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04878A - 엘리베이터용 로프 제동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용 로프 제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04878A
KR20030004878A KR1020010040614A KR20010040614A KR20030004878A KR 20030004878 A KR20030004878 A KR 20030004878A KR 1020010040614 A KR1020010040614 A KR 1020010040614A KR 20010040614 A KR20010040614 A KR 20010040614A KR 20030004878 A KR20030004878 A KR 200300048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rope
latch
wheels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06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11150B1 (ko
Inventor
덕 규 김
Original Assignee
덕 규 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덕 규 김 filed Critical 덕 규 김
Priority to KR10-2001-00406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11150B1/ko
Publication of KR200300048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48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11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115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16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 B66B5/18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and applying frictional retarding forces
    • B66B5/185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and applying frictional retarding forces by acting on main ropes or main c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16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 B66B5/26Positively-acting devices, e.g. latches, knives

Abstract

본 발명은 로프를 풀리에 걸고, 풀리는 구동수단에 의해 정역 회전시키며, 로프의 일측에는 승강기를 장착하고, 다른 쪽에는 평형추를 매달아서 구동되는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풀리의 하측에 장착되어 로프를 붙잡을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정전 등의 동력원이 끊긴 비상시에 엘리베이터의 승하강을 억제하도록 하는 제동장치에 관한 것인 바,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회전하는 휠과, 휠과 일체로 구성하고 베어링에 지지되는 너트축과, 너트축의 나사부와 체결되어 너트축의 회전에 의해 전진 직선운동을 하는 밀판과 상기 밀판을 기준으로 휠, 너트축 및 밀판을 좌우 대칭되는 형상으로 배열하고 한 쌍의 밀판 사이에 로프를 유통시키며, 비상시에는 고정해제수단에 의해 휠을 회전시켜 좌우 밀판이 내측 방향으로 순간적으로 밀착되어 로프를 압착하도록 하는 엘리베이터용 로프 제동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용 로프 제동장치 { Ropes brake system for Elevator}
본 발명은 로프를 풀리에 걸고, 풀리는 구동수단에 의해 정역 회전시키며, 로프의 일측에는 승강기를 장착하고, 다른 쪽에는 평형추를 매달아서 구동되는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풀리의 하측에 장착되어 로프를 붙잡을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정전 등의 동력원이 끊긴 비상시에 엘리베이터의 승하강을 억제하도록 하는 제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회전하는 휠과, 휠과 일체로 구성하고 베어링에 지지되는 너트축과, 너트축의 나사부와 체결되어 너트축의 회전에 의해 전진 직선운동을 하는 밀판과 상기 밀판을 기준으로 휠, 너트축 및 밀판을 좌우 대칭되는 형상으로 배열하고 한 쌍의 밀판 사이에 로프를 유통시키며, 비상시에는 고정해제수단에 의해 휠을 회전시켜 좌우 밀판이 내측 방향으로 순간적으로 밀착되어 로프를 압착하도록 하는 엘리베이터용 로프 제동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첨부도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상적으로 엘리베이터는 빔(5)의 상측에 지지대(6)가 형성되고, 지지대(6)의 상단에 풀리(7)를 장착하며, 풀리(7)는 구동장치에 의해 정회전 및 역회전을 하게 된다.
상기 풀리(7)에 로프(2)가 감겨지고, 로프(2)의 일측단에는 승강기(3)가 장착되며, 타측단에는 평형추(4)가 매달려지고, 승강기(3)의 일측에는 레일(8)이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며, 승강기(3)에 장착된 롤러(9)는 레일(8)을 따라 승하강 운행되는 것이며, 제동장치(1)는 빔(5)의 상측에 장착되어 풀리(7)에서 풀려지는 로프를 제동장치(1)의 내부로 통과시켜 엘리베이터를 제동하고자 할 때에는 제동장치(1)를 작동시켜 로프(2)를 압착파지 하는 것이다.
또한, 승강기(3)는 안전사고의 위험이 높음만큼 여러 곳에 안전장치 및 제동장치를 설치하고 있으며 안전장치 및 제동장치에 가해지는 응력은 평형추(4)의 무게는 승강기(3)의 허용탑승인원의 무게보다 약 130%가량 되는 것으로 승강기(3)와 평형추(4)의 무게차이 만큼이 가해지는 것이며, 안전장치 및 제동장치가 고장 등의 이유로 정상작동을 하지 못할 경우 승강기(3)에 탑승인원이 적어 평형추(4)가 더 무거울 때에는 승강기(3)가 급격하게 상승하게 되고, 승강기(3)에 탑승인원이 많아 평형추(4)의 무게가 가벼울 때에는 승강기(3)가 급격하게 추락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승강기(3)의 안전장치와는 별도로 다른 제동장치를 장착하게 되는 데 제동장치로 널리 알려진 것으로는 국내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257491호 [브레이크장치 및 엘리베이터 시스템]이 있다.
상기 브레이크장치(10)는 빔(5)의 상측에 설치되어 풀리(7)에서 풀려지는 로프(2)를 고정판(11)과 가동판(22)사이에 유통시켜 엘리베이터를 제동하고자 할 때에는 가동판(22)을 고정판(11)쪽으로 당겨서 로프(2)를 압착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즉, 고정판(11)은 고정판(11)의 양측에 전면방향으로 측벽(12)을 형성하였고, 측벽(12)의 전면 모서리에는 캠(13)을 형성하였으며, 양 측벽(12)의 중앙에는스프링(16)과 유압실린더(17)를 설치하였고, 상기 스프링(16)의 상단은 외부축(14)의 하단 양측에 고정 장착하였으며, 상기 유압실린더(17)의 로드는 외부축(14)의 하측 중앙에 고정 장착하였다.
상기 외부축(14)의 중앙 상측에는 스트라이크(20)를 장착하였고, 상기 스트라이크(20)는 솔레노이드(18)의 구동에 의해 젖혀지는 래치(19)에 맞물린 것이다.
상기 외부축(14)의 내측에는 내부축(15)을 끼웠고 내부축(15)의 양단부는 상기 캠(13)에서 슬라이딩하도록 하였으며, 내부축(15)의 양단부는 링크(21)의 링크선단부(21a)에 선회 가능하도록 체결한 것이다.
