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12234A - 조립식 교량용 폴리머 콘크리트 프리캐스트 상판 및 그제조방법, 폴리머 콘크리트 프리캐스트 상판을 이용한조립식 교량 상판 공법 및 폴리머 콘크리트 - Google Patents

조립식 교량용 폴리머 콘크리트 프리캐스트 상판 및 그제조방법, 폴리머 콘크리트 프리캐스트 상판을 이용한조립식 교량 상판 공법 및 폴리머 콘크리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12234A
KR20030012234A KR1020010046189A KR20010046189A KR20030012234A KR 20030012234 A KR20030012234 A KR 20030012234A KR 1020010046189 A KR1020010046189 A KR 1020010046189A KR 20010046189 A KR20010046189 A KR 20010046189A KR 20030012234 A KR20030012234 A KR 200300122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mer concrete
concrete precast
epoxy resin
transverse
prefabric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61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36889B1 (ko
Inventor
이도형
이현달
채규봉
김우종
Original Assignee
이도형
채규봉
이현달
김우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도형, 채규봉, 이현달, 김우종 filed Critical 이도형
Priority to KR10-2001-00461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36889B1/ko
Publication of KR200300122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22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68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6889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2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Fastening railway sleepers or tracks to bridges
    • E01D19/125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16Load-carrying floor structures wholly or partly cast or similarly formed in situ
    • E04B5/32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 E04B5/326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with hollow fill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식 교량용 폴리머 콘크리트 프리캐스트 상판 및 그 제조방법, 폴리머 콘크리트 프리캐스트 상판을 이용한 조립식 교량 상판 공법 및 폴리머 콘크리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교량용 폴리머 콘크리트 프리캐스트 상판은, 상호 소정 간격을 두고 이격 배치되는 횡철근과; 상기 각 횡철근에 대해 직각되게 상호 소정 간격을 두고 이격배치되는 종철근과; 에폭시 수지와, 경화제와, 잔골재 및 굵은 골재를 소정 비율로 혼합하여 상기 횡철근 및 종철근의 각 양 단부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소정 노출되게 판상체로 형성되는 폴리머 콘트리트부를 포함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무게를 줄일 수 있으며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조립식 교량용 폴리머 콘크리트 프리캐스트 상판 및 그 제조방법, 폴리머 콘크리트 프리캐스트 상판을 이용한 조립식 교량 상판 공법 및 폴리머 콘크리트{POLYMER CONCRETE PRECAST DECK PANEL FOR FABRICATED BRIDG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FABRICATED BRIDGE DECK PANEL INSTALLATION METHOD USING POLYMER CONCRETE PRECAST DECK PANEL AND POLYMER CONCRETE}
본 발명은, 조립식 교량용 폴리머 콘크리트 프리캐스트 상판 및 그 제조방법, 폴리머 콘크리트 프리캐스트 상판을 이용한 조립식 교량 상판 공법 및 폴리머 콘크리트에 관한 것이다.
교량은 하천, 호소, 해협, 만, 운하, 저지 또는 다른 교통로나 구축물 위를 건너갈 수 있도록 만든 고가구조물로서, 지지할 시설의 종류 및 건너야 할 것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되며 모두 합리적인 안정성과 경제성이 확보되도록 할 것이 요구되고 있다.
교량은 주요 구성 재료에 따라 목교, 석교, 콘크리트교, 철근콘크리트교,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교, 강교 및 합성교 등으로 분류되며, 현재 교량의 구성재료로는 주로 강철 및 콘크리트가 이용되고 있다.
콘크리트는 일반적으로 압축강도는 우수한 반면 인장강도가 약한 특성이 있으며, 콘크리트 기술의 발달은 인장력을 철근으로 보강한 철근콘크리트 및 프리스트레스트 강선 및 강봉을 이용한 프리스트레스트 콘트리트를 일반화하기에 이르렀다.
한편, 산업과 경제의 급속한 발전에 따라 산업 물량 및 인력의 수송을 위한 도로 시설의 확충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으며, 이러한 도로 시설의 확충은 교량의 건설을 불가피하게 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장대 교량 및 육상 고가 교량의 건설이늘고 있다.
