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12953A - 의료용 화상/계측정보 원격전송 시스템 - Google Patents

의료용 화상/계측정보 원격전송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12953A
KR20030012953A KR1020010047210A KR20010047210A KR20030012953A KR 20030012953 A KR20030012953 A KR 20030012953A KR 1020010047210 A KR1020010047210 A KR 1020010047210A KR 20010047210 A KR20010047210 A KR 20010047210A KR 20030012953 A KR20030012953 A KR 200300129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cal
multimedia server
camera
network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72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경
Original Assignee
(주)애니컨트롤
정보통신연구진흥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애니컨트롤, 정보통신연구진흥원 filed Critical (주)애니컨트롤
Priority to KR10200100472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12953A/ko
Publication of KR200300129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2953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Abstract

본 발명은 의료용 화상/계측정보 원격전송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멀티미디어 미니서버를 활용하여 네트워크 및 인터넷 망을 통해 수술장면 또는 각종 의료 data를 실시간 전송 및 저장에 관련된 시스템으로 카메라로 촬영된 화상정보, 마이크로 수집된 음성정보 및 심전계 등의 의료용 계측기기에서 입력된 계측정보를 원격지로의 전송, 의료 현자에서의 의료 data를 저장할 수 있도록 하여, 원격지의 담당의사 및 관련자들에게 실시간 자료(의료화상 및 계측정보)를 제공하여 환자의 상태를 즉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의료용 화상/계측정보 원격전송 시스템{Web-based medical monitoring and measuring data transmission system}
본 발명은 의료용 화상 및 계측정보를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실시간으로 전송,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정보저장 및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의료기관의 수술실, 중환자실, 분만실, 신생아실 등에 설치된 카메라 및 의료계측기기를 통해 수집된 각종 정보를 네트워크에 접속이 가능한 미니 멀티미디어 서버를 통해 전송하여 원격지의 의료 인원 및 보호자에게 환자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제공하는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재까지 개발된 이 분야의 시스템은 단순한 화상전송 시스템 또는 각종 의료장비의 계측정보 전송 시스템이 별개의 시스템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광역 통신망을 이용하는 기술이 미약하여 한정된 범위의 영역 및 인원에게만 정보가 제공되고 있다.
특히, 화상전송의 경우 각 수술실, 중환자실 등에 폐쇄회로 카메라(CCTV, Closed circuit Television)를 설치하여 한정된 지역에서만 모니터링을 하며, 필요시에는 강당 등에 유선 케이블을 별도로 설치하고 빔 프로젝터 등 별도의 고가 장비를 이용하여 교육용으로 사용하고 있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계측정보 전송 시스템 역시 광역 통신망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서버를 구축하여야 하므로 초기 투자비에 대한 비용으로 인해 사용에 부담이 있고, 별도의 배관 및 배선, 추가 설비시 증설에 따른 불편함이 가중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상기에서 설명한 의료용 화상전송 시스템 및 계측정보 전송시스템을 통합하여 복합 운영하고자 하는 노력이 추진되고 있으나 실질적인 네트워크를 이용한 통합 시스템이 아니라 기존의 설비를 종합상황실에서 복합 구성한 것에 불과하며, 상기 설명한 각 문제점들을 해결하기에는 역부족인 기술 단계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의료화상 및 계측정보의 통합전송 및 광역 네트워크를 통해 인증된 다수의 인원이 동시에 화상 모니터링 및 계측정보를 활용하는 새로운 시스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멀티미디어 미니서버를 활용하여 네트워크 및 인터넷 망을 통해 수술장면 등 카메라로 촬영된 화상/음성 정보 및 심전계 등의 각종 의료장비에서 수집된 계측정보를 원격지에 전송하고 저장할 수 있도록 하여, 원격지의 담당의사 및 인증된 관련자들에게 실시간 자료(의료화상 및 계측정보)를 제공하여 환자의 상태를 