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8518Y1 - Connecting apparatus and accessory therewith - Google Patents

Connecting apparatus and accessory therewith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8518Y1
KR200298518Y1 KR2020020028370U KR20020028370U KR200298518Y1 KR 200298518 Y1 KR200298518 Y1 KR 200298518Y1 KR 2020020028370 U KR2020020028370 U KR 2020020028370U KR 20020028370 U KR20020028370 U KR 20020028370U KR 200298518 Y1 KR200298518 Y1 KR 20029851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ornament
fastening hole
jewelry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8370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우정선
Original Assignee
우정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정선 filed Critical 우정선
Priority to KR202002002837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8518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851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8518Y1/en

Links

Landscapes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줄에 연결되는 장신구가 회전할 수 있도록 해 입체적 형상 및 모양을 구비한 장신구를 사용자가 어느 면이나 손쉽게 감상할 수 있고, 장착 및 착용이 자유롭도록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이를 위해 소정 두께의 장식용 줄이 체결되도록 관통공을 구비한 연결구와, 상기 연결구가 소정 형상의 장신구의 상단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도록 하는 체결 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용 연결기구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allow the user to easily see the ornaments having a three-dimensional shape and shape, and to be free to install and wear by allowing ornaments connected to a string to rotate. It provides a connector for ornament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nnector having a through-hole to fasten the decorative string of thickness, and a fastening mechanism for rotatably supported on the upper end of the ornament of the predetermined shape.

Description

장신구용 연결기구 및 이를 구비한 장신구{Connecting apparatus and accessory therewith}Connecting apparatus for jewelry and accessories with the same {Connecting apparatus and accessory therewith}

본 고안은 장신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줄에 연결할 수 있는 장신구가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장신구용 연결기구 및 이를 구비한 장신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rnament,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nnection mechanism for ornaments and ornaments provided with such that ornaments that can be connected to the rope to rotate.

목걸이나 팔찌 등의 줄에 장식용으로 걸리는 팬던트 혹은 장신구는 최근에는 휴대용 전화기의 줄이나, 문구류 등의 팬시 용품 및 차량의 실내 장식품 등에 다양하게 적용되고 있다. 또한, 이러한 장신구 중에는 외관의 미려함을 고려한 것 외에 그 내부에 소량의 향수가 저장되어 몸에 지니고 다닐때에 은은한 향이 지속될 수 있도록 하는 등 그 이용 범위가 매우 확대되고 있다.Recently, pendants or ornaments worn on strings such as necklaces and bracelets have been variously applied to strings of mobile phones, fancy items such as stationery, and upholstery of vehicles. In addition, in addition to considering the beauty of the appearance among these ornaments, a small amount of perfume is stored therein so that the subtle fragrance can be sustained when carrying the body, the use range is greatly expanded.

그런데, 이렇게 줄에 연결되어 사용되는 장신구는 일반적으로, 줄이 걸릴 수 있도록 구비된 연결구 혹은 링과 같은 연결 고리가 용접, 납땜 등에 의해 장신구에 고정적으로 결합되어 장신구의 일면만이 원하는 방향으로 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By the way, the jewelry used to be connected to the string is generally connected to a ring such as a connector or a ring provided so that the string can be caught is fixed to the ornament by welding, soldering, etc. so that only one side of the ornament is directed in the desired direction. Consists of.

즉, 종래의 줄에 연결되어 사용되는 장신구는 도 1에서 볼 수 있듯이, 소정의 형상 및 모양을 갖춘 장신구(10)의 상단에 연결용 고리(11)가 용접되어 있고, 이 고리(11)에 목걸이와 같은 줄(14)이 연결된 소정 형상의 연결구(13)가 체결되는구조를 갖는다.That is, as shown in Figure 1, the orna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the conventional string, as shown in Figure 1, the connecting ring 11 is welded to the upper end of the ornament 10 having a predetermined shape and shape, to the ring 11 It has a structure that is fastened to the connector 13 of a predetermined shape is connected to a string 14, such as a necklace.

