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62330B1 - Accessary for use in necklace - Google Patents

Accessary for use in neckla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62330B1
KR100362330B1 KR1020000039684A KR20000039684A KR100362330B1 KR 100362330 B1 KR100362330 B1 KR 100362330B1 KR 1020000039684 A KR1020000039684 A KR 1020000039684A KR 20000039684 A KR20000039684 A KR 20000039684A KR 100362330 B1 KR100362330 B1 KR 1003623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string
mobile device
strap
jewel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968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20006180A (en
Inventor
강판규
Original Assignee
강판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판규 filed Critical 강판규
Priority to KR10200000396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62330B1/en
Priority to KR2020000020531U priority patent/KR200208094Y1/en
Publication of KR200200061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618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23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2330B1/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02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frictionally engaging surface of straps
    • A44B11/04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frictionally engaging surface of straps without movable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5/00Holders or carriers for hand articles; Holders or carriers for use while travelling or camping
    • A45F2005/006Holders or carriers for hand articles; Holders or carriers for use while travelling or camping comprising a suspension strap or lanyard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F
    • A45F2200/05Holder or carrier for specific articles

Landscapes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휴대기기 및 장신구줄 고정구가 개시된다. 그러한 휴대기기 및 장신구줄 고정구는 일측면에 서로 소정간격 이격되는 복수개의 돌출턱에 의하여 제1 요철부가 형성되는 수납판과, 일측면에 상기 제1 요철부에 대응되는 제2 요철부가 형성되므로써, 상기 수납판의 제1 요철부에 억지끼움방식에 의하여 일체로 고정되는 가압판과, 상기 수납판과 상기 가압판의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수납판과 가압판이 결합되는 경우 그 사이에 일체로 고정되는 줄과, 그리고 상기 가압판 및 수납판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돌출 형성되어 휴대기기 및 장신구가 결합가능한 걸림수단을 포함한다.Disclosed are a portable device and a trinket fastener. Such a mobile device and a lanyard fixing device have a receiving plate having a first uneven portion formed by a plurality of protruding jaw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on one side thereof, and a second uneven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uneven portion formed on one side thereof. A pressure plate integrally fixed to the first uneven portion of the accommodation plate by an interference fitting method, and positioned between the storage plate and the pressure plate, and when the storage plate and the pressure plate are coupled, the rope is integrally fixed therebetween. And a locking means selectively protruding from any one of the pressure plate and the accommodation plate to which the portable device and the ornament can be coupled.

Description

휴대기기 및 장신구줄 고정구{Accessary for use in necklace}Mobile devices and trinket straps {Accessary for use in necklace}

본 발명은 휴대기기 및 장신구줄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정구를 억지끼움방식에 의하여 줄에 부착가능하고, 장신구를 추가로 장착하므로써 줄의 길이를 짧게 사용 할 수 있는 휴대기기 및 장신구줄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device and an accessory strap, and more particularly, a mobile device and an accessory strap that can be attached to the strap by an interference fitting method and that can be used shortly by additionally installing the ornament. It is about a fixture.

일반적으로 휴대전화 또는 무선호출기(이하, 휴대기기)등에는 이들의 휴대를간편화하고 분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줄을 장착하여 사용하게 된다.In general, a cell phone or a wireless pag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portable device) is used by attaching a cord in order to simplify their portable and prevent loss.

근래에는 이러한 줄이 사용자의 연령층, 기호 등에 맞추어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다. 따라서, 휴대기기용 줄의 기능은 종래의 휴대기기를 휴대하기 위한 기능뿐만 아니라 일종의 악세서리 기능으로까지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다.Recently, these lines have been developed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the age group and taste of the user. Therefore, the function of the string for a portable device is expanding to not only a function for carrying a conventional portable device but also an accessory function.

휴대기기용 줄은 핸드폰과 연결하기 위하여 고정구를 사용한다. 즉, 고정구의 일단부는 줄에 일체로 연결되고, 타단부는 핸드폰 혹은 장신구에 연결된다.Portable devices use fixtures to connect to cell phones. That is, one end of the fixture is integrally connected to the string,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mobile phone or jewelry.

이러한 고정구와 휴대기기용 줄의 조립은 본드등의 접착제에 의하여 접착하여 고정하거나 매듭 등을 이용하여 결합하는 경우가 일반적으로 이용되고 있다.In the assembly of the fastener and the string for a mobile device, it is generally used to bond by fixing with an adhesive such as a bond or to use a knot or the like.

