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9153Y1 - 혀클리너가 구비된 칫솔 - Google Patents

혀클리너가 구비된 칫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9153Y1
KR200299153Y1 KR20-2002-0027431U KR20020027431U KR200299153Y1 KR 200299153 Y1 KR200299153 Y1 KR 200299153Y1 KR 20020027431 U KR20020027431 U KR 20020027431U KR 200299153 Y1 KR200299153 Y1 KR 20029915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ngue
cleaner
toothbrush
handle
handl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743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석정호
Original Assignee
석정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석정호 filed Critical 석정호
Priority to KR20-2002-002743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915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915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9153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5/00Other brushes; Brushes with additional arrangements
    • A46B15/0055Brush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normally separate from the brushing process, e.g. combs, razors, mirrors
    • A46B15/0081Brushes with a scraper, e.g. tongue scraper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66Toothbrush for cleaning the teeth or dentures

Landscapes

  • Brush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구강내 혓바닥에 달라붙어 구취를 발생시키는 설태 등을 효과적으로 닦아낼 수 있는 혀클리너를 통상의 칫솔에 결합하여, 구취제거 기능을 추가한 혀클리너가 구비된 칫솔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혀클리너가 구비된 칫솔은, 이를 닦는 사람이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해주는 소정 길이의 손잡이부와, 손잡이부의 일측 끝단에 설치된 헤드부와, 헤드부에 설치된 다수의 브러시와, 손잡이부의 헤드부에 대향하는 타측 종단부에 손잡이부와 같은 폭으로 형성되어 설태를 제거하기 위한 상부클리너부와, 상부클리너부의 배면에 혓바닥의 내부 깊숙한 부분에 생성된 설태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게 형성된 하부클리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혀클리너가 구비된 칫솔{Toothbrush with Tongue Cleaner}
본 고안은 구강내 혓바닥에 달라붙어 구취를 발생시키는 설태 등을 효과적으로 닦아낼 수 있는 혀클리너를 통상의 칫솔에 결합하여, 구취제거 기능을 추가한 혀클리너가 구비된 칫솔에 관한 것이다.
구강을 청결하게 유지시키기 위한 방법으로서는, 칫솔을 이용하여 치아와 잇몸을 닦아주도록 하는 것과, 치실을 이용하여 치아와 치아 사이에 낀 이물질을 제거하는 것과, 설태(舌苔)제거구를 이용하여 혓바닥에 생성되는 태(설태)와 음식을 섭취한 후에 붙어있는 음식물찌꺼기를 제거하도록 하는 것을 들 수 있는데, 본 고안은 치아와 잇몸을 닦아주는데 사용하는 칫솔에 혓바닥을 청결하게 하는데 사용되는 설태제거구 즉, 혀클리너를 구비하여서 된 것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종래에도 치아를 닦아주도록 하는 칫솔에 설태를 제거하도록 하는 설태제거구를 구비한 것이 알려져 있었다. 그 대표적인 것으로서는 국내 공개 실용신안 공개번호 제98-14213호 "혀바닥태제거수단이 구비된 칫솔"과, 국내 공개 실용신안 공개번호 제99-4051호 "혓바닥 청소부와 반사부를 갖는 칫솔"과 국내 등록 실용신안 등록번호 제0344239호 "혀클리너가 구비된 칫솔"이 알려져 있다.
