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01175A - 밀폐형 회전식 압축기의 머플러 - Google Patents

밀폐형 회전식 압축기의 머플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01175A
KR20030001175A KR1020010037567A KR20010037567A KR20030001175A KR 20030001175 A KR20030001175 A KR 20030001175A KR 1020010037567 A KR1020010037567 A KR 1020010037567A KR 20010037567 A KR20010037567 A KR 20010037567A KR 20030001175 A KR20030001175 A KR 200300011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ffler
discharge hole
muffler body
cover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375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97560B1 (ko
Inventor
김영종
하종훈
안병하
김광호
변상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Priority to KR10-2001-00375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97560B1/ko
Publication of KR200300011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11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75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7560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8/0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18/02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0027Pulsation and noise damping means
    • F04B39/0055Pulsation and noise damping means with a special shape of fluid passage, e.g. bends, throttles, diameter changes, pipes
    • F04B39/0061Pulsation and noise damping means with a special shape of fluid passage, e.g. bends, throttles, diameter changes, pipes using muffler volum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18/00 - F04C28/00
    • F04C29/06Silencing
    • F04C29/065Noise dampening volumes, e.g. muffler cha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18/00 - F04C28/00
    • F04C29/12Arrangements for admission or discharge of the working fluid, e.g.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inlet or outlet
    • F04C29/124Arrangements for admission or discharge of the working fluid, e.g.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inlet or outlet with inlet and outlet valves specially adapted for rotary or oscillating piston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40/00Components
    • F04C2240/50Bea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40/00Components
    • F04C2240/80Other components
    • F04C2240/805Fastening means, e.g. bol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pplications Or Details Of Rotary Compress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밀폐형 회전식 압축기의 머플러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실린더의 압축공간을 복개하도록 결합됨과 아울러 그 실린더 압축공간에서 압축된 고압의 냉매 가스가 토출되는 토출통공이 구비된 베어링에 복개 결합되어 그 베어링의 면과 함께 상기 토출통공으로 토출된 냉매 가스가 유동하는 복수개의 소음 저감공간을 형성하는 머플러 몸체와, 상기 소음 저감공간측에 위치하도록 그 머플러 몸체에 형성되는 토출공과, 상기 소음 저감공간에 위치함과 아울러 상기 토출공을 포함하도록 상기 머플러 몸체의 내벽에 방사방향으로 결합되어 그 머플러 몸체의 내벽과 함께 그 소음 저감공간으로 유동하는 냉매 가스가 상기 토출공으로 빠져나가도록 안내하는 가이드커버를 포함하도록 구성하여 실린더의 압축공간으로 흡입되어 압축된 냉매 가스가 밀폐용기 내부로 토출되면서 발생되는 소음을 최소화함으로써 압축기의 신뢰성을 높이며, 또한 냉매 가스가 밀폐용기로 빠져나가는 유로 저항을 감소시킴으로써 전력 소모를 줄이고 아울러 구조 및 결합 작업을 간단하게 함으로써 조립 생산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밀폐형 회전식 압축기의 머플러{MUFFLER OF HERMETIC TYPE ROTARY COMPRESSOR}
본 발명은 밀폐형 회전식 압축기의 머플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실린더의 압축공간으로 냉매 가스가 흡입되고 압축되어 밀폐용기 내부로 토출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최소화시킬 뿐만 아니라 구조를 간단하게 할 수 있도록 한 밀폐형 회전식 압축기의 머플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압축기는 유체를 압축하는 기기로, 그 유체를 압축하는 방식에 따라 회전식 압축기, 왕복동식 압축기, 스크롤 압축기 등 여러 종류가 있다.
도 1은 상기 압축기의 일예로 상기 밀폐형 회전식 압축기를 도시한 것으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밀폐형 회전식 압축기는 밀폐용기(10)에 장착된 구동모터(20)가 구동하게 되면 그 구동모터(20)의 회전자(21)에 결합된 회전축(30)이 회전하게 되고 그 회전축(30)의 회전에 따라 그 회전축(30)에 구비된 편심부(31)가 상기 구동모터(20)의 하측에 위치한 실린더(40)의 압축공간(P)에서 편심 회전하게 된다.