상기 링크(21)의 링크종단부(21b)는 상기 가동판(22)의 배면에 선회 가능하도록 체결 고정하였으며, 상기 고정판(11)과 가동판(22)의 대향면에는 라이닝(linings)을 부착하였고, 고정판(11)과 가동판(22)의 사이에는 스프링(23)을 장착하여 스프링(23)의 복원력에 의해 평상시에는 고정판(11)과 가동판(22)이 벌여져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브레이크장치(10)는 다음과 같이 작동된다.
엘리베이터의 제어부에서 비상신호를 입력받으면 솔레노이드(18)가 구동하고, 솔레노이드(18)의 구동에 의해 래치(19)가 젖혀지면 래치(19)와 스트라이크(20)의 걸림이 해제되고, 스프링(16)의 복원력에 의해 내외부축(14)(15)은 상승하게 되며, 내부축(14)은 캠(13)의 표면을 따라 승강하면서 링크(21)를 전방 방향으로 당기게 되고, 링크(21)가 전방으로 당겨짐에 따라 가동판(22)은 고정판(11)쪽으로 이동하여 고정판(11)과 가동판(22)사이의 로프(2)를 압착 파지하여제동하게 되는 것이다.
가동판(22)을 뒤쪽으로 밀어내어 엘리베이터를 운행하고자 할 때에는 유압실린더(17)를 작동시켜 내외부축(14)(15)을 당겨서 스프링(16)을 압축시키고, 솔레노이드(18)를 작동시켜 래치(19)에 스트라이크(20)를 걸쳐서 내외부축(14)(15)이 자유 승강하는 것을 억제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작동되는 종래의 브레이크장치(10)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지적된다.
엘리베이터의 운행에 따라 로프(2)가 승하강하면서 고정판(11)의 라이닝에 접촉하여 로프(2)가 마모되고, 또한 소음이 발생되는 원인이 되었고, 가동판(22)만을 이동시켜 로프(2)를 압착하는 것으로 가동판(22)이 로프(2)에 닿을 때까지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어 비상신호를 접수하고 승강기(3)가 승강 또는 하강을 시작한 후에 제동되는 것으로 순간적으로 움직이다가 갑자기 멈춰서는 것으로 승강기(3)에 탑승한 탑승자는 가슴이 철렁하는 느낌을 받게되어 심리적인 공포심을 배가되는 것이다.
또한, 브레이크장치(10)를 비상 상황 종료 후에 대기상태로 복귀시키고자 할 때에는 유압실린더(17)의 작동에 의해 스프링(16)을 당기게 되는 것으로 유압장치를 별도로 설치하여야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고, 이에 따라 엘리베이터관리 이외에 유압장치까지 점검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하였으며, 특히 유압장치에 대한 기술(지식)이 있는 관리자를 선임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유압장치는 그 특성상 온도에 매우 민감한 것이고, 엘리베이터는 통상적으로건물의 상부에 설치되며, 엘리베이터가 설치되어진 장소에는 별도의 난방장치를 구비하지 않아 유압라인에 유통되는 작동유체가 정상적으로 흐르지 못하여 신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대부분은 엘리베이터의 승강기의 일측과 풀리의 하측에 장착되는 것으로 엘리베이터가 특정위치에서 멈춰 서게 되면 엘리베이터의 일측에 설치된 안전장치와 풀리의 하측에 설치된 제동장치가 동시에 작동하는 것이다. 그러나 비정상적인 상태가 아닌 이상 엘리베이터의 운행에 따른 안전은 엘리베이터의 일측에 설치된 안전정치에 의해 충분히 제동되는 것인데도 불구하고 풀리하측에 장착된 제동장치가 동시에 작동함으로서 2중으로 전원(에너지)을 낭비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도록 된 엘리베이터용 로프 제동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풀리의 정역회전에 의해 로프가 승하강하여 엘리베이터의 승강구를 운행하도록 하는 것에 있어서 풀리에서 풀려지는 로프를 순간적으로 압착 파지할 수 있도록 하는 엘리베이터용 로프 제동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엘리베이터에 공급되는 모든 동력원이 차단된 상태에서 무 동력으로 작동되어 엘리베이터의 승하강을 억제하도록 하는 엘리베이터용 로프 제동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비상 상황에서 승강기가 승강 또는 하강을 시작함과 동시에 작동되도록 하여 승강기가 덜컹거리는 것을 방지하고 탑승한 탑승자는심리적으로 불안감을 크게 줄일 수 있도록 하는 엘리베이터용 로프 제동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구성을 매우 간단화하여 별도의 교육을 받지 않은 사람도 용이하게 관리 할 수 있도록 하는 엘리베이터용 로프 제동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종래의 예에서 처럼 유압실린더 등을 장착하지 않음으로서 구성을 간단화시키고 제조원가를 낮춰 채산성을 높이도록 하는 엘리베이터용 로프 제동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평상시에는 대기상태로 유지만 하고 있으면서 엘리베이터에 전원 등의 동력원이 차단되었을 때만 작동하도록 하여 에너지낭비를 줄일 수 있도록 하는 엘리베이터용 로프 제동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회전하는 휠에 중량체를 일체로 형성하여 휠이 각(角)회전하였을 때에 중량체의 관성 및 중력에 의해 순간적인 충격력을 발생하게 하여 로프에 밀착되는 밀판은 밀착되는 순간까지 큰 힘을 작용할 수 있도록 하는 엘리베이터용 로프 제동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엘리베이터의 설치상태에 따라 로프가 풀리에서 풀려지는 방향이 경사져 있더라도 로프가 풀려져지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제동장치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엘리베이터용 로프 제동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엘리베이터의 구조를 보인 개략도.
도 2는 종래의 엘리베이터 브레이크장치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로프 제동장치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로프 제동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5a 내지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로프 제동장치의
작동관계를 설명한 단면도로서,
도 5a 및 도 5b는 제동장치의 작동 전 상태를 보인 평단면, 정면도이고,
도 6a 및 도 6b는 제동장치의 작동 후 상태를 보인 평단면, 정면도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로프 제동장치에서 고정해제수단을
보인 예시도.
도 8은 도 7의 고정해제수단의 작동관계를 보인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로프 제동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10은 도 9에 도시한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로프 제동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분해하여 보인 요부분해시도
도 11은 도 9에 도시한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로프 제동장치의
다른 실시예에서 작동관계를 보인 단면예시도로서,
(a)는 제동장치의 작동 전 상태를 보인 정면도이고,
(b)는 제동장치의 작동 후 상태를 보인 정면도임.