상기와 같은 장신구 및 그 연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연결용 고리(11)는 장신구(10)에 용접되어 부착되므로, 상기 장신구(10)는 상기 줄(14)에 대해 회전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장신구를 목걸이로 사용할 경우에는 상기 장신구(10)의 일면(10a)만이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향하게 되어 입체적인 형상을 구비한 장신구에는 적합하지 않게 된다. 즉, 이러한 연결구조는 평면적 혹은 일방향적 모양만을 구현할 수 밖에 없는 것이다.In the jewelry and the connection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because the connecting ring 11 is welded to the jewelry 10 is attached, the jewelry 10 is not rotatable relative to the string (14). Therefore, when using such a ornament as a necklace, only one surface 10a of the ornament 10 is directed in a direction desired by the user, and thus is not suitable for the ornament having a three-dimensional shape. In other words, such a connection structure can only implement a planar or one-way shape.

뿐만 아니라, 상기와 같은 연결구조를 갖는 장신구는 사용자가 이를 설치 혹은 착용할 때에 그 장신구의 방향을 염두에 두어야 하므로, 설치에 있어 다소 불편한 점이 있다.In addition, the jewelry having the connection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is somewhat inconvenient in installation because the user should keep in mind the direction of the ornament when installing or wearing it.

따라서, 이러한 연결구조 및 장신구는 어느 일면만이 구체적인 모양 및 형상을 갖도록 하고, 타면은 이를 갖지 않는 목걸이 등에나 적합하며, 만일 상기와 같은 장신구를 모든 면이 보이도록 설치 혹은 착용하는 차량 실내 장식품, 팔찌, 휴대용 전화기의 줄 등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전면과 후면 또는 양 측면의 모양이 동일하도록 하여야 이를 돌리지 않더라도 충분히 감상할 수 있게 되는 한계를 갖는다.Therefore, such a connection structure and ornaments are to be only one side to have a specific shape and shape, the other side is suitable for necklaces and the like, if the vehicle upholstery to install or wear such ornaments to see all sides, When used as a bracelet, a strap of a mobile phone, etc., the shape of the front and rear or both sides should be the same to have a limit that can be fully appreciated even if not rotated.

또한, 상기와 같은 연결구조 및 장신구는 도 1에서 볼 수 있듯이, 장신구(10)와 연결용 고리(11)의 연결부인 용접부(12)가 외부로 노출되기 쉬워 외관상의 미려함 또한 해칠 수 있고, 장신구의 고급스러움을 높이기 위해서 고정밀의 용접 기술을 요하기 때문에 제조 원가가 상승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1, the connection structure and the jewelry as described above, the welding portion 12, which is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ornament 10 and the connecting ring 11 is easily exposed to the outside, and may also hurt the appearance of the beauty. The manufacturing cost can be increased because high precision welding technology is required to increase the luxury of the product.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줄에 연결되는 장신구가 회전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장신구용 연결기구 및 이를 구비한 장신구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nection mechanism for ornaments and ornaments having the same that allows the ornaments connected to the rope to rotate.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입체적 형상 및 모양을 구비한 장신구를 사용자가 어느 면이나 손쉽게 감상할 수 있고, 장착 및 착용이 자유롭도록 할 수 있는 장신구용 연결기구 및 이를 구비한 장신구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ccessory having a three-dimensional shape and shape, which can be easily viewed by the user on any surface, and to allow the user to easily install and wear the jewelry, and to provide an ornament having the same.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목걸이 장신구의 일 예를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1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conventional general necklace ornaments.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장신구의 부분 사시도.2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of the orna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장신구의 연결구를 나타내는 평면도.3 is a plan view showing the connector of the ornament shown in FIG.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장신구의 연결용 핀을 나타내는 단면도.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necting pin of the ornament shown in FIG.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장신구에 있어, 연결용 핀에 연결구를 조립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5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nnector is assembled to the connecting pin in the ornament shown in FIG.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장신구용 연결기구를 나타내는 부분 분리 사시도.Figure 6 is a partially separat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nection mechanism for jewelr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장신구용 연결기구를 나타내는 부분 분리 사시도.Figure 7 is a partially separat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nection mechanism for jewelr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장신구용 연결기구를 나타내는 부분 분리 사시도.Figure 8 is a partially separat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nection mechanism for jewelr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간단한 설명><Brief description of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