즉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며, 원격지의 의료교육기관에서도 생생한 시청각 교육자료로 활용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의료용 화상 및 계측정보 전송 시스템을 웹 기반기술을 활용하여 구축함으로써 기존의 네트워크망을 이용할 수 있게 하여 확장성이 뛰어난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고, 별도의 배관 및 배선 비용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며, 별도의 관리용 컴퓨터를 이용하지 않고도 통신망을 통해 접속 가능한 컴퓨터가 있는 곳이면 어디서든 멀티미디어 서버에 로그 인 패스워드를 이용하여 시스템에 접근 가능하도록 하는 데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화상/계측정보 원격전송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도 1의 시스템이 실제 현장에 적용된 상태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 카메라 14 : 카메라 제어기
16 : 마이크 18 : 의료용 계측기기
20 : 프로토콜변환기 및 스위처 30 : 멀티미디어 서버
40 : 출력부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화상 및 계측정보 원격전송 시스템은: 각급 의료기관의 수술실, 중환자실, 분만실, 신생아실에 설치되어 화상을 촬영하는 디지털 카메라와 마이크, 각종 의료정보를 수집하는 의료계측기기 및 각 기기의 고유한 통신방식에 맞추어 프로토콜을 변환시키고 적절히 분배시키는 장치로 이루어진 입력부; 및 상기 입력부를 통합관리하여 각종 상황발생에 따른 모니터링 신호를 전송하고, 수집된 각종 정보를 실시간으로 압축 및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하고, 인터넷 서비스인 웹서버를 운영하는 멀티미디어서버; 및 인터넷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단말장치를 구비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서버에 접속할 수 있으며, 소정의 인증절차를 거친 원격지 관찰자가 상기 멀티미디어 서버에 요청하여 해당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 받는 출력부; 및 상기 멀티미디어 서버와 출력부를 연결하는 통신 네트워크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화상 및 계측정보 원격전송 시스템의 구성이 도시된 블록도로서, 카메라(12)와, 카메라(12)를 필요로하는 위치로 이동 시키고 화면의 광학적 확대 및 축소가 가능하도록 하는 Rx Controller를 포함하는 카메라 제어기(14)와, 마이크(16)와, 각종 의료계측기기(18)의 고유한 통신방식에 맞추어 프로토콜을 변환시키고 적절히 분배시키는 프로토콜변환기 및 스위처(20)로 구성되는 입력부와, 상기 기기들을 제어함과 아울러 기기들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분석하여 자체 데이타베이스에 저장하고 이들 데어터들을 네트워크망으로 압축 전송하는 멀티미디어 서버(30)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한 구성에서 멀티미디어 서버(30)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카메라 제어기(14)를 제어 하기 위한 통신 프로토콜 변환기(32)와, 카메라(12)등의 영상 신호 및 음성 신호를 수신하여 네트워크로 전송이 가능하도록 압축하는 영상 입력 장치(34)와, 마이크(16)등의 음성 신호를 수신하여 네트워크로 전송이 가능하도록 압축하는 음성 입력 장치(35)와, 운영 프로그램들이 저장되는 메모리(36)와, 상기 프로토콜변환기 및 스위처(20)로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UART(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 Transmitter ; 37)와, 안정적인 전원공급을 위한 안정화 전원부(38) 및, 메모리(36)로부터 운영프로그램을 읽어들여 원격지의 각종 장비를 제어하고 다양한 형태의 수신 데이타를 분석하여 이를 메모리(36)에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함과 아울러 네트워크망으로 전송하는 주제어부(39)로 구성되며, 상기 멀티미디어 서버(30)는 Linux 운영 체계를 사용하며, 웹서버를 운영한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이 실제 현장에 적용된 상태를 나타내는 블록도로써, 카메라(12)와 마이크(16) 및 의료 계측기기(18)로부터의 데이타를 분석 저장 및 네트워크망으로 전송하고, 카메라(12)를 제어하는 멀티미디어서버(30)에 랜이나 인터넷을 통하여 출력부, 즉 인터넷망 접속이 가능한 단말장치가 구비된 사용자컴퓨터(40)가 접속된 것으로, 각 사용자들은 통합 네트워크가 구축된 네트워크상의 PC(40)라면 어디서나 본 시스템의 실시간 데이타를 볼 수 있고, 내부 망 이외의 다른 곳에서 본 시스템의 데이타를 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웹서버(WEB SERVER)를 두고 멀티 미디어 서버(30)에서 수집된 데이타를 서버푸쉬(SERVER PUSH)방식을 이용하여 웹서버의 특정 폴더에 전송하면 외부의 접속자들은 웹서버의 해당 폴더에서 현장의 실시간 데이타를 시청할 수 있게 된다.
