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8806Y1 - 본시멘트 주입기구 세트 - Google Patents
본시멘트 주입기구 세트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298806Y1 KR200298806Y1 KR2020020028997U KR20020028997U KR200298806Y1 KR 200298806 Y1 KR200298806 Y1 KR 200298806Y1 KR 2020020028997 U KR2020020028997 U KR 2020020028997U KR 20020028997 U KR20020028997 U KR 20020028997U KR 200298806 Y1 KR200298806 Y1 KR 200298806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ement
- bone
- injection pipe
- injection
- pipe
- Prior art date
Links
Landscapes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본시멘트 주입기구 세트에 관한 것이다. 이는 본시멘트를 주입할 뼈에 그 선단부가 근접하도록 몸속에 삽입되며 후단부는 몸 바깥에 위치하는 가이드파이프와; 상기 가이드파이프에 가이드 되며 내부에는 주입할 본시멘트를 수용하고 선단부에는 본시멘트가 길이방향으로 배출되게 하는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제 1주입관과; 상기 제 1주입관과 함께 선택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상기 가이드파이프에 가이드 되며 그 선단부가 뼈 내부의 본시멘트를 주입할 부위에 도달하도록 삽입되는 일정직경 및 길이를 갖는 파이프로서 내부에는 주입할 본시멘트를 수용하고 선단부에는 본시멘트가 반지름방향으로 배출되게 하는 배출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제 2주입관과; 상기 제 1주입관 또는 제 2주입관의 후단부에 삽입되며 본시멘트를 가압하여 본시멘트가 상기 배출구나 배출구멍을 통해 배출되게 하는 가압로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은, 본시멘트를 뼈속에 주입하기 위해 충분한 직경의 주입관을 사용하므로 고점도의 본시멘트도 용이하게 주입할 수 있다. 따라서 저점도 본시멘트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어 저점도 본시멘트를 사용함에 따른 후유증이 발생할 염려가 없다. 또한 두 가지 타입의 주입관을 한 세트로 사용함으로써 본시멘트를 뼈속 넓은 영역에 고르게 도달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골다공증(骨多孔症)에 의해 골밀도가 낮아진 부위에 본시멘트(bone cement)를 주입하여 해당부위의 강도를 증가시키는 본시멘트 주입기구 세트에 관한 것이다.
골다공증(骨多孔症)은 폐경과 노화 등의 이유로 뼈를 구성하는 콜라겐과 칼슘이 감소해 뼈 조직에 구멍이 많아지고 얇아지는 병이다. 상기 골다공증을 그대로 방치하면 허리가 아프고 구부러지며 키도 줄어든다. 특히 약한 외부 충격에도 뼈가 쉽게 부러질 수 있다. 한 보고에 의하면 65세 이상인 여성 2명 중 1명, 남성 5명중 1명이 골다공증에 의한 골절을 경험한다고 한다.
상기 골다공증 진단을 받으면 일단 뼈의 성분이 빠져나가는 것을 막는 약을 장기 복용하여야 하지만 그 증세가 심할 경우나 환자가 원할 경우에는 해당 부위에 특수 제작된 본시멘트(bone cement)를 주입하여 그 부위의 강도를 증가시키는 방법을 수행하기도 한다.
상기 본시멘트(bone cement)는 뼈의 성질과 최대한 유사하도록 만들어진 인공물질로서 엉성한 뼈의 조직내에 침투하여 조직간의 간극을 메워 뼈의 강도를 증가시키는 것이다.
한편, 상기 본시멘트를 뼈속 해당 부위에 주입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주사기를 이용하였다. 이는 해당부위를 부분 마취한 후 골생검사용 주사바늘 (9게이지 내지 13게이지 니들)을 척추경을 따라 삽입한 후 주사기 내의 본시멘트를 척추체 내에 주입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시술방법은 본시멘트를 주입하기 위하여 주사바늘을 사용하므로 고점도(high viscosity)의 본시멘트는 주입하기가 곤란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주사바늘은 그 내경이 고점도의 본시멘트를 쉽게 이동시킬 수 있을 정도로 크지 않으므로 본시멘트를 어느 정도 묽게 하여야 비로소 적절한 속도로 주입이 가능하였다.
