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06395B1 - 격자형 중공슬래브 - Google Patents

격자형 중공슬래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06395B1
KR100306395B1 KR1019990002035A KR19990002035A KR100306395B1 KR 100306395 B1 KR100306395 B1 KR 100306395B1 KR 1019990002035 A KR1019990002035 A KR 1019990002035A KR 19990002035 A KR19990002035 A KR 19990002035A KR 100306395 B1 KR100306395 B1 KR 1003063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ab
hollow
hollow part
vicinity
concr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20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46265A (ko
Inventor
이우동
Original Assignee
이우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우동 filed Critical 이우동
Priority to KR10199900020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06395B1/ko
Publication of KR199900462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6265A/ko
Priority to JP2000010018A priority patent/JP3938826B2/ja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63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6395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16Load-carrying floor structures wholly or partly cast or similarly formed in situ
    • E04B5/32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 E04B5/326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with hollow fill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43Floor structures of extraordinary design; Features relating to the elastic stability; Floor structures specially designed for resting on columns only, e.g. mushroom fl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02Load-carrying floor structures formed substantially of prefabricated units
    • E04B5/08Load-carrying floor structures formed substantially of prefabricated units assembled of block-shaped elements, e.g. hollow st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Abstract

[목적]
본 발명은 토목 건축에 있어서 교량이나 건축물 등 스판(SPAN)이 긴 슬래브를 공사할 때 슬래브내의 중공부 주위에 부근의 배근을 효율적인 격자형으로 설치하여 강도가 허용되는 범위내에서 슬래브층의 두께를 최소로 줄일 수 있는 격자형 중공슬래브에 관한 것이다.
[구성]
슬래브표면과 중공부의 사이에 주근을 설치한 슬래브에 있어서 슬래브내의 중공부를 길이방향으로 중공부의 직경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작게 구획지게 구간을 형성하고, 중공부의 직경이 작은 부분의 콘크리트영역에 부근을 배근하되, 주근과 교차되는 격자형으로 설치하여서 된 슬래브이다.
[효과]
슬래브내에 중공부의 관경을 길이방향으로 차이를 주어 관경이 작은 부분에 부근의 배근을 효과적으로하여 슬래브의 두께를 낮게 하면서 경량화하고, 강도가 높은 슬래브를 얻을 수 있는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격자형 중공슬래브{LATTICE VOID SLAB}
본 발명은 격자형 중공슬래브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토목 건축에 있어서 교량이나 건축물 등 스판(SPAN)이 긴 슬래브를 공사할 때 중공부를 형성한 슬래브에 주근 및 부근의 배근을 중공부에 근접되게 격자형으로 배설하여 슬래브층의 두께를 줄이고, 슬래브를 경량화시키면서 강도가 있는 슬래브를 얻고자 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이나 건축물의 슬래브 시공은 거푸집형성→ 먹놓기→ 하부주근 및 하부부근의 배근→ 전기, 통신, 소방 기타 등 설비→ 중공관설치→ 상부주근및 상부부근의 배근→ 콘코리트타설→ 양생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진행하므로써 중공슬래브를 구성한다.
상기 중공슬래브에 중공부를 형성하므로써,
① 중공관의 중공부면적 만큼의 콘크리트타설량의 절감
② 슬래브의 경량화
③ 슬래브층의 강도상승
④ 슬래브에서 중공관사이의 콘크리트가 'I'형으로 형성되어 휨 응력에 대한 강도상승
⑤ 건축물의 천정슬래브공사시 지지보(beam)의 설치해소
등의 효과를 얻기 때문에 중공관은 슬래브공사에 역학적인 구조물로서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종래에는 토목 건축에서 교량이나 건축물 등의 슬래브를 공사할 때 거푸집을 설치하고, 상·하부에 주근과 부근의 배근 및 중공관을 설치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서 중공슬래브를 구성하고 있는 바, 중공관에 의해 이루어진 중공부는 밀폐되어 있고, 양측의 단부는 직각으로 구성되어 있어서 콘크리트가 균열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즉, 중공부가 밀폐되어 있어 온도의 변화에 따라 중공부가 팽창 또는 수축하게되고 이로인하여 중공부 주변의 콘크리트가 균열되는 것이고, 중공부의 양측 단부가 직각을 형성하고 있어 콘크리트구조물과 슬래브가 만나는 지점으로서 하중에 가장 취약하여 집중적으로 전단하중이 작용되면서 주변의 콘크리트는 균열을 일으키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인이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하여 선출원한 중공슬래브는 중공부의 단부를 완만하게 경사를 이루고, 중공부내의 공기를 외기와 유동되게하여 콘크리트의 균열을 예방하고 있으나 스판(SPAN)이 긴 슬래브나 슬래브층의 층고에 따른 어려움을 해소하지 못하였던 것이다.