20: 장신구 몸체 24: 장식용 줄20: ornament body 24: decorative cord

30: 연결기구 31: 연결구30: connector 31: connector

31a: 관통공 32: 체결기구31a: through hole 32: fastening mechanism

33: 체결공 34: 연결용 핀33: Fastener 34: Pin for connection

35: 머리부35: head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소정 두께의 장식용 줄이 체결되도록 관통공을 구비한 연결구와, 상기 연결구가 소정 형상의 장신구의 상단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도록 하는 체결 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용 연결기구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nector having a through-hole to fasten a decorative string of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includes a fastening mechanism for rotatably supported on the upper end of the ornament of a predetermined shape It provides a connection mechanism for jewelry characterized in that.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체결 기구는 상기 연결구에 형성된 체결공과, 상기 체결공을 관통하도록 상기 장신구의 상단에 위치한 것으로, 상기 체결공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구비된 연결용 핀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astening mechanism is a fastening hole formed in the connector and located on the upper end of the ornament so as to pass through the fastening hole, it may include a connection pin provided so as not to be separated from the fastening hole. .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연결용 핀은 그 단부에 상기 체결공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형성된 머리부를 구비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ing pin may have a head portion formed so as not to be separated from the fastening hole at its end.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연결구는 판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체결공은 상기 연결구의 양단부에 구비된 홈부의 결합에 의해 구비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or is provided in a plate shape, the fastening hole may be provided by the coupling of the groove provided on both ends of the connector.

본 고안은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유연성을 구비한 장식용 줄과, 상기 장식용 줄에 연결되는 장신구 몸체와, 상기 장신구 몸체를 상기 장식용 줄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하는 것으로, 상기 장식용 줄이 체결되는 연결구와, 상기 연결구가 상기 장신구 몸체의 상단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도록 하는 체결 기구를 구비한 연결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also has a decorative decorative line having flexibility, an ornament body connected to the decorative line, and rotatably connecting the ornament body to the decorative line. And a connection mechanism having a connector to be fastened, and a connection mechanism to allow the connector to be rotatably supported on the upper end of the ornament body.

이러한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체결 기구는 상기 연결구에 형성된 체결공과, 상기 체결공을 관통하도록 상기 장신구의 상단에 위치한 것으로, 상기 체결공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구비된 연결용 핀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astening mechanism is a fastening hole formed in the connector and located on the upper end of the ornament so as to pass through the fastening hole, may include a connection pin provided to be separated from the fastening hole. have.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연결용 핀은 그 단부에 상기 체결공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형성된 머리부를 구비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ing pin may have a head portion formed so as not to be separated from the fastening hole at its end.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연결구는 판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체결공은 상기 연결구의 양단부에 구비된 홈부의 결합에 의해 구비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or is provided in a plate shape, the fastening hole may be provided by the coupling of the groove provided on both ends of the connector.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장신구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of the orna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서 볼 수 있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장신구는 소정의 형상 및 모양을 갖는 장신구 몸체(20)와, 이 장신구 몸체(20)를 유연성을 구비한 장식용 줄(24)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연결기구(30)로 구비된다.Ornamen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een in Figure 2 is the ornament body 20 having a predetermined shape and shape, and the ornament body 20 is rotatable to a decorative string 24 having flexibility It is provided with a connection mechanism 30 to be connected to.

상기 장신구 몸체(20)는 다양하게 형성된 악세사리가 될 수 있는 데, 보석류가 박혀 있는 금속제 장식편, 향수가 수납된 병 등의 용기류 및 기타 그 형상과 모양을 감상할 수 있는 것이면 무엇이든 가능하다.The jewelry body 20 may be variously formed accessories, any kind of metal ornaments embedded with jewelry, containers such as bottles containing perfume, and other shapes and shapes can be appreciated.

