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12425A - 휴대용 전화기의 착신 신호음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휴대용 전화기의 착신 신호음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12425A
KR20030012425A KR1020010046433A KR20010046433A KR20030012425A KR 20030012425 A KR20030012425 A KR 20030012425A KR 1020010046433 A KR1020010046433 A KR 1020010046433A KR 20010046433 A KR20010046433 A KR 20010046433A KR 20030012425 A KR20030012425 A KR 200300124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call
password
registered
ca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64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용식
Original Assignee
윤용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용식 filed Critical 윤용식
Priority to KR10200100464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12425A/ko
Publication of KR200300124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2425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6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with mean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or fraudulent calling
    • H04M1/663Preventing unauthorised calls to a telephone set
    • H04M1/665Preventing unauthorised calls to a telephone set by checking the validity of a co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57Arrangement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the number of the calling subscriber at the called subscriber's set
    • H04M1/575Means for retrieving and displaying personal data about calling par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신번호 등의 정보가 수신 가능한 휴대용 전화기의 착신 신호음(벨소리, 진동)을 제어함으로서 불필요한 전화를 자동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한 휴대용 전화기의 착신 신호음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신호착신 시 발신번호(Call ID: Calling Identification) 등, 발신자의 정보도 함께 수신이 가능한 휴대용 전화기에 있어서: 신호착신 시 발신정보를 분석 후 비교하여 기 등록정보와 일치한가를 판정하는 단계와; 상기 기 등록정보와 일치한가를 판정하는 단계에서 상기 발신정보가 등록정보와 일치하면 착신 신호음(벨소리, 진동)을 출력하여 전화가 수신되었음을 알리는 단계와; 상기 등록정보와 일치한가를 판정하는 단계에서 등록정보와 상이하면 전화를 받을 수 없음을 알림과 동시에, 약속된 발신자와 통화를 위하여 비밀번호를 입력하라는 메시지를 출력하는 자동응답 단계와; 상기 자동응답 단계이후 발신자가 입력한 비밀번호를 분석하는 단계; 및 상기 비밀번호 분석단계에서 번호가 맞으면 착신 신호음을 출력하여 전화가 수신되었음을 알리고, 번호가 틀리면 다음에 다시 호출해 달라는 메시지를 전송함과 동시에 통신을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휴대용 전화기의 착신 신호음 제어방법{Control method of Incoming call signal for cellular phone}
본 발명은 발신번호(Call ID: Calling Identification) 등, 발신자의 정보가 수신 가능한 휴대용 전화기의 착신 신호음(벨소리, 진동)을 제어함으로서 불필요한 전화를 자동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한 휴대용 전화기의 착신 신호음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정보통신의 눈부신 발전과 빠른 변화는 다양한 정보 제공과 보다 많은 기능을 구비한 단말기들을 제공하고 있다. 통신의 기본이라 할 수 있는 전화 또한 이러한 정보시대에 부합될 수 있는 단말기의 요구가 절실하게 되었다. 단순 통화 기능에서 통신사업자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 기능들을 충족시키기 위한 새로운 기종의 제품들이 지속적으로 개발되고 출시된다.
전화는 인간이 일상생활을 영위함에 있어 매우 중요한 통신설비로서 유익하고 편리하게 사용되고 있음이 분명하나, 일부 전화를 악용하는 자에 의한 장난전화, 음란전화, 전화폭력 등 각종 범죄행위 뿐만 아니라 심지어 전화를 통한 영업행위까지 이뤄지고 있으며, 아무튼 착신 신호음이 울리면 일단 사용자는 내용을 불문하고 응대할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이러한 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자는 1990년도에 "비밀번호를 이용한 통화제어회로(출원번호 : 실1990-0004932)를 고안한 바 있었다.
그러나 최근에는 통신사업자가 발신자를 확인할 수 있는 발신번호(Call ID : Calling Identification)확인 서비스기능을 제공하게 되었고, 수신자는 전화벨이 울릴 때, 전화기의 표시창에 디스플레이 된 상기 발신번호 등, 발신정보를 확인한후 응답여부를 결정할 수 있게 함으로써 상기와 같은 발신자의 악용전화 등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게 하였다.