도 12는 도 9에 도시한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로프 제동장치의
설치상태를 보인 예시도로서,
(a)는 제동장치를 수평상태로 설치한 상태를 보인 측면도이고,
(b)는 제동장치를 로프의 경사각과 동일한 방향으로 기울여서 설치한
상태를 보인 측면도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1a: 제동장치 2: 로프 3: 승강기
4: 평형추 5: 빔 7: 풀리
8: 레일 9: 롤러
10: 브레이크장치 11: 고정판
12: 측벽 13: 캠 14: 외부축
15: 내부축 16: 스프링 17: 유압실린더
18, 38: 솔레노이드 21: 링크 22: 가동판
30: 주요몸체 31: 전면패널 32a, 32b: 측면패널
33: 가이드판 35: 가이드홈 36: 작동공간
40: 인장스프링 42: 누름봉 43a, 43b: 링크
44a, 44b: 밀판 45: 가이드 46: 라이닝
49: 수나사 50: 보조몸체 51: 가이드
53: 장착공 54: 탭 55: 스프링고정판
56: 링크축봉 57: 래치(latch)멈춤쇠 58: 래치트축봉
59a, 59b: 너트축 60: 암나사 63: 베어링
64: 커버 65: 단턱 66: 장착공
69a, 69b, 69c: 인장스프링 70a, 70b: 휠(Wheel)
71: 원판 72: 외측가이드관 73: 내측가이드관
74: 스프링고정봉 75: 보스 76a: 링크축봉가이드공
76b: 멈춤쇠가이드공 76c: 래치트축봉가이드공
77: 메인래치트(ratchet) 79: 래치(latch) 80: 보조래치트
82: 핸들
90a, 90b: 휠 91: 원판 92: 보스
93: 가이드관 94a: 링크축봉가이드공 94b: 멈춤쇠가이드공
94c: 래치트축봉가이드공 95: 스프링가이드판 96: 중량체
100a, 100b: 브래킷 101: 밑판 102: 수직판
103: 고정공 104: 가이드공 106, 107: 나사봉
108: 스프링와셔 109: 너트 G: 무게중심
본 발명의 상기 목적들과 특징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의하여 더욱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첨부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로프 제동장치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로프 제동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5a 내지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로프 제동장치의 작동관계를 설명한 단면도로서, 도 5a 및 도 5b는 제동장치의 작동 전 상태를 보인 평단면, 정면도이고, 도 6a 및 도 6b는 제동장치의 작동 후 상태를 보인 평단면, 정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로프 제동장치에서 고정해제수단을 보인 예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고정해제수단의 작동관계를 보인 예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제동장치는 첨부도면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요몸체(30)와 보조몸체(50)를 일체로 구성하고, 주요몸체(30)의 하부 양측에 브래킷(37a)(37b)을 장착하여 빔(5)에 설치한 것이다.
상기 주요몸체(30)는 좌·우측의 측면패널(32a)(32b)과 배면패널(31)을 일체로 형성하였고, 상기 측면패널(32a)(32b)의 내면 중앙에는 가이드홈(35)을 형성하였으며, 측면패널(32a)(32b)의 외측 전후방 단부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스프링가이드판(33)을 형성하였고, 측면패널(32a)(32b)의 일측에는 상측 및 하측에 체결공(34)을 형성하였다.
상기 보조몸체(50)는 배면패널(31)과 동일한 크기의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하고, 좌우측면의 중앙에 가이드(45)를 돌출시켜 형성하며, 상측 및 하측에 가로 방향으로 체결공(52)을 형성하여 상기 측면패널(32a)(32b)의 사이에 형성된 작동공간(36)에 끼워 넣고 주요몸체(30)의 체결공(34)과 보조몸체(50)의 체결공(52)을 일치시켜 볼트와 같은 체결수단으로 체결 고정하도록 하였다.
상기 주요몸체(30)의 배면패널(31)과 보조몸체(50)의 중앙에는 전후방향으로 장착공(53)을 형성하였고, 외측방향으로 장착공(53)의 외주에 다수 개의 탭(54)을 형성하였으며, 장착공(53)의 상측으로 래치멈춤쇠(57)와 링크축봉(56)을 돌출 형성하였고, 상기 링크축봉(56)의 상측으로 스프링고정판(55)을 장착공(53)의 수직방향에 세워 형성하였다.
상기 측면패널(32a)(32b)의 스프링가이드판(33)에는 스프링고정판(33a)을 각각 세워 형성하였으며 상기 스프링고정판(33a)과 스프링고정판(55)은 장착공(53)의 중심을 기준으로 볼 때에 120°의 등간격을 유지하도록 형성한 것이다.
상기 보조몸체(50)의 전방 일측과 배면패널(31)의 후방일측에는 차후에 설명되어지는 보조래치트(80)를 장착하기 위한 래치축봉(58)을 형성하였다.
상기 주요몸체(30)와 보조몸체(50)를 일체로 체결 고정하여 형성되는 작동공간(36)에는 전후방향으로 직선 이동하는 한 쌍의 밀판(44a)(44b)이 대향되는 형상으로 장착하였다.
상기 밀판(44a)(44b)은 밀판(44a)(44b)의 배면에 통상의 라이닝(46)을 부착하였고, 좌우 측면 모서리에는 가이드(45)를 돌출 형성하였으며, 전방에는 주요몸체(30) 및 보조몸체(50)의 장착공(54)의 중심과 일치되는 위치에 통쇠(48)를 형성하였고, 통쇠(48)의 외측에는 수나사(49)를 형성하였으며, 통쇠(48)는 상기 배면패널(31)과 보조몸체(50)에 형성한 장착공(53)에 끼워지도록 하였고, 가이드(45)는 측면패널(32a)(32b)의 가이드홈(35)에서 슬라이딩되도록 하였다.
상기 수나사(49)와 차후에 설명되는 너트축(59a)(59b)의 암나사(60)는 2중 나사(double screw thread) 또는 3중 나사(triple screw thread)로 형성하여 리드가 길어지도록 하되, 전방 측에 설치되는 밀판(44a)의 수나사(49)와 너트축(59a)에 형성되는 암나사(60)는 오른나사로 형성하였고, 후방 측에 설치되는 밀판(44b)의 수나사(49)와 너트축(59b)에 형성되는 암나사(60)는 왼나사로 형성하였다.
