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12249A - 히터 파이프 조립용 지그 - Google Patents

히터 파이프 조립용 지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12249A
KR20030012249A KR1020010046211A KR20010046211A KR20030012249A KR 20030012249 A KR20030012249 A KR 20030012249A KR 1020010046211 A KR1020010046211 A KR 1020010046211A KR 20010046211 A KR20010046211 A KR 20010046211A KR 20030012249 A KR20030012249 A KR 200300122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er
bracket
jig
pipe
heater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62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91324B1 (ko
Inventor
곽병철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462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91324B1/ko
Publication of KR200300122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22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13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132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1/00Work holder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in the subclass, e.g. magnetic work holders, vacuum work holders
    • B25B11/02Assembly ji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57Details of ducts or cables
    • B60H1/00571Details of ducts or cables of liquid ducts, e.g. for coolant liquids or refrigera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021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 B60H2001/00078Assembling, manufacturing or layout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sistance Hea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히터 파이프 조립용 지그에 관한 것으로서, 히터 코어와 엔진간을 연결하는 인렛 히터 파이프와 아웃렛 히터 파이프를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고정하고 엔진에 임시로 거치될 수 있도록 거치용 훅이 구비된 히터 파이프 조립용 지그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두 히터 파이프를 지그에 수용시켜 엔진의 편리한 위치에 안전하게 거치할 수 있어 엔진 이송시 히터 파이프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두 히터 파이프를 동시에 가조립할 수 있어 히터 파이프의 장착성 및 작업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작업자의 부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히터 파이프 조립용 지그{Jig for assembling heater pipe}
본 발명은 히터 파이프 조립용 지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히터 코어와 엔진간을 연결하는 인렛 히터 파이프와 아웃렛 히터 파이프를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고정하고 엔진에 임시로 거치될 수 있도록 거치용 훅이 구비된 히터 파이프 조립용 지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용 공조장치는 계절에 따라 외기를 냉각 또는 가열하여 차량 실내로 유입시키고, 실내 온도를 적정 온도로 유지시켜 쾌적한 실내 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이다.
여기서, 동절기의 실내 난방을 위한 난방장치에서는 히터 코어에 의한 외기의 열교환이 수반되어야 하는 바, 엔진으로부터 나오는 가열된 냉각수가 히터 코어를 통과하여 다시 엔진이나 라디에이터로 들어가게 된다.
따라서, 상기 히터 코어에는 냉각수의 유입/배출을 위한 두 개 라인의 히터 파이프가 연결되어야 하고, 엔진 및 히터 코어가 차체에 안착된 상태에서 히터 파이프의 조립이 이루어지게 된다.
즉, 정해진 위치에 안착된 엔진 및 히터 코어는 차체와 함께 조립라인을 따라 이송되면서 조립작업이 이루어지고, 이때 히터 파이프는 엔진의 적당한 부분에 걸쳐져 있게 되며, 엔진의 정해진 조립작업이 완료되면 각 히터 파이프는 하나씩 해당 연결부를 찾아 조립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히터 파이프를 엔진에 걸쳐 놓게 되면 이송시 이탈될 우려가 있고, 각 히터 파이프를 조립위치에서 임시로 고정하는 별도의 장치가 없어 두 개의 히터 파이프를 동시에 가조립하는 것이 불가능하였다.
