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05514A - 무선 통신 모듈을 이용한 통화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모듈을 이용한 통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05514A
KR20030005514A KR1020010040834A KR20010040834A KR20030005514A KR 20030005514 A KR20030005514 A KR 20030005514A KR 1020010040834 A KR1020010040834 A KR 1020010040834A KR 20010040834 A KR20010040834 A KR 20010040834A KR 20030005514 A KR20030005514 A KR 200300055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tation
terminal
information
call
wireless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08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07963B1 (ko
Inventor
강세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408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07963B1/ko
Publication of KR200300055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55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79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796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4Terminal devices adapted for relaying to or from another terminal or us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세대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무선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기지국의 정보를 수신하므로 통화를 가능하게 하는 무선 통신 모듈을 이용한 통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통신 모듈을 이용한 통화 방법은 무선 통신 모듈로 연결된 단말기들 중 하나의 단말기가 기지국과 트래픽 채널이 설정된 상태에서, 상기 기지국과 트래픽 채널이 설정되지 않는 단말기가 상기 트래픽 채널이 설정 된 단말기로부터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해 기지국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기지국 정보가 상기 트래픽 채널이 설정되지 않은 단말기의 정보일 경우, 채널이 설정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모듈을 이용한 통화 방법{Communication method for using wireless Communications}
본 발명은 차세대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무선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기지국의 정보를 수신하므로 통화를 가능하게 하는 무선 통신 모듈을 이용한 통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단말기는 기지국과의 통신을 통해 통화가 이루어진다.
따라서, 통신 시스템이 구비되어야 한다.
상기 통신 시스템은 이동국(Mobile Station : MS), 기지국제어어장치(BSC) 및 기지국(BTS, Base Station : BS), 이동 통신 교환기(Mobile Service Center : MSC), VRL(Visitor Location Resister), 홈위치 등록기(HLR : Home Location Resister), EIR(Equpment Identity Resister), 가입자 인증센터(Authentication Center : Ac) 및 응용보수센터(Aperation and Maintenance Center : OMC)등으로 구성되며 단말기와 함께 무선으로 연결되어 일반 공중전화망(PSTN) 및 이동전화망(PLMN)과 접속하는 기능들을 수행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의 이동 통신 시스템을 이용한 통화 구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의 이동 통신 시스템을 이용한 통화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기지국(10)과 단말기(20)의 관계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기지국(10)의 정보를 통하여 상기 단말기(20)가 통화를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단말기(20)는 직접 상기 기지국(20)과 교신하여 상기 기지국의 정보를 받으므로 통화를 수행한다.
이와 같은 종래의 기지국과의 직접 교신을 통하여 이루어지는 단말기를 이용한 통화는 실질적으로 통화가 이루어지는 트래픽 채널이 형성되기 이전까지 일정한 소모전류를 소모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안출한 것으로서, 직접 기지국과 교신하지 않고 기지국의 정보를 수신하므로 통화를 가능하게 하는 무선 통신 모듈을 이용한 통화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르면, 무선 통신 모듈로 연결된 단말기들 중 하나의 단말기가 기지국과 트래픽 채널이 설정된 상태에서, 상기 기지국과 트래픽 채널이 설정되지 않는 단말기가 상기 트래픽 채널이 설정 된 단말기로부터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해 기지국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기지국 정보가 상기 트래픽 채널이 설정되지 않은 단말기의 정보일 경우, 채널 설정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은 블루투스 또는 무선 램을 이용한다.
도 1은 종래의 이동 통신 시스템을 이용한 통화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통신 모듈을 이용한 통화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통신 모듈을 이용한 통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기지국 200 : 제 1 단말기
201 : 제 1 무선 통신 모듈 300 : 제 2 단말기
301 : 제 2 무선 통신 모듈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통신 모듈을 이용한 통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통신 모듈을 이용한 통화 구조는 무선으로 접속하여 원하는 상대방과 트래픽(traffic channel) 채널을 형성해 주는 기지국(100)과, 상기 기지국(100)과 무선 연결된 제 1 단말기(200)와, 상기 제 1 단말기(200)의 제 1 무선 통신 모듈(201)과, 상기 제 1 단말기(200)를 통하여 기지국의 정보를 수신하는 제 2 단말기(300)와, 상기 제 2 단말기(300)가 기지국의 정보를 수신하도록 상기 제 1 무선 통신 모듈(201)과 링크 설정된 제 2 무선 통신모듈(301)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무선 통신 모듈(201, 301)은 근거리 무선 데이터 통신(Bluethooth)이나 무선 램을 이용한 통신 모듈이다.
