 경우, 420단계에서 수신 거부 신호에 대응하는 수신 거부 메시지를 호출을 요구한 이동 통신 단말기(51)에 전송을 한다.
한편 330단계에서 음성 안내 메시지 출력 후, 일정 시간 내에 상기 장착 감지 신호가 발생하지 않으면, 미리 설정된 예약 시간에 주기적으로 음성 안내 메시지를 스피커를 통하여 출력한다. 여기서 미리 설정된 예약 시간은 바람직하게 20분 내지 30분으로 설정한다.
위와 같이 사용자가 차량의 전원을 온 시켰을 때, 1분 내지 2분 이내에 핸즈프리 킷 사용을 권고하는 메시지를 출력한다면 사용자가 핸즈프리 킷에 이동 통신 단말기를 거치 하지 않는 일은 발생하지 않을 것이다. 또한 이동 통신 단말기를 거치 하지 않더라도 이동 교환국에서 수신을 거부하는 메시지를 발생함으로써 차량 운행 중 교통 사고가 발생할 위험이 현격히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차량 내에서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하는 핸즈프리 킷을 사용하도록 안내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에 고유로 부여되는 식별 코드를 저장하는 핸즈프리 킷의 메모리와,
    상기 식별 코드를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로 전송하기 위한 핸즈프리 킷의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과,
    상기 핸즈프리 킷에 전원이 공급되면 상기 핸즈프리 킷의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식별 코드를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에 전송하도록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을 제어하는 핸즈프리 킷의 제어부를 포함하는 핸즈프리 킷과;
    상기 핸즈프리 킷으로부터 상기 식별 코드를 수신하기 위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과,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식별 코드와, 사용자가 상기 핸즈프리 킷을 사용하도록 안내하는 음성 안내 메시지의 음성 데이터를 저장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메모리와,
    상기 핸즈프리 킷으로부터 수신된 식별 코드와 이동 통신 단말기의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식별 코드를 비교하는 비교기와,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가 상기 핸즈프리 킷에 장착되면 장착 감지 신호를 발생하는 핸즈프리 킷 장착 감지부와,
    상기 비교기에서 비교한 결과가 일치하면 상기 음성 안내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음성 처리부를 제어하고, 상기 장착 감지 신호가 발생하면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동작 모드를 핸즈프리 모드로 전환하도록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차량용 핸즈프리 킷 사용 안내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제어부는 상기 음성 안내 메시지 출력 후 일정 시간 내에 상기 장착 감지 신호가 발생하지 않으면, 음성 수신을 거부하는 수신 거부 신호를 이동 교환국에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차량용 핸즈프리 킷 사용 안내 장치.
  3. 차량 내에서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하는 핸즈프리 킷을 사용하도록 안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시동에 따라 상기 핸즈프리 킷의 전원이 온되면 상기 핸즈프리 킷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식별 코드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핸즈프리 킷으로부터 수신된 상기 식별 코드와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식별 코드를 비교하는 과정과,
    상기 비교된 결과가 일치하면, 상기 핸즈프리 킷을 사용하도록 안내하는 음성 안내 메시지를 출력하는 과정과,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가 상기 핸즈프리 킷에 장착되면, 장착 감지 신호를 발생하는 과정과,
    상기 감지 신호가 발생하면, 동작 모드를 핸즈프리 모드로 전환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차량용 핸즈프리 킷 사용 안내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메시지 출력 후 일정 시간 내에 상기 장착 감지 신호가 발생하지 않으면,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이동 교환국이 음성 수신을 거부하는 수신 거부 신호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에 대한 호출이 있을 경우, 상기 수신 거부 신호에 대응하는 수신 거부 메시지를 발생하는 과정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차량용 핸즈프리 킷 사용 안내 방법.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메시지 출력 후 일정 시간 내에 상기 장착 감지 신호가 발생하지않으면,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가 미리 설정된 예약 시간에 주기적으로 상기 음성 안내 메시지를 출력하여 상기 핸즈프리 킷 사용 안내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차량용 핸즈프리 킷 사용 안내 방법.