교량은, 통로를 형성하거나 통로를 지지하는 상부구조물과, 상부구조물을 지지하는 하부구조물로 구분되며, 일반적으로 상부구조물은 현장에서 배근하여 콘트리트를 타설하거나 공장에서 프리캐스트 상판(Precast Deck Panel) 형태로 제작하여 현장에서 결합된다.
이러한 종래의 현장 타설형 상부구조물은 철근 콘크리트의 특성상 무게가 무겁고 공기가 연장되는 등 막대한 비용이 소요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프리캐스트 상판을 이용한 상부구조물은 현장 타설형 상부구조물에 비해 공기를 단축할 수 있으나 그 크기가 크고 무거워 운반 및 설치에 많은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종래의 현장 타설형 및 프리캐스트 상판을 이용한 상부구조물은, 차량 및/또는 사람의 하중이 다양한 형태로 직접적이고 반복적으로 작용하게 되어 하부구조물에 비해 내구 연한이 짧아 하자가 자주 발생하게 된다. 빈발하는 하자 보수를 위해서는 많은 공사비용이 소요됨은 물론이고, 보수시의 교통 통제에 따른 인근 우회로의 정체에 기인하여 간접적으로 막대한 경제적 손실이 발생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무게를 줄일 수 있으며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조립식 교량용 폴리머 콘크리트 프리캐스트 상판 및 그 제조방법, 폴리머 콘크리트 프리캐스트 상판을 이용한 조립식 교량 상판 공법 및 폴리머 콘크리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교량용 폴리머 콘크리트 프리캐스트 상판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Ⅱ-Ⅱ선에 따른 확대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폴리머 콘크리트의 제조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교량용 폴리머 콘크리트 프리캐스트 상판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교량용 콘크리트 프리캐스트 상판의 제조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교량용 폴리머 콘크리트 프리캐스트 상판을 이용한 조립식 교량 상판 공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도 6의 조립식 교량 상판 공법에 따른 폴리머 콘크리트 프리캐스트상판의 배치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8은 도 7의 연결부의 타설전 연결상태의 확대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 : 횡철근13 : 종철근
21 : 폴리머 콘크리트부 31 : 관상부재
32 : 마개40 : 거푸집
41 : 장변부45 : 단변부
51 : 연결부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상호 소정 간격을 두고 이격배치되는 횡철근과; 상기 각 횡철근에 대해 직각되게 상호 소정 간격을 두고 이격배치되는 종철근과; 에폭시 수지와, 경화제와, 잔골재 및 굵은 골재를 소정 비율로 혼합하여 상기 횡철근 및 종철근의 각 양 단부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소정 노출되게 판상체로 형성되는 폴리머 콘트리트부를 포함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교량용 폴리머 콘크리트 프리캐스트 상판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횡철근과 나란하게 상호 소정 거리 이격되게 배치되어 상기 폴리머 콘크리트부의 내부에 매입되는 복수의 관상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분야에 따르면, 가로 및 세로 방향을 따라 각각 소정 간격으로 횡철근 및 종철근을 배근하는 단계와; 에폭시수지와, 경화제와, 잔골재 및 굵은 골재를 각각 마련하는 단계와; 상기 에폭시수지와, 경화제와, 잔골재 및 굵은 골재를 소정 비율로 혼합하여 상기 횡철근 및 종철근의 각 단부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소정 노출되게 판상의 폴리머 콘크리트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교량용 폴리머 콘크리트 프리캐스트 상판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폴리머 콘크리트부를 형성하는 단계 전에 상기 횡철근과 나란하게 상호 소정 간격을 두고 관상부재를 