상기 밀판(44a)(44b)의 좌우 상단 및 하단의 구석에는 간극볼트(47)를 체결하여 밀판(44a)(44b)이 중앙으로 근접 이동하였을 때에 밀판(44a)과 밀판(44b)의 간극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상기 간극볼트(47)는 일측의 밀판에만 체결하거나 양 밀판(44a)(44b)에 체결하여주어도 된다.
상기 간극볼트(47)는 밀판(44a)(44b)에 체결공을 형성하고, 간극볼트(47)에 너트를 체결한 후에 체결공에 간극볼트(47)를 끼워 넣고, 노출되는 나사봉에 다른 너트를 체결한 다음 일정한 길이로 돌출 되도록 양측의 너트를 조이도록 한 것이다.
상기 너트축(59a)(59b)은 일측에는 암나사(60)를 형성하였고, 타측에는 단턱(61)을 형성하였으며, 단턱(61)의 전방으로 축봉(62)을 형성하였고, 축봉(62)의 일측면에는 키홈(62a)을 형성하였으며 단턱(61)에는 축방향 및 원주방향의 복합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베어링(63)을 삽입시켰으며, 베어링(63)의 외륜에는 다음에 설명되는 커버(64)를 씌웠다.
상기 커버(64)는 중심부에 장착공(66)을 형성하였고, 상기 베어링(63)에 씌워지는 부분에 단턱(65)을 형성하였으며 외주에는 다수개의 체결공(67)을 형성하여너트축(59a)(59b)에 씌운 상태에서 체결공(67)에 볼트(68)를 끼워 넣어 배면패널(31) 및 보조몸체(50)에 형성된 탭(54)에 체결 고정하였고, 장착공(66)을 통해 너트축(59a)(59b)의 축봉(62)이 외측으로 돌출 되도록 하였다.
상기 너트축(59a)(59b)의 축봉(62)에는 휠(70a)(70b)을 장착하여 일체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휠(70a)(70b)은 원판(71)의 일측에 외측가이드관(72)과 내측가이드(73)를 일체로 형성하였고, 외측가이드관(72)과 내측가이드관(73)사이에는 3개의 스프링고정봉(74)을 등간격으로 형성하였으며, 원판(71)의 중심에는 키홈(75a)을 형성한 보스(75)를 일체로 형성하였고, 원판(71)의 상면 일측에는 링크축봉가이드공(76a), 멈춤쇠가이드공(76b) 및 래치트축봉가이드공(76c)을 뚫어 형성하였다.
상기 휠(70a)(70b)의 외측가이드관(72)과 내측가이드관(73)사이에 형성된 공간부에는 각각 3개의 인장스프링(69a)(69b)(69c)을 장착한 것으로 인장스프링(69a)의 일단은 배면패널(31) 및 보조몸체(50)에 형성한 스프링고정판(55)에 걸치고 타측단은 휠(70a)(70b)의 스프링고정봉(74)에 걸어서 장착한 것이며, 인장스프링(69b)(69c)의 일단은 측면패널(31)의 스프링가이드판(33)에 형성한 스프링고정판(33a)에 걸치고 타측단은 휠(70a)(70b)의 다른 스프링고정봉(74)에 걸어서 장착한 것이다.
상기 휠(70a)(70b)은 상기 너트축(59a)(59b)의 축봉(62)에 끼우고 키(key)로서 일체로 고정시킨 것이고, 상기 링크축봉가이드공(76a)을 통해 배면패널(31) 및보조몸체(50)에 형성한 링크축봉(56)이 노출되며, 멈춤쇠가이드공(76b)을 통해 배면패널(31) 및 보조몸체(50)에 형성한 래치멈춤쇠(57)의 단부가 노출되고, 래치트축봉가이드공(76c)을 통해 배면패널(31) 및 보조몸체(50)에 형성한 래치축봉(58)이 노출되는 것이다.
상기 휠(70a)(70b)의 외측으로 노출된 너트축(59a)(59b)의 축봉(62)에는 메인래치트(77)를 장착하였고, 메인래치트(77)와 맞물리도록 상기 래치축봉(58)에 보조래치트(80)를 장착하였으며. 상기 메인래치트(77)의 상측으로는 링크(43a)(43b)에 의해 승하강하는 래치(79)를 결합하였고, 래치(79)의 배면은 래치멈춤쇠(57)에 걸려 뒤쪽으로 밀려나지 않도록 구성하였다.
상기 링크(43a)(43b)는 첨부도면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링크(43a)(43b)의
회전중심은 링크축봉(56)에 체결하였고, 링크(43a)(43b)의 양단부에는 힌지부를 형성하여 일측 제1힌지부(83)에는 래치(79)를 선회 가능하게 결합시켰고, 제2힌지부(84)에는 누름봉(42)을 선회 가능하게 체결하였다.
상기 누름봉(42)의 중앙은 솔레노이드(38)의 밀편(39)에 끼워지도록 하였고, 밀편(39)은 솔레노이드(38)의 구동에 의해 승하강하도록 하였으며, 밀편(39)의 하단에는 스프링고정봉(39a)형성하여 인장스프링(40)의 일단을 고정하였다.
상기 솔레노이드(38)는 측면패널(32a)의 측면 상단 볼트와 같은 체결수단으로 고정시켰고, 상기 인장스프링(40)의 하측 단부는 측면패널(32a)의 일측에 스프링지지대(41)를 형성하여 스프링지지대(41)에 걸쳐서 인장스프링(40)의 복원력에 의해 항상 누름봉(42)이 하측방향으로 당겨지도록 하였다.
상기 솔레노이드(38)는 엘리베이터의 메인 제어부와 연결되어져 있고, 제어부로부터 공급받는 전원에 의해 여자(勵磁)화된 상태로 유지하게 되어 평소에는 밀편(42)을 당기고 있는 상태를 유지하게 한다.