저점도(low viscosity)의 본시멘트는 그 유동성이 상대적으로 좋으므로 주사바늘을 통해 뼈 속의 원하는 위치에 용이하게 주입될 수 는 있지만 주입된 위치로부터 주위로 흘러 나갈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특히 상기 본시멘트가 주입되는 부위는 골다공증에 의해 구멍이 많이 형성되어 있는 곳이므로 본시멘트가 척추의 신경공으로 유출되어 신경마비를 야기할 수 도 있고 혈류에 유입되어 폐나 심장으로 이동하여 색전증을 유발할 수 도 있다.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안출한 것으로서, 본시멘트를 뼈속에 주입하기 위해 충분한 직경의 주입관을 사용하므로 고점도의 본시멘트도 용이하게 주입할 수 있으므로 저점도 본시멘트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어 저점도 본시멘트를 사용함에 따른 후유증이 발생할 염려가 없고 또한 두 가지 타입의 주입관을 한 세트로 사용함으로써 본시멘트를 뼈속 넓은 영역에 고르게 도달시킬 수 있는 본시멘트 주입기구 세트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시멘트(Bone cement) 주입기구 세트를 전체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상기 본시멘트 주입기구 세트의 하나의 조합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부분 도시한 도면.
도 3 및 도 4는 상기 도 2의 주입기구 세트를 이용하여 본시멘트를 주입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상기 도 1의 본시멘트 주입기구 세트의 다른 조합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시시도.
도 6은 상기 도 5의 본시멘트 주입기구 세트를 이용하여 본시멘트를 주입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시멘트 주입기구 세트를 이용하여 본시멘트를 주입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척추체 12:본시멘트 주입기구 세트
14:본시멘트 16:가이드파이프
18:제 1주입관 22,26:손잡이
24:가압로드 28:배출구
52:제 2주입관 56:배출구멍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골다공증에 의해 약해진 뼈의 내부에 본시멘트(bone cement)를 주입하여 본시멘트에 의해 뼈의 강도가 증가되도록 하는 것으로, 본시멘트를 주입할 뼈에 그 선단부가 근접하도록 몸속에 삽입되며 후단부는 몸 바깥에 위치하는 가이드파이프와; 상기 가이드파이프에 가이드되며 그 선단부가 뼈 내부의 본시멘트를 주입할 부위에 도달하는 일정직경 및 길이를 갖는 파이프로서 내부에는 주입할 본시멘트를 수용하고 선단부에는 본시멘트가 길이방향으로 배출되게 하는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제 1주입관과; 상기 제 1주입관과 함께 선택적으로 사용하는 것으로, 상기 가이드파이프에 가이드 되며 그 선단부가 뼈 내부의 본시멘트를 주입할 부위에 도달하는 일정직경 및 길이를 갖는 파이프로서 내부에는 주입할 본시멘트를 수용하고 선단부 외주면에는 본시멘트가 반지름방향으로 배출되게 하는 배출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제 2주입관과; 상기 제 1주입관 또는 제 2주입관의 후단부를 통해 제 1주입관 또는 제 2주입관내에 삽입되어 본시멘트를 가압하여 본시멘트가 상기 배출구나 배출구멍을 통해 배출되게 하는 가압로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2주입관의 후단부에는 제 2주입관을 축회전시켜 배출구멍의 방위를 조절하는 손잡이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가압로드는 원형단면을 갖는 봉으로서 본시멘트를 압출할 수있도록 그 외주면이 제 1,2주입관의 내주면에 면접하며, 제 1,2주입관보다 그 길이가 길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주입관 및 제 2주입관의 내경은 3mm 내지 7mm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시멘트를 뼈 속에 주입하는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환자가 마취된 상태에서 가느다란 가이드 와이어를 본시멘트가 삽입될 부위를 향하여 삽입한다. 가이드와이어의 삽입이 완료되면 상기 가이드와이어를 중심축으로 통과시키는 확장파이프를 삽입하여 가이드파이프(도 1의 16)가 삽입될 선형 공간을 확보한다.
상기 가이드와이어 및 확장파이프의 삽입 완료후 상기 확장파이프를 그 중심축으로 통과시키는 가이드파이프(도 1의 16)를 삽입하고 상기 가이드와이어 및 확장파이프는 빼낸다. 이 때 가이드파이프(16)의 선단부는 본시멘트를 주입할 부위에 최대한 근접한다.
상기 가이드파이프(16)가 삽입되었다면 가이드파이프(16) 내부로 드릴(drill)을 통과시켜 본시멘트를 주입할 부위에 도달하는 구멍을 형성한다.