이해를 돕기 위해, 근거리 무선 데이터 통신(Bluethooth)을 간단히 설명하면, 근거리(10M)내에서 하나의 무선 연결을 통해 장치간에 필요한 여러 케이블 연결을 대신한다.
예를 들어, 블루투스 무선 기술이 휴대폰과 랩탑 컴퓨터 안에 구현되면 케이블 없이도 연결되어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프린터, PDA, 데스크탑, FAX, 키보드, 조이스틱은 물론이고, 사실상 모든 디지털 장비들이 블루투스 시스템의 일부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블루투스 무선 기술은 기존의 데이터망과 주변장치들간의 인터페이스, 그리고 고정된 네트워크 하부구조로부터 멀리 떨어진 장치들간에 특별한 그룹을 형성시켜주는 보편적인 다리 역할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무선 통신 모듈(201, 301)을 단말기(200, 300)에 장착시켜, 상기 무선 통신 모듈(201, 301)간, ACL 링크를 설정하여 문자를 주고 받으므로 상기 기지국(100)의 정보를 수신한 제 1 단말기(200)를 통하여 제 2 단말기가 상기 기지국의 정보를 수신하여 트래픽 채널을 형성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통신 모듈을 이용한 통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 1 단말기(200)와 제 2 단말기(300)간 무선 데이터 통신을 위하여 ACL 링크를 설정한다. (S10, S11)
상기 ACL 링크는 문자를 주고받기 위한 데이터 통신이다.
상기 제 1 단말기(200)와 제 2 단말기(300)간 ACL 링크를 설정한 후(S10, S11) 상기 제 1 단말기(200)가 기지국으로부터 기지국 정보를 수신한다(S12).
상기 기지국(100) 정보를 수신한 상기 제 1 단말기(200)는 이 제 1 단말기에 장착된 제 1 무선 통신 모듈(201)에 상기 기지국(100) 정보를 전송한다(S13).
이때, 상기 기지국(100) 정보를 수신한 제 1 단말기는 상기 기지국(100) 정보가 자신의 정보일 경우, 상기 기지국으로 호(Call)를 요구(Require)한다(S15).
그리고, 상기 기지국(100) 정보를 수신한 제 1 무선 통신 모듈(201)은 상기 제 2 무선 통신 모듈(301)을 통하여 제 2 단말기(300)에 상기 기지국(100)정보를 전송한다(S14).
상기 기지국(100)으로 호를 요구한 제 1 단말기(200)는 상기 기지국(100)으로부터 상기 요구한 호 연결 메시지를 전송 받는다(S16).
이후, 상기 기지국(100)과 제 1 단말기(200)간 통화 상태가 된다(S17).
이어서, 상기 제 1단말기(200)의 제 1 무선 통신 모듈(201)을 통하여 기지국 정보를 수신한 제 2 단말기(300)는 상기 수신한 기지국 정보가 자신의 정보일 경우, 슬리프 상태(Sleep state)에서, 웨이크 업(Wake up)상태로 되어 상기 기지국(100)으로 호 요구 메시지를 전송한다(S18).
상기 호 요구 메시지를 수신한 기지국(100)은 상기 호를 요구한 제 2 단말기(300)로 호 연결 메시지를 전송한다(S19).
상기 호 연결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제 3 단말기는 상기 기지국(100)을 통하여 통화 상태가 된다(S20).
상기 통화가 이루어진 후, 상기 기지국(100)을 통하여 통화 상태가 된 제 2 단말기(300)는 통화를 끝낸다(S21).