그런데, 이와 같이 전화기의 표시창에 디스플레이 된 발신정보를 확인하는 방식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문제점(들)이 발생한다.
즉, 수신자 측에서는 전화기의 표시창에 디스플레이 된 발신정보를 확인해야 하기 때문에 전화벨이 울릴 때마다 매번 번호를 확인한 후 응답여부를 결정하여야 한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가 취침 중에도 착신 신호음이 울리면 발신정보를 확인하고, 응답여부를 결정하여야 하기 때문에 불편함이 발생한다.
특히, 휴대용 전화기를 소지하고 대중교통이용 및 공공장소, 혹은 매우 중요한 회의석상에 참여중일 때, 긴급한 사항 및 기 약속된 발신자와의 통화에 대비하여 휴대용 전화기의 전원을 차단하지 못하고 착신 신호음 모드를 진동상태로 전환하여 놓거나, 발광램프만 작동하게 하는 무음 상태로 전환하게 되는데, 여하튼 신호가 착신되면 상기 휴대용 전화기의 표시창을 통한 발신정보를 확인한 후 응답여부를 판단해야 함으로 신경을 곤두세워야 하는 불편함은 여전히 해소될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착신신호 수신 시 발신정보를 비교분석 함으로서 기 등록되지 않은 정보일 경우에는 착신 신호음(벨소리, 진동)을 자동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한 휴대용 전화기의 착신 신호음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을 보다 명확히 이해하기 위한 휴대용 전화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전화기의 착신 신호음 제어방법의 수행과정을 나타내는 동작 흐름도 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듀플렉스 필터 11.안테나
20.고주파회로 30.변복조회로
40.다중화 제어장치 41.외부제어 통신포트
50.표시장치 드라이버 51.표시창
60.메모리 70.키패드
80.코덱회로 81.수화기
82.송화기 83.부져
90.모터 드라이버 91.진동모터
이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신호착신 시 발신번호 등, 발신자의 정보도 함께 수신이 가능한 휴대용 전화기에 있어서: 신호착신 시 발신정보를 분석 후 비교하여 기 등록정보와 일치한가를 판정하고; 상기 등록정보와 일치여부 판정결과, 상기 발신정보가 등록정보와 일치할 경우에만 착신 신호음을 출력하여 전화가 수신되었음을 알리는 점에 있다.
여기서, 상기 발신정보는 발신번호(Call ID : Calling Identification)를 포함하여 발신 측으로부터 수신된 모든 정보를 의미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등록정보와 일치한가를 판정하는 과정에서, 상기 발신정보가 등록정보와 상이하면 자동응답 하여 발신자에게 전화를 받을 수 없음을 알림과 동시에 약속된 발신자와 통화를 위하여 비밀번호를 입력하라는 메시지를 출력하고; 상기 자동응답 이후 발신자가 입력한 비밀번호를 분석하여; 상기 비밀번호가 맞으면 착신 신호음을 출력하여 전화가 수신되었음을 알리고, 비밀번호가 틀리면 다음에 다시 호출해 달라는 메시지를 전송함과 동시에 통신을 해제하도록 한 점에 있다.
여기서, 상기 비밀번호는 등록된 발신자의 전화번호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동작 흐름도의 각 단계별 구성은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동작 흐름도 없이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을 보다 명확히 이해하기 위한 휴대용 전화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전화기의 착신 신호음 제어방법의 수행과정을 나타내는 동작 흐름도가 도시되어 있다.