첨부도면 도 9 내지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제동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도 9 및 도 10은 사시도 및 분해사시도이고, 도 11은 제동장치의 작동상태를 보인 정단면도이며, 도 12는 제동장치의 설치상태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9내지 도 10에 도시한 제동장치(1a)는 상기 일 실시예인 제동장치(1)에서 휠과 브래킷의 구조를 변경한 것으로 휠과 브래킷에 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동장치(1a)의 휠(90a)(90b)은 원판(91)의 중앙에 보스(92)를 형성하였고, 외주에는 가이드관(93)을 일체로 형성하였으며, 상기 보스(92)에는 축공을 형성하였고 축공에는 키홈을 형성하였으며, 상기 가이드관(93)의 내측에는 스프링고정판(95)을 등간격으로 3개 형성하였고 상측에는 중량체(96)를 장착하였다.
상기 중량체(96)는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휠(90a)(90b)에 일체로 장착하되 중량체(96)의 무게중심(G)을 회전되어질 방향으로 편심 되어지도록 장착한 것이다.
또한, 휠(90a)(90b)을 주요몸체(30) 및 보조몸체(50)에 장착되어 제동장치(1a)가 작동하였을 때에 중량체(96)의 무게중심(G)은 휠(90a)(90b)의 회전 중심과 동일한 높이로 수평상태를 이루도록 구성하였다.
상기 원판(91)의 일측에는 보스(92)의 축공을 중심으로 하는 부채꼴 형상의링크축봉가이드공(94a)과 멈춤쇠가이드공(94b) 및 래치트축봉가이드공(94c)을 형성하였다.
상기 휠(90a)(90b)의 가이드관(93)의 내부에는 각각 3개의 인장스프링(69a)(69b)(69c)을 장착한 것으로 인장스프링(69a)의 일단은 배면패널(31) 및 보조몸체(50)에 형성한 스프링고정판(55)에 걸치고 타측단은 휠(90a)(90b)의 스프링고정판(95)에 걸어서 장착한 것이며, 인장스프링(69b)(69c)의 일단은 측면패널(31)의 스프링가이드판(33)에 형성한 스프링고정판(33a)에 걸치고 타측단은 휠(90a)(90b)의 다른 스프링고정판(95)에 걸어서 장착한 것이다.
상기 휠(90a)(90b)은 상기 너트축(59a)(59b)의 축봉(62)에 끼우고 키(key)로서 일체로 고정시킨 것이고, 상기 링크축봉가이드공(94a)을 통해 배면패널(31) 및 보조몸체(50)에 형성한 링크축봉(56)이 노출되며, 멈춤쇠가이드공(94b)을 통해 배면패널(31) 및 보조몸체(50)에 형성한 래치멈춤쇠(57)의 단부가 노출되고, 래치트축봉가이드공(94c)을 통해 배면패널(31) 및 보조몸체(50)에 형성한 래치축봉(58)이 노출되는 것이다.
상기 브래킷(100a)(100b)은 수평상태의 밑판(101)의 일측모서리에 직각방향으로 수직판(102)을 일체로 형성하고, 밑판(101)에는 체결공을 형성하여 빔(5)에 장착하도록 하며, 수직판(102)에는 고정공(103)과 고정공(103)을 중심으로 부채꼴형상의 가이드공(104)을 고정공(103)상측에 형성하였다.
상기 수직판(102)의 상측 양단 및 하측양단부는 라운딩형상으로 형성하였다.
또한, 측면패널(32a)(32b)의 중앙 하측에는 수직방향으로 2개의나사봉(106)(107)을 형성하되 나사봉(106)과 나사봉(107)의 중심거리는 상기 브래킷(100a)(100b)의 고정공(103)과 가이드공(104)의 중심거리와 동일한 거리에 형성하였다.
상기 측면패널(32a)(32b)에 브래킷(100a)(100b)을 장착하게 되면 측면패널(32a)(32b)의 나사봉(106)에 브래킷(100a)(100b)의 고정공(103)이 체결되고, 나사봉(107)에 가이드공(104)이 끼워지며, 외측으로 노출되는 나사봉(106)(107)에는 통상의 스프링와셔(108)와 너트(109)가 체결된다.
이하 첨부도면 도 5a 내지 도 8 및 도 11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작동관계를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제동장치가 작동하기 전 상태를 보인 평단면 및 정단면도이다.
인장스프링(69a)(69b)(69c)은 인장된 상태로 휠(70a)(70b)과 주요몸체(30) 및 전면패널(50)에 장착되어져 있으며, 휠(70a)(70b)은 메인래치트(77)와 일체로 결합되어 있고, 래치(79)의 하단부는 메인래치트(77)의 미늘톱니에 걸려져 있으며, 래치(79)의 배면은 래치멈춤쇠(57)에 받혀져 뒤로 밀리지 않고 멈춰져 있는 상태이고, 솔레노이드(38)는 밀편(42)을 당기고있어, 링크(43a)(43b)는 시계방향으로 힘을 가하고 있는 것이며, 밀판(44a)과 밀판(44b)은 벌려져 있는 상태를 유지하고 벌려진 사이로 로프(2)가 유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대기 상태에서 정상적으로 엘리베이터를 운행하게 되는데 사고 등의 이유로 엘리베이터에 공급되는 모든 동력(전원)이 차단되었을 때에는 본 발명에 따른 제동장치(1)가 작동하게 된다.
엘리베이터에 전원이 차단되었을 때에는 동시에 솔레노이드(38)에 전원이 차단되어 첨부도면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솔레노이드(38)는 비 여자(勵磁)화하여 밀편(39)을 당기고 있는 힘을 상실하게 되며 밀편(39)에 장착된 인장스프링(40)에 의해 밀편(39)과 누름봉(42)은 하강하게 되고, 도 8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누름봉(42)은 하강하면서 링크(43a)(43b)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며, 링크(43a)(43b)는 래치(79)를 들어 올리게 된다.
래치(79)가 메인래치트(77)의 미늘톱니에서 걸림 해제됨과 동시에 휠(70a)(70b)은 도 6a 및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장스프링(69a)(69b)(69c)의 복원력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되고, 휠(70a)(70b)의 회전에 의해 너트축(59a)(59b)이 순간적으로 동시에 회전하게 된다.