배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분야에 따르면, 상호 직각되게 배치된 복수의 횡철근 및 종철근과, 에폭시수지와 경화제와 잔골재 및 굵은 골재로 상기 횡철근 및 종철근의 각 단부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소정 노출되게 판상체로 형성된 폴리머 콘크리트부를 구비한 폴리머 콘크리트 프리캐스트 상판을 마련하는 단계와; 상기 폴리머 콘크리트 프리캐스트 상판을 교각 위에 배치하는 단계와; 상호 인접 배치된 각 폴리머 콘크리트 프리캐스트 상판의 노출된 철근부를 상호 일체로 연결하는 단계와; 상기 인접된 각 폴리머 콘크리트 프리캐스트 상판이 상호 일체로 연결되도록 상호 인접된 폴리머 콘크리트 프리캐스트 상판의 사이공간에 연결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머 콘크리트 프리캐스트 상판을 이용한 조립식 교량 상판 공법이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연결부를 형성하는 단계 전에 상기 각 폴리머 콘크리트 프리캐스트 상판사이에 충진될 에폭시 수지와, 경화제와, 잔골재 및 굵은 골재를 포함하는 채움재료를 마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분야에 따르면, 에폭시 수지와; 상기 에폭시 수지의 경화를 위한 경화제와; 비교적 작은 입도를 가지는 잔골재와; 상기 잔골재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입도를 가지는 굵은 골재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머 콘크리트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에폭시 수지와, 상기 잔골재 및 상기 굵은 골재는 상호 180~250:800:1200의 중량비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교량용 폴리머 콘크리트 프리캐스트 상판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Ⅱ-Ⅱ선에 따른 확대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조립식 교량용 폴리머 콘크리트 프리캐스트 상판(10)은, 상호 나란하게 소정 간격을 두고 이격배치되는 복수의 횡철근(11)과, 횡철근(11)에 직각되게 배치되는 복수의 종철근(13)과, 인접된 다른 횡철근(11) 및 종철근(13)의 적어도 일측 단부가 노출되도록 판상체로 형성되는 폴리머 콘크리트부(21)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횡철근(11) 및 종철근(13)은 폴리머 콘크리트부(21)의 두께방향에 대해 상호 소정 간격을 두고 이격 배치되어 있으며, 횡철근(11)은 두께방향을 따라 상측에 배치된 철근과 하측에 배치된 철근은 폴리머 콘크리트부(21)의 길이방향에 대해 상호 엇갈리게 배치되어 있다. 상하방향을 따라 이격된 횡철근(11) 및 종철근(13) 사이에는 횡철근(11)과 나란하게 복수의 합성수지로 된 관상부재(31)가 배치되어 있으며, 각 관상부재(31)의 길이방향을 따라 양 단부에는 내부로 결합재 및/또는 채움재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마개(32)가 각각 결합되어 있다.
폴리머 콘크리트부(21)는 에폭시 수지와, 에폭시 수지의 경화를 위한 경화제와, 잔골재 및 굵은 골재를 소정 비율로 혼합하여 형성된다. 여기서, 에폭시 수지:잔골재:굵은 골재는 180~250:800:1200의 중량비를 가지고 혼합되며, 220:800:1200인 중량비를 가지고 상호 혼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폴리머 콘크리트의 제조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폴리머 콘크리트의 제조는 먼저 에폭시 수지와, 경화제와, 잔골재 및 굵은 골재를 각각 마련하고(S10), 에폭시 수지에 경화제를 골고루 혼합되도록 한다(S20).
여기서, 에폭시 수지 주재는, 바이스페놀 에이(Bisphenol-A)계 표준 액상 에폭시 수지로서 중상 정도의 점도와 높은 열변형 온도를 지니고 있으며, 경화후 내화학성, 접착성, 기계 및 전기적 물성이 우수하다.
에폭시 수지의 물성은 표 1과 같다.
외형 색상 점도(CPS,25℃) 에폭시 당량
점성액체 담황색 12,000~15,000 184~194
한편, 에폭시 수지의 경화를 위한 경화제는 저점도형 폴리아미드(Polyamide)수지이며, 이 폴리아미드 수지는 액상 에폭시 수지와 함께 무용제형 도료, 그라우트 몰딩(Grout Molding)제, 라이닝제, 수지모르타르(Resin Mortar)제 등으로 활용된다.
경화제의 물성 및 기계적 물성은 아래 표 2 및 표 3과 같다.