그러나, 휴대기기용 줄과 고정구를 접착제에 의하여 접착하는 경우에는 경화되는 시간이 길어져 생산성이 떨어지며,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접착제가 묻어 있는 부분에서 백화 현상이 일어나 상품성을 떨어뜨리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bonding the string and the fastener for the portable device by the adhesive, the curing time is long, the productivity is lowered, and after a certain time, the whitening phenomenon occurs in the portion where the adhesive is buried, thereby reducing the merchandise.

또한, 매듭을 이용하여 휴대기기용 줄과 고정구를 결합하는 경우에는 매듭이 생기므로 고정구가 투명재질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외관이 좋지않은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when the knot is used to combine the string and the fastener for a mobile device using the knot,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appearance is not good when the fastener is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 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고정구를 억지끼움 방식에 의하여 용이하게 줄에 고정할 수 있으며 디자인적으로 세련된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는 휴대기기 및 장신구용 고정구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astener for mobile devices and accessories that can be easily fixed to the string by the interference fit method and can produce a stylish atmosphere in design To provid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기기 및 장신구줄 고정구가 휴대기기에 장착된 것을 보여주는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at the mobile device and the ornament strap according to the invention is mounted on the mobile device.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기기 및 장신구줄 고정구를 보여주는 사시도.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bile device and a jewelry strap fixtur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휴대기기 및 장신구줄 고정구의 내부구조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mobile device and ornaments fixtures shown in FIG.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휴대기기 및 장신구줄 고정구의 정면을 보여주는 정면도.Figure 4 is a front view showing the front of the mobile device and jewelry strap fixture shown in FIG.

도 5는 도 2에 도시된 휴대기기 및 장신구줄 고정구의 일측면을 보여주는 측면도.Figure 5 is a side view showing one side of the mobile device and jewelry strap fixture shown in FIG.

도 6은 도 2에 도시된 휴대기기 및 장신구줄 고정구의 저면을 보여주는 저면도.Figure 6 is a bottom view showing the bottom of the mobile device and jewelry strap fixture shown in FIG.

도 7의 (a) 내지 (g)는 도 1에 도시된 "A-A" 단면의 여러 형상을 보여주는 단면도.7 (a) to 7 (g)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various shapes of an “A-A” cross section shown in FIG. 1.

도 8의 (a) 및 (b)는 도 1에 도시된 휴대기기 및 장신구줄의 평면을 보여주는 평면도.8 (a) and 8 (b) are plan views showing planes of the mobile device and the jewelry line shown in FIG.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휴대기기 및 장신구줄 고정구를 보여주는 사시도.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bile device and a jewelry strap fixtur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휴대기기 및 장신구줄 고정구의 정면을 보여주는 정면도.FIG. 10 is a front view showing the front of the mobile device and the ornament strap shown in FIG.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휴대기기 및 장신구줄 고정구의 일측면을 보여주는 측단면도.Figure 11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one side of the mobile device and jewelry strap fixture shown in FIG.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휴대기기 및 장신구줄 고정구의 일측면을 보여주는 측단면도.Figure 12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one side of the mobile device and jewelry strap fixtur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휴대기기 및 장신구줄 고정구를 보여주는 사시도.Figure 1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bile device and a jewelry strap fixtur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휴대기기 및 장신구줄 고정구의 내부구조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FIG. 1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mobile device and the ornament strap shown in FIG. 13; FIG.

도 15는 도 13에 도시된 휴대기기 및 장신구줄 고정구의 일 측면을 보여주는 측단면도.Figure 15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one side of the mobile device and jewelry strap fixture shown in FIG.

도 16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휴대기기 및 장신구줄 고정구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Figure 1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bile device and a jewelry strap fixture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7은 도 16에 도시된 휴대기기 및 장신구줄 고정구의 단면을 보여주는 측단면도.17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ross section of the mobile device and the ornament strap shown in FIG.

도 18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휴대기기 및 장신구줄 고정구의 내부구조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Figure 1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a mobile device and jewelry strap fixture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9는 도 18에 도시된 휴대기기 및 장신구줄 고정구의 측단면을 보여주는 측단면도.19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ide cross-section of the mobile device and jewelry strap fixture shown in FIG.