상기 너트축(59a)(59b)은 회전하면서 밀판(44a)(44b)과 밀어내게 되는데 너트축(59a)과 밀판(44a)에 형성된 수나사 및 암나사는 오른나사이고, 너트축(59b)과 밀판(44b)의 수나사 및 암나사는 왼나사이므로 밀판(44a)과 밀판(44b)은 가이드(51)가 측면패널(32a)(32b)의 가이드홈(35)에서 슬라이딩하면서 로프(2)가 있는 중앙방향으로 직선 이동하여 로프(2)를 압착 파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로프(2)를 밀판(44a)과 밀판(44b)이 압착 파지함으로서 엘리베이터는 승강 또는 하강하지 못하고 멈춰진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게되는 것이다.
밀판(44a)(44b)이 로프(2)에 작용하는 힘은 약 15ton 정도로서 로프(2)가 파손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 로프(2)의 직경과 밀판(44a)(44b)에 부착된 라이닝(46)의 상태에 따라 밀판(44a)과 밀판(44b)의 간극을 조절하여야 하며, 상기 간극 조절은 밀판(44a)(44b)에 체결한 간극볼트(47)를 풀거나 조임으로서 재설정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제동장치(1)가 작동한 후에 사고처리가 완료되고, 엘리베이터의 일측에 설치되는 안전장치 및 제동장치가 정상적으로 작동하게 되면 솔레노이드(38)에 전원이 공급되어 솔레노이드(38)는 여자(勵磁)화 되어 밀편(39)을 자동적으로 당기게 된다.
보조래치트(80)에 착탈이 가능한 핸들(82)을 장착하여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메인래치트(77)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래치(79)는 도 8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계 반대방향으로만 메인래치트(77)를 회전시키고, 보조래치트(80)의 회전을 멈추면 래치(79)는 메인래치트(77)의 미늘톱니에 걸려지게되고 래치(79)의 배면은 래치멈춤쇠(57)에 걸려서 메인래치트(77)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지 못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메인래치트(77)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며 회전각은 약 60°이고, 메인래치트(77)의 회전에 의해 휠(70a)(70b)과 너트축(59a)(59b)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너트축(59a)(59b)의 암나사와 밀판(44a)(44b)의 수나사의 상호작용에 의해 밀판(44a)(44b)은 외측으로 벌어지게 되어 로프(2)의 압착을 해제하게 되어 로프(2)가 자유로이 유통되어진다.
상기 휠(70a)(70b)이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함으로서 인장스프링(69a)(69b)(69c)은 당겨져 복원력을 지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인장스프링(69a)(69b)(69c)은 인장력(복원력)을 갖고, 밀판(44a)(44b)은 벌어져있는 상태는 제동장치(1)의 대기상태로 복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인 제동장치(1a)의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대기 상태는 상기 제동장치(1)와 동일한 상태로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휠(90a)(90b)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내장된 인장스프링(69a)(69b)(69c)은 인장된 상태 즉 복원력이 가해진 상태이고, 솔레노이드(38)에 의해 누름봉(42)을 당기고 있어 상대적으로 래치(79)는 메인래치트(77)의 미늘톱니에 걸려져 있는 상태로 휠(90a)(90b)은 회전되지 못하고 멈춰진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솔레노이드(38)에 입력되는 신호가 정전 등의 사고로 인해 차단되면 비 여자(勵磁)화 되어 누름봉(42)의 당김력을 상실하게 되고, 인장스프링(40)에 의해 누름봉(42)은 하측으로 당겨지며, 누름봉(42)에 의해 링크(43a)(43b)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도 8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래치(79)를 들어 올리게되고, 걸림이 해제된 매인래치트(77)는 휠(90a)(90b)과 동시에 회전하게 된다.
휠(90a)(90b)의 회전은 내장된 인장스프링(69a)(69b)(69c)의 복원력에 의해 회전하게 되고, 휠(90a)(90b)의 상측에 장착된 중량체(96)는 동시에 회전하게 되는데 중력가속도에 의해 가속도가 가해져 점진적으로 빠르게 회전하게 되며, 중량체(96)의 무게중심(G)이 휠(90a)(90b)의 회전중심과 수평을 이루는 지점에서 가장 큰 힘(모멘트)을 발생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휠(90a)(90b)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는데 회전각은 60°이고 각 회전이 완료된 지점에서는 밀판(44a)(44b)은 로프(2)를 압착 파지하게 된다.
즉, 휠(90a)(90b)은 첨부도면 도 5a 내지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너트축(59a)(59b)과 일체로 회전하고, 너트축(59a)(59b)의 회전에 의해 나사 결합된 밀판(44a)(44b)은 중앙으로 근접 이동하며 밀판(44a)과 밀판(44b)이 로프(2)에 밀착되는 순간까지도 중량체(96)의 회전에 의해 발생한 관성력에 의해 큰 힘을 가하는 것이다.
특히, 도 11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량체(96)의 무게중심(G)이 휠(90a)(90b)의 회전중심과 수평상태를 유지하도록 함으로서 휠(90a)(90b)의 중심에서부터 가장 먼 거리에 중량체(96)의 하중이 휠(90a)(90b)에 모멘트로 작용하므로 밀판(44a)(44b)에 보다 큰 힘을 지속적으로 가할 수 있는 것이다.
휠(90a)(90b)을 원상복귀 시키는 것은 상기 제동장치(1)와 동일한 방법으로 작동하는 것으로 보조래치트(80)에 핸들을 결합하여 도 8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수동으로 휠(90a)(90b)을 회전시키는 것이다.
밀판(44a)과 밀판(44b)은 휠(90a)(90b)과 일체로 회전하는 너트축(59a)(59b)과 상호 작용에 의해 벌어지게 된다.
엘리베이터는 설치 상태에서 따라 풀리(7)에서 풀려져 나가는 로프(2)의 방향이 수직 또는 경사각을 이룰 수 있는데, 로프(2)가 풀려져 나가는 방향이 수직일 경우에는 첨부도면 도 12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브래킷(100a)(100b)과 측면패널(32a)(32b)을 체결 결합하되 수평상태로 체결 결합하여 브래킷(100a)(100b)을 빔(5)에 장착하여 제동장치(1a)를 설치한다.
또한, 로프(2)가 풀려져 나가는 방향이 경사각(α)을 이루고 있을 때에는 첨부도면 도 12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측면패널(32a)(32b)과 브래킷(100a)(100b)이 이루는 각을 로프(2)가 풀려져 나가는 방향의 경사각(α)과 동일하도록 브래킷(100a)(100b)을 측면패널(32a)(32b)에 장착하고 브래킷(100a)(100b)을 빔(5)에 장착하여 제동장치(1a)를 설치한다.