상기 회전축의 편심부(31)가 실린더의 압축공간(P)에서 편심 회전함에 따라 그 편심부(31)에 결합된 롤링 피스톤(50)이 상기 실린더의 압축공간(P) 내벽에 선접촉됨과 아울러 그 실린더(4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베인(미도시)과 선접촉된 상태에서 그 실린더의 압축공간(P)에서 원 운동하게 된다.
상기 롤링 피스톤(50)이 실린더 압축공간(P)에서 원 운동함에 따라 상기 베인에 의해 구획된 실린더 압축공간(P)이 압축영역과 흡입영역으로 전환되면서 그 실린더(40)에 구비된 흡입구(41)를 통해 냉매 가스가 흡입되고 압축되어 그 실린더(40)에 구비된 토출포트(42)를 통해 토출되며 그 토출포트(42)를 통해 토출된 압축 냉매 가스는 실린더(40)의 양측에 각각 복개 결합된 상부 베어링(50)과 하부 베어링(60) 중 상부 베어링(50)에 형성된 토출통공(51)을 통해 상기 밀폐용기(10) 내부로 토출된다. 이때, 상기 상부 베어링(50)의 상부에 결합된 토출밸브(52)가 상기 실린더 압축공간(P)이 압축영역과 흡입영역으로 전환되면서 함께 작동하여 상기 토출통공(51)을 개폐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밀폐용기(10)로 토출된 압축 냉매 가스는 상기 구동모터(20) 사이를 통해 유동하여 그 밀폐용기(10)의 상부에 결합된 토출관(70)을 통해 외부로 토출되며 이때, 상기 밀폐용기(10)에 비산되는 오일의 일부가 압축된 냉매 가스와 함께 토출된다.
한편, 상기 실린더의 압축공간(P)으로 냉매 가스가 흡입되고 압축되어 토출되는 과정이 반복되면서 실린더의 압축공간(P)에서 토출되는 냉매 가스의 압력 맥동 및 상기 토출밸브(52)의 개폐에 의해 심한 소음이 발생되며 이와 같은 소음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머플러(F)가 구비된다.
상기 머플러(F)는 상기 실린더(40)의 상하측에 각각 결합되는 상부 베어링(50)과 하부 베어링(60) 중 압축된 냉매 가스가 토출되는 상부 베어링(50) 또는 하부 베어링(60)에 장착된다.
미설명 부호 22는 회전자이고, 61은 체결볼트이다.
도 2, 3은 종래 밀폐형 회전식 압축기에 장착되는 머플러의 일예로, 일본국 특허공개 평2-61375호(이하, 제1 머플러라 함)에 게재된 머플러(소음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머플러의 구조는 상기 상부 베어링(50)의 상측을 복개할 수 있도록 캡 형태로 형성된 머플러 몸체(80)의 상면 테두리에 상기 상부 베어링(50)의 상면과 접촉됨과 아울러 체결볼트(61)가 체결되도록 소정의 면적으로 함몰된 볼트 체결부(81)가 복수개 구비되고 상기 머플러 몸체(80)의 상면 가운데 상기 상부 베어링(50)의 일부가 관통 삽입되는 삽입공(82)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볼트 체결부(81)에 의해 상대적으로 내부 공간을 갖도록 돌출된 볼록부(83), 즉 상기 머플러 몸체 상면에 두 개의 토출공(84)이 형성되고 그 머플러 몸체(80)의 내부에 소정의 길이를 갖는 곡관(85)이 상기 토출공(84)과 연통되도록 각각 결합되며 그 곡관(85)은 그 머플러 몸체(80)의 원주방향으로 위치하도록 배열되어 있다.
상기 제1 머플러는 상부 베어링(또는 하부 베어링)을 복개하도록 체결볼트(61)에 의해 결합되어 그 상부 베어링의 토출통공(51)을 통해 토출된 압축 냉매 가스가 상기 상부 베어링(50)의 상면과 볼록부(83)들에 의해 형성되는 소음공간들을 거치면서 곡관(85)과 토출공(84)을 통해 밀폐용기(10)내부로 빠져나가면서 압력 맥동 및 밸브 개폐에 의해 발생된 소음을 저감시키게 된다.