따라서, 수작업으로 파이프 별로 하나씩 찾아 가조립 및 클립고정을 번갈아 하게 되므로 작업효율성이 저하되고, 실차 작업시 협소한 작업공간의 특성상, 작업자의 부상 우려가 있는 등 이에 대한 대처방안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두 히터 파이프를 지그에 수용시켜 엔진의 편리한 위치에 안전하게 거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엔진 이송시 히터 파이프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두 히터 파이프를 동시에 가조립할 수 있게 됨으로써, 히터 파이프의 장착성 및 작업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작업자의 부상을 방지할 수 있는 히터 파이프 조립용 지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해 히터 파이프가 고정되기 전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해 히터 파이프가 고정된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해 히터 파이프가 고정된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인렛 히터 파이프3 : 아웃렛 히터 파이프
10 : 지그12 : 제1브라켓
12a,12b : 파이프 수용부14 : 제2브라켓
14a,14b : 파이프 수용부12c,14c : 이격용 플레이트
15 : 록킹수단17 : 로커
18 : 체결홀19 : 거치용 훅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결합되어 두 히터 파이프(1,3)를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수용하는 제1(12) 및 제2브라켓(14)과, 상기 두 히터 파이프(1,3)를 수용한 상기 제1(12) 및 제2브라켓(14)을 서로 록킹시키는 록킹수단(15)과, 록킹된 상기 제1(12) 및 제2브라켓(14)과 이에 수용된 히터 파이프(1,3)를 엔진의 소정 부분에 거치할 수 있도록 된 거치용 훅(19)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1브라켓(12)과 제2브라켓(14)은 결합시 서로 대응하여 각 히터 파이프(1,3)의 외주면을 양 측에서 감싸는 파이프 수용부(12a,12b,14a,14b)와, 각 브라켓(12,14)의 파이프 수용부를 일체로 연결하는 이격용 플레이트(12c,14c)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거치용 훅(19)은 상기 이격용 플레이트(12c,14c)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록킹수단(15)은 상기 제1브라켓(12)과 제2브라켓(14) 중 어느 하나의 이격용 플레이트(14a 또는 14c) 내측면에 돌출부재(16)와, 이 돌출부재(16)에서 회전 가능한 로커(17)를 설치하고, 나머지 브라켓의 대응부에는 상기 로커(17)가 통과할 수 있는 체결홀(18)을 형성시켜서, 상기 로커(17)가 상기 체결홀(18)을 통과하도록 두 브라켓(12,14)을 서로 결합시킨 후 통과한 상기 로커(17)를 회전킴으로써 록킹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거치용 훅(19)은 상기 로커(17)와 일체로 되어 상기 체결홀(18)을 통과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해 히터 파이프가 고정되기 전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여기서, 도면부호 1과 3은 각각 인렛 히터 파이프와 아웃렛 히터 파이프를 나타낸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히터 코어와 엔진간을 연결하는 인렛 히터 파이프(1)와 아웃렛 히터 파이프(3)를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고정하고 엔진에 임시로 거치될 수 있도록 거치용 훅(19)이 구비된 히터 파이프 조립용 지그(10)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결합하여 두 히터 파이프(1,3)를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수용하는 제1(12) 및 제2브라켓(14)과, 히터 파이프(1,3)를 수용한 상기 제1(12) 및 제2브라켓(14)을 서로 록킹시키는 록킹수단(15)과, 록킹된 상기 제1(12) 및 제2브라켓(14)과 이에 수용된 히터 파이프(1,3)를 엔진의 소정 부분에 거치할 수 있도록 된 거치용 훅(19)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상기 각 브라켓(12,14)은 이격용 플레이트(12c,14c)에 의해 서로 일정거리를 유지하는 두 개의 파이프 수용부(12a,12b,14a,14b)를 가지는 바, 상기 제2브라켓(14)의 파이프 수용부(14a,14b)는 제1브라켓(12)의 파이프 수용부(12a,12b)와 대응부가 된다.
즉, 제1(12) 및 제2브라켓(14)이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각 브라켓(12,14)의 서로 대응하는 파이프 수용부(12a와 14a,12b와 14b)는 히터 파이프(1,3)의 외주면을 양 측에서 감싸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각 브라켓(12,14)의 이격용 플레이트(12c,14c)는 각 브라켓(12,14)의 두 파이프 수용부(12a와 12b,14a와 14b)를 일체로 연결하고 있다.