도 20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휴대기기 및 장신구줄의 고정구 일 단면을 보여주는 측단면도.20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ross section of a fastener of a mobile device and a jewelry line according to a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1은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휴대기기 및 장신구 줄에 장신구를 부착한 초기상태를 보여주는 도면.FIG. 21 is a view showing an initial state in which jewelry is attached to a portable device and a jewelry line according to an eigh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22는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휴대기기 및 장신구 줄에 휴대폰이 장착된 것을 보여주는 상태도.22 is a state diagram showing that the mobile phone is mounted on the mobile device and jewelry straps according to the eigh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3은 도 21에 도시된 장신구의 여러 형태를 보여주는 도면.FIG. 23 shows various forms of the ornaments shown in FIG. 21;

도 24는 본 발명의 제9 실시예에 따른 휴대기기 및 장신구 줄의 고정구를 보여주는 측 단면도.24 is a side sectional view showing a fastener of a mobile device and a jewelry line according to a ni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5는 도 24에 도시된 휴대기기 및 장신구 줄 고정구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측단면도.FIG. 25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mobile device and jewelry strap fixture shown in FIG. 24; FIG.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일측면에 서로 소정간격 이격되는 복수개의 돌출턱에 의하여 제1 요철부가 형성되는 수납판과, 일측면에 상기 제1 요철부에 대응되는 제2 요철부가 형성되므로써, 상기 수납판의 제1 요철부에 억지끼움방식에 의하여 일체로 고정되는 가압판과, 상기 수납판과 상기 가압판의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수납판과 가압판이 결합되는 경우 그 사이에 일체로 고정되는 줄과, 그리고 상기 가압판 및 수납판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돌출 형성되어 휴대기기 및 장신구가 결합가능한 걸림수단을 포함하는 휴대기기 및 장신구줄 고정구를 제공한다.In order to realiz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torage plate formed with a first uneven portion formed by a plurality of projection jaw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interval on one side, and the first uneven portion on one side Since the corresponding second uneven portion is formed, the pressure plate is integrally fixed to the first uneven portion of the housing plate by the interference fitting method, and the storage plate and the pressure plate are positioned between the storage plate and the pressure plate. In this cas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ortable device and a strap device including a cord fixedly interposed therebetween, and a locking means selectively protruded from any one of the pressing plate and the receiving plate, to which the portable device and the ornament can be coupled.

또한,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그 일측면으로부터 내부로 소정의 수납공간이 형성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수납공간에 억지끼움 방식에 의하여 삽입되어 일체로 고정되는 삽입부재와, 상기 삽입부재가 상기 몸체에 삽입되는 경우, 그 양단부가 상기 삽입부재와 상기 몸체의 사이에 끼워지므로써 일체로 고정되는 줄과, 그리고 상기 몸체의 하부에 돌출 형성되어 휴대기기 및 장신구가 선택적으로 걸릴 수 있는 걸림수단을 포함하는 휴대기기 및 장신구줄 고정구를 제공한다.In addition, in order to realiz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grally inserted into the body and the receiving space of the body by a predetermined storage space is formed from one side of the body to be integrated. A fixed insertion member, a case in which the insertion member is inserted into the body, and both ends thereof are interposed between the insertion member and the body so as to be integrally fixed, and a protrusion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body to be portable; And it provides a mobile device and jewelry strap fixture including a locking means that the ornament can be selectively caught.

그리고,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납홀이 형성되는 수납부와, 상기 수납홀에 대응되는 결합돌기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결합돌기가 상기 수납홀에 각각 삽입되므로써 상기 수납부에 일체로 결합되는 가압부와, 그리고 상기 가압부와 수납부가 서로 일체로 결합되는 경우, 그 사이에 위치하므로써 상기 결합돌기에 의하여 상기 수납홀에 끼워지는 줄을 포함하는 휴대기기 및 장신구줄 고정구를 제공한다.In addition, in order to realiz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accommodation portion formed with at least one or more storage holes, and the engaging projection corresponding to the storage hole is formed to protrude, the coupling projection is Pressing parts are integrally coupled to the receiving part by being inserted into the receiving holes, and, when the pressing part and the receiving part are integrally combined with each other, the lines are inserted between the receiving holes by the coupling protrusions. It provides a mobile device and the ornament strap containing.

상기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걸림수단은 다양하게 변형 실시된다. 즉, 상기 걸림수단은 고리의 형태로 사용될 수도 있고, 휴대폰 끈이 일체로 성형되므로써 고정되는 인써트의 형태로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걸림수단은 상기 인써트의 내부에 관통홀을 형성하여 휴대폰 끈을 관통시키고 고정구에 매듭을 형성하여 고정할 수도 있다.In the above embodiments, the locking means is variously modified. That is, the locking means may be used in the form of a ring, or may be used in the form of an insert which is fixed by integrally forming a mobile phone strap. In addition, the locking means may form a through hole in the insert to penetrate the mobile phone strap and to form a knot in the fastener to fix.