한편, 도 4, 5는 상기 밀폐형 압축기의 머플러에 장착되는 종래 구조의 다른 일예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특2000-50706호(제2 머플러라 함)에 게재된 머플러를 도시한 것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머플러의 구조는 상기 상부 베어링(50)의 상측을 복개할 수 있도록 캡 형태로 형성된 머플러 몸체(90)의 상면 테두리에 상기 상부 베어링(50)의 상면과 접촉됨과 아울러 체결볼트(61)가 체결되도록 소정의 면적으로 함몰된 볼트 체결부(91)가 복수개 구비되고 상기 머플러 몸체(90)의 상면 가운데 상기 상부 베어링(50)의 일부가 관통 삽입되는 삽입공(92)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볼트 체결부(91)에 의해 상대적으로 내부 공간을 갖도록 돌출된 볼록부(93), 즉 상기 머플러 몸체 상면에 두 개의 토출공(94)이 형성되고 그 머플러 몸체(90) 상면의 내외측에 상기 토출공(94)의 반을 넘게 복개하는 한 쌍의 반구형 또는 반타원형 형태의 상,하측 커버(95)(96)가 각각 구비되며 그 상측 커버(95)와 하측 커버(96)에 의해 형성되는 유로는 그 머플러 몸체(90)의 원주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 머플러는 상부 베어링(또는 하부 베어링)을 복개하도록 체결볼트(61)에 의해 결합되어 그 상부 베어링의 토출통공(51)을 통해 토출된 압축 냉매 가스가 상기 상부 베어링(50)의 상면과 볼록부(93)들에 의해 형성되는 소음공간들을 거치면서 토출공(94)과 상하측 커버(95)(96)에 의해 형성된 유로를 통해 밀폐용기(10)내부로 빠져나가면서 압력 맥동 및 밸브 개폐에 의해 발생된 소음을 저감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실린더의 압축공간(P)에서 냉매 가스가 흡입되고 압축되어 토출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소음은 상기 실린더의 압축공간(P)에서 압축된 냉매 가스가 상대적으로 유로가 작은 토출통공(51)을 통해 내부 체적이 큰 밀폐용기(10)내부로 토출되면서 발생되는 소음이다.
따라서, 상기 토출통공(51)이 구비된 상부 베어링(50)에 복개되는 상기 제1 머플러와 제2 머플러는 상기 토출통공(51)을 통해 토출된 고압의 냉매 가스가 그 제1,2 머플러의 소음공간과 곡관(85) 또는 상하측 커버(95)(96)에 의한 유로를 통하면서 소음을 저감시키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제1 머플러는 상부 베어링의 토출통공(51)을 통해 토출된 고압의 냉매 가스가 그 소음공간들을 거쳐 머플러 몸체(80)의 원주방향으로 구비된 곡관(85) 및 토출공(84)을 통해 밀폐용기(10) 내부로 빠져 나오면서 소음을 방사하게 될 뿐만 아니라 고압의 냉매 가스가 곡관(85)을 통해 유동하는 과정에서 유로 저항이 증가되어 입력 전원을 증가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곡관(85)을 토출공(84)과 연통되도록 상기 머플러 몸체(80)에 결합시키게 되므로 구조가 복잡하게 될 뿐만 아니라 조립 작업이 난해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제2 머플러의 경우 상부 베어링의 토출통공(51)을 통해 토출된 고압의 냉매 가스가 그 소음공간들을 거쳐 머플러 몸체(90)의 원주방향으로 유로를 형성하는 토출공(94) 및 상측 커버(95)와 하측 커버(96)사이를 통해 밀폐용기(10) 내부로 빠져 나오면서 소음을 방사하게 된다. 또한 상기 토출공(94)을 복개하도록 머플러 몸체(90) 상면 내외측에 상측 커버(95)와 하측 커버(96)를 각각 결합시키게 되므로 구조가 복잡하게 될 뿐만 아니라 조립 작업이 난해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본 발명의 목적은 실린더의 압축공간으로 냉매 가스가 흡입되고 압축되어 밀폐용기 내부로 토출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최소화시킬 뿐만 아니라 구조를 간단하게 할 수 있도록 한 밀폐형 회전식 압축기의 머플러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밀폐형 회전식 압축기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2,3은 종래 밀폐형 회전식 압축기의 머플러를 도시한 사시도 및 부분 단면도,