상기와 같이 브래킷(100a)(100b)과 측면패널(32a)(32b)을 경사지도록 장착함으로서 밀판(44a)(44b)에 부착된 라이닝과 로프(2)는 간섭을 일으키지 않고 평상시에는 일정한 간격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로프 제동장치는 엘리베이터에 공급되는 모든 동력원이 차단된 상태에서 전원이 차단됨과 동시에 밀판이 작동하는 것으로 로프를 순간적으로 압착 파지할 수 있도록 하여 승강기가 승강 또는 하강하기 전에 승강기는 멈춰서는 것이며, 이는 승강기에 탑승한 탑승자는 거의 느끼지 못하고 심리적인 불안감을 크게 줄일 수 있는 것이다.
또, 휠이 회전이 종료되는 시점에서는 스프링의 복원력이 거의 소멸되어 큰 힘을 발휘하지 못하게 되더라도 중량체의 관성력에 의해 발생되는 회전력으로 밀판을 로프에 밀착시킴으로서 로프를 보다 큰 힘으로 압착파지 할 수 있는 것이다.
또, 엘리베이터가 설치되어진 상태에 따라 로프가 풀려져 나가는 방향이 경사각을 이루더라도 브래킷을 측면패널에 장착시킬 때에 경사각을 이루도록 하여 장착함으로서 로프와 밀판에 부착된 라이닝의 전체적인 면으로 균일하게 압착할 수 있어 로프와 라이닝의 간섭에 의한 편마모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 유압장치 또는 구동모터 등의 구동수단을 배제한 구성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제동장치는 구성 및 작동방법이 매우 간단하여 별도의 교육을 받지 않은 사람도 용이하게 관리 할 수 있는 것이다.
또, 유압장치 또는 구동모터 등의 구동수단을 배제하고 단순히 기구적인 구성으로 제작함으로서 제조원가를 낮출 수 있는 것이며, 또, 평상시에는 대기상태로 유지만 하고 있으면서 엘리베이터에 전원 등의 동력원이 차단되었을 때만 작동하도록 하여 에너지낭비도 줄일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0)

  1. 로프를 승·하강시켜서 승강기를 운행하도록 하는 엘리베이터에서 로프를 압착 파지하여 제동하는 제동장치에 있어서,
    직선운동수단에 의해 전·후진하여 로프(2)를 압착하도록 로프(2)의 전후방에 설치하는 한 쌍의 밀판(44a)(44b)과,
    상기 밀판(44a)(44b)의 직선운동을 한정하면서 밀판(44a)(44b)을 지지하고, 보조몸체(50)와 일체로 이루어지는 주요몸체(30)와,
    상기 주요몸체(30) 및 보조몸체(50)의 내측에 장착하여 상기 밀판(44a)(44b)을 전후방향으로 가동시키도록 하는 나사 결합된 너트축(59a)(59b)과,
    상기 너트축(59a)(59b)을 회전시키도록 너트축(59a)(59b)에 일체로 고정 장착하여 회전하는 휠(70a)(70b)(90a)(90b)과,
    상기 휠(70a)(70b)(90a)(90b)의 내부에 끼워져 일측은 주요몸체(30)와 보조몸체(50)의 외측의 스프링고정판(33a)(55)에 걸치고, 타측은 휠(70a)(70b)(90a) (90b)의 내부에 걸쳐지도록 하는 인장스프링(69a)(69b)(69c)과,
    상기 휠(70a)(70b)(90a)(90b)의 외측에 장착되어 휠(70a)(70b)(90a)(90b)과 동시에 회전하거나 회전을 단속하는 메인래치트(77)와,
    상기 메인래치트(77)를 역회전시키기 위해 메인래치트(77)와 맞물려있는 보조래치트(80)와,
    상기 메인래치트(77)와 래치(79)의 걸림을 해제하기 위한 고정해제수단과,
    상기 주요몸체(30)를 빔(5)에 임의 각으로 경사지게 장착할 수 있도록 주요몸체(3)의 측면하단에 경사장착수단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로프 제동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직선운동수단은, 주요몸체(30)의 측면패널(32a)(32b)의 내측면 중앙에 가로방향으로 가이드홈(35)을 형성하고, 밀판(44a)(44b)의 양측면 모서리에 가이드(45)를 돌출 형성하여 상기 가이드홈(35)에 가이드(45)를 삽입시키며,
    밀판(44a)(44b)의 외측에 수나사(49)를 형성한 통쇠(48)를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수나사(49)에 너트축(59a)(59b)의 암나사(60)를 체결하여 너트축(59a)(59b)의 회전에 의해 밀판(44a)(44b)은 가이드홈(35)에서 직선방향으로 슬라이딩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로프 제동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밀판(44a)의 수나사와 너트축(59a)에 형성한 암나사는 왼나사로 형성하고, 밀판(44b)의 수나사와 너트축(59b)에 형성한 암나사는 오른나사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로프 제동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너트축(59a)(59b)의 단부(61)에 베어링(63)을 장착하고, 베어링(63)의외륜에 커버(64)를 씌우며, 커버(64)는 주요몸체(30)와 보조몸체(50)의 외측에 장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로프 제동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휠(70a)(70b)은, 원판(71)의 일측에 외측가이드관(72)과 내측가이드(73)를 일체로 형성하고, 외측가이드관(72)과 내측가이드관(73)사이에는 3개의 스프링고정봉(74)을 등간격으로 형성하며, 원판(71)의 중심에는 키홈(75a)을 형성한 보스(75)를 일체로 형성하고, 원판(71)의 상면 일측에는 링크축봉가이드공(76a), 멈춤쇠가이드공(76b) 및 래치트축봉가이드공(76c)을 뚫어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로프 제동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휠(90a)(90b)은, 원판(91)의 중앙에 보스(92)를 형성하고, 외주에는 가이드관(93)을 일체로 형성하며, 상기 보스(92)에는 축공을 형성하고 축공에는 키홈을 형성하며, 상기 가이드관(93)의 내측에는 스프링고정판(95)을 등간격으로 3개 형성하고 상측에는 중량체(96)를 일체로 장착하고, 상기 원판(91)의 상면 일측에는 링크축봉가이드공(94a), 멈춤쇠가이드공(94b) 및 래치트축봉가이드공(94c)을 뚫어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로프 제동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중량체(96)는 중량체(96)의 무게중심(G)을 회전되어질 방향으로 편심 되어지도록 장착하고, 제동장치가 작동하여 휠(90a)(90b)이 회전이 멈췄을 때에 무게중심(G)은 휠(90a)(90b)의 회전중심과 수평상태를 이루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제동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인장스프링(69a)(69b)(69c)은, 휠(70a)(70b)의 외측가이드관(72)과 내측가이드관(73)사이에 형성된 공간부에는 장착하되 인장스프링(69a)의 일단은 배면패널(31) 및 보조몸체(50)에 형성한 스프링고정판(55)에 걸치고 타측단은 휠(70a)(70b)의 스프링고정봉(74)에 걸어서 장착하며, 인장스프링(69b)(69c)의 일단은 측면패널(31)의 스프링가이드판(33)에 형성한 