항목 Specification 비고
외관 황갈색 점성액체
산가 7 max mgKOH/
점도 500-1000 25℃,CPS
AMINE가 310±30 mgKOH/
12 max Gardner
배합비 주재/경화제=100/50
가사시간 120분(20℃,200g scale)
발열온도 34℃(20℃,200g scale)
경화조건 실온,7일
시험항목 측정값 측정방법 단위
굴곡강도 870 JIS K- 6911 ㎏/㎠
압축강도 1300 JIS K- 6911 ㎏/㎠
인장강도 530 JIS K- 6911 ㎏/㎠
전단접착 116 JIS K- 6911 ㎏/㎠
경도 84 JIS K- 6911 Shore'shardness
흡수율 0.198 JIS K- 6911 %
압축 탄성률 17,200 JIS K- 6911 ㎏/㎠
그리고, 잔골재는 해사를 염분이 제거되도록 세척한 것을 건조하여 사용하고, 굵은 골재는 부순돌(쇄석)을 사용하며, 잔골재 및 굵은 골재 모두 수분함유율이 0.1%이하의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들의 물성은 아래 표 4에 도시되어 있다.
Type\Item Gmax(max) Specificgravity Absorption F.M. Organicimpurities unit weight(㎏/㎥) Percentage of solids(%)
Fine agg - 2.61 0.86 3.21 O. K 1605 -
Coarse agg 25 2.83 0.5 6.89 - 1949 -
다음, 경화제가 첨가된 에폭시 수지에 굵은 골재를 투입하고, 잔골재를 투입하여 골고루 배합되도록 한다.
한편, 국내에는 폴리머 재료의 보급에 따른 규격화가 실시되고 있으며, 그 규격에 따른 시험방법으로는, KS F 2480 폴리에스테르 레진 콘크리트의 인장강도 시험방법, KS F 2481 폴리에스테르 레진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시험방법, KS F 2482 폴리에스테르 레진 콘크리트의 휨강도 시험방법, KS F 2484 폴리에스테르 레진 콘크리트의 사용가능시간 측정방법 등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폴리머 콘크리트의 상기 시험방법중 해당 시험방법에 따른 시험결과에 대해 설명한다.
<압축강도시험>
압축강도의 시험은 각 잔골재 및 굵은 골재는 800㎏ 및 1200㎏으로 동일하게 투입하고, 각 잔골재 800㎏ 및 굵은 골재 1200㎏에 대해 에폭시 수지의 혼입량을 각각 180,200,220,240,250㎏으로 투입하여 제작된 5종류의 시험체(EP18,EP20,EP22,EP24,EP25)를 전술한 KS F 2481(폴리에스테르 레진 콘크리트의 강도 시험용 공시체 제작방법에 따라 직경 10㎝, 길이 20㎝의 동일한 크기를 가지도록 제작하여 재령 1일, 7일, 14일 및 28일의 압축강도 시험을 실시하였다.
압축강도시험의 결과는 아래 표 5에 도시되어 있다.
(단위;㎏/㎠)
시료\재령 1일 7일 14일 28일
EP18 364 620 690 714
EP20 373 660 720 736
EP22 382 640 730 743
EP24 361 570 642 682
EP25 332 530 620 636
상기 표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잔골재 800㎏, 굵은 골재 1200㎏에 대해 에폭시 수지 220㎏이 함유된 공시체 EP22가 우수한 압축강도를 나타내고 있다.
<휨강도 시험>
다음, 휨강도 시험은 잔골재 800㎏, 굵은 골재 1200㎏에 대해 에폭시 수지를 각각 200,220,240 및 250㎏을 혼합하여 10×10×45㎝의 각주형 공시체를 제작하여KS F 2482(폴리에스테르 레진 콘크리트의 휨강도 시험방법)에 따라 시험하였다.
그 결과는 아래 표 6에 도시되어 있다.
(단위;㎏/㎠)
시료\재령 1일 7일 28일
EP20 93 152 177
EP22 96 163 186
EP24 95 137 164
EP25 90 127 153
상기 표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폴리머 콘크리트 공시체 시험결과 잔골재 800㎏, 굵은 골재 1200㎏에 대해 에폭시 수지 220㎏이 함유된 공시체 EP22가 가장 양호한 결과를 나타냈다.