이럴 경우 사용자 폭주로 인한 시스템의 전송 속도 저하나 시스템의 안정성 등에서도 효과를 볼 수 있도록 발명되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작동은 상기 카메라(12),마이크(16) 및 각종 의료용 계측기기(18)를 통해 화상, 음성, 의료계측정보가 상기 멀티미디어서버(30)로 전송하고, 상기 멀티미디어서버(30)에서는 수신된 정보를 압축한 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인증절차에 의해 확인된 원격지 정보요청자(PC ; 40)로부터 실시간 화상 및 계측정보에 대한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멀티미디어 서버(30)의 메모리(36)에 저장된 정보를 복원 및 변환하여 상기 통신 네트워크부를 통해 원격지 정보요청자에게 전송하며, 상기 원격지 정보요청자는 멀티미디어 서버(30)로부터 전송된 정보를 PC(40)를 통해 재생하여 확인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멀티미디어 서버를 활용하여 원격지의 담당의사 및 인증된 관련자들에게 실시간 자료(의료화상 및 계측정보)를 제공할 수 있게 됨으로써, 환자의 상태를 거리에 상관없이 즉시 확인할 수 있게 되며, 원격지의 의료교육기관에서도 생생한 시청각 교육자료로 활용할 수 있게 되고, 의료용 화상 및 계측정보 전송 시스템을 웹 기반기술을 활용하여 구축함으로써 기존의 네트워크망을 이용할 수 있게 하여 확장성이 뛰어나고, 별도의 배관 및 배선 비용이 발생하지 않으며, 별도의 관리용 컴퓨터를 이용하지 않고도 통신망을 통해 접속 가능한 컴퓨터가 있는 곳이면 어디서든 멀티미디어 서버에 로그 인 패스워드를 이용하여 시스템에 접근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설치 및 사용상의 편의성을 향상하였다.

Claims (5)

  1. 각급 의료기관의 수술실, 중환자실, 분만실, 신생아실에 설치되어 화상을 촬영하는 카메라(12)와 마이크(16), 각종 의료정보를 수집하는 의료계측기기(18)를 구비하는 의료용 화상 및 계측정보 전송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12)와 마이크(16)및 의료계측기기(18)를 각각의 고유한 통신방식에 맞추어 프로토콜을 변환시키고 적절히 분배시키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를 통합관리하여 각종 상황발생에 따른 모니터링 신호를 네트워크망으로 전송하고, 수집된 각종 정보를 실시간으로 압축 및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하는 멀티미디어서버(30)와,
    상기 멀티미디어 서버(30)에 접속하여 해당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 받는 출력부(40) 및,
    상기 멀티미디어 서버(30)와 출력부(40)를 연결하는 통신 네트워크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화상 및 계측정보 원격전송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카메라(12)를 필요로하는 위치로 이동 시키고 화면의 광학적 확대 및 축소가 가능하도록 하는 카메라 제어기(14)와, 각종 의료계측기기(18)의 고유한 통신방식에 맞추어 프로토콜을 변환시키고 적절히 분배시키는 프로토콜변환기 및 스위처(2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화상/계측정보 원격전송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멀티미디어 서버(30)는 카메라 제어기(14)를 제어 하기 위한 통신 프로토콜 변환기(32)와, 카메라(12)등의 영상 신호 및 음성 신호를 수신하여 네트워크로 전송이 가능하도록 압축하는 영상 입력 장치(34)와, 마이크(16)등의 음성 신호를 수신하여 네트워크로 전송이 가능하도록 압축하는 음성 입력 장치(35)와, 운영 프로그램들이 저장되는 메모리(36)와, 상기 프로토콜변환기 및 스위처(20)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UART(37)와, 안정적인 전원공급을 위한 안정화 전원부(38) 및, 메모리(36)로부터 운영프로그램을 읽어들여 원격지의 각종 장비를 제어하고 다양한 형태의 수신 데이타를 분석하여 이를 메모리(36)에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함과 아울러 네트워크망으로 전송하는 주제어부(39)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화상/계측정보 원격전송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서버(30)는 Linux 운영 체계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화상/계측정보 원격전송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서버(30)는 인터넷 서비스인 웹서버를 운영하여 수집된 데이타를 서버푸쉬(SERVER PUSH)방식을 이용하여 웹서버의 특정 폴더에 전송하고, 출력부(40)는 인터넷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단말장치를 구비하며 인증절차를 거쳐서 멀티미디어서버(30)의 자료를 열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화상/계측정보 원격전송 시스템.