도 4,5는 종래 밀폐형 회전식 압축기의 머플러를 도시한 사시도 및 부분 단면도,
도 6,7은 본 발명의 밀폐형 회전식 압축기 머플러를 도시한 사시도 및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밀폐형 회전식 압축기 머플러를 구성하는 가이드커버의 설치 영역을 도시한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밀폐형 회전식 압축기 머플러를 구성하는 가이드커버의 정단면도,
도 10,11,12,13,14 는 본 발명의 밀폐형 회전식 압축기 머플러의 다른 실시예를 각각 도시한 평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밀폐형 회전식 압축기 머플러를 구성하는 곡선 가이드커버의 정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밀폐형 회전식 압축기 머플러를 구성하는 곡선 가이드커버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밀폐형 회전식 압축기 머플러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8,19는 본 발명의 밀폐형 회전식 압축기 머플러의 소음 및 유로저항을 실험한 그래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40 ; 실린더 50,60 ; 베어링
51 ; 토출통공 100 ; 머플러 몸체
110 ; 토출공 200 ; 가이드커버
210,310 ; 유로부 220 ; 커버부
230 ; 결합부 320 ; 제1 커버부
330 ; 제2 커버부 340 ; 관통구멍
350 ; 결합부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실린더의 압축공간을 복개하도록 결합됨과 아울러 그 실린더 압축공간에서 압축된 고압의 냉매 가스가 토출되는 토출통공이 구비된 베어링에 복개 결합되어 그 베어링의 면과 함께 상기 토출통공으로 토출된 냉매 가스가 유동하는 소음 저감공간을 형성하는 머플러 몸체와, 상기 소음 저감공간측에 위치하도록 그 머플러 몸체에 형성되는 토출공과, 상기 소음 저감공간에 위치함과 아울러 상기 토출공을 포함하도록 상기 머플러 몸체의 내벽에 결합되어 그 머플러 몸체의 내벽과 함께 그 소음 저감공간으로 유동하는 냉매 가스가 상기 토출공으로 빠져나가도록 안내하는 가이드커버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회전식 압축기의 머플러가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밀폐형 회전식 압축기의 머플러를 첨부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따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밀폐형 회전식 압축기의 머플러는 실린더의 압축공간(P)을 복개하도록 결합됨과 아울러 그 실린더 압축공간(P)에서 압축된 고압의 냉매 가스가 토출되는 토출통공이 구비된 베어링에 복개 결합된다.
도 6, 7은 상기 밀폐형 회전식 압축기의 머플러에 대한 일실시예를 도시한것으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밀폐형 회전식 압축기의 머플러는 캡 형태로 형성된 머플러 몸체(100)의 상면에 토출공(110)이 형성된다.
상기 머플러 몸체(100)는 일정 두께와 길이를 갖는 원통 형태의 일측이 막힌 상면(도면상)으로 형성되며 그 머플러 몸체(100)의 상면 가운데 상기 상부 베어링(50)의 일부가 삽입되도록 일정 내경을 갖는 삽입공(120)이 형성된다. 그리고 그 머플러 몸체(100)의 상면 테두리에 상기 상부 베어링(50)의 상면과 접촉됨과 아울러 체결볼트(61)가 체결되도록 소정의 면적으로 함몰된 볼트 체결부(130)가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개 구비되고 그 복수개의 볼트 체결부(130)에 의해 그 사이에 위치하는 상면은 상대적으로 돌출된 복수개의 돌출부(140)를 이루게 된다. 상기 복수개의 볼트 체결부(130)의 내측 끝을 연결한 원이 상기 삽입공(120)의 내경보다 크게 된다.
상기 복수개 돌출부(140)의 각 내부 공간과 상기 상부 베어링(50) 상면에 의해 복수개의 소음 저감공간을 형성하게 되고 그 복수개의 소음 저감공간들은 서로 연통되며 그 소음 저감공간들 중의 하나에 상기 상부 베어링(50)의 토출통공(51)이 위치하게 된다.