<열팽창 계수 시험>
열팽창 계수 시험은 10×10×45㎝의 각주형 공시체를 에폭시 수지의 함유량을 변화시켜 제작하고, 재령 28일에 각 공시체의 중앙에 스트레인 게이지를 부착하여 오븐에 넣은 후 온도를 80℃가지 승온시키면서 데이터로거에 의해 변형률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아래 표 7에 도시되어 있다.
시료 열팽창계수
EP18 2.22×10-5
EP20 2.54×10-5
EP22 2.93×10-5
EP24 2.93×10-5
EP25 2.93×10-5
이상에서 설명한 결과를 부연하면, 본 폴리머 콘크리트는 에폭시 수지 함유량을 변화시켜 공시체를 제작하여 측정한 결과 에폭시 수지와, 잔골재 및 굵은 골재는 상호 180~250:800:1200의 중량비를 가지고 혼합되는 것이 구조재로서 비교적 우수한 특성을 나타내고 있으며, 중량비가 220:800:1200인 것이 가장 바람직한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교량용 폴리머 콘크리트 프리캐스트 상판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교량용 콘크리트 프리캐스트 상판의 제조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전술한 구성과 동일 및 동일 상당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한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조립식 교량용 폴리머 콘크리트 프리캐스트 상판(10)의 제조방법은, 먼저 상호 직각되게 배근된 횡철근(11) 및 종철근(13)에 폴리머 콘크리트부(21)를 일체로 형성하기 위한 거푸집(40)을 형성한다(S15).
거푸집(4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평행하게 배치된 한 쌍의 장변부(41)와, 장변부(41)의 양 단부를 차단하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단변부(45)를 구비하고 있다. 각 단변부(45)에는 종철근(13)이 수평방향을 따라 상호 나란하게 이격됨과 아울러 상하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도록 복수의 종철근공(46)이 판면을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각 장변부(41)에는 복수의 횡철근(11)을 수용할 수 있도록 복수의 횡철근공(42)이 관통형성되어 있으며, 상측 및 하측에 각각 형성된 횡철근공(42)은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엇갈리게 배열되어 있다. 상하방향을 따라 횡철근공(42)의사이에는 관상부재(31)를 수용할 수 있도록 복수의 관상부재수용공(44)이 관통형성되어 있다.
거푸집(40)이 형성되면(S15), 각 장변부(41) 및 단변부(45)의 하측에 형성된 종철근공(46) 및 횡철근공(42)에 횡철근(11) 및 종철근(13)을 수용결합되도록 하부 배근을 실시한다(S25). 각 종철근(13) 및 횡철근(11)은 다른 폴리머 콘크리트 패널(10)과의 인접연부에 후술할 연결부가 형성될 수 있도록 각 거푸집(40)으로부터 연결부 형성측으로 돌출될 수 있는 정도의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하부배근이 완료되면(S25) 각 관상부재수용공(44)에 관상부재(31)를 결합하고(S35), 장변부(41) 및 단변부(45)의 상측에 각각 형성된 횡철근공(42) 및 종철근공(46)에 횡철근(11) 및 종철근(13)을 각각 수용 결합하여 상부 배근을 실시한다(S45).
다음, 배근이 완료되면(S45) 도 3과 관련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혼합된 폴리머 콘크리트를 거푸집(40)의 내부에 주입하여 폴리머 콘크리트부(21)를 형성하고(S55), 폴리머 콘크리트부(21)가 충분히 경화한 후 폴리머 콘크리트부(21)로부터 거푸집(40)을 분리제거하면(S65) 조립식 교량용 폴리머 콘크리트 프리캐스트 상판(10)이 완성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폴리머 콘크리트 프리캐스트 상판을 이용한 조립식 교량 상판 공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7은 도 6의 조립식 교량 상판 공법에 따른 폴리머 콘크리트 프리캐스트 상판의 배치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8은 도 7의 연결부의 타설전 연결상태의 확대도이다. 전술한 구성과동일 및 동일 상당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조립식 교량용 폴리머 콘크리트 프리캐스트 상판을 이용한 조립식 교량 상판 공법은, 먼저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식 교량용 폴리머 콘크리트 프리캐스트 상판(10)을 각 교각의 거더(Girder)(미도시)상에 이들을 상호 일체로 연결시키는 후술할 연결부(51)의 형성을 위한 공간을 두고 상호 이격되도록 배치한다(S70).