상기 장식용 줄(24)은 유연성을 구비한 것이면 어떤 것이라도 적용할 수 있는 데, 직물류로 구비된 줄이나, 금속제의 체인 등 다양한 줄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장식용 줄(24)의 재질이나 그 길이 등 그 종류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장신구를 사용하는 목적에 따라 달리 구비될 수 있는 데, 목걸이, 팔찌, 휴대용 전화기의 줄, 차량 실내 장식용 줄 등 사용 목적에 따라 다양하게 구비될 수 있다.The decorative string 24 may be applied to any one as long as it has flexibility, and various strings such as a string provided with fabrics or a metal chain may be used. The kind of material, such as the length of the decorative string 24 may be provid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purpose of using the ornament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necklaces, bracelets, cords of portable phones, for vehicle interior decoration It may be provided in various ways depending on the purpose of use, such as a string.

이러한 장식용 줄(24)은 상기 장신구 몸체(20)에 연결기구(30)에 의해 연결되는 데, 상기 연결기구(30)는 상기 장신구 몸체(20)를 상기 장식용 줄(24)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한다.The decorative string 24 is connected to the ornament body 20 by the connecting mechanism 30, the connecting mechanism 30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ornament body 20 to the decorative string 24 do.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기구(30)는 도 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장신구 몸체(20)에 구비된 연결 지지부(22)에 장착될 수 있는 데, 상기 연결 지지부(22)는 상기 장신구 몸체(20)에 일체로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장신구 몸체(20)에 분리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비록 도면으로 나타내지는 않았지만, 본 고안에 따른 연결기구는 상기와 같은 연결 지지부없이 장신구 몸체에 바로 장착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As shown in FIG. 2, the connection mechanism 30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unted on the connection support 22 provided in the ornament body 20, and the connection support 22. It may be provided integrally with the ornament body 20, may be provided to be detachable to the ornament body (20). 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connection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directly mounted on the ornament body without the connection support as described above.

도 2에서 볼 수 있듯이, 본 고안에 따른 연결기구(30)는 장식용 줄(24)이 체결되도록 관통공(31a)이 구비된 연결구(31)와, 상기 연결구(31)가 상기 장신구 몸체(20), 더욱 상세하게는 연결지지부(22)의 상단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도록 하는 체결 기구(32)를 포함한다.As can be seen in Figure 2, the connection mechanism 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nnector 31 is provided with a through hole 31a to fasten the decorative string 24, the connector 31 is the ornament body 20 ), And more particularly, the fastening mechanism 32 to be rotatably supported on the upper end of the connection support 22.

상기 체결 기구(32)는 상기 연결구(31)의 상기 장신구 몸체(20)를 향한 면에 형성된 체결공(33)과, 상기 연결 지지부(22)의 상단에 설치되어 상기 체결공(33)을 관통하는 연결용 핀(34)을 포함한다.The fastening mechanism 32 is a fastening hole 33 formed on the surface facing the ornament body 20 of the connector 31, and is installed on the upper end of the connection support 22 and penetrates the fastening hole 33 It comprises a connecting pin 34 to.

상기 연결구(31)는 대략 링 상으로 구비되며, 그 중심부가 양 측단부보다 두껍게 형성되어 미려함을 갖추도록 형성될 수 있는 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장식용 줄(24)이 끼워질 수 있는 형상이면 어떠한 형상이든 적용 가능하다. 상기 연결구(31)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판상의 부재를 구부려 링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 데, 일체로 사출되어 접합부를 구비하지 않은 엔드리스 링 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The connector 31 is provided in a ring shape, and the center portion thereof may be formed thicker than both side end portions so as to have a beauty. However, the connector 31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the decorative string 24 may be fitted. Any shape can be applied as long as it is present. The connector 31 may be formed in a ring shape by bending a plate-like member as will be described later, of course, may be integrally injected to form an endless ring having no joint.

상기 연결구(31)에 구비된 체결공(33)은 도 3에서 볼 수 있듯이, 적어도 그 직경이 R인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원형일 필요는 없으며,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이 체결공(33)을 관통하는 연결용 핀(34)이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면 어떠한 형상이든 무관하다. 다만, 이 때에도 체결공(33)의 가장 짧은 대각 거리는 R이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shown in FIG. 3, the fastening hole 33 provided in the connector 31 may be formed at least in a circle having a diameter of R, but it does not necessarily need to be a circular shape, as described below. Any shape may be used as long as the connecting pin 34 penetrating through 33 is not separated. In this case, however, the shortest diagonal distance of the fastening hole 33 is preferably R.