상기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줄은 그 단면 및 평면이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줄의 단면은 다이아몬드형, 요철형, 사각형, 원형등 다양한 형상을 갖는다. 또한, 상기 줄의 평면은 사선 혹은 곡선형태로 형성 가능하다.In the above embodiments, the string may have various cross sections and planes. That is, the cross section of the string has a variety of shapes such as diamond, irregularities, squares, circles. In addition, the plane of the string may be formed in an oblique or curved form.

따라서, 상기 고정구가 장착된 휴대기기 및 장신구 줄은 디자인적으로 미감이 뛰어난 효과가 있고, 피부에 밀착되지 않아 불쾌감을 주지 않는다.Therefore, the portable device and the jewelry line equipped with the fastener have an excellent aesthetic effect by design, and do not adhere to the skin, thereby not causing discomfor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기기 및 장신구줄 고정구를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mobile device and jewelry strap fix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기기 및 장신구줄 고정구가 휴대기기에 장착된 것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at the portable device and the ornament stra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the portable device.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기기 및 장신구줄 고정구(이하, 고정구;2)는 일단부에는 줄(1)이 연결되고, 타단부에는 고리(6)에 의하여 장신구(3)가 연결된다.As shown, the portable device and the ornament strap (hereinafter, the fixture; 2) is one end is connected to the string (1),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ornament (3) by the ring (6).

그리고, 장신구(3)의 하부에는 휴대폰(4)이 끈(5)에 의하여 연결되므로써, 휴대폰(4)이 줄(1)에 연결된다.Then, the mobile phone 4 is connected to the string 1 by the string 5, the lower part of the ornament (3).

이러한 고정구(2)는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면에 제1 요철부(8a)가 형성된 수납판(8)과, 상기 수납판(8)의 제1 요철부(8a)에 억지끼움방식으로 결합되는 가압판(7)과, 상기 수납판(8)의 하부에 돌출되어 끈(5;도1)등이 걸리는 고리(6)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S. 2 to 6, the fastener 2 includes a storage plate 8 having a first uneven portion 8a formed on one side thereof, and a first uneven portion 8a of the storage plate 8. It includes a pressure plate (7) coupled to the interference fit in the way, and a ring (6) protruding to the lower portion of the receiving plate (8), such as to take a string (5).

상기 수납판(8)은 사각 플레이트 형상으로서, 그 양측면에는 테두리부(8b)가 각각 돌출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테두리부(8b)의 사이에는 가로방향으로 돌출턱(8c)들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돌출턱(8c)의 사이에는 상대적으로 홈부(8d)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돌출턱(8c)과 홈부(8d)에 의하여 제1 요철부(8a)가 형성된다.The accommodating plate 8 has a rectangular plate shape, and edge portions 8b are formed on both sides thereof, and protrusion jaws 8c are form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between the pair of edge portions 8b. In addition, a groove portion 8d is relatively formed between the protruding jaws 8c. Accordingly, the first uneven portion 8a is formed by the protruding jaw 8c and the groove portion 8d.

또한, 상기 수납판(8)의 하부에는 상기 줄(1)의 양단부(1a)를 정확한 조립위치로 안내하기 위한 안내홈(8e)이 형성된다. 즉, 상기 줄(1)의 양단부(1a)를 상기 안내홈(8e)에 삽입하게 되면, 상기 줄(1)은 좌우로 유동되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상기 수납판(8)과 가압판(7)을 조립하는 경우, 상기 줄(1)이 일측으로 이탈 혹은 비틀리는 것이 방지되므로써 정확한 위치에 결합된다.In addition, a guide groove 8e is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receiving plate 8 to guide both ends 1a of the string 1 to the correct assembly position. That is, when the both ends 1a of the string 1 are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8e, the string 1 is prevented from flowing left and right. Therefore, when assembling the storage plate 8 and the pressure plate 7, the string 1 is prevented from being dislodged or twisted to one side, thereby being coupled to the correct position.

상기 가압판(7)은 상기 수납판(8)에 대응하는 사각 플레이트 형상이며, 그 일측면에 가로방향으로 돌출턱(7a)들이 형성되므로써 제2 요철부(7b)가 형성된다.The pressing plate 7 has a rectangular plate shape corresponding to the receiving plate 8, and the second protrusions 7b are formed by protruding jaws 7a formed on one side thereof in the horizontal direction.