국내 공개 실용신안 공개번호 제98-14213호는 통상의 칫솔에 있어서 칫솔대 즉, 손잡이대의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고 그 공간에 브러시가 길이방향으로 길게 식모된 브러시를 내장하여 수납·인출 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그러나 이는 브러시를 혓바닥에 문질러 주어야 하는데 브러시가 길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혓바닥을 닦아줄 때 설근에서 혀끝으로 이동시켜 주지 못하고 좌우로 이동시켜 주어야 하므로 설태 또는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없었고 설태 또는 이물질이 브러시 사이로 빠져나가게 되므로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국내 공개 실용신안 공개번호 제99-4051호는 통상의 칫솔에 있어서 칫솔대 즉, 손잡이대의 말단에 혓바닥 청소부를 고정시키되 혓바닥 청소부는 톱니모양으로 된 설태제거부가 일체형으로 된 지지봉을 손잡이대의 말단에 일체로 형성하여서 된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이 된 것은 톱니모양으로 된 설태제거부의 높이가 너무 낮기 때문에 혀에서 생성되는 침이 톱니모양의 설태제거부 사이로 유입되어지면서 혓바닥 면을 슬라이딩하게 되므로 설태의 제거능력이 떨어지고, 설태제거부의 폭이 너무 좁기 때문에 긁혀지는 설태가 설태제거부의 외측으로 벗어나게 되므로 설태를 능률적으로 배출시킬 수 없었다. 또한 지지봉이 너무 가늘기 때문에 큰 힘을 가할 수 없어 설태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없게 되는 문제가 있었으며, 힘을 무리하게 가하게 되면 지지봉이 변형되거나 부러져서 설태 제거 기능을 상실하게 되는 폐단이 있었다.
또한, 국내 등록 실용신안 등록번호 제0344239호는 혀클리너를 지지구에 의해 지지해 주도록 된 혀클리너부를 기존 칫솔의 손잡이의 내부에 수납시키거나 손잡이의 끝단에 고정 또는 착탈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이 형성된 종래의 혀클리너가 구비된 칫솔은 혀클리너부가 원호형태의 부재로서, 칫솔의 손잡이 보다 넓게 형성되어 있어서 혓바닥을 닦아줄때 혀의 가장자리는 용이하게 제거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도록 된 혀클리너가 구비된 칫솔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부클리너부와 하부클리너부를 형성하는데, 상부클리너부는 손잡이부의 헤드부에 대향하는 반대편 종단부에 손잡이부의 측방향으로 포물선 형상으로 형성하고, 하부클리너부는 상부클리너부의 배면에 헤드부를 향해 호형으로 형성하여 혀 안쪽 깊은 부분의 설태를 제거하도록 하며, 제거되어지는 이물질들을 이동하는 클리너에 의해 이끌려지면서 배출되어지도록 하여 이물질의 제거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클리너가 구비된 칫솔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혀클리너가 구비된 칫솔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혀클리너가 구비된 칫솔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혀클리너가 구비된 칫솔의 저면도이다.
도 4은 본 고안에 따른 혀클리너가 구비된 칫솔의 측단면도이다.
도 5은 본 고안에 따른 혀클리너가 구비된 칫솔의 상부클리너부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혀클리너가 구비된 칫솔의 하부클리너부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손잡이부 20 : 헤드부
22 : 브러시 30 : 상부클리너부
32 : 상부돌기 34, 44 : 클리닝면
36, 46, 36', 46' : 가이드부 38, 48 : 홈
40 : 하부클리너부 42 : 하부돌기
본 고안의 혀클리너가 구비된 칫솔은, 이를 닦는 사람이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해주는 소정 길이의 손잡이부와, 손잡이부의 일측 끝단에 설치된 헤드부와, 헤드부에 설치된 다수의 브러시와, 손잡이부의 헤드부에 대향하는 타측 종단부에 손잡이부와 같은 폭으로 형성되어 설태를 제거하기 위한 상부클리너부와, 상부클리너부의 배면에 혓바닥의 내부 깊숙한 부분에 생성된 설태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게 형성된 하부클리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혀클리너가 구비된 칫솔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혀클리너가 구비된 칫솔의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혀클리너가 구비된 칫솔의 저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혀클리너가 구비된 칫솔의 측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칫솔은 손잡이부(10)를 구비하고 있다. 이 손잡이부(10)는 이를 닦는 사람이 손으로 쉽게 잡을 수 있도록 해주기 위한 것으로, 다양한 모양으로 구성할 수 있지만 약간 절곡된 형상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손잡이부(10)의 일측 끝단으로는 헤드부(20)가 형성되어 있다. 이 헤드부(20)의 일면에는 다수의 브러시(22)가 심어져 있으며, 이 브러시(22)는 사람의 이에 직접 접촉되어 이를 닦아주는 부분으로, 도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일반 칫솔과 유사한 형태로 구성하여도 된다.