한편, 상기 체결공(33)을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연결용 핀(34)은 도 2에서 볼 수 있듯이, 일단은 상기 체결공(33)을 관통하여 연결구(31)의 내측에 위치하고, 타단은 상기 연결 지지부(22)의 상단에 위치한다. 상기 연결용 핀(34)의 타단은 상기 연결 지지부(22)의 상단에 용접이나 납땜 등에 의해 고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는 데, 물론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연결 지지부(22)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onnecting pin 34 is installed to penetrate the fastening hole 33, as shown in Figure 2, one end is penetrated through the fastening hole 33 is located inside the connector 31, the other end is It is located at the top of the connection support 22.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on pin 34 may be fixedly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connection support part 22 by welding or soldering, of course,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connection support part 22. May be combined.

상기와 같은 연결용 핀(34)은 도 4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연결 지지부(22)에 결합된 반대측 단부, 즉, 도 2에서 체결공(33)을 관통하여 연결구(31)의 내측에 위치한 단부에 상기 체결공(33)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형성된 머리부(35)를 구비한다. 도 4와 같이, 상기 머리부(35)는 그 직경이 T가 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머리부(35)의 직경 T는 상술한 체결공(33)의 직경 R 보다 크도록 함으로써 상기 머리부(35)가 체결공(33)을 빠져 나오지 못하도록 한다. 상기 머리부(35)는 도 2에서와 같이 반드시 둥근 형상으로 형성될 필요는 없으며, 다각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As shown in FIG. 4, the connecting pin 34 is located inside the connector 31 through the fastening hole 33 in the opposite end coupled to the connecting support 22, that is, in FIG. 2. It is provided with a head portion 35 formed at the end so as not to be separated from the fastening hole 33. As shown in FIG. 4, the head 35 is provided such that its diameter is T, and the diameter T of the head 35 is larger than the diameter R of the fastening hole 33 described above. ) Do not escape the fastening hole (33). The head 35 is not necessarily formed in a round shape as shown in FIG. 2, but may be formed in a polygonal shape.

한편, 상기 연결용 핀(34)의 머리부(35)는 도 4에서 볼 수 있듯이, 머리부(35)의 하단, 즉, 상기 머리부(35)의 상기 체결공(33)을 향하는 단부는 편편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머리부(35)가 상기 체결공(33)에 보다 쉽게 걸려, 이탈이 어렵도록 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head 35 of the connecting pin 34, as shown in Figure 4, the lower end of the head 35, that is, the end toward the fastening hole 33 of the head 35 is It is formed to be flat and the head 35 is more easily caught in the fastening hole 33, it can be difficult to escape.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연결구(31)는 도 5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연결용 핀(34)에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될 수 있다. 즉, 상기 연결구(31)를 양단부(31a)(31b)에 각각 홈부(33a)(33b)가 구비된 판상으로 형성하고, 이 판상의 연결구(31)를 연결용 핀(34)의 머리부(35)가 연결구(31)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그 양단부(31a)(31b)를 구부려 서로 만나도록 결합한다. 이 때, 상기 체결공은 연결구(31)의 양단부(31a)(31b)에 구비된 홈부(33a)(33b)의 결합에 의해 형성된다.As described above, the connector 31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astened rotatably to the connecting pin 34 as shown in FIG. 5. That is, the connector 31 is formed in a plate shape having grooves 33a and 33b at both ends 31a and 31b, respectively, and the plate-shaped connector 31 is formed at the head portion of the connecting pin 34. Both ends 31a and 31b are bent so that the 35 is positioned inside the connector 31 so as to meet each other. At this time, the fastening hole is formed by the coupling of the grooves 33a and 33b provided at both ends 31a and 31b of the connector 31.