상기 토출공(110)은 상기 복수개의 소음 저감공간을 형성하는 복수개의 돌출부(140) 중 한 곳에 또는 두 개 이상의 돌출부(140)에 각각 형성된다. 도면에 제시된 돌출부(140)는 네 개이고 그 네 개의 돌출부(140) 중 두 개의 돌출부(140)에 토출공(110)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토출공(110)은 서로 180°의 위상을 갖도록 위치하게 되며 그토출공(110)이 구비된 돌출부(140)와 돌출부(140)사이에 위치하는 돌출부(140)의 내부에 상기 토출통공(51)이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토출공(110)이 구비된 각 돌출부(140)의 내벽에 가이드커버(200)가 결합된다. 상기 가이드커버(200)는 상기 소음 저감공간에 위치함과 아울러 상기 토출공(110)을 포함하도록 상기 머플러 몸체(100)의 내벽, 즉 돌출부(140)의 내벽에 방사방향으로 결합되어 그 머플러 몸체(100)의 내벽과 함께 그 소음 저감공간으로 유동하는 냉매 가스가 그 토출공(110)으로 빠져나가도록 안내하게 된다. 즉, 상기 가이드커버(200)는 그 길이방향의 중심선이 그 머플러 몸체(100)의 중심에 대하여 방사선상에 위치하도록 결합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커버(200)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길이 방향 중심선이 그 내측 끝 중심점을 기준점으로 하여 방사선상에 대하여 -45°와 45°사이의 각도 범위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커버(200)는 일정 두께와 직선 길이를 가지며 그 단면 형태가 반원 형태로 형성되는 유로부(210)와 그 유로부(210)의 일측단에 반구 형태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토출공(110)을 커버하는 커버부(220)와 그 유로부(210) 및 커버부(220)의 가장자리에 절곡 연장 형성되어 상기 머플러 몸체(100)의 내벽에 결합되는 결합부(230)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토출공(110)은 그 머플러 몸체(100)의 바깥측에 위치하고 상기 가이드커버(200)의 유로부(210) 끝은 그 머플러 몸체(100)의 내측에 위치하게 된다.
또한 다른 변형예로서,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토출공(110)은 그머플러 몸체(100)의 내측에 위치하고 상기 가이드커버의 유로부(210) 끝은 그 머플러 몸체(100)의 바깥측에 위치하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머플러 몸체(100)에 네 개의 돌출부(140)가 구비되고 그 네 개의 돌출부(140) 중 서로 직선상에 위치하는 두 개의 돌출부(140)에 상기 토출공(110)이 각각 형성되며 그 두 개의 돌출부(140) 중 하나에 상기 상부 베어링(50)의 토출통공(51)이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토출공(110)이 형성된 돌출부(140)들의 내부에 상기 가이드커버(200)가 결합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머플러 몸체(100)에 상기 돌출부(140)가 네 개 형성되고 그 네 개의 돌출부(140) 중 하나에 상기 상부 베어링(50)에 구비된 토출통공(51)이 위치하게 되며 그 토출통공(51)이 위치하는 돌출부(140)와 그 측부에 위치하는 돌출부(140)에 토출공(110)이 각각 형성되며 그 토출공(110)이 형성된 돌출부(140)들의 내부에 상기 가이드커버(200)가 결합된다. 즉, 상기 두 개의 토출공(110)은 상기 머플러 몸체(100)의 중심에 대하여 서로 90°의 위상을 갖게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머플러 몸체(100)에 상기 돌출부(140)가 네 개 형성되고 그 네 개의 돌출부(140) 중 서로 인접하는 두 개의 돌출부(140)에 각각 상기 토출공(110)이 형성되고 상기 토출공(110)이 형성되지 않은 돌출부(140)에 상기 상부 베어링(50)의 토출통공(51)이 위치하게 된다. 즉, 상기 두 개의 토출공(110)은 상기 머플러 몸체(100)의 중심에 대하여 서로 90°의 위상을 갖게 된다. 그리고 상기 토출공(110)이 형성된 돌출부(140)들의 내부에 상기 가이드커버(200)가 결합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머플러 몸체(100)에 네 개의 돌출부(140)가 구비되고 그 네 개의 돌출부(140) 중 서로 직선상에 위치하는 두 개의 돌출부(140)에 상기 토출공(110)이 각각 형성되며 그 토출공(110)이 형성된 두 개의 돌출부(140)사이에 위치하는 돌출부(140)에 상기 상부 베어링(50)의 토출통공(51)이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토출공(110)이 형성된 돌출부(140)의 내부에 상기 가이드커버(200)가 결합되고 다른 토출공(110)이 형성된 돌출부(140)의 내부에 곡선형 가이드커버(300)가 결합된다.
