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9949Y1 - 타악기의 마모 방지구조 - Google Patents

타악기의 마모 방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9949Y1
KR200299949Y1 KR20-2002-0028537U KR20020028537U KR200299949Y1 KR 200299949 Y1 KR200299949 Y1 KR 200299949Y1 KR 20020028537 U KR20020028537 U KR 20020028537U KR 200299949 Y1 KR200299949 Y1 KR 20029994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rcussion
corner portion
percussion instrument
wear protection
leath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85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석제
Original Assignee
영동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영동군 filed Critical 영동군
Priority to KR20-2002-00285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994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994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9949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HBENDING WOOD OR SIMILAR MATERIAL; COOPERAGE; MAKING WHEELS FROM WOOD OR SIMILAR MATERIAL
    • B27H3/00Manufacture of constructional elements of tubes, coops, or barrels
    • B27H3/04Manufacture of barrel heads or cas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타악기의 마모 방지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타악기통을 연주할 때 청아한 소리가 지속적으로 발생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고안은 적정한 곡률면이 형성되는 타악기통(1)의 표면부(3)와, 상기 표면부(3)의 끝단에 형성되는 모서리부(5)와, 상기 모서리부(5)의 외주연에 커버링되는 가죽(7)으로 구성된 타악기에 있어서, 상기 모서리부(5)의 곡률면과 대응되는 외주연에 마모 방지부재(10)가 형성되는 것이며, 상기 마모 방지부재(10)는 복수개로 분할되어 접합 형성되는 것이다.

Description

타악기의 마모 방지구조 {MODIFY PREVENT MEANS OF A PERCUSSION INSTRUMENT}
본 고안은 타악기의 마모 방지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바와 같이 전통악기중 타악기는 장구나 북 등이 있으며, 상기 타악기는 각각의 특성에 맞도록 설계되어 제작됨으로써 독창적인 음이 발생되는 것이다. 상기 타악기중 장구나 북을 제작할 때는 장구통(북통) 양측에 가죽을 위치시킴과 아울러 양측 가죽을 장력조정끈으로 연결하여 적정한 장력이 유지(조정)되게 하는 것이다.
종래의 타악기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타악기통(1)의 표면부(3) 끝단인 양측(상하)에 모서리부(5)가 형성되는 것이고, 상기 모서리부(5)의 외주연에 가죽(7)이 커버링되는 것이다.
상기 모서리부(5)에 위치된 가죽(7)은 장력조정끈(미도시)의 인장력에 의해서 압축되는 것이고, 상기 가죽(7)의 압력에 의해서 압박을 받는 모서리부(5)는 그 표면이 균일(평면)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다.
상기 상태에서 타악기통(1)을 연주하는 경우에는, 연주봉(미도시)으로 타악기통(1)의 모서리부(5)를 타격함과 아울러 가죽(7) 중심부위를 타격하는 것으로서, 상기 연주봉으로 모서리부(5)를 타격함과 동시에 타격 탄성(관성)에 의해서 가죽(7) 중심부위가 타격되는 것이다.
상기 모서리부(5)와 연주봉이 접촉될 때 타격음이 일차적으로 발생되고, 상기 연주봉과 가죽(7)이 접촉될 때 타격음이 이차적으로 발생됨으로써 정상적인 연주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타악기는, 연주봉으로 타악기통(1)의 모서리부(5)에타격하면서 연주하는 것으로서, 상기 모서리부(5)에 별도의 마모(변형) 방지 수단이 구비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장기적인 연주가 이루어질 때 모서리부(5)의 마모(변형)가 발생되는 것이고, 상기 모서리부(5)의 마모가 발생되면 연주시에 청아(명)한 음이 발생되지 않아 정상적인 연주가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시정하여, 타악기통을 연주할 때 청아한 소리가 지속적으로 발생할 수 있도록 한 타악기의 마모 방지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타악기통의 표면부와, 모서리부 및 가죽으로 구성된 타악기에 있어서, 상기 모서리부의 외주연에 마모 방지부재가 형성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것의 장구를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도 1의 요부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종래의 것의 북을 나타낸 정면도,
도 4는 도 3의 요부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의 장구를 나타낸 정면도,
도 6은 도 5의 A부를 나타낸 확대도(가죽이 제거됨),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예의 북을 나타낸 정면도,
도 8은 도 7의 B부를 나타낸 확대도(가죽이 제거됨)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1: 타악기통 3: 표면부
5: 모서리부 7: 가죽
10: 마모 방지부재
본 고안은 도 5 내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적정한 곡률면이 형성되는 타악기통(1)의 표면부(3)와, 상기 표면부(3)의 끝단에 형성되는 모서리부(5)와, 상기 모서리부(5)의 외주연에 커버링되는 가죽(7)으로 구성된 타악기에 있어서, 상기 모서리부(5)의 곡률면과 대응되는 외주연에 마모 방지부재(10)가 형성되는 것이며, 상기 마모 방지부재(10)는 복수개로 분할되어 접합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마모 방지부재(10)는 연주봉(미도시)으로 연주할 때 연주봉의 타격력으로 인한 모서리부(5)의 마모(변형)를 방지하기 위하여 박달나무, 홍목, 흙단, 자작나무, 벚나무 등으로 형성되는 것이고, 상기 마모 방지부재(10)를 모서리부(5)에접착시켜 일체화되게 하는 것이다.
상기 마모 방지부재(10)를 적정 조각으로 형성하여 접합시킴에 따라 모서리부(5)와의 대응(향)이 적정하게 이루어지는 것이고, 상기 마모 방지부재(10)에 연주봉이 타격될 때 타격음이 현저하게 상승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타악기통을 연주할 때 청아한 소리가 지속적으로 발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표면부(3)와 모서리부(5)로 이루어진 타악기통(1)의 모서리부(5)에 마모 방지부재(10)를 일체화시켜 접합 형성한 후 가죽(7)을 커버링하여 타악기 제작을 완료하는 것이다.
상기 마모 방지부재(10)는 모서리부(5)의 곡률면을 따라 대응되게 복수개의 조각을 형성함과 아울러 각각의 조각을 연결 접합시키는 것이고, 상기 마모 방지부재(10)를 타악기통(1)의 재질보다 단단한 재질로 형성함으로써 모서리부(5)의 마모를 미연에 방지함과 아울러 연주봉으로 타격할 때 타격음의 음량 상승을 유도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타악기통의 모서리부 곡률면과 대응되도록 모서리부의 외주연에 마모 방지부재를 접합 형성함으로써 연주봉으로 연주시 모서리부의 마모(변형)가 방지되는 것이고, 상기 마모 방지부재를 단단한 재질로 형성함으로써 연주봉으로 타격시 청아한 소리가 발생됨과 아울러 타격음이 적정 이상으로 상승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마모 방지부재를 복수개로 분할 형성하여 접합하는 것으로써, 모서리부에 마모 방지부재를 접합할 때 작업 시간이 단축됨과 아울러 작업성이 간편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Claims (2)