상기와 같은 연결 기구(30)에 의해 장식용 줄(24)에 연결되는 장신구 몸체(20)는 그 연결 지지부(22)에 구비된 연결용 핀(34)이 그 머리부(35)가연결구(31)의 체결공(33) 내측으로 삽입되어 위치하며, 연결용 핀(34)은 도 4에서 볼 수 있듯이, 체결공(33)과 소정의 간격을 가지므로, 자유롭게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장신구를 어떠한 위치에 장착하더라도, 사용자는 원하는 면을 상기 장신구가 장착된 상태에서 장신구만을 회전시킴으로써 감상할 수 있다.The ornament body 20 is connected to the decorative string 24 by the connecting mechanism 30 as described above, the connecting pin 34 provided at the connecting support 22 has its head 35 connected to the connector 31. In the fastening hole 33 is inserted into the inner position, the connecting pin 34, as can be seen in Figure 4, has a predetermined interval with the fastening hole 33, it is possible to rotate freely. Therefore, even if the jewelry is attached at any position, the user can enjoy the desired surface by rotating only the jewelry in a state where the jewelry is mounted.

상술한 바와 같은 연결기구는 이 밖에도 다양한 형태로서 실현할 수 있는 데, 도 6 내지 도 8에는 본 고안에 따른 장신구용 연결 기구의 서로 다른 실시예들을 나타내었다.The connection mechanism as described above may be realized in various other forms, and FIGS. 6 to 8 illustrate different embodiments of the connection mechanism for jewel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6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장신구용 연결기구(40)는 일체의 링 상 또는 판상의 부재를 구부려 그 단부를 서로 접합시켜 만든 링 상의 연결구(41)를 갖는다. 상기 연결구(41)에는 역시 체결공(43)이 형성되어 있는 데, 이 체결공(43)의 가장자리를 따라서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슬릿(43a)이 형성되어 있다.First, the connection mechanism 40 for jewelry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6 is a ring-shaped connector 41 made by bending an integral ring-like or plate-shaped member to join the ends thereof with each other. Has A fastening hole 43 is also formed in the connector 41, and at least one slit 43a is formed along the edge of the fastening hole 43.

이러한 형상의 체결공(43)이 구비된 연결구(41)를 도 6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연결용 핀(44)의 머리부(45)로부터 화살표 방향으로 가압하면, 상기 체결공(43)은 그 슬릿(43a)에 의해 상기 연결용 핀(44)의 머리부(45)를 통과한다. 상기 체결공(43)이 머리부(45)를 통과한 후에 그 슬릿(43a)이 형성된 가장자리부분이 원상으로 회복되도록 함으로써 그 조립은 완료된다. 이렇게 슬릿(43a)이 구비된 체결공(43)이 연결용 핀(44)의 머리부(45)를 통과하도록 하기 위하여는 상기 연결구(31)가 어느 정도의 연성 또는 탄성을 구비해야 한다.When the connector 41 with the fastening hole 43 having such a shape is pressed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from the head 45 of the connecting pin 44 as shown in FIG. 6, the fastening hole 43 is The slit 43a passes through the head 45 of the connecting pin 44. After the fastening hole 43 passes through the head 45, the assembly is completed by restoring the edge portion where the slit 43a is formed to its original shape. Thus, in order for the fastening hole 43 provided with the slit 43a to pass through the head 45 of the connecting pin 44, the connector 31 should have some softness or elasticity.

도 7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장신구용 연결기구(50)는 링상의 연결구(50)의 체결공(53)에 연결용 핀(54)을 삽입한 다음, 연결용 핀(54)의 이탈을 방지하는 머리부(55)를 연결용 핀(44)의 상단(54a)에 결합하는 것이다. 연결용 핀(54)과 머리부(55)의 결합은 용접이나 납땜 등에 의할 수 있으나, 조립의 편이성을 위해 나사결합되도록 한다. 따라서, 연결용 핀(54)의 상단(54a)과 머리부(55)의 내측면은 서로 대응되는 나사가공이 되어 있도록 한다.Connecting device 50 for jewelry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7 inserts the connecting pin 54 in the fastening hole 53 of the ring-shaped connector 50 , The head 55 for preventing the separation of the connecting pin 54 is coupled to the upper end 54a of the connecting pin 44. The coupling of the connecting pin 54 and the head 55 may be by welding or soldering, but is screwed for ease of assembly. Therefore, the upper end 54a of the connecting pin 54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head 55 are made to be threaded corresponding to each other.