상기 제 2 단말기(300)가 상기와 같이 통화를 끝낸 후 다시, 슬리프 상태(Sleep state)가 된다.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직접 기지국과 교신하지 않고 다른 단말기의 무선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기지국의 정보를 수신하므로 일정하게 소모되는 전류를 줄이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무선 통신 모듈로 연결된 단말기들 중 하나의 단말기가 기지국과 트래픽 채널이 설정된 상태에서,
    상기 기지국과 트래픽 채널이 설정되지 않는 단말기가 상기 트래픽 채널이 설정 된 단말기로부터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해 기지국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기지국 정보가 상기 트래픽 채널이 설정되지 않은 단말기의 정보일 경우, 채널이 설정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모듈을 이용한 통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은 블루투스 또는 무선 램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모듈을 이용한 통화 방법.
KR10-2001-0040834A 2001-07-09 2001-07-09 무선 통신 모듈을 이용한 통화 방법 KR1004079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0834A KR100407963B1 (ko) 2001-07-09 2001-07-09 무선 통신 모듈을 이용한 통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0834A KR100407963B1 (ko) 2001-07-09 2001-07-09 무선 통신 모듈을 이용한 통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5514A true KR20030005514A (ko) 2003-01-23
KR100407963B1 KR100407963B1 (ko) 2003-12-03

Family

ID=277139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0834A KR100407963B1 (ko) 2001-07-09 2001-07-09 무선 통신 모듈을 이용한 통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07963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21674B2 (ja) * 1994-03-02 2003-06-30 学校法人早稲田大学 移動無線通信方式
HU223017B1 (hu) * 1997-03-03 2004-03-01 Salbu Research And Development (Proprietary) Limited Cellás, vezeték nélküli kommunikációs rendszer és eljárás ilyen rendszerben lévő állomások közötti adatátvitelre
JP4163795B2 (ja) * 1998-05-08 2008-10-08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移動局装置
JP2001086557A (ja) * 1999-09-10 2001-03-3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無線通信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07963B1 (ko) 2003-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69832057D1 (de) Datendienst in einem mobilen kommunikationsnetz
CA2374005A1 (en) Establishing a packet network call between a mobile terminal device and an interworking function
EP1125451B1 (en) A signalling method
US7633920B2 (en) Communication terminal with WLAN base station functionality or WLAN client functionality
JP2005086234A (ja) 無線lanの切替システム、方法及び無線lanアクセスポイント
JPH10511253A (ja) コードレス通信アプリケーション、特にgap特有のdectシステムを保証した相互動作が可能なコードレス通信システム
EP1252782B1 (en) System and method for wireless connection to base station external equipment
US6842771B2 (en) Adapter for rendering data transmission request and responses compatible between the requesting client and its target server in a wireless communication environment
KR100407963B1 (ko) 무선 통신 모듈을 이용한 통화 방법
KR20020074313A (ko) 이동통신시스템에서 무선 통신서비스 전환방법
KR100301858B1 (ko) 다중단방향무선데이터서비스방법
CN105592512B (zh) Rrc连接建立方法、终端和基站
KR20030005515A (ko) 단말기를 이용한 연속 통화 방법
KR100382478B1 (ko) 통신 시스템의 데이터 서비스 방법
US20060046726A1 (en) Communication method between a fixed telephone and a personal handyphone system mobile phone by means of a two-way conversation communication function
KR100707322B1 (ko) 무선랜을 이용한 wip 휴대단말과 pc 사이의 데이터전송 방법
KR200205570Y1 (ko) 노트북 컴퓨터와 휴대전화기의 연결구조
KR100228903B1 (ko) 휴대용 정보 단말장치와 이동 무선 단말장치 간의 통신 인터페이스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0395655B1 (ko) 정보교환장치
KR100454678B1 (ko) 무선 인터넷 접속장치에서 휴지상태를 고려한 호해제/과금전송방법
JPH09200861A (ja) 無線通信システム
JP3107964B2 (ja) 親機クラスタシステム
KR20010019815A (ko) 이동 통신망에서의 호 설정 방법
JPH11298952A (ja) Tdma方式の携帯通信端末
JP2000101506A (ja) 外部有線インタフェースおよび赤外線インタフェース付き移動通信端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03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