각 폴리머 콘크리트 프리캐스트 상판(10)의 측연부로부터 돌출된 횡철근(11) 및 종철근(13)은 상호 중첩되어 있으며, 각 철근의 중첩된 영역에 “U”형상을 가지며 양 단에 수나사부(54)가 형성된 클립(53)사이에 배치하고 이들이 상호 분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도록 클립(53)의 수나사부(54)에 너트(55)를 체결하는 클립이음을 실시한다(S80). 클립체결시, 보강철근(57)을 개재시키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서는 종철근(13)의 중첩영역에는 보강철근(57)이 복수개 개재되어 있으며, 횡철근(11)의 중첩영역에는 보강철근(57)이 하나 개재된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여기서, 각 철근의 중첩된 영역을 상호 일체로 체결함에 있어서는, 각 횡철근(11) 및 종철근(13)의 단부에 수나사부가 형성되도록 하고, 상호 인접된 패널의 각 철근이 상호 동일선상에 소정 간격 이격 되게 배치된 상태에서 이들 수나사부에 대응되게 양 측에 암나사가 형성된 턴버클을 결합하여 이들이 충분한 강도를 가지고 상호 일체로 체결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각 패널의 돌출된 철근이 상호 맞대기 접촉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상호 맞대기 접촉된 철근의 둘레에 원통형의 슬리브를 배치하고 철근과 슬리브가 상호 분리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슬리브의 양 단에 압력을 가해 슬리브와 철근이 상호 압착되도록 함으로써 상호 인접된 패널이 충분한 강도를 가지고 상호 일체로 체결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각 폴리머 콘크리트 패널(10)의 철근의 클립이음이 완료되면(S80) 각 폴리머 콘크리트 패널(10)의 사이영역에 채움재를 충진하여 연결부(51)를 형성한다(S90).
여기서, 연결부(51)는 일반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전술한 폴리머 콘크리트를 타설할 경우 일반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형성한 경우보다 내구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상호 직각되게 배치되는 복수의 횡철근 및 종철근과, 에폭시 수지와, 잔골재 및 굵은 골재를 소정 비율로 혼합하여 판상체로 상기 횡철근 및 종철근의 적어도 일단이 노출되게 형성되는 폴리머 콘트리트부를 포함하여 형성함으로써,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무게를 줄일 수 있는 조립식 교량용 폴리머 콘크리트 프리캐스트 상판 및 그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폴리머 콘크리트부의 내부에 복수의 관상부재를 매입되도록 함으로써 무게를 현저히 줄일 수 있는 조립식 교량용 폴리머 콘크리트 프리캐스트 상판 및 그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횡철근 및 종철근의 적어도 일단이 노출되게 에폭시 수지, 잔골재, 굵은 골재로 폴리머 콘크리트부를 구비한 폴리머 콘크리트 프리캐스트 상판을 배치하고, 각 패널을 현장에서 상호 일체로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무게를 줄일 수 있으며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폴리머 콘크리트 프리캐스트 상판을 이용한 조립식 교량 상판 공법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에폭시 수지와, 잔골재 및 굵은 골재를 소정의 비율로 혼합함으로써 무게를 줄일 수 있으며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폴리머 콘크리트가 제공된다.

Claims (8)

  1. 상호 소정 간격을 두고 이격 배치되는 횡철근과; 상기 각 횡철근에 대해 직각되게 상호 소정 간격을 두고 이격배치되는 종철근과; 에폭시 수지와, 경화제와, 잔골재 및 굵은 골재를 소정 비율로 혼합하여 상기 횡철근 및 종철근의 각 양 단부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소정 노출되게 판상체로 형성되는 폴리머 콘트리트부를 포함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교량용 폴리머 콘크리트 프리캐스트 상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횡철근과 나란하게 상호 소정 거리 이격되게 배치되어 상기 폴리머 콘크리트부의 내부에 매입되는 복수의 관상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교량용 폴리머 콘크리트 프리캐스트 상판.