도 8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장신구용 연결기구(60)는 링상의 연결구(60)의 체결공(63)에 머리부(65)를 구비한 연결용 핀(64)을 삽입한 다음 연결용 핀(64)의 하단부를 장신구 몸체의 연결 지지부(72)에 결합하는 것이다. 이 때, 상기 연결용 핀(64)은 상기 연결 지지부(72)에 용접 등에 의해 접합될 수도 있으나, 조립의 편이성을 위해 나사결합되도록 한다. 즉, 나사가공된 연결용 핀(64)의 하단(64a)과, 이에 대응되어 나사가공된 연결 지지부(72)의 삽입공(72a)이 서로 나사결합되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구조에 있어서는 상기 연결용 핀(64)은 볼트 부재로서 구비될 수 있고, 연결 지지부(72)에도 삽입공(72a)에 나사가공을 하지 않고, 삽입공(72a)의 내측으로 너트 부재가 상기 볼트 부재에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연결용 핀(64)을 고정할 수 있다.Connection mechanism 60 for jewelr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8 is for connection with the head 65 in the fastening hole 63 of the ring-shaped connector 60 After inserting the pin 64, the lower end of the connecting pin 64 is coupled to the connection support 72 of the ornament body. At this time, the connecting pin 64 may be joined to the connection support part 72 by welding or the like, but is screwed for ease of assembly. That is, the lower end 64a of the threaded connection pin 64 and the corresponding insertion hole 72a of the threaded connection support 72 are screwed together. Therefore, in such a structure, the connecting pin 64 may be provided as a bolt member, and the nut member does not screw into the insertion hole 72a in the connection support portion 72, but the nut member inside the insertion hole 72a. Can be fixed to the connecting pin 64 by being coupled to the bolt member.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고안의 장신구용 연결기구 및 이를 구비한 장신구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According to the ornament for the orna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and the ornaments provided with the same,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obtained.

첫째, 상기와 같은 연결구조를 갖는 장신구는 그 장신구 몸체가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회전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이를 설치 혹은 착용할 때에 그 장신구의 방향을 고려할 필요가 없다.First, since the ornament body having the connection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can be rotated as desired by the user, the user does not need to consider the direction of the ornament when installing or wearing it.

둘째, 장신구 몸체가 회전함으로써 인체에 부착되는 목걸이, 팔찌 뿐 아니라, 상기 장신구 몸체가 공간 상에 위치하는 차량 실내 장식품, 휴대용 전화기 줄 등에 적합하다.Second, the ornament body is suitable for not only necklaces and bracelets attached to the human body by rotating the ornament body, but also vehicle upholstery and portable telephone straps in which the ornament body is located in space.

셋째, 장신구 몸체를 회전할 수 있으므로, 그 전면과 후면 또는 양 측면의 모양이 서로 다르게 구비되더라도 이를 충분히 감상할 수 있다.Third, because the ornament body can be rotated, even if the front and rear or both sides of the shape is provided differently, it can be fully appreciated.

넷째, 장신구 몸체에 줄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기구의 용접부가 외부로 쉽게 노출되지 않아 외관상의 미려함을 얻을 수 있다.Fourth, the welded portion of the connection mechanism for connecting the string to the ornament body is not easily exposed to the outside can be obtained in appearance beauty.

본 명세서에서는 본 고안을 한정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사상적 범위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다. 또한 설명되지는 않았으나, 균등한 수단도 또한 본 고안에 그대로 결합되는 것이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하기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 limited embodiment, but various embodiment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although not described, equivalent means will also be combined as i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tru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Claims (8)