상기 곡선형 가이드커버(300)는 일정 두께와 곡선 길이를 가지며 그 단면 형태가 반원 형태로 형성되는 유로부(310)와 그 유로부(310)의 일측단에 반구 형태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토출공(110)을 커버하는 제1 커버부(320)와 상기 유로부(310)의 타측단에 반구 형태로 연장 형성되어 제2 커버부(330)와 그 제2 커버부(330)측에 관통 형성되는 관통구멍(340)과 상기 유로부(310) 및 제1,2 커버부(320)(330)의 가장자리에 절곡 연장 형성되어 상기 머플러 몸체(100)의 내벽에 결합되는 결합부(350)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곡선형 가이드커버(200)는 그 길이방향이 상기 머플러 몸체(100)의 방사선상으로 향하도록 위치하게 된다.
또한 다른 변형예로,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곡선형 가이드커버(300)가 그 곡선 길이 방향이 상기 머플러 몸체(100)의 원주방향과 일치하도록 위치하게 된다.
본 발명은 소음 저감공간은 네 개의 경우 이외에도 두 개 또는 세 개 이상의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밀폐형 회전식 압축기의 머플러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밀폐형 회전식 압축기 머플러의 결합은 위에서 서술한 바와 같이 그 머플러 몸체(100)가 상기 실린더(40)에 결합된 상부 베어링(50)을 복개하도록 결합된다. 이때 상기 상부 베어링(50)의 일부분, 즉 축지지부가 상기 머플러 몸체(100)의 삽입공(120)에 삽입됨과 동시에 그 볼트 체결부(130)가 상기 상부 베어링(50)의 상면에 접촉 지지된다. 그리고 체결볼트(61)가 상기 머플러 몸체(100)의 볼트 체결부(130)에 형성된 나사공(150)에 관통 체결되어 상기 실린더(40)와 상부 베어링(50)을 체결함과 동시에 상기 머플러 몸체(100)를 체결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실린더의 압축공간(P)에서 압축된 고압의 냉매 가스가 상부 베어링(50)의 토출통공(51)을 통해 토출되면 그 토출된 냉매 가스는 다수개의 소음 저감공간들을 거치면서 유동하게 된다. 상기 다수개의 소음 저감공간들을 유동하는 냉매 가스는 그 다수개의 소음 저감공간들 중 가이드커버(200)가 구비된 소음 저감공간에서 그 가이드커버(200)와 머플러 몸체(100) 내벽에 의해 형성되는 유로와 토출공(110)을 통해 외부, 즉 밀폐용기(10) 내부로 빠져나가게 된다.
상기 과정에서 상기 실린더의 압축공간(P)에서 압축된 고압의 냉매 가스가상부 베어링(50)의 토출통공(51)을 통해 다수개의 소음 저감공간으로 토출되면서 소음원이 되는 압력 맥동 및 밸브 개폐 충격파 등이 함께 토출되며 이때, 압력 맥동 및 밸브 개폐 충격파 등이 상기 토출통공(51)의 작은 체적에서 넓은 체적을 갖는 소음 저감공간으로 토출되면서 저감되며 아울러 그 다수개의 소음 저감공간을 거친 고압 상태의 냉매 가스가 가이드커버(200)와 머플러 몸체(100) 내벽에 의해 형성된 방사방향의 유로와 토출공(110)을 통해 밀폐용기(10)내부로 빠져 나오면서 그 방사방향을 갖는 유동의 간섭에 의해 소음, 즉 공명음을 상쇄시키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토출공(110)을 포함하도록 상기 머플러 몸체(100)의 내벽에 결합되어 냉매 가스가 유동하는 유로를 형성하는 가이드커버(200)의 구조가 간단할 뿐만 아니라 결합 공정이 간단하고 또한 상기 가이드커버(200)와 상기 머플러 몸체(100)의 내벽에 의해 형성되는 유로가 간단하게 되어 냉매 가스의 유동 저항이 감소된다.