드릴에 의한 구멍이 형성된 후 가이드파이프(16)로부터 드릴(미도시)을 빼내고 제 1주입관(도 1의 18) 또는 제 2주입관(도 1의 52)을 삽입한다. 이 때 상기 주입관(18,52)의 내부에는 주입할 본시멘트가 수용되어 있는 상태이다.
상기 주입관(18 또는 52)의 선단부는 드릴에 의해 형성된 뼈속 구멍내에 끼워져 주입관(18,52)내의 본시멘트가 뼈속의 중심부에 주입 가능하게 한다.
상기 주입관(18 또는 52)이 완전히 삽입되었다면 가압로드(도 1의 24)를 상기 주입관(18,52)의 후단부에 밀어 넣어 주입관(18,52)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본시멘트를 압출하여 본시멘트가 뼈속에 주입되며 퍼지도록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시멘트(Bone cement) 주입기구 세트를 전체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본시멘트 주입기구 세트(12)는 양단이 개방되고 일정 직경을 갖는 가이드파이프(16)와, 상기 가이드파이프(16)의 내부를 길이방향으로 관통하고 뼈 속에 주입할 본시멘트를 임시 수용하는 제 1주입관(18) 및 제 2주입관(52)과, 상기 제 1,2주입관(18,52)의 후단부에 삽입되며 길이방향으로 이동하여 제 1,2주입관(18,52)내의 본시멘트가 선단부로부터 외부로 압출되도록 하는 가압로드(2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 1주입관(18)과 제 2주입관(52)은 동시에 사용하는 것이 아니고 여건에 따라서 하나만 선택적으로 사용하거나 또는 두 개를 차례로 사용하는 것이다.
상기 가이드파이프(16)는 원형 단면의 파이프로서 상기 주입관(18,52)이 길이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하거나 축회전 할 수 있도록 직선 공간을 제공한다. 상기 가이드파이프(16)는 스텐레스 스틸로 제작할 수 있다.
상기 제 1주입관(18)은 양단이 개방된 파이프의 형태를 취하며 그 후단부에는 손잡이(22)를 갖는다. 상기 제 1주입관(18)의 후단부는 상기 손잡이(22)에 의해막힌 것이 아니고 손잡이를 관통하여 외부로 개방되어 있다.
아울러 시술시 상기 제 1주입관(18)의 내부에 주입할 본시멘트를 임시 수용함은 상기와 같다. 상기 제 1주입관(18)의 내경은 일정하며 대략 3mm 내지 7mm 정도가 되도록 한다. 특히 상기 제 1주입관(18)의 선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배출구(28)는 본시멘트가 길이방향으로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제 1주입관(18)의 내경과 같은 내경을 갖는다.
상기 제 2주입관(52)은 후단부는 개방되어 있고 선단부는 막혀있는 파이프형 부재로서 상기 제 1주입관(18)과 그 외경 및 길이가 동일하다. 아울러 상기 제 2주입관(52)의 내경은 제 1주입관(18)과 마찬가지로 대략 3mm 내지 7mm가 되도록 한다.
상기 제 2주입관(52)은 본시멘트를 주입할 부위에 따라 제 1주입관(18)과 함게 사용하는 것이다. 상기 제 1주입관(18)이 본시멘트를 길이방향 전방으로 주입함에 비해 제 2주입관(52)은 본시멘트를 선단부의 반지름 방향으로 주입할 수 있어 시술부위의 상태에 따라 적절히 선택하거나 두 개를 교대로 모두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제 2주입관(52)의 선단부 외주면에는 사각의 배출구멍(5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배출구멍(56)은 제 2주입관(52) 선단부의 외주면에 관통 형성되어 본시멘트가 제 2주입관(52)의 반지름 방향으로 배출되게 함으로써 상기 제 1주입관(18)에 의해 주입되지 못한 부위에 본시멘트를 주입할 수 있게 한다.
상기 배출구멍(56)의 면적은 제 2주입관(52)의 유동 단면적과 같거나 크게하여 배출구멍(56)에서 본시멘트(14)의 유동저항이 증가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아울러 상기 배출구멍(56)은 최대한 선단부측에 근접하도록 형성한다.
제 2주입관(52)의 후단부에는 손잡이(22)가 고정되어 있다. 상기 손잡이(22)는 제 2주입관(52)을 축회전 시킴으로써 배출구멍(56)의 방위를 결정할 수 있게 하는 기능을 갖는다.