소정 두께의 장식용 줄이 체결되도록 관통공을 구비한 연결구; 및A connector having a through hole to fasten a decorative string of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상기 연결구가 소정 형상의 장신구의 상단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도록 하는 체결 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용 연결기구.And a fastening mechanism for allowing the connector to be rotatably supported on the upper end of the ornament of a predetermined shape.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체결 기구는 상기 연결구에 형성된 체결공과, 상기 체결공을 관통하도록 상기 장신구의 상단에 위치한 것으로, 상기 체결공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구비된 연결용 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용 연결기구.The fastening mechanism is connected to the fastening hole formed in the connector, and is located on the upper end of the ornament so as to penetrate the fastening hole, the connection mechanism for jewelry,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in provided so as not to be separated from the fastening hole. 제 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연결용 핀은 그 단부에 상기 체결공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형성된 머리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용 연결기구.The connecting pin is an accessory for jewelry,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head portion formed at its end so as not to be separated from the fastening hole. 제 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연결구는 판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체결공은 상기 연결구의 양단부에 구비된 홈부의 결합에 의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용 연결기구.The connector is provided in a plate shape, the fastener is a connection mechanism for jewelry,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by the coupling of the groove provided on both ends of the connector. 유연성을 구비한 장식용 줄;Decorative cord with flexibility; 상기 장식용 줄에 연결되는 장신구 몸체; 및An ornament body connected to the ornamental line; And 상기 장신구 몸체를 상기 장식용 줄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하는 것으로, 상기 장식용 줄이 체결되는 연결구와, 상기 연결구가 상기 장신구 몸체의 상단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도록 하는 체결 기구를 구비한 연결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Connecting the ornament body to the decorative rope rotatably, a connector having a connector to which the decorative rope is fastened, and a coupling mechanism to allow the connector to be rotatably supported on an upper end of the ornament body; Ornaments characterized in that. 제 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체결 기구는 상기 연결구에 형성된 체결공과, 상기 체결공을 관통하도록 상기 장신구의 상단에 위치한 것으로, 상기 체결공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구비된 연결용 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The fastening mechanism is a fastening hole formed in the connector and the ornament located on the upper end of the ornament so as to penetrate the fastening hole, characterized in that the ornament comprises a pin provided so as not to be separated from the fastening hole. 제 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연결용 핀은 그 단부에 상기 체결공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형성된 머리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And the connecting pin has a head portion formed at an end thereof so as not to be separated from the fastening hole. 제 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연결구는 판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체결공은 상기 연결구의 양단부에 구비된 홈부의 결합에 의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The connector is provided in a plate shape, the fasten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ornament provided by the coupling of the groove provided on both ends of the connector.
KR2020020028370U 2002-09-19 2002-09-19 Connecting apparatus and accessory therewith KR200298518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8370U KR200298518Y1 (en) 2002-09-19 2002-09-19 Connecting apparatus and accessory therewith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8370U KR200298518Y1 (en) 2002-09-19 2002-09-19 Connecting apparatus and accessory therewith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8518Y1 true KR200298518Y1 (en) 2002-12-16

Family

ID=731288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8370U KR200298518Y1 (en) 2002-09-19 2002-09-19 Connecting apparatus and accessory therewith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8518Y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07507B2 (en) Necklaces and bracelets with keepers
USD556620S1 (en) Item of jewelry for use as a pendant, earring, ring, brooch, bracelet, hair pin, cuff link or tiepin
US5440900A (en) Add-on jewelry item for flexible jewelry chains
US5755117A (en) Metal mount for cut jewels, and accessories
JP2004503318A (en) Decorative element for a trinket system and a trinket system comprising the decorative element
US5979184A (en) Convertible jewelry article
EP2127551A2 (en) Clasp for accessory
US6508081B1 (en) Earring with interchangeable ornaments
KR200298518Y1 (en) Connecting apparatus and accessory therewith
US5515584A (en) Wire connection system and method of assembly
US20040103911A1 (en) Barrette/hair clip with integrally attachable artificial flower
KR200407517Y1 (en) Ornaments with removable pendants
JPH08196313A (en) Eardrop
US20060005577A1 (en) Jewelry earring clutch
KR200163238Y1 (en) A holder of jewels for personal ornaments
KR200437300Y1 (en) Pendant for accessory
JP2739199B2 (en) necklace
KR101177775B1 (en) Connect element for personal ornaments
KR102419854B1 (en) Connector for accessories to be able to remove and attach with one touch
KR100362330B1 (en) Accessary for use in necklace
KR200289772Y1 (en) Ornament
KR200312706Y1 (en) Belt Assembly for Accessery
JP2024063726A (en) Jewelry parts and jewelry
KR200376483Y1 (en) a string for a portable goods
KR200208094Y1 (en) Accessary for use in necklace and portable applian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