도 18는 종래의 머플러와 본 발명의 머플러를 각각 밀폐형 회전식 압축기에 장착하여 소음 발생을 측정한 그래프로, 상기 그래프에 나타난 바와 같이, 종래의 머플러보다 본 발명의 머플러가 주파수 전 대역에 걸쳐 투과손실(Transmission Loss)이 크므로 소음 저감 효과가 우수하게 된다. 도 18에서 주파수가 500Hz 대역에서 맨 위에서 시작하는 그래프가 본 발명의 소음기에 대한 것이다.
또한, 도 19는 종래의 머플러와 본 발명의 머플러를 각각 밀폐형 회전식 압축기에 장착하여 유로 저항을 측정한 그래프로, 상기 그래프에 나타난 바와 같이, 종래의 머플러보다 본 발명의 머플러가 유로 저항이 적어 고압의 냉매 가스가 토출될 때 입력 전류가 적게 소비된다. 도 19에서, 맨 아래에 위치하는 그래프가 본 발명의 소음기에 대한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밀폐형 회전식 압축기의 머플러는 실린더의 압축공간으로 흡입되어 압축된 냉매 가스가 밀폐용기 내부로 토출되면서 발생되는 소음을 최소화시키게 됨으로써 압축기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고, 또한 냉매 가스가 밀폐용기로 빠져나가는 유로 저항을 감소시켜 냉매 가스 유동이 원활하게 됨으로써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고 아울러 구조 및 결합 작업이 간단하게 됨으로써 조립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실린더의 압축공간을 복개하도록 결합됨과 아울러 그 실린더 압축공간에서 압축된 고압의 냉매 가스가 토출되는 토출통공이 구비된 베어링에 복개 결합되어 그 베어링의 면과 함께 상기 토출통공으로 토출된 냉매 가스가 유동하는 소음 저감공간을 형성하는 머플러 몸체와, 상기 소음 저감공간측에 위치하도록 그 머플러 몸체에 형성되는 토출공과, 상기 소음 저감공간에 위치함과 아울러 상기 토출공을 포함하도록 상기 머플러 몸체의 내벽에 결합되어 그 머플러 몸체의 내벽과 함께 그 소음 저감공간으로 유동하는 냉매 가스가 상기 토출공으로 빠져나가도록 안내하는 가이드커버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회전식 압축기의 머플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커버는 그 길이 방향이 상기 머플러 몸체의 중심에 대하여 방사선상으로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회전식 압축기의 머플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커버는 그 길이 방향 중심선이 그 내측 끝 중심점을 기준점으로 하여 방사선상에 대하여 -45°와 45°사이의 각도 범위로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회전식 압축기의 머플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공 및 그 토출공을 포함하도록 머플러 몸체에 결합되는 가이드커버는 그 머플러 몸체에 두 개가 구비되고 그 두 개의 토출공 및 가이드커버는 서로 180°의 위상을 갖도록 위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회전식 압축기의 머플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공 및 그 토출공을 포함하도록 머플러 몸체에 결합되는 가이드커버는 그 머플러 몸체에 두 개가 구비되고 그 두 개의 토출공 및 가이드커버는 서로 90°의 위상을 갖도록 위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회전식 압축기의 머플러.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커버는 일정 두께와 직선 길이를 가지며 그 단면 형태가 반원 형태로 형성되는 유로부와 그 유로부의 일측단에 반구 형태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토출공을 커버하는 커버부와 그 유로부 및 커버부의 가장자리에 절곡 연장 형성되어 상기 머플러 몸체의 내벽에 결합되는 결합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회전식 압축기의 머플러.
  7.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두 개의 가이드커버 중 하나는 일정 두께와 곡선 길이를 가지며 그 단면 형태가 반원 형태로 형성되는 유로부와 그 유로부의 일측단에 반구 형태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토출공을 커버하는 제1 커버부와 상기 유로부의 타측단에 반구 형태로 연장 형성되어 제2 커버부와 그 제2 커버부측에 관통 형성되는 관통구멍과 상기 유로부 및 제1,2 커버부의 가장자리에 절곡 연장 형성되어 상기 머플러 몸체의 내벽에 결합되는 결합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회전식 압축기의 머플러.