손잡이부(10)의 헤드부(20)에 대향되는 타측으로는 혀클리너인 상부클리너부(30)와 하부클리너부(40)가 형성되어 있다. 이 혀클리너는 칫솔질을 하고 나서 혓바닥 청소를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혓바닥에 붙어있는 이물질을 긁어서 제거할 수 있도록 하여준다. 이러한 혀클리너의 상부클리너부(30)는 손잡이부(10)의 헤드부(20)에 대향하는 반대편 종단부에 형성되며, 하부클리너부(40)는 상기 상부클리너부(30)의 배면에 형성된다.
상부클리너부(30)는 포물선 형상으로 된 상부돌기(32)와, 상부돌기(32)의 내측면에 형성된 클리닝면(34)과, 설태가 외측으로 누설되지 않도록 상부돌기(32)의 양쪽 끝단에 형성된 가이드부(36)(36')와, 한 번에 많은 양의 설태를 배출시키기 위해 상부돌기(32)가 형성된 손잡이부의 바닥면을 클리닝면(34)에서 연장되게 소정깊이로 형성된 홈(38)으로 구성되며, 상부돌기(32)는 그 포물선의 축과 손잡이부(10)의 길이방향축을 어긋나게 형성하여 보다 용이하게 설태를 제거할 수 있게 하고, 클리닝면(34)은 상부돌기(32)의 상단에서 손잡이부(10)의 바닥면에 연장되게 만곡진 경사면으로 형성하며, 가이드부(36)(36')는 상부돌기(32)의 안쪽방향으로 포물선보다 더 많이 휘게 소정의 길이로 형성한다.
하부클리너부(40)는 호형(반원형)으로 된 하부돌기(42)와, 하부돌기(42)의 내측면에 형성된 클리닝면(44)과, 설태가 외측으로 누설되지 않도록 하부돌기(42)의 양쪽 끝단에 형성된 가이드부(46)(46')와, 한 번에 많은 양의 설태를 배출시키기 위해 하부돌기(42)가 형성된 손잡이부의 바닥면을 클리닝면(44)에서 연장되게 소정깊이로 형성된 홈(48)으로 구성되며, 하부돌기(42)는 호형의 내부가 상기 손잡이부(10)의 헤드부(20)를 향해 형성하고, 클리닝면(44)은 하부돌기(42)의 상단에서 손잡이부(10)의 바닥면에 연장되게 만곡진 경사면으로 형성하고, 가이드부(46)(46')는 하부돌기(42)의 끝단에서 손잡이부(10)의 측면과 평형을 이루게 소정의 길이로 형성한다.
상기 상부돌기(32)와 하부돌기(42)는 그 상단 전체를 둥글게 형성하여 혓바닥 청소할 때 혀의 표면에 있는 미뢰(味雷)를 다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좋다.
상기 상부클리너부(30)의 형상은 사용하는 손에 따라 포물선의 내부를 손잡이부(10)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비스듬하게, 바람직하게는 30°∼60°각도로 손잡이부(10)의 각각 다른 측면을 향하도록 형성함으로써 보다 용이하게 클리닝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고안의 혀클리너가 구비된 칫솔의 사용 상태를 설명한다.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클리너부(30)의 상부돌기(32)가 입안의 내측을 향하도록 하고, 상부클리너부(30)의 클리닝면(34)이 하측을 향하도록 하여 구강 내에 삽입시키고, 클리닝면(34)이 혓바닥의 끝을 향하게 한 후 상부돌기(32)를 혓바닥과 접촉시키며 이와 같이 접촉되어지도록 한 상태에서 힘을 하측으로 가하는 듯 당기게 되면 혓바닥에 생성되어 있는 설태를 비롯하여 음식물 찌꺼기 등의 이물질이 상부돌기(32)에 의해 제거되어 배출되어진다.
특히 혓바닥의 내부 깊숙한 부분에 생성되는 설태는 하부클리너부(40)의 하부돌기(42)를 입안의 내측을 향하도록 하고, 하부클리너부(40)의 클리닝면(44)을 하측을 향하게 하여 구강내에 삽입시키고, 하부돌기(42)를 혓바닥과 접촉시켜 힘을 하측으로 가하는 듯 당기게 되면 혓바닥에 생성되어 있는 설태를 비롯하여 음식물 찌꺼기 등의 이물질이 하부돌기(42)에 의해 제거됨으로써 혓바닥의 내부 깊숙한 부분에 생성되는 설태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이상의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부클리너부는 손잡이부의 헤드부에 대향하는 반대편 종단부에 손잡이부와 같은 넓이로 사용하는 손에 따라 상부돌기를 그 내측면이 손잡이부의 각각 다른 측면을 향하도록 비스듬하게 포물선 형상으로 형성하고, 설태가 외측으로 누설되지 않도록 상부돌기의 양쪽 끝단에 소정의 길이로 가이드부를 형성함으로써 넓은 면적이 혓바닥과 접촉되어 이물질의 제거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하부클리너부는 상부클리너부의 배면에 헤드부 방향으로 호형(반원형)으로 하부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설태가 외측으로 누설되지 않도록 상부돌기의 양쪽 끝단에 소정의 길이로 가이드부를 형성함으로써 혓바닥의 내부 깊숙한 부분에서 많이 생성되는 설태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게 된다.