상기 돌출턱(7a)의 폭(W1)은 수납판(8)의 홈부(8d)의 폭(W2)에 억지끼움이 가능할 정도의 길이를 갖는다. 따라서, 상기 가압판(7)의 다수개의 돌출턱(7a)이 상기 수납판(8)의 홈부(8d)에 각각 억지끼움되므로써 상기 가압판(7)이 수납판(8)에 일체로 결합된다.The width W1 of the protruding jaw 7a has a length such that interference fit is possible with the width W2 of the groove 8d of the accommodation plate 8. Accordingly, the plurality of protruding jaws 7a of the pressing plate 7 are pressed into the grooves 8d of the receiving plate 8, respectively, so that the pressing plate 7 is integrally coupled to the receiving plate 8.

이때, 상기 줄(1)의 양단부(1a)는 상기 가압판(7)과 수납판(8)의 사이에 억지끼움 방식에 의하여 고정된다.At this time, both ends 1a of the string 1 are fixed by an interference fit method between the pressing plate 7 and the receiving plate 8.

즉, 상기 줄(1)의 양단부(1a)는 상기 수납판(8)의 하부에 형성된 안내홈(8e)에 삽입되며, 상기 안내홈(8e)에 삽입된 줄(1)을 상기 수납판(8) 및 가압판(7)에 나란하게 위치시킨다.That is, both ends 1a of the string 1 are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8e form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storage plate 8, and the row 1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8e is inserted into the storage plate ( 8) and the pressure plate 7 side by side.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가압판(7)을 수납판(8) 방향으로 밀게 되면, 상기 줄(1)은 상기 가압판(7)과 수납판(8)의 사이에 억지끼움방식으로 끼워지게 되므로써 고정된다.Therefore, when the user pushes the pressing plate 7 in the direction of the receiving plate 8, the string 1 is fixed by being interposed between the pressing plate 7 and the receiving plate 8 in a force fitting manner.

이때, 상기 안내홈(8e)은 상기 줄(1)의 양측면에 접촉하므로써, 상기 줄(1)을 정확한 조립위치에 안내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줄(1)이 상기 가압판(7)에 의하여 가압될 때, 일측으로 벗어나거나 비틀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guide groove 8e is in contact with both sides of the string 1, thereby guiding the string 1 to the correct assembly position. Therefore, when the string 1 is pressed by the pressure plate 7, it can be prevented from deviating or twisting to one side.

상기 수납판(8)의 하부에 돌출 형성되는 고리(6)는 원호 형상이며, 적절한 탄력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된다. 또한, 그 소정위치에는 일정 간격의 틈새가 형성되는 절단부(6a)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고리(6)에는 핸드폰에 연결된 끈(5;도1), 장신구의 고리(6)등이 상기 절단부(6a)를 통하여 걸리게 된다.The ring 6 protruding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receiving plate 8 is arc-shaped and is formed of a material having appropriate elasticity. Moreover, the cutting part 6a in which the clearance gap of a predetermined space is formed in the predetermined position is formed. Therefore, the hook 6 is connected to the cord 5 (FIG. 1), a ring 6 of jewelry, and the like through the cutout 6a.

한편, 도 7의 (a) 내지 (g)에는 줄(1)의 다양한 단면이 도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줄(1)는 그 단면이 다이아몬드형, 요철형, 사각형, 원형등 다양한 단면 형상이 가능하다.Meanwhile, various cross sections of the string 1 are shown in FIGS. 7A to 7G. As shown, the string 1 has a variety of cross-sectional shapes, such as diamond, irregularities, squares, circles.

상기한 바와 같이 줄(1)의 단면이 여러 형상을 가지므로써, 상기 고정구(2)에 억지끼움방식에 의하여 고정되었을때, 마찰력에 의하여 상기 고정구(2)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cross section of the string 1 has various shapes, it is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fixture 2 by friction when fixed to the fixture 2 by the interference fitting method.

또한, 줄(1)이 다양한 형상의 단면을 가지므로 피부에 접촉시, 피부와의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므로 줄(1)이 피부에 완전히 밀착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어 불쾌감을 제거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피부에 땀 등이 차지 않게 된다.In addition, since the string 1 has a cross-section of various shapes, a space is formed between the skin when it contacts the skin, thereby preventing the string 1 from being completely adhered to the skin, thereby removing discomfort. As a result, sweat or the like does not get on the skin.