KR10-2001-0047346A 2001-08-06 2001-08-06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차량용 핸즈프리 킷 사용 안내장치 및 그 방법 KR1004012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7346A KR100401207B1 (ko) 2001-08-06 2001-08-06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차량용 핸즈프리 킷 사용 안내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7346A KR100401207B1 (ko) 2001-08-06 2001-08-06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차량용 핸즈프리 킷 사용 안내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3059A true KR20030013059A (ko) 2003-02-14
KR100401207B1 KR100401207B1 (ko) 2003-10-10

Family

ID=277181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7346A KR100401207B1 (ko) 2001-08-06 2001-08-06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차량용 핸즈프리 킷 사용 안내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01207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38791A (ja) * 1996-11-08 1998-05-26 Niles Parts Co Ltd 携帯電話使用時の危険状態警報装置
JPH1198578A (ja) * 1997-09-22 1999-04-09 Calsonic Corp ハンズフリー電話装置
KR100630077B1 (ko) * 1999-09-06 2006-09-27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폰의 전원을 이용한 블루투스 무선 이어폰의 충전장치 및 방법
KR200176394Y1 (ko) * 1999-11-10 2000-03-15 이세선 차량장착 휴대폰용 무선 핸드프리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01207B1 (ko) 2003-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989843B2 (ja) 移動中の自動車内の無線電話の使用を制限するための自動車コンピュータ制御システム
US7627307B2 (en) Emergency call-back for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equipped with a user removable module
WO2004072784A2 (en) Priority e911 call back during access class restrictions
KR20120001085A (ko)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오디오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1581256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무선 연결 기기의 음량 관리 방법 및 장치
HU224794B1 (en) Process for operating a telecommunication terminal and telecommunication terminal
KR100401207B1 (ko)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차량용 핸즈프리 킷 사용 안내장치 및 그 방법
KR100703489B1 (ko) 텔레매틱스 시스템에서 이동 단말 연동 방법
KR101076500B1 (ko) 휴대단말기의 근거리 통신장치 및 방법
KR20090044651A (ko) 카 오디오 기기에서의 차량 원격 제어장치 및 방법
US20150237186A1 (en) Hands-free device
KR100295758B1 (ko) 무선단말기에서데이터서비스수행에따른데이터전송속도설정방법
JP4158688B2 (ja) 車載通信装置
JP4340687B2 (ja) 車両内で保持器により保持されたモバイルテレフォンの稼動方法
KR100538880B1 (ko) 블루투스 모듈을 이용한 핸즈프리 방법
KR200249937Y1 (ko) 음성인식을 가능케 하고 인터럽트발생기를 구비한영상휴대폰 장치
KR200249936Y1 (ko) 음성인식을 가능케 하고 인터럽트발생기를 구비한 휴대폰장치
KR20020068107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 메시지 응답 장치 및 방법
KR200249938Y1 (ko) 휴대폰과 한 조가 된 음성인식을 가능케 하고인터럽트발생기를 구비한 핸즈프리 장치
KR200252843Y1 (ko) 음성스위치를 구비한, 영상휴대폰 및 핸즈프리와 한 조가된 운전대 부착 장치
JP3019889B2 (ja) 移動電話機
KR100330225B1 (ko) 휴대폰에서 스피커폰 모드시 음성신호의 송/수신 상태 표시방법
KR200258278Y1 (ko) 영상휴대폰과 한 조가 된 음성인식을 가능케 하고인터럽트발생기를 구비한 핸즈프리 장치
KR200258275Y1 (ko) 휴대폰과 한 조가 된 인터럽트발생기를 구비한 핸즈프리장치
KR200249939Y1 (ko) 영상휴대폰과 한 조가 된 인터럽트발생기를 구비한핸즈프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8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30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