상기 가압로드(24)는 상기 주입관(18 또는 52)에 삽입되어 전방으로 이동하며 본시멘트를 압출하는 원형단면의 로드이다. 상기 가압로드(24)의 후단부에는 손잡이(26)가 고정되어 있다. 상기 가압로드(24)의 외주면은 제 1,2주입관(18,52)의 내경에 밀착하도록 하여, 가압로드(24)가 본시멘트를 압출할 때 본시멘트가 뒤쪽으로 새어나오지 않도록 한다.
도 2는 상기 본시멘트 주입기구 세트에 있어서 제 1주입관을 선택하여 사용할 때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같이, 본시멘트(14)가 채워져 있는 제 1주입관(18)을 가이드파이프(16)내에 삽입할 수 있도록 가이드파이프(16)의 내경이 제 1주입관(18)의 외경보다 크고 또한 제 1주입관(18)이 가이드파이프(16)를 완전히 통과하여 그 선단부가 뼈의 내부에 충분히 삽입될 수 있도록 제 1주입관(18)의 길이는 가이드파이프(16)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가압로드(24)는 상기 제 1주입관(18)의 내부를 완전히 통과하며 본시멘트(14)를 압출할 수 있도록 제 1주입관(18)보다 길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압로드(24)의 외주면이 제 1주입관(18)의 내주면에 전체적으로 접하게 할 수 도있고 실시예에 따라서는 상기 가압로드(24)의 선단부만 제 1주입관(18)의 내주면에 밀착하도록 하고 나머지 부위는 상대적으로 가늘게 제작할 수 도 있다.
도 3 및 도 4는 상기 도 2의 주입기구 세트를 이용하여 본시멘트를 주입하는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본시멘트 주입대상 부위는 척추체(10)를 예로 들었다.
도시한 바와같이, 가이드파이프(16)의 선단부가 척추체(10)의 외측면에 최대한 근접 위치하고 있고 상기 가이드파이프(16)의 내부에는 제 1주입관(18)이 삽입되어 있다. 특히 상기 제 1주입관(18)은 가이드파이프(16)의 내주면에 가이드되어 그 선단부가 척추체(10)의 내부에 완전히 삽입되어 본시멘트가 가급적 척추체의 중심부로부터 퍼져나가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제 1주입관(18)의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본시멘트(14)는 가압로드(24)에 의해 눌려 화살표 a방향으로 주입된다. 상기한 바와같이 가압로드(24)는 제 1주입관(18)의 후단부에 삽입되어 전방으로 이동하며 본시멘트를 화살표 F방향으로 압출하여 척추체(10)내에 본시멘트를 주입하는 것이다.
이 때 상기 가압로드(24)의 삽입 정도를 조절하여 본시멘트의 주입량을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제 1주입관(18)은 본시멘트(14)를 주입관의 길이방향 앞쪽으로 주입되도록 하므로 본시멘트를 앞쪽으로 공급하는데는 문제가 없지만 반지름 방향으로는 공급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즉, 주입된 본시멘트의 양측 영역인 A 영역 및 B에는 본시멘트가 도달하지 못할 수 도 있는 것이다.
이 때에는 상기 제 1주입관(18)을 빼내고 그 자리에 제 2주입관(52)을 삽입하여 도 6에 도시한 바와같이 주입관(52)을 축회전 시키며 A 영역 및 B영역에 본시멘트를 주입한다.
도 5는 상기 도 1의 본시멘트 주입기구 세트에 있어서 제 2주입관을 선택하여 사용할 때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가이드파이프(16)와 제 2주입관(52) 및 가압로드(24)를 하나의 세트로 조합하여 사용할 수 도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가압로드(24)의 길이는 제 2주입관(52)의 길이보다 상대적으로 길다. 따라서 상기 제 2주입관(52)의 후단부에 가압로드(24)를 삽입한 상태로 가압로드(24)를 최대한 전방으로 이동시키면 가압로드(24)의 선단부가 상기 배출구멍(56)을 통해 외부에서 보이게 된다.
상기 제 2주입관(52)의 후단부에는 손잡이(22)가 구비되어 제 2주입관(52)을 화살표 d방향으로 축회전 시킬 수 있다. 상기 제 2주입관(52)을 축회전시킴으로써 배출구멍(56)의 방위를 변경하여 본시멘트를 원하는 방향으로 주입할 수 있음은 상기와 같다.