Claims (12)

  1. 이를 닦는 사람이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해주는 소정 길이의 손잡이부(10)와, 손잡이부(10)의 일측 끝단에 설치된 헤드부(20)와, 상기 헤드부(20)에 설치된 다수의 브러시(22)로 형성된 칫솔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10)의 헤드부(20)에 대향하는 반대편 종단부에 상기 손잡이부(10)와 같은 폭으로 형성되어 설태를 제거하기 위한 상부클리너부(30)와, 상기 상부클리너부(30)의 배면에 혓바닥의 내부 깊숙한 부분에 생성된 설태를 제거할 수 있게 형성된 하부클리너부(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혀클리너가 구비된 칫솔.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클리너부(30)는 포물선 형상으로 된 상부돌기(32)와, 상기 상부돌기(32)의 상단에서 상기 손잡이부(10)의 바닥면에 연장되게 형성된 클리닝면(34)과, 설태가 외측으로 누설되지 않도록 상부돌기(32)의 양쪽 끝단에 형성된 가이드부(36)(36')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혀클리너가 구비된 칫솔.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돌기(32)가 형성된 손잡이부(10)의 바닥면을 클리닝면(34)에서 연장되게 소정깊이로 형성된 홈(38)을 추가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혀클리너가 구비된 칫솔.
  4. 제 2항에 있어서, 상부돌기(32)는 포물선의 축이 손잡이부(10)의 길이방향축과 어긋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혀클리너가 구비된 칫솔.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돌기(32)는 사용하는 손에 따라 포물선의 내부는 상기 손잡이부(10)의 헤드부(20)를 향하게 하고, 손잡이부(10)의 각각 다른 측면을 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혀클리너가 구비된 칫솔.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돌기(32)는 그 상단 전체를 둥글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혀클리너가 구비된 칫솔.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36)(36')는 상부돌기(32)의 안쪽방향으로 포물선보다 더 많이 휘게 소정의 길이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혀클리너가 구비된 칫솔.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클리너부(40)는 호형(반원형)으로 된 하부돌기(42)와, 상기 하부돌기(42)의 상단에서 상기 손잡이부(10)의 바닥면에 연장되게 형성된 클리닝면(44)과, 설태가 외측으로 누설되지 않도록 하부돌기(42)의 양쪽 끝단에 형성된 가이드부(46)(46')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혀클리너가 구비된 칫솔.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돌기(42)가 형성된 손잡이부(10)의 바닥면을 클리닝면(44)에서 연장되게 소정깊이로 형성된 홈(48)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혀클리너가 구비된 칫솔.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돌기(42)는 호형의 내부가 상기 손잡이부(10)의 헤드부(20)를 향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혀클리너가 구비된 칫솔.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돌기(42)는 그 상단 전체를 둥글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혀클리너가 구비된 칫솔.
  12. 제 8항에 있어서, 가이드부(46)(46')는 하부돌기(42)의 끝단에서 손잡이부(10)의 측면과 평형을 이루게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혀클리너가 구비된 칫솔.
KR20-2002-0027431U 2002-09-12 2002-09-12 혀클리너가 구비된 칫솔 KR20029915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7431U KR200299153Y1 (ko) 2002-09-12 2002-09-12 혀클리너가 구비된 칫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7431U KR200299153Y1 (ko) 2002-09-12 2002-09-12 혀클리너가 구비된 칫솔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5384A Division KR100456293B1 (ko) 2002-09-12 2002-09-12 혀클리너가 구비된 칫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9153Y1 true KR200299153Y1 (ko) 2003-01-03

Family

ID=493977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7431U KR200299153Y1 (ko) 2002-09-12 2002-09-12 혀클리너가 구비된 칫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915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5411B1 (ko) 지향식 세척을 하는 조직 세척요소를 가진 구강 관리기구
KR20120005449U (ko) 칫솔
JP2008540029A (ja) 口腔衛生器具
KR101857103B1 (ko) 치은열구 칫솔
KR100456293B1 (ko) 혀클리너가 구비된 칫솔
US20070246061A1 (en) Cleaning-Fin for Removing Dirt in a Gap and Cleaning-Tool
KR102292625B1 (ko) 혀 클리너가 구비된 칫솔
JP4027986B2 (ja) 口腔洗浄装置
KR200299153Y1 (ko) 혀클리너가 구비된 칫솔
KR200283021Y1 (ko) 이쑤시개
US20050071939A1 (en) Dual head toothbrush
KR200432274Y1 (ko) 치석제거기가 부설된 칫솔
KR200375311Y1 (ko) 혀 클리너가 구비된 칫솔
KR102546929B1 (ko) 혀클리너겸용칫솔
KR200206545Y1 (ko) 혀크리너가 구비된 칫솔
KR19990017624U (ko) 실리콘칫솔
KR200264911Y1 (ko) 칫솔
KR200298194Y1 (ko) 혀클리너를 구비한 칫솔
JP2793043B2 (ja) 歯ブラシ
KR200201750Y1 (ko) 설태 제거용 칫솔
KR200417716Y1 (ko) 틀니용 칫솔
KR200246705Y1 (ko) 혀 청소구
KR200337857Y1 (ko) 혀 클리너 겸용 치솔
JP3106488U (ja) 清掃要素としてフィンを有する歯ブラシ
KR101008695B1 (ko) 치간칫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212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