즉,슬래브내의 중공부 주위에 이루어지는 주근과 부근의 배근에 있어서 주근은 중공부와 같은 방향으로 길게 배설되어 중공부간의 콘크리트에 강도를 주고 있는 반면에 부근은 주근의 위로 교차되게 설치되고 있는 바, 부근은 주근을 보강하면서 슬래브의 겉표면에 발생되는 균열을 방지할 뿐 슬래브 자체의 강도에는 아무런 영향력이 없어서 스판이 긴 슬래브 구성에 어려움이 따르고, 결국 슬래브층의 두께가 두꺼워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의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슬래브의 주근과 부근의 배근을 효과적으로하여 슬래브의 두께를 낮게 하면서 경량화하고, 강도가 있는 슬래브를 얻고자 하는데 그 발명의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슬래브내의 중공부를 일정한 간격으로, 서로 직경을 다르게 구분하여 중공부보다의 직경을 작게 한 부분에 부근을 배근하여서 된 슬래브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의해 구성된 슬래브를 단면한 일실시례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 종단면도
도3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례 종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슬래브 2. 중공부
3. 주근 4. 부근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발명의 의해 구성된 슬래브를 단면한 일실시례 사시도로서 본 발명은 스판이 긴 슬래브에 적용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도면상에는 일부만 발췌한 것인바, 슬래브에 중공부와 주근 및 부근을 배근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며,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 종단면도로서 중공부보다 직경이 작은 부분에 부근이 배근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3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례 종단면도로서 슬래브내의 중공부를 구획지게 한 상태에서 부근을 배근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같이 중공부(2)와 주근(3)을 설치한 슬래브(1)에 있어서 슬래브(1)내의 중공부(2)를 일정한 간격으로 서로 직경을 다르게 구분하되, 중공부(2)보다의 직경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작게 한 부분에 부근(4)을 배근하여서 된 구조이다.
상기 중공부(2)는 중공관에 의해 이루어지는데 그 중공관은 합성수지나 금속 또는 비금속 등의 재질로 만든 환상형이나 나선형 및 주름을 가진 관으로서 중공부를 구비하면 되므로 필요에 따라 적절히 선정하여 사용하면 되나 슬래브의 강도를 감안하여 보강힘살 역할을 할 수 있는 나선형이나 주름관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의 중공부(2)는 스판이 긴 슬래브 전체에 형성하되, 중공부(2)를 전체가 관통되게 할 수도 있고, 아니면 중공부(2)를 구획지게 할 수도 있다.
즉 중공부(2)를 이루는 중공관을 슬래브(1)의 길이만큼 연결하되, 연결되는 부분이 없이 관통되게 하거나 짧은 중공관을 서로 연결시켜 이룰수도 있고, 중공부(2)가 구획지게 중공관을 형성할 수도 있다. 따라서 시공에 편리하도록 선정하여 사용하면 된다.
상기 주근(3) 및 부근(4)은 슬래브(1)에 있어서 콘크리트가 양생되면서 슬래브(1)에 강도를 주기 위하여 철근을 배근하는 방법으로써, 주근(3)은 중공부(2)와 같은 길이방향으로 배근되고, 부근(4)은 주근(3)과 교차되도록 배근하는 것이다.
슬래브(1)에 있어서 슬래브표면과 중공부(2) 사이에 주근(3)이 설치되고, 중공부(2)보다 직경이 작은 부분에 부근(4)을 배근하거나 그 부분과 중공부(2)사이의 구획진 부분에 부근(4)을 배근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을 실시례에 의해서 나타나는 작용효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교량이나 건축물을 공사할 때 구조물을 설치한 뒤 그 구조물사이에 슬래브(1)를 공사하는 바, 종래와 같이 거푸집을 형성하여 철근으로 주근(3) 및 부근(4)을 배근과 함께 중공관을 배열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시키면 중공부(2)만큼 콘크리트가 절약되면서 주근(3)과 부근(4)에 의해서 강도가 있는 슬래브(1)가 구성된다.
즉 슬래브(1)의 표면과 중공부(2)사이에 주근(3)과 부근(4)이 설치된 뒤 콘크리트가 타설되므로 주근(3)과 부근(4)의 교차로 설치되는 격자형으로 이루어져 콘크리트자체에 균열을 예방하면서 슬래브(1)에 강도를 주게 되는 것이다.
한편 주근(3)은 슬래브(1)의 표면과 중공부(2)사이에 중공부(2)와 같은 방향으로 설치되어 그 부분의 슬래브(1)에 강도를 주게 되고, 부근(4)은 주근(3)과 중공부(2)의 사이에 주근(3)과 교차되게 격자형으로 설치되어 있어 슬래브(1)를 한층더 강도를 주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주근(3)과 부근(4)이 슬래브(1)의 표면과 중공부(2)사이에 설치되므로 인하여 그 만큼 슬래브(1)의 두께가 높아지는 종래에 비해 부근(4)이 중공부(2)의 작은 관경에 설치되므로 그 만큼 슬래브(1)의 두께를 줄일 수 있게 된다.
결국 중공부(2)의 관경을 일정한 구간으로 작게 구성함에 따라 그 부분의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영역이 넓어지도록하여 그 곳에 부근(4)을 배근하는 것으로써, 중공부(2)가 어떠한 형상으로든간에 중공부(2)의 축소에 의해서 이루어지는 콘크리트의 영역에 부근(4)을 배근하는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의 범주내에 있다할 것이다.
슬래브내에 중공부 및 주근과 부근이 설치되어 구성하는 슬래브에 있어서 중공부의 관경을 길이방향으로 차이를 주어 관경이 작은 부분에 부근의 배근을 효과적으로하여 슬래브의 두께를 낮게 하면서 경량화하고, 강도가 높는 슬래브를 얻을 수 있는 특징이 있다.