도 6은 상기 도 5의 구성을 갖는 본시멘트 주입기구를 이용하여 본시멘트를 주입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같이, 제 2주입관(52)이 가이드파이프(16)에 의해 가이드 되며 그 선단부가 척추체(10)의 내부에 삽입되어 있다.
상기 제 2주입관(52)의 내부에 수용되어 있던 본시멘트는 가압로드(24)에 의해 압출되어 화살표 z방향으로 분출된다. 이 때 상기 손잡이(22)를 회전시켜 제 2주입관(52)을 축회전시키면 배출구멍(56)이 회전하므로 제 2주입관(52) 선단 주변의 모든 방위에 본시멘트를 공급할 수 있어 상기한 제 1주입관(18)으로 작업시 본시멘트가 도달하지 못한 A영역 및 B영역에 본시멘트를 주입할 수 있다.
시술시 상기 척추체(10)내에 삽입되는 제 2주입관(52)의 배출구멍(56)의 방위는 본시멘트를 주입할 부위를 향하여 위치됨은 물론이다. 상기 배출구멍(56)의 방위가 결정되었다면 제 2주입관(52)의 후단부를 통해 가압로드(24)를 삽입한 후 화살표 F방향으로 가압하여 본시멘트를 압출시킨다. 상기 가압로드(24)에 의해 가압되는 본시멘트(14)는 상기 배출구멍(56)을 통해 화살표 z방향으로 배출되어 척추체(10)내의 A영역으로 퍼진다.
도면상의 B영역에도 본시멘트를 주입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손잡이(22)를 회전시켜 제 2주입관(52)을 180도 축회전시켜 배출구멍(56)이 반대방향을 향하도록 한 상태로 본시멘트를 압출하면 된다.
도 7에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시멘트 주입기구 세트를 이용하여 척추체(10)내에 본시멘트를 주입하는 옆모습을 도시하였다.
도면을 참조하면, 가이드파이프(16)가 척추체(10)의 외측면에 최대한 근접하여 위치하고 있고, 상기 가이드파이프(16)의 내주면에 가이드된 주입관(18,52)의 선단부가 척추체(10)의 내부에 삽입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같이 시술시 사용하는 주입관(18,52)은 제 1주입관(18)이나 제 2주입관(52)을 선택하여 사용하거나 교대로 사용한다.
상기 주입관(18,52)에 수용되어 있는 본시멘트(14)는 가압로드(도 1의 24)에 의해 선단부로부터 압출되어 척추체(10) 내의 넓은 범위에 퍼져 골다공증이 있는 뼈의 구멍을 매워 뼈의 강도가 증가하도록 한다.
이상, 본 고안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아울러 본 실시예에서는 본시멘트 주입 대상부위를 척추체를 예를 들었지만 척추체 이외의 다른 부위의 뼈에도 본 고안의 주입관을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의 본시멘트 주입기구 세트는, 본시멘트를 뼈속에 주입하기 위해 충분한 직경의 주입관을 사용하므로 고점도의 본시멘트도 용이하게 주입할 수 있다. 따라서 저점도 본시멘트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어 저점도 본시멘트를 사용함에 따른 후유증이 발생할 염려가 없다. 또한 두 가지 타입의 주입관을 한 세트로 사용함으로써 본시멘트를 뼈속 넓은 영역에 고르게 도달시킬 수 있다.
Claims (4)
- 골다공증에 의해 약해진 뼈의 내부에 본시멘트(bone cement)를 주입하여 본시멘트에 의해 뼈의 강도가 증가되도록 하는 것으로,본시멘트를 주입할 뼈에 그 선단부가 근접하도록 몸속에 삽입되며 후단부는 몸 바깥에 위치하는 가이드파이프(16)와;상기 가이드파이프(16)에 가이드되며 그 선단부가 뼈 내부의 본시멘트를 주입할 부위에 도달하는 일정직경 및 길이를 갖는 파이프로서 내부에는 주입할 본시멘트(14)를 수용하고 선단부에는 본시멘트가 길이방향으로 배출되게 하는 배출구(28)가 형성되어 있는 제 1주입관(18)과;상기 제 1주입관(18)과 함께 선택적으로 사용하는 것으로, 상기 가이드파이프(16)에 가이드 되며 그 선단부가 뼈 내부의 본시멘트를 주입할 부위에 도달하는 일정직경 및 길이를 갖는 파이프로서 내부에는 주입할 본시멘트(14)를 수용하고 선단부 외주면에는 본시멘트가 반지름방향으로 배출되게 하는 배출구멍(56)이 형성되어 있는 제 2주입관(52)과;상기 제 1주입관(18) 또는 제 2주입관(52)의 후단부를 통해 제 1주입관(18) 또는 제 2주입관(52)내에 삽입되어 본시멘트를 가압하여 본시멘트가 상기 배출구(28)나 배출구멍(56)을 통해 배출되게 하는 가압로드(2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시멘트 주입기구 세트.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제 2주입관(52)의 후단부에는 제 2주입관(52)을 축회전시켜 배출구멍(56)의 방위를 조절하는 손잡이(22)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시멘트 주입기구 세트.