그리고, 줄(1)의 평면은 도 8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사선형상, 곡선형상, 정형상, 부형상등 소비자의 기호에 맞게 다양하게 형성 가능하다.In addition, the plane of the string 1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as shown in (a) and (b) of FIG. 8. That is, it can be variously formed according to consumer's preference such as oblique shape, curved shape, regular shape, and shaped shape.

상기 줄(1)의 단면 및 평면은 상기한 형상 외에 기타 다른 형상으로 형성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Of course, the cross section and the plane of the string 1 can be formed in other shapes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shape.

한편, 본 발명의 제2 실시예가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구(20)는 전술한 일 실시예와 동일한 형상을 가지나, 수납판(23)의 고리(6;도4)가 생략되고, 휴대폰 끈(22)이 일체로 성형되는 인써트부(21)가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Figs. As shown, the fastener 20 has the same shape as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but the ring 6 (Fig. 4) of the storage plate 23 is omitted, the insert in which the mobile phone string 22 is integrally molded The part 21 is formed.

상기 고정구(20)는 성형과정에 있어서, 휴대폰 끈(22)의 양단부(22a)를 인써트부(21)의 내부에 인입하고 일체로 성형가공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휴대폰 끈(22)의 양단부(22a)는 인써트부(21)와 일체를 이루게 된다.In the molding process, the fastener 20 introduces both ends 22a of the mobile phone string 22 into the insert portion 21 and is integrally molded. Therefore, both ends 22a of the mobile phone string 22 are integrated with the insert portion 21.

이러한 고정구(20)에 줄(1)을 연결하는 경우,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하게 상기 가압판(24)을 분리하고, 줄(1)의 양단부(1a)를 가압판(24)과 수납판(23)의 사이에 위치시키고, 다시 상기 가압판(24)을 수납판(23)에 억지끼움하므로써 고정하게 된다. 따라서, 제1 실시예와 다른 형상의 고정구를 형성하게 된다.When the string 1 is connected to the fastener 20, the pressure plate 24 is separated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first embodiment, and both ends 1a of the string 1 are pressed by the pressure plate 24 and the storage plate. It is located between the 23 and fixed again by forcing the press plate 24 to the storage plate 23 again. Therefore, a fixture having a shape different from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is formed.

도 12에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고정구가 도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실시예와 유사한 구조를 갖으나, 휴대폰 끈이 상기 인써트부(31)를관통하여 매듭에 의하여 고정된다.12 shows a fastene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t has a structure similar to the second embodiment, but the mobile phone strap is fixed by a knot through the insert portion 31.

즉, 인써트부(31)에 관통홀(32)을 형성하고, 상기 관통홀(32)을 통하여 끈을 삽입하여 가압판의 걸림턱에 걸어서 매듭을 형성하여 고정한 구조이다.That is, the through-hole 32 is formed in the insert part 31, and a string is inserted through the through-hole 32, and a knot is formed by hooking on the latching jaw of the pressure plate.

한편, 본 발명의 제4 실시예가 도 13 내지 도 15에 도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구(40)는 그 내부에 육면체 형상의 수납공간(42)이 형성되는 몸체(41)와, 상기 몸체(41)에 억지끼움 방식에 의하여 삽입되며 그 내부에 육면체 형상의 홈(43)이 형성되어 줄(1)의 양단부(1a)가 삽입되는 삽입부재(44)와, 상기 삽입부재(44)에 억지끼움 방식에 결합되므로써 상기 줄(1)을 상기 삽입부재(44)에 고정시키는 보조 삽입부재(45)를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Figs. As shown, the fixture 40 is inserted into the body 41, the hexagonal shape receiving space 42 is formed therein, by the interference fit method in the body 41 and the groove of the hexahedral shape therein An insertion member 44 into which both ends 1a of the string 1 are inserted, and 43 is formed, and the row member 1 is connected to the insertion member 44 by being coupled to the insertion member 44. It includes an auxiliary insertion member 45 for fixing to.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고정구(40)는 줄(1)에 고정하는 경우, 먼저 줄(1)의 양단부(1a)를 삽입부재(44)의 수납홈(43)에 삽입한다. 그리고, 보조 삽입부재(45)를 상기 수납홈(43)에 억지끼움 방식에 의하여 삽입하므로써 줄(1)의 양단부(1a)를 삽입부재(44)의 내부에 확고하게 고정시킨다.When the fastener 40 having the above structure is fixed to the string 1, first, both ends 1a of the string 1 are inserted into the receiving groove 43 of the insertion member 44. Then, by inserting the auxiliary insertion member 45 into the receiving groove 43 by the interference fitting method, both ends 1a of the string 1 are firmly fixed to the inside of the insertion member 44.