  3. 가로 및 세로 방향을 따라 각각 소정 간격으로 횡철근 및 종철근을 배근하는 단계와; 에폭시수지와, 경화제와, 잔골재 및 굵은 골재를 각각 마련하는 단계와; 상기 에폭시수지와, 경화제와, 잔골재 및 굵은 골재를 소정 비율로 혼합하여 상기 횡철근 및 종철근의 각 단부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소정 노출되게 판상의 폴리머 콘크리트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교량용 폴리머 콘크리트 프리캐스트 상판의 제조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 콘크리트부를 형성하는 단계 전에 상기 횡철근과 나란하게 상호 소정 간격을 두고 관상부재를 배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교량용 폴리머 콘크리트 프리캐스트 상판의 제조방법.
  5. 상호 직각되게 배치된 복수의 횡철근 및 종철근과, 에폭시수지와 경화제와 잔골재 및 굵은 골재로 상기 횡철근 및 종철근의 각 단부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소정 노출되게 판상체로 형성된 폴리머 콘크리트부를 구비한 폴리머 콘크리트 프리캐스트 상판을 마련하는 단계와; 상기 폴리머 콘크리트 프리캐스트 상판을 교각 위에 배치하는 단계와; 상호 인접 배치된 각 폴리머 콘크리트 프리캐스트 상판의 노출된 철근부를 상호 일체로 연결하는 단계와; 상기 인접된 각 폴리머 콘크리트 프리캐스트 상판이 상호 일체로 연결되도록 상호 인접된 폴리머 콘크리트 프리캐스트 상판의 사이공간에 연결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머 콘크리트 프리캐스트 상판을 이용한 조립식 교량 상판 공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를 형성하는 단계 전에 상기 각 폴리머 콘크리트 프리캐스트 상판 사이에 충진될 에폭시 수지와, 경화제와, 잔골재 및 굵은 골재를 포함하는 채움재료를 마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머 콘크리트 프리캐스트 상판을 이용한 조립식 교량 상판 공법.
  7. 에폭시 수지와; 상기 에폭시 수지의 경화를 위한 경화제와; 비교적 작은 입도를 가지는 잔골재와; 상기 잔골재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입도를 가지는 굵은 골재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머 콘크리트.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에폭시 수지와, 상기 잔골재 및 상기 굵은 골재는 상호 180~250:800:1200의 중량비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머 콘크리트.
KR10-2001-0046189A 2001-07-31 2001-07-31 조립식 교량용 폴리머 콘크리트 프리캐스트 상판 및 그제조방법, 폴리머 콘크리트 프리캐스트 상판을 이용한조립식 교량 상판 공법 및 폴리머 콘크리트 KR1004368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6189A KR100436889B1 (ko) 2001-07-31 2001-07-31 조립식 교량용 폴리머 콘크리트 프리캐스트 상판 및 그제조방법, 폴리머 콘크리트 프리캐스트 상판을 이용한조립식 교량 상판 공법 및 폴리머 콘크리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6189A KR100436889B1 (ko) 2001-07-31 2001-07-31 조립식 교량용 폴리머 콘크리트 프리캐스트 상판 및 그제조방법, 폴리머 콘크리트 프리캐스트 상판을 이용한조립식 교량 상판 공법 및 폴리머 콘크리트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3231U Division KR200253566Y1 (ko) 2001-07-31 2001-07-31 조립식 교량용 폴리머 콘크리트 프리캐스트 상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2234A true KR20030012234A (ko) 2003-02-12
KR100436889B1 KR100436889B1 (ko) 2004-06-25

Family

ID=277174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6189A KR100436889B1 (ko) 2001-07-31 2001-07-31 조립식 교량용 폴리머 콘크리트 프리캐스트 상판 및 그제조방법, 폴리머 콘크리트 프리캐스트 상판을 이용한조립식 교량 상판 공법 및 폴리머 콘크리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3688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3460A (ko) * 2002-03-11 2003-09-19 주식회사 하이콘엔지니어링 철근 콘크리트 중공슬래브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264487B1 (ko) * 2021-01-11 2021-06-14 다혜건설 주식회사 부분 래티스-바를 갖는 반단면 프리캐스트 바닥판 모듈 및 이의 제작 및 시공방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01268A (ja) * 1992-09-17 1994-04-12 Takenaka Komuten Co Ltd 中空プレキャストラーメン構造