Claims (1)

  1. 슬래브(1)표면과 중공부(2)의 사이에 주근(3)을 설치한 슬래브(1)에 있어서 슬래브(1)내의 중공부(2)를 길이방향으로 중공부(2)보다의 직경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작게 구획지게 구간을 형성하고, 중공부(2)의 직경이 작은 부분의 콘크리트영역에 부근(4)을 배근하되, 주근(3)과 교차되는 격자형으로 설치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격자형 중공슬래브.
KR1019990002035A 1999-01-18 1999-01-18 격자형 중공슬래브 KR1003063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2035A KR100306395B1 (ko) 1999-01-18 1999-01-18 격자형 중공슬래브
JP2000010018A JP3938826B2 (ja) 1999-01-18 2000-01-13 格子形中空スラブ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2035A KR100306395B1 (ko) 1999-01-18 1999-01-18 격자형 중공슬래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6265A KR19990046265A (ko) 1999-07-05
KR100306395B1 true KR100306395B1 (ko) 2001-09-26

Family

ID=195721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2035A KR100306395B1 (ko) 1999-01-18 1999-01-18 격자형 중공슬래브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3938826B2 (ko)
KR (1) KR10030639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9187B1 (ko) 2016-02-29 2016-07-13 주식회사 스틸플라워 소파블록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6889B1 (ko) * 2001-07-31 2004-06-25 벽연이앤지 주식회사 조립식 교량용 폴리머 콘크리트 프리캐스트 상판 및 그제조방법, 폴리머 콘크리트 프리캐스트 상판을 이용한조립식 교량 상판 공법 및 폴리머 콘크리트
KR100508532B1 (ko) * 2002-10-23 2005-08-17 주식회사 용마엔지니어링 속빈 슬래브교의 구조
KR101963315B1 (ko) * 2016-04-06 2019-07-31 (주)연우피씨엔지니어링 하이브리드 인버티드 리브 슬래브 구조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9187B1 (ko) 2016-02-29 2016-07-13 주식회사 스틸플라워 소파블록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0226899A (ja) 2000-08-15
JP3938826B2 (ja) 2007-06-27
KR19990046265A (ko) 1999-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72931B1 (ko)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중공 슬래브교 및 이의 제작방법
US5678378A (en) Joist for use in a composite building system
KR101125673B1 (ko)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 제작을 위한 프리캐스트 다이아프램의 구조 및 이를 이용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의 제작방법
KR100942267B1 (ko) 터널 풍도슬래브용 내화성능 피에스씨 패널,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풍도슬래브 시공방법
CN109667376B (zh) 适用于钢结构h型钢梁的新型叠合楼盖及其施工方法
KR100306395B1 (ko) 격자형 중공슬래브
US5146726A (en) Composite building system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and components therefor
KR101847544B1 (ko) 전단보강 기능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CN111502091A (zh) 一种使用寿命长的建筑楼面及其制备方法
CN110107019B (zh) 一种用于装配式建筑的复合式预制楼板
KR101877227B1 (ko) 경량기포 콘크리트를 이용하여 제작된 내화 슬래브 및 그 제작방법
KR100583671B1 (ko) 다양한 위치에 설치된 강재정착구와 상하 플랜지에보강재를 설치하여 제작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 및이를 이용한 교량 시공방법
KR101181160B1 (ko) 프리스트레싱을 원활히 하기 위한 긴장 및 정착 구조를 갖는 프리스트레스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보
KR101139144B1 (ko) 콘크리트 슬래브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0882830B1 (ko) 유기섬유보강 모르타르 경화체를 이용한 균열유발구조
KR102140407B1 (ko) 단부 거푸집 강판을 이용한 psc 거더의 제작 방법
KR101350797B1 (ko) 강연선 위치 고정수단을 가진 pc슬래브 및 이를 이용한 1방향 장선 슬래브의 연속화 시공방법
KR100466017B1 (ko) 교량의 강상자형 주형보 보강공법 및 그 구조
CN212224353U (zh) 一种使用寿命长的建筑楼面
KR102671419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방식의 전단 보강 중공슬라브 및 그 제조방법
KR102643901B1 (ko) 섬유보강된 중공거더를 이용한 복합 라멘교 및 그 시공방법
KR100601098B1 (ko) 익스트라도스트 프리플렉스교
KR20030073460A (ko) 철근 콘크리트 중공슬래브 및 이의 시공방법
KR100439470B1 (ko) 교량용 합성빔
CN218894248U (zh) 装配式轻钢组合钢丝网架砂浆-珍珠岩-聚苯复合剪力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10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