KR1020010047210A 2001-08-06 2001-08-06 의료용 화상/계측정보 원격전송 시스템 KR2003001295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7210A KR20030012953A (ko) 2001-08-06 2001-08-06 의료용 화상/계측정보 원격전송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7210A KR20030012953A (ko) 2001-08-06 2001-08-06 의료용 화상/계측정보 원격전송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2953A true KR20030012953A (ko) 2003-02-14

Family

ID=277180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7210A KR20030012953A (ko) 2001-08-06 2001-08-06 의료용 화상/계측정보 원격전송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12953A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4636A (ko) * 1998-11-25 1999-02-25 박지성 환자 실시간 원격관찰시스템
WO1999014882A2 (en) * 1997-09-19 1999-03-25 Georgia Tech Research Corporation A packet-based telemedicine system for communicating information between central monitoring stations and remote patient monitoring stations
JPH11161729A (ja) * 1997-09-25 1999-06-18 Siemens Ag 医用システムアーキテクチャ及び外部所見法
JP2000067136A (ja) * 1998-08-21 2000-03-03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医療画像通信システム
KR20010068543A (ko) * 2000-01-06 2001-07-23 김종필 통합원격진료 시스템
KR20010097433A (ko) * 2000-04-22 2001-11-08 이철옥 인터넷을 통한 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9014882A2 (en) * 1997-09-19 1999-03-25 Georgia Tech Research Corporation A packet-based telemedicine system for communicating information between central monitoring stations and remote patient monitoring stations
JPH11161729A (ja) * 1997-09-25 1999-06-18 Siemens Ag 医用システムアーキテクチャ及び外部所見法
JP2000067136A (ja) * 1998-08-21 2000-03-03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医療画像通信システム
KR19990014636A (ko) * 1998-11-25 1999-02-25 박지성 환자 실시간 원격관찰시스템
KR20010068543A (ko) * 2000-01-06 2001-07-23 김종필 통합원격진료 시스템
KR20010097433A (ko) * 2000-04-22 2001-11-08 이철옥 인터넷을 통한 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87519A (en) Telemedicine system using voice video and data encapsulation and de-encapsulation for communicating medical information between central monitoring stations and remote patient monitoring stations
Sublett et al.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digital teleultrasound system for real-time remote diagnosis
EP3253022A1 (en) System, equipment and method for performing and documenting in real-time a remotely assisted professional procedure
US20110270631A1 (en) Remote healthcare data-gathering and viewing system and method
CN105938665A (zh) 一种远程音视频手术示教系统
TW480425B (en) Remote assist system
US20140267812A1 (en) Endoscopic Imaging System And Method For Adapting To Remote Stimulus
US20180122518A1 (en) Method for monitoring and controlling patient parameters and transmitting medical information and a system for carrying out the method
CN111629220A (zh) 一种远程医疗的快速回放对比系统和方法
CN114040138A (zh) 一种可视化手术过程记录方法及记录系统
US6757413B1 (en) Low-cost medical image transfer and control system and method
KR20020058189A (ko) 인터넷기반의 수술 컨퍼런스 방법 및 장치
KR20030012953A (ko) 의료용 화상/계측정보 원격전송 시스템
KR20010001274A (ko) 인터넷 영상 관찰 시스템
EP2446851A2 (en) One touch button for operating room support
CN111421537A (zh) 远程控制系统
WO2023166981A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端末、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1175784A (ja) 電子カルテ装置および紹介状伝送装置
Yu et al. A tele-ophthalmology system based on secure video-conferencing and white-board
CN210865649U (zh) 一种医疗设备远程交互系统
Klinger et al. A low cost digital operating room
CN210377906U (zh) 一体化手术示教终端
JP2003339690A (ja) 医用画像装置の操作支援システム
CN117978948A (zh) 一种多媒体超声会议系统
CN205540729U (zh) 一种皮肤科远程专家门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