먼저, 도 1 을 참조하여 그 구성을 설명하면, 이동통신기지국(미도시)과의 신호 송수신을 위한 안테나(11)와, 상기 안테나(11)를 통하여 송수신 신호를 분리하는 듀플렉스 필터(10)와, 상기 듀플렉스 필터(10)를 경유한 송수신 주파수의 대역통과 필터 및 동 주파수의 상 하향 변환을 위한 고주파회로(20)와, 신호의 크기를 제어하는 자동이득제어기능 및 상기 고주파회로(30)와 다중화 제어장치(40)간 송수신 신호를 변조하는 변복조회로(30)와, 중앙연산장치를 구비하고 전체기능을 제어하는 다중화 제어장치(40), 및 외부제어 통신포트(41)와, 다양한 정보와 발신정보 출력을 위한 표시장치 드라이버(50), 및 표시창(51)과,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60)와, 등록정보 입력 등 사용자와의 인터패이스를 위한 키패드(70)와, 아나로그 음성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해 주거나 이와 역으로 디지털신호를 아나로그 신호로 복원해주는 코덱회로(80)와, 통화를 위한 수화기(81) 및 송화기(82)와, 진동모터(91)를 구동키 위한 모터드라이버(90)로 구성된다.
아울러, 도 2를 참조하여 각 동작 단계별 구성을 살펴보면, 신호착신 시 발신정보를 분석 후 비교하여 기 등록정보와 일치한가를 판정하는 단계(S105)와, 상기 기 등록정보와 일치한가를 판정하는 단계(S105)에서 상기 발신정보가 등록정보와 일치하면 착신 신호음을 출력하여 전화가 수신되었음을 알리는 단계(S103)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기 등록정보와 일치한가를 판정하는 단계(S105)에서 등록정보와 상이하면 전화를 받을 수 없음을 알림과 동시에 미리 약속한 발신자와의 통화를 위하여 비밀번호를 입력하라는 메시지를 출력하는 자동응답 단계(S106)와, 상기 자동응답 단계(S106)이후 발신자가 입력한 비밀번호를 분석하는 단계(S107); 및 상기 비밀번호 분석단계(S107)에서 발신자가 입력한 비밀번호가 맞으면 착신 신호음을 출력하여 전화가 수신되었음을 알리고, 비밀번호가 틀리면 다음에 재 호출을 요구하는 메시지를 전송(S108)함과 동시에 연결상태를 해제하는 단계(S10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에 대하여 도 1과 도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등록정보 입력을 위하여 사용자는 키패드(70)를 통하여 등록정보 입력모드를 설정한 후 약속된 통화자의 발신번호 등의 정보를 입력하면 다중화 제어장치(40)에서 처리되어 메모리(60)에 저장된다.
또한, 착신 신호음의 제어는 상기 키패드(70) 입력으로 모드설정이 가능하다.
<신호수신 경로>
이동통신사업자의 기지국을 경유 한 발신 측의 신호가 수신되면 안테나(11)를 통하여 듀플렉스 필터(10)와 고주파회로(20)를 경유하게 된다. 아나로그 신호로 구성된 상기 발신 측의 신호는 변복조회로(30)에서 디지털신호로 복조되어 다중화 제어장치(40)에 입력되는데, 여기서 상기 발신 측으로부터 수신된 신호에는 발신정보도 함께 포함되어 있으며, 동 발신정보는 상기 다중화 제어장치(40)에서 비교 및 분석이 이루어진다. 아울러, 상기 발신정보는 표시장치 드라이버(50)를 경유하여 표시창(51)에 표시된다.
<일반 모드>
발신 측의 호출로 신호가 수신(S101)되면, 먼저 다중화 제어장치(40)는 모드설정 상태를 분석하여 착신 신호음 제어모드(S102)인가를 판단한다.
여기서, 상기 다중화 제어장치(40)는 착신 신호음 제어모드(S102)가 아니다고 판단되면 즉시 코덱회로(80)를 제어하여 부져(83)를 통한 착신 신호음(벨 소리)을 출력하거나, 모터 드라이버(90)를 제어하여 진동모터(91)를 작동시킴으로서 발신 측 누군가로부터 호출되고 있음을 알려 준다. 이 일반 모드에서는 발신자를 고려하지 않고 바로 응답하여 통화하거나 표시창(51)에 디스플레이 된 발신번호를 확인한 후 응답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착신 신호음 제어모드>
만약, 일반 모드가 아닌 착신 신호음 제어모드(S102)일 경우, 발신 측으로부터 신호가 수신(S101) 되면 상기 다중화 제어장치(40)는 상기 발신정보를 분석한 후, 메모리(60)에 미리 저장해 놓은 등록정보와 비교하여 일치여부를 판정(S105)하게 되고, 여기서 상기 등록정보와 일치 하다고 판정되면 즉시 평상 모드에서와 같이 착신 신호음(S103)을 출력함으로서 수신자에게 등록된 발신자로부터 호출되고 있음을 알리게 된다.