다음으로, 상기 록킹수단(15)은 히터 파이프(1,3)가 수용된 제1(12) 및 제2브라켓(14)이 서로 분리되지 않도록 록킹시키는 장치이며, 그 실시예로서, 상기 제1브라켓(12)과 제2브라켓(14) 중 어느 하나의 이격용 플레이트(14a 또는 14c) 내측면에 돌출부재(16)와, 이 돌출부재(16)에서 회전 가능한 로커(17)를 설치하고, 나머지 브라켓의 대응부에 상기 로커(17)가 통과할 수 있는 체결홀(18)을 형성시킨다.
이때, 제1브라켓(12)과 제2브라켓(14)의 록킹방법은, 첨부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커(17)가 체결홀(18)을 통과하도록 두 브라켓(12,14)을 서로 결합시킨 후 통과한 로커(17)를 회전시켜서 두 브라켓(12,14)을 록킹시키는 구조이다.
상기 록킹수단을 도시한 실시예로 한정하지 않으며, 히터 파이프가 수용된 두 브라켓을 체결하는 록킹기능이 있고 히터 파이프 탈거시 용이하게 록킹해제가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으로도 실시 가능하다.
또한, 상기 록킹수단은 이격용 플레이트 상에 다수개가 설치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거치용 훅(19)은 히터 파이프(1,3)를 수용한 지그(1)를 엔진의 소정 부분에 임시로 거치하기 위한 것으로서, 브라켓(12,14)의 이격용 플레이트(12c,14c) 상에 설치될 수 있으며, 엔진으로부터 히터 파이프(1,3)의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첨부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거치용 훅(19)은 상기 이격용 플레이트(12c,14c) 상에 설치되는 대신, 상기 로커(17)에 일체로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체결홀(18)은 상기 거치용 훅(19)이 통과될 수 있도록 하고, 록킹시에는 상기 거치용 훅(19)과 로커(17)를 차례로 체결홀(18)에 통과시킨 후, 이들을 회전시켜 체결홀(18)에서 빠지 않게 한다.
이는 두 파이프(1,3)간 간격을 작게 하는데 유리하다.
이하, 본 발명의 지그를 이용한 히터 파이프의 조립과정을 설명하면, 우선, 각 브라켓의 서로 대응하는 파이프 수용부 내측으로 히터 파이프를 위치시킨 후 두 브라켓을 결합하여 록킹시키고, 이를 거치용 훅을 이용하여 엔진의 소정 부분에 거치한다.
엔진의 조립이 끝난 후 거치용 훅을 엔진으로부터 탈거하고, 히터 파이프가 고정된 지그를 히터 파이프의 연결 위치로 이동시킨다.
이후, 각 히터 파이프를 히터 코어의 해당 연결부에 가조립하고, 지그의 록킹을 해제하여 각 브라켓을 분리한 후, 클립을 이용하여 히터 파이프를 완전히 고정시키게 된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두 히터 파이프를 지그에 수용시켜 엔진의 편리한 위치에 안전하게 거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엔진 이송시히터 파이프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두 히터 파이프를 동시에 가조립할 수 있게 됨으로써, 가조립 및 클립고정을 번갈아 하는 불편함 없이, 히터 파이프의 장착성 및 작업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작업자의 부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결합되어 두 히터 파이프(1,3)를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수용하는 제1(12) 및 제2브라켓(14)과, 상기 두 히터 파이프(1,3)를 수용한 상기 제1(12) 및 제2브라켓(14)을 서로 록킹시키는 록킹수단(15)과, 록킹된 상기 제1(12) 및 제2브라켓(14)과 이에 수용된 히터 파이프(1,3)를 엔진의 소정 부분에 거치할 수 있도록 된 거치용 훅(19)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터 파이프 조립용 지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브라켓(12)과 제2브라켓(14)은 결합시 서로 대응하여 각 히터 파이프(1,3)의 외주면을 양 측에서 감싸는 파이프 수용부(12a,12b,14a,14b)와, 각 브라켓(12,14)의 파이프 수용부를 일체로 연결하는 이격용 플레이트(12c,14c)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터 파이프 조립용 지그.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용 훅(19)은 상기 이격용 플레이트(12c,14c)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터 파이프 조립용 지그.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수단(15)은 상기 제1브라켓(12)과제2브라켓(14) 중 어느 하나의 이격용 플레이트(14a 또는 14c) 내측면에 돌출부재(16)와, 이 돌출부재(16)에서 회전 가능한 로커(17)를 설치하고, 나머지 브라켓의 대응부에는 상기 로커(17)가 통과할 수 있는 체결홀(18)을 형성시켜서, 상기 로커(17)가 상기 체결홀(18)을 통과하도록 두 브라켓(12,14)을 서로 결합시킨 후 통과한 상기 로커(17)를 회전킴으로써 록킹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터 파이프 조립용 지그.