그리고, 줄(1)의 양단부(1a)가 삽입부재(44)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삽입부재(44)를 몸체(41)의 수납공간(42)에 억지끼움 방식에 의하여 삽입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구를 줄(1)에 일체로 연결하고, 고리에 핸드폰 및 장신구를 걸어서 사용할 수 있다.Then, in the state in which both ends (1a) of the string (1)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member 44, the insertion member 44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space 42 of the body 41 by the interference fit method. Thus, the fixture can be connected integrally to the rope 1, and the mobile phone and jewelry can be used by hanging the hook.

본 발명의 제5 실시예가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본체(51)는 상기 제4 실시예와 동일한 구조이나 수납공간(53)의 내측면(57)에 반원형 홈(52)이 각각 형성되고, 삽입부재(54)의 외측면에 반원형 돌기(56)가 형성된다. 그리고, 보조 삽입부재(45;도14)는 생략되는 형태이다.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FIGS. 16 and 17.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main body 51 has the same structure as that of the fourth embodiment or the semicircular grooves 52 ar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57 of the storage space 53, respectively,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insertion member 54 is provided. A semi-circular protrusion 56 is formed in the. In addition, the auxiliary insertion member 45 (Fig. 14) is omitted.

즉, 삽입부재(54)는 육면체 형상이며, 그 하단부에 소정 깊이의 홈(55)이 형성된다. 이 홈(55)에는 상기 삽입부재(54)가 상기 몸체(51)의 수납공간(53)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줄(1)의 양단부(1a)가 서로 교차하여 위치하게 된다.That is, the insertion member 54 has a hexahedron shape, and a groove 55 having a predetermined depth is formed at the lower end thereof. When the insertion member 54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space 53 of the body 51 in the groove 55, both ends 1a of the string 1 cross each other.

그리고, 상기 삽입부재(54)의 양측면에는 반원형 돌기(56)가 돌출되어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상기 반원형 돌기(56)는 상기 몸체(51)의 반원형 홈(52)에 억지끼움이 가능할 정도의 크기를 갖는다. 따라서, 상기 삽입부재(54)는 상기 몸체(51)의 수납공간(53)에 억지끼움 방식에 의하여 고정된다.In addition, semicircular protrusions 56 protrude from both sides of the insertion member 54 to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semi-circular protrusion 56 has a size such that interference fit into the semi-circular groove 52 of the body 51. Therefore, the insertion member 54 is fixed to the receiving space 53 of the body 51 by an interference fit method.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고정구(50)를 조립하는 경우, 먼저 줄(1)의 양단부(1a)를 삽입부재(54)의 홈(55)에 위치시킨다. 그리고, 상기 삽입부재(54)를 상기 본체(51)와의 결합위치에 위치시키고 외력을 가하여 하부로 누른다.When assembling the fastener 50 having the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firstly, both ends 1a of the string 1 are positioned in the groove 55 of the insertion member 54. Then, the insertion member 54 is positioned in the engaging position with the main body 51 and pressed downward by applying an external force.

이때, 상기 반원형 돌기(56)는 상기 반원형 홈(52)에 억지끼움 방식에 의하여 삽입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고정구(50)는 줄(1)에 일체로 결합되는 것이다.At this time, the semi-circular protrusion 56 is inserted into the semi-circular groove 52 by the interference fit method. As a result, the fastener 50 is integrally coupled to the string 1.

본 발명의 제6 실시예가 도 18 및 도 19에 도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고정구(60)는 제4 실시예와 유사한 형상을 가지나, 몸체(61)의 하부에 돌출된 고리가 생략되고, 인써트부(62)가 돌출 형성된다.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FIGS. 18 and 19. As shown, the fastener 6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s a shape similar to that of the fourth embodiment, but the ring protruding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body 61 is omitted, and the insert portion 62 protrudes.

상기 고정구(20)는 성형과정에 있어서, 휴대폰 끈(63)의 양단부(64)를 인써트부(62)의 내부에 인입하고 일체로 성형가공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휴대폰 끈(63)의 양단부(64)는 인써트부(62)에 일체로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휴대폰 끈에는 휴대폰을 연결하여 사용하게 된다.In the forming process, the fastener 20 introduces both ends 64 of the mobile phone string 63 into the insert portion 62 and is integrally molded. Thus, both ends 64 of the mobile phone string 63 are integrally connected to the insert portion 62. The mobile phone strap is used to connect a mobile phone.