JP2832522B2 (ja) * 1995-07-04 1998-12-09 ショーボンド建設株式会社 鋼板とコンクリートを合成してなるプレキャスト床版及びその継手構造
KR100237194B1 (ko) * 1997-02-03 2000-01-15 이도형 에폭시를 연결부에 사용한 조립식 교량 상판 공법
JP2000038710A (ja) * 1998-07-22 2000-02-08 Ishikawajima Constr Materials Co Ltd コンクリート床版の構造
KR100306395B1 (ko) * 1999-01-18 2001-09-26 이우동 격자형 중공슬래브
KR20010096701A (ko) * 2001-07-27 2001-11-08 최병렬 프리캐스트 상판교량의 연결부에 대한 기계적 연결 장치,패드아이-턴 버클, 아이-바-턴 버클, 더블유-바-턴 버클,전단 판 및 볼트을 이용한 교량상판 일체화 공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3460A (ko) * 2002-03-11 2003-09-19 주식회사 하이콘엔지니어링 철근 콘크리트 중공슬래브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264487B1 (ko) * 2021-01-11 2021-06-14 다혜건설 주식회사 부분 래티스-바를 갖는 반단면 프리캐스트 바닥판 모듈 및 이의 제작 및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36889B1 (ko) 2004-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Oskouei et al. Experimental study of the punching behavior of GFRP reinforced lightweight concrete footing
Issa et al. Performance of transverse joint grout materials in full-depth precast concrete bridge deck systems
Perry et al. Innovative field cast UHPC joints for precast bridge decks. design, prototype testing and projects
Tanaka et al. The innovation and application of UHPFRC bridges in Japan
Resplendino Ultra-high performance concretes—Recent realizations and research programs on UHPFRC bridges in France
KR100436889B1 (ko) 조립식 교량용 폴리머 콘크리트 프리캐스트 상판 및 그제조방법, 폴리머 콘크리트 프리캐스트 상판을 이용한조립식 교량 상판 공법 및 폴리머 콘크리트
KR200253566Y1 (ko) 조립식 교량용 폴리머 콘크리트 프리캐스트 상판
CN216973016U (zh) 一种采用榫卯连接的机场装配式道面结构
Coufal et al. The first large application of UHPC in the Czech Republic
Shahrokhinasab et al. ABC-UTC Guide for: Full-Depth Precast Concrete (FDPC) Deck Panels
SCHAUmANN Hybrid FRP-lightweight concrete sandwich system for engineering structures
Perry et al. Innovative Field Cast UHPC Joints for Precast Deck Panel Bridge Superstructures-CN Overhead Bridge at Rainy Lake, Ontario
Hanna Behavior of adjacent precast prestressed concrete box girder bridges
Patel et al. Development of a precast concrete barrier wall system for bridge decks
Ojo Performance of Steel Fiber Reinforced and Conventionally Reinforced Post-Tensioned Flat Plates
Vic Perry et al. Innovative Field Cast Uhpc Joints for Precast Bridge Systems–3-Span Live Load Continuous
CN114960302B (zh) 一种高速铁路装配式无砟轨道结构及施工方法
Posluszny Applications of prestressed AFRP bars in concrete railroad ties
CN114318997A (zh) 一种采用榫卯连接的机场装配式道面结构
KR101898558B1 (ko) 중앙 집중형 텐던을 구비한 거더를 이용한 교량 제작방법
Jiang et al. Analysis of current state rigid pavement design practices in the United States
Aparicio et al. Externally prestressed high strength concrete viaduct
KR200375130Y1 (ko) 프리캐스트 프리스트레스트 철근콘크리트 바닥판과 이를구비한 교량
Bleyhl Experimental Study on a New Type of Transverse Connection for Nebraska County Bridge System
Myers et al. Accelerated construction for pedestrian bridges: A comparison between high strength concrete (HSC) and high-strength self consolidating concrete (HS-SCC)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