스프링고정판(33a)에 걸치고 타측단은 휠(70a)(70b)의 다른 스프링고정봉(74)에 걸어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로프 제동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해제수단은, 휠(70a)(70b)의 외측에 일체로 메인래치트(77)를 장착하고, 메인래치트(77)의 상측으로는 링크(43a)(43b)에 의해 승하강하는 래치(79)를 제1힌지부(83)로 선회 가능하게 결합하며, 래치(79)의 배면은 래치멈춤쇠(57)에 걸려 뒤쪽으로 밀려나지 않도록 하고, 상기 링크(43a)(43b)는 링크축봉(56)에 선회 가능하게 체결하며, 링크(43a)(43b)의 타측 단부는 제2힌지부(84)에는 누름봉(42)의 단부를 선회 가능하게 체결하고, 상기 누름봉(42)의 중앙은 솔레노이드(38)의 밀편(39)에 끼워지도록 하며, 밀편(39)의 하단에는 스프링고정봉(39a)형성하여 인장스프링(40)의 일단을 고정하고 인장스프링(40)의 하측단은 측면패널(32a)의 일측에 형성한 스프링지지대(41)에 걸쳐지도록 하여 인장스프링(40)의 복원력에 의해 누름봉(42)이 하측방향으로 당겨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로프 제동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경사장착수단은, 수평상태의 밑판(101)의 일측모서리에 직각방향으로 수직판(102)을 일체로 형성하고, 수직판(102)에는 고정공(103)과 고정공(103)을 중심으로 부채꼴형상의 가이드공(104)을 고정공(103)상측에 형성하고,
    상기 수직판(102)의 상측 양단 및 하측양단부는 라운딩형상으로 형성하며,
    측면패널(32a)(32b)의 중앙 하측에는 수직방향으로 2개의 나사봉(106)(107)을 형성하되 나사봉(106)과 나사봉(107)의 중심거리는 상기 브래킷(100a)(100b)의 고정공(103)과 가이드공(104)의 중심거리와 동일한 거리에 형성하여 브래킷(100a)(100b)을 측면패널(32a)(32b)에 장착한 후 스프링와셔(108) 및 너트(109)로 나사봉에 체결하여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로프 제동장치.
KR10-2001-0040614A 2001-07-07 2001-07-07 엘리베이터용 로프 제동장치 KR1004111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0614A KR100411150B1 (ko) 2001-07-07 2001-07-07 엘리베이터용 로프 제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0614A KR100411150B1 (ko) 2001-07-07 2001-07-07 엘리베이터용 로프 제동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0540U Division KR200250584Y1 (ko) 2001-07-07 2001-07-07 엘리베이터용 로프 제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4878A true KR20030004878A (ko) 2003-01-15
KR100411150B1 KR100411150B1 (ko) 2003-12-18

Family

ID=277138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0614A KR100411150B1 (ko) 2001-07-07 2001-07-07 엘리베이터용 로프 제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1115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6951B1 (ko) * 2003-12-08 2006-04-07 (주)동광사우 엘리베이터 로프 제동장치
KR100675665B1 (ko) * 1999-10-29 2007-02-01 오티스엘리베이터 유한회사 권상기의 브레이크 수동해제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80646B2 (ja) * 1988-03-18 1995-08-3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ーの制御装置
US5197571A (en) * 1991-06-03 1993-03-30 Burrell Michael P Self centering elevator cable safety brake
US6173813B1 (en) * 1998-12-23 2001-01-16 Otis Elevator Company Electronic control for an elevator braking system
KR200250584Y1 (ko) * 2001-07-07 2001-10-19 덕 규 김 엘리베이터용 로프 제동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5665B1 (ko) * 1999-10-29 2007-02-01 오티스엘리베이터 유한회사 권상기의 브레이크 수동해제장치
KR100566951B1 (ko) * 2003-12-08 2006-04-07 (주)동광사우 엘리베이터 로프 제동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11150B1 (ko) 2003-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21872A (en) Remote brake release mechanism for an elevator machine
US8256579B2 (en) Elevator car brake
US5101939A (en) Disk brake for elevator
US5226508A (en) Disc brake for elevator drive sheave
JP2000203774A (ja) エレベ―タ籠の停止ロック装置
KR101011024B1 (ko) 로프 제동장치
US7392885B2 (en) Emergency escape apparatus for elevator
US6374953B1 (en) Vertical plunger brake control device
FI96838C (fi) Hissin turvajarru
KR100411150B1 (ko) 엘리베이터용 로프 제동장치
CN104098043A (zh) 制动器和电梯
KR101996602B1 (ko) 로프 제동장치
US5145035A (en) Elevator disc brake
KR200250584Y1 (ko) 엘리베이터용 로프 제동장치
EP1687548B1 (en) Brake and method for adjusting a brake
US6179090B1 (en) Elevator hoist brake release apparatus
US6557670B2 (en) Double brake protection device for elevator
JP2000219464A (ja) エレベータ電磁ブレーキの開放装置
KR102170268B1 (ko) 구조용 인양기
GB2250012A (en) Elevator
CN114344746A (zh) 一种用于高楼火灾救生系统的制动控制装置
JPH0826620A (ja) エレベーターの救出装置
US7607515B2 (en) Elevator evacuation apparatus
CN110654951A (zh) 电梯平衡救援装置及电梯平衡救援系统
CN205367565U (zh) 锁盘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10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