KR10-2001-0037567A 2001-06-28 2001-06-28 밀폐형 회전식 압축기의 머플러 KR1003975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7567A KR100397560B1 (ko) 2001-06-28 2001-06-28 밀폐형 회전식 압축기의 머플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7567A KR100397560B1 (ko) 2001-06-28 2001-06-28 밀폐형 회전식 압축기의 머플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1175A true KR20030001175A (ko) 2003-01-06
KR100397560B1 KR100397560B1 (ko) 2003-09-13

Family

ID=277118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7567A KR100397560B1 (ko) 2001-06-28 2001-06-28 밀폐형 회전식 압축기의 머플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9756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0117B1 (ko) * 2003-12-09 2006-02-08 삼성전자주식회사 회전압축기
KR100807283B1 (ko) * 2007-01-30 2008-02-28 삼성전자주식회사 냉매압축장치 및 이를 가지는 공기조화기
EP2441960A1 (en) * 2009-06-11 2012-04-18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Refrigerant compressor and heat pump device
CN102562600A (zh) * 2010-12-22 2012-07-11 珠海格力节能环保制冷技术研究中心有限公司 压缩机消声装置及具有该消声装置的压缩机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0117B1 (ko) * 2003-12-09 2006-02-08 삼성전자주식회사 회전압축기
KR100807283B1 (ko) * 2007-01-30 2008-02-28 삼성전자주식회사 냉매압축장치 및 이를 가지는 공기조화기
EP2441960A1 (en) * 2009-06-11 2012-04-18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Refrigerant compressor and heat pump device
EP2441961A1 (en) * 2009-06-11 2012-04-18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Refrigerant compressor and heat pump device
EP2441960A4 (en) * 2009-06-11 2013-06-12 Mitsubishi Electric Corp REFRIGERANT COMPRESSOR AND DEVICE FOR HEAT PUMP
EP2441961A4 (en) * 2009-06-11 2013-06-12 Mitsubishi Electric Corp COOLANT COMPRESSOR AND HEAT PUMP DEVICE
US8790097B2 (en) 2009-06-11 2014-07-29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Refrigerant compressor and heat pump apparatus
US9011121B2 (en) 2009-06-11 2015-04-21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Refrigerant compressor and heat pump apparatus
CN102562600A (zh) * 2010-12-22 2012-07-11 珠海格力节能环保制冷技术研究中心有限公司 压缩机消声装置及具有该消声装置的压缩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97560B1 (ko) 2003-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08883B2 (ja) 密閉型回転式圧縮機のマフラー
KR100283653B1 (ko) 밀폐형 회전 압축기의 토출 머플러
AU2002224180A1 (en) Muffler for hermetic rotary compressor
WO2011034082A1 (ja) スクロール圧縮機
JP2005264827A (ja) スクロール圧縮機
US10731650B2 (en) Rotary compressor
KR100397560B1 (ko) 밀폐형 회전식 압축기의 머플러
CN115038874B (zh) 压缩机
KR100814019B1 (ko) 다기통 회전압축기
KR100533045B1 (ko) 소음 감쇠 기능을 구비한 스크롤 압축기
KR100234777B1 (ko) 밀폐형 회전식 압축기의 압축손실 저감구조
KR20180104871A (ko) 로터리 압축기
KR100343690B1 (ko) 압축기의 소음 저감구조
KR100455420B1 (ko) 밀폐형 회전식 압축기의 토출밸브 조립체 체결구조
KR100408248B1 (ko) 밀폐형 회전식 압축기용 소음기의 누설 방지장치
JPH1037884A (ja) ロータリ圧縮機の消音装置
KR100304556B1 (ko) 밀폐형회전식압축기의소음저감구조
KR200203908Y1 (ko) 밀폐형 회전식 압축기의 소음저감구조
KR100339580B1 (ko) 밀폐형 회전식 압축기의 소음기 구조
KR100273428B1 (ko) 밀폐형 회전식 압축기의 토출소음 저감구조
KR100314002B1 (ko) 밀폐형회전식압축기의밀폐용기구조
KR20000019829A (ko) 밀폐형 회전식 압축기의 소음 저감구조
KR19980063368A (ko) 밀폐형 압축기의 소음저감구조
KR20020029707A (ko) 밀폐형 압축기의 진동 소음저감구조
KR19990065065A (ko) 밀폐형 회전식 압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4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2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