도 20에는 상기 제6 실시예와 유사한 구조를 갖는 제7 실시예가 도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고정구(70)는 휴대폰 끈(74)이 매듭(75)에 의하여 인써트부(71)에 일체로 연결되는 방식이다.20 shows a seventh embodiment having a structure similar to the sixth embodiment. As shown, the fastener 7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a method in which the mobile phone string 74 is integrally connected to the insert portion 71 by the knot 75.

즉, 인써트부(71)에 관통홀(72)이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관통홀(72)의 상부에는 소정 공간(73)이 형성된다. 따라서, 끈(74)의 상단부를 서로 묶어서 매듭(75)을 형성하고 상기 관통홀(72)을 관통하므로써 상기 끈(74)이 매듭(75)에 의하여 인써트부(71)로부터 이탈되지 않는다.That is, the through hole 72 is formed in the insert portion 71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 predetermined space 73 is formed above the through hole 72. Accordingly, the string 74 is not separated from the insert portion 71 by the knot 75 by tying the upper ends of the string 74 to form a knot 75 and penetrating the through hole 72.

본 발명의 제8 실시예가 도 21 내지 도 23에 도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기기 및 장신구줄에 장신구(81)와 고리(83)를 추가로 장착하여 줄(1)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구조이다.An eigh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Figs. 21-23. As shown, the present embodiment is a structure to adjust the length of the string (1) by additionally mounting the ornaments 81 and the ring 83 to the portable device and jewelry strap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상기 휴대기기 및 장신구줄은 사용자가 목에 걸 수 있는 줄(1)과, 상기 줄(1)의 단부에 부착되는 고정구(82)와, 상기 줄(1)에 끼워지는 장신구(81)와, 그리고 상기 장신구(81)와 고정구(82)가 결합되는 핸드폰 고리(83)를 포함한다.The mobile device and the jewelry strap is a string (1) that the user can hang on the neck, a fastener (82) attached to the end of the string (1), the ornament 81 is fitted to the string (1), And the ornaments 81 and the fasteners 82 is coupled to the mobile phone ring 83 is included.

상기 줄(1)의 양단부는 장신구(81)에 형성된 2 개의 관통홀(85,86)을 관통하게 된다. 그리고,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게 상기 고정구(82)에 억지끼움방식에 의하여 고정된다.Both ends of the string 1 pass through two through holes 85 and 86 formed in the jewelry 81.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fastener 82 is fixed by an interference fit method.

상기와 같이 줄(1)에 끼워진 장신구(81)를 상방향으로 잡아당겨서 줄(1)의 타단부(1b), 즉, 고정구(82)가 장착된 반대편에 상기 장신구(81)를 위치시킨다. 그리고, 상기 줄(1)을 절반 정도로 접어서 상기 장신구 고리(87)가 상기 핸드폰 고리(83)에 걸리게 한다.By pulling the ornament 81 fitted in the string 1 as described above, the ornament 81 is placed on the other end 1b of the string 1, that is, on the opposite side to which the fastener 82 is mounted. Then, the string 1 is folded about halfway so that the ornament ring 87 is caught by the cellular phone ring 83.

따라서, 상기 핸드폰 고리(83)에는 상기 고정구 고리(82a)와 상기 장신구 고리(87)가 같이 걸리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핸드폰 고리(83)에는 휴대폰이 끈 등에 의하여 연결된다.Thus, the mobile phone ring 83 is caught with the fixture ring 82a and the ornament ring 87. And, the mobile phone ring 83 is connected to the mobile phone by a string or the like.

한편, 상기 장신구(81)는 도2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2 개의 관통홀(85,86)이 형성된 사각 플레이트(84)와, 상기 사각 플레이트(84)의 네측면에 형성된 고리(87)를 포함한다.Meanwhile, as illustrated in FIG. 23, the jewelry 81 includes a rectangular plate 84 having two through holes 85 and 86 and a ring 87 formed at four sides of the rectangular plate 84. Include.

그리고, 이러한 장신구(81)는 관통홀(85,86)의 방향을 다양하게 형성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장신구(81)가 줄(1)에 부착되는 경우, 장신구(81)의 측면이 다양하게 보이므로 사용자는 기호에 따라 적절한 장신구(81)를 선택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ornaments 81 may be formed in various directions of the through holes 85 and 