이 경우가 본 발명이 이루고자하는 부분으로서 수신자는 표시창(51)의 발신정보를 확인하지 않아도 미리 약속된 발신자와의 통화가 가능하게 된다.
그러나, 다중화 제어장치(40)는 상기 발신번호 일치여부 판정(S105)과정에서 발신번호가 일치하지 않으면, 즉시 자동응답 모드를 취하여 메모리(60)에 저장된 메시지 정보를 축출하여 상기 다중화 제어장치(40)를 경유한 코덱회로(80)에서 아나로그 신호로 변환 처리한다. 여기서 상기 변환 처리된 아나로그 신호는 다시 상기 다중화 제어장치(40)를 통하여 변복조회로(30)를 경유하여 고주파회로(20)와 듀플렉스 필터(10) 및 안테나(11)를 통하여 송출됨으로서 발신자에게 현재 전화를 받을 수 없음을 알림과 동시에 미리 약속된 발신자와의 통화를 위하여 비밀번호를 입력할 수 있도록 메시지를 출력(S106)한다.
이 경우는 발신자의 정보인 발신번호를 본 발명의 휴대용 전화기에 비록 등록을 하였다 하더라도 만약, 발신자의 사정으로 공중전화 등, 등록정보와 상이하거나 등록되지 않은 전화를 이용하여 호출할 경우에도 통화를 가능하게 하기 위함이다.
아울러, 발신 측에서는 상기 비밀번호 요구 메시지를 듣고(S106) 전화기에 구비된 다이얼버튼(미도시)을 이용하여 비밀번호를 입력하게 되는데, 상기 비밀번호는 DTMF(Dual tone multi frequency)신호로서 이동통신기지국을 경유하여 안테나(11)를 통한 듀플렉스 필터(10) 및 고주파회로(20)를 통과하여변복조회로(30)에서 디지털 데이터로 복조 된다. 여기서, 상기 복조 데이터는 다중화 제어장치(40)에서 분석되는데 여기서, 비빌번호가 기 입력되어 있는 등록정보와 일치 하다고 판정(S107)된 경우에만 일반 모드에서와 같이 착신 신호음을 출력(S103)하여 통화를 가능(S104)하게 한다.
그러나, 상기 비밀번호가 기 입력된 등록정보와 일치하지 않다고 판정(S107)되었다면 발신자에게 다음에 다시 호출해 달라는 메시지를 전송(S108)한 후, 통신상태를 해제(S109)하고 초기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등록되지 않은 발신정보를 1차 적으로 차단하고, 비밀번호를 이용하여 선택적으로 통화를 연결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발신정보를 육안으로 확인할 필요 없이 자동으로 원하지 않은 전화를 차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들)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들)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결국,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전화기의 착신 신호음 제어방법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이점(들)이 발생한다.
즉, 등록되지 않은 발신번호로부터 호출된 전화의 경우 전화 착신 신호음을 자동으로 차단함으로써, 불필요한 전화를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전화벨이 울릴 때마다 발신번호를 육안으로 확인할 필요가 없으므로 편리하다.
아울러, 본 발명은 휴대폰의 하드웨어 변경 없이 외부제어용 통신포트를 통한 프로그램 개정(업그레이드)만으로 구현이 가능하여 경제적이다.