  5.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용 훅(19)은 상기 로커(17)와 일체로 되어 상기 체결홀(18)을 통과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터 파이프 조립용 지그.
KR10-2001-0046211A 2001-07-31 2001-07-31 히터 파이프 조립용 지그 KR1003913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6211A KR100391324B1 (ko) 2001-07-31 2001-07-31 히터 파이프 조립용 지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6211A KR100391324B1 (ko) 2001-07-31 2001-07-31 히터 파이프 조립용 지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2249A true KR20030012249A (ko) 2003-02-12
KR100391324B1 KR100391324B1 (ko) 2003-07-12

Family

ID=277174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6211A KR100391324B1 (ko) 2001-07-31 2001-07-31 히터 파이프 조립용 지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9132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4294B1 (ko) * 2007-10-18 2011-02-16 요코가와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리모트 i/o 유닛
CN111623522A (zh) * 2019-02-28 2020-09-04 格德斯控股两合公司 具有壳体的连续式加热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4294B1 (ko) * 2007-10-18 2011-02-16 요코가와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리모트 i/o 유닛
CN111623522A (zh) * 2019-02-28 2020-09-04 格德斯控股两合公司 具有壳体的连续式加热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91324B1 (ko) 2003-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387551C2 (ru) Система вентилирования для автомобилей
JP2832813B2 (ja) インサート付き接続ブロック
DE60109510D1 (de) Wärmeaustauschmodul, insbesondere für Kraftfahrzeug
US6523602B2 (en) Switchgear cabinet with an air-conditioning device
EP1892492A3 (fr) Module d&#39;échange de chaleur, notamment pour un véhicule automobile, comportant un radiateur principal et un radiateur secondaire, et système comprenant ce module
RU2682957C1 (ru) Несущая конструкция
US9574827B2 (en) Microchannel coil manifold system
KR100391324B1 (ko) 히터 파이프 조립용 지그
EP1408292B1 (en) Heating device
US9783021B2 (en) Integrated HVAC case and pipe retention feature
US20030085022A1 (en) Bracket for heat exchange ventilation device
US6125646A (e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 in a motor vehicle
KR20090062418A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증발기파이프 클램프
JPH0542818A (ja) 温水式暖房装置
KR20090054536A (ko) 자동차용 히터 코어 파이프 고정구
JPS5844300Y2 (ja) 空気調和機の室外側ユニツト
US5482114A (en) Charged air cooler mounting bars
KR20020057001A (ko) 배관구조
KR20010055595A (ko) 자동차용 열교환기의 히터 파이프 고정장치
JP3355512B2 (ja) 熱交換ユニット
KR100848567B1 (ko) 열교환기와 팬유니트 조립체
KR20060132078A (ko) 열교환기의 열해 방지구조
KR20180091290A (ko) 차량 실내 난방 장치
JPH07110058A (ja) 産業車両
JPH10306994A (ja) 車両用熱交換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70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