-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상기 가압로드(24)는 원형단면을 갖는 봉으로서 본시멘트를 압출할 수 있도록 그 외주면이 제 1,2주입관(18,52)의 내주면에 면접하며, 제 1,2주입관(18,52)보다 그 길이가 길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시멘트 주입기구 세트.
- 제 3항에 있어서,상기 제 1주입관(18) 및 제 2주입관(52)의 내경은 3mm 내지 7m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시멘트 주입기구 세트.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20028997U KR200298806Y1 (ko) | 2002-09-27 | 2002-09-27 | 본시멘트 주입기구 세트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20028997U KR200298806Y1 (ko) | 2002-09-27 | 2002-09-27 | 본시멘트 주입기구 세트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98806Y1 true KR200298806Y1 (ko) | 2002-12-27 |
Family
ID=730791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20028997U KR200298806Y1 (ko) | 2002-09-27 | 2002-09-27 | 본시멘트 주입기구 세트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298806Y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13718B1 (ko) | 2014-08-22 | 2016-04-19 | (주)인투케어 | 척추체 성형술용 골 시멘트 주입장치 |
KR101744459B1 (ko) * | 2016-11-02 | 2017-06-07 | 박상훈 | 후방 2개 통로 척추 내시경 수술용 수술 기구 세트 |
-
2002
- 2002-09-27 KR KR2020020028997U patent/KR200298806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13718B1 (ko) | 2014-08-22 | 2016-04-19 | (주)인투케어 | 척추체 성형술용 골 시멘트 주입장치 |
KR101744459B1 (ko) * | 2016-11-02 | 2017-06-07 | 박상훈 | 후방 2개 통로 척추 내시경 수술용 수술 기구 세트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348055B1 (en) | Non-compliant system for delivery of implant material | |
US7922690B2 (en) | Curable material delivery device | |
US8123756B2 (en) | High pressure delivery system | |
US4369772A (en) | Method for strengthening a fractured bone | |
CA2831057C (en) | Cannula and kit for evaluation and preparation of bone tissue | |
JP2009540938A (ja) | 棘状突起を強化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 |
US20100030135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anchoring bone screws and injecting many types of high viscosity materials in areas surrounding bone | |
US20090054934A1 (en) | Expandable fillers for bone cement | |
US20110004220A1 (en) | Curable material delivery device with a rotatable supply section | |
US20150173818A1 (en) | Minimally invasive method and applications for injectible materials | |
EP2010267A2 (en) | Instrumentation kit for delivering viscous bone filler material | |
KR200298806Y1 (ko) | 본시멘트 주입기구 세트 | |
KR102254320B1 (ko) | 경피적 척추 성형술용 본시멘트 주입장치 | |
CN204306892U (zh) | 一种椎弓根钉道输注器及椎弓根钉道局部强化组件 | |
KR100568071B1 (ko) | 골다공성 골의 치료용 골 시멘트 주입장치 | |
CN211583456U (zh) | 一种用于定向连续推注骨水泥的装置 | |
KR100465197B1 (ko) | 골다공성 골내의 보강물질 주입 장치 및 그 주입방법 | |
KR200380002Y1 (ko) | 뼈 시멘트 주입장치 | |
CN104382642A (zh) | 一种椎弓根钉道输注器及椎弓根钉道局部强化组件 | |
KR200317729Y1 (ko) | 골다공성 골내의 보강물질 주입 장치 | |
KR20230000338U (ko) | 골 시술 장치 | |
JP2023161780A (ja) | スクリューの補強材のインサーター | |
CN117731378A (zh) | 一种可定位注射骨水泥的髓内钉系统及其应用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T201 |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 ||
T701 |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 ||
G701 | Publication of correc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