Claims (4)

  1. 신호착신 시 발신정보도 함께 수신이 가능한 휴대용 전화기에 있어서:
    신호착신 시 발신정보를 분석 후 비교하여 기 등록정보와 일치한가를 판정하는 단계;
    상기 기 등록정보와 일치한가를 판정하는 단계에서 발신정보가 기 등록정보와 일치할 경우에만 착신 신호음을 출력하여 전화가 수신되었음을 알리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화기의 착신 신호음 제어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정보는 발신번호(CID: Calling Identification)인 것을 더 포함하는 휴대용 전화기의 착신 신호음 제어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 등록정보와 일치한가를 판정하는 단계에서 상기 발신정보가 등록정보와 상이할 경우, 전화를 받을 수 없음을 알림과 동시에 미리 약속한 발신자와의 통화를 위하여 비밀번호를 입력하라는 메시지를 출력하는 자동응답 단계;
    상기 자동응답 단계이후 발신자가 입력한 비밀번호를 분석하는 단계; 및
    상기 비밀번호 분석 단계에서 발신자가 입력한 비밀번호가 맞으면 착신 신호음을 출력하여 전화가 수신되었음을 알리고, 비밀번호가 틀리면 다음에 재 호출을요구하는 메시지를 전송함과 동시에 연결상태를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화기의 착신 신호음 제어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비밀번호는 등록된 발신자의 전화번호인 것을 더 포함하는 휴대용 전화기의 착신 신호음 제어방법.
KR1020010046433A 2001-07-31 2001-07-31 휴대용 전화기의 착신 신호음 제어방법 KR2003001242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6433A KR20030012425A (ko) 2001-07-31 2001-07-31 휴대용 전화기의 착신 신호음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6433A KR20030012425A (ko) 2001-07-31 2001-07-31 휴대용 전화기의 착신 신호음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2425A true KR20030012425A (ko) 2003-02-12

Family

ID=277175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6433A KR20030012425A (ko) 2001-07-31 2001-07-31 휴대용 전화기의 착신 신호음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1242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3001A (ko) * 2002-11-15 2004-05-22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특정발신자에 대한 수신모드 전환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이동통신 단말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3001A (ko) * 2002-11-15 2004-05-22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특정발신자에 대한 수신모드 전환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이동통신 단말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140723C1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для избирательного приема телефонных вызовов без установления речевого обмена
US5854977A (en) Call transfer and simplex call capability in a residential system using wireless residential extension handsets
US6662026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and handling accidental dialing on a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EP1528766B1 (en) Method in a mobile station for answering a call during an emergency situation
US20050159146A1 (en) Method for registering absent subscriber messages and setting absent subscriber mode
GB2298552A (en) Cordless radio telephone system with a plurality of portable units
US7907917B1 (en) Method and system for wireless bridging
KR20000038426A (ko) 휴대용 무선 전화기 착신 거부 방법
KR20030012425A (ko) 휴대용 전화기의 착신 신호음 제어방법
KR100482927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통화거부 알림장치 및 방법
KR100430308B1 (ko) 무선전화기에서 발신자 정보를 이용한 선별 착신 방법
KR20070010313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긴급 통화 방법
KR100398663B1 (ko)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비밀 통화방법
KR20040087566A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진동 모드 설정 방법
KR200278966Y1 (ko) 발신자 식별 기능이 제공되는 전화 단말기에서 발신자그룹별 선별 표시장치
JP2000228694A (ja) コ―ドレス電話システム
KR20030071242A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투 넘버 서비스 방법
KR101084119B1 (ko) 메시지 또는 부재중 전화에 대한 답장 발송방법
KR100455772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단문 메시지를 이용한 자동응답방법
KR200254224Y1 (ko) 발신자 번호 표시 유무선 전화기의 발신자 번호 음성안내 장치
KR100407290B1 (ko) 발신번호 표시장치의 벨 소리 제어회로 및 그 제어방법
EP1895753A1 (en) Door entryphone system
KR100439224B1 (ko) 휴대전화기 매너모드의 발신자번호 확인장치와 그 운용방법
KR20020030761A (ko) 발신자 식별 기능이 제공되는 전화 단말기에서 발신자그룹별 선별 표시방법 및 표시장치
KR100229863B1 (ko) 전화기의 음성안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