  1. 타악기통(1)의 표면부(3)와, 모서리부(5) 및 가죽(7)으로 구성된 타악기에 있어서, 상기 모서리부(5)의 외주연에 마모 방지부재(1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악기의 마모 방지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모 방지부재(10)는 복수개로 분할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악기의 마모 방지구조.
KR20-2002-0028537U 2002-09-24 2002-09-24 타악기의 마모 방지구조 KR20029994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8537U KR200299949Y1 (ko) 2002-09-24 2002-09-24 타악기의 마모 방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8537U KR200299949Y1 (ko) 2002-09-24 2002-09-24 타악기의 마모 방지구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7682A Division KR20040026288A (ko) 2002-09-24 2002-09-24 타악기의 마모 방지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9949Y1 true KR200299949Y1 (ko) 2003-01-15

Family

ID=493981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8537U KR200299949Y1 (ko) 2002-09-24 2002-09-24 타악기의 마모 방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994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2043819A3 (en) Golf club head
US5492327A (en) Shock Absorbing iron head
US4123056A (en) Golfclub
WO2005065312A3 (en) Golf club having stepped grooves
NO20041475L (no) Hjelm, hjelmfôring og framgangsmate for framstilling av hjelmfôring.
GB2380686A (en) Golf club head with coated striking plate
JP2007151827A (ja) ゴルフクラブヘッド
JP2004275376A (ja) ゴルフヘッドのフェース
KR20090004368A (ko) 복수의 응력 영역을 갖는 골프 클럽 헤드 및 이 골프 클럽헤드의 제조 방법
GB2384715A (en) Hollow center thermoset elastomeric game ball
SE9803275D0 (sv) Golfputter
KR200299949Y1 (ko) 타악기의 마모 방지구조
JP3223100U (ja) 弾性を増大させるゴルフクラブヘッド
USD521585S1 (en) V-shaped central section defined by grooves on a face of a golf club head
KR20040026288A (ko) 타악기의 마모 방지구조
WO2005023373A3 (en) Vented golf club shaft
US5002278A (en) Racket
KR200190197Y1 (ko) 탄성체가 부착된 퍼터헤드
JP2000237363A (ja) グランドゴルフクラブのヘット
EP1060767A2 (en) Improved games racket
KR20200001035A (ko) 이중탄성구조를 이용한 장구몸통의 내구성을 향상시킨 장구 및 그 장구몸통의 보강부재 부착방법
JP3211420U (ja) 弦楽器の駒
JPH10127830A (ja) ゴルフクラブヘッド
KR200275670Y1 (ko) 충격완화 기능을 갖는 골프 티
JP3225594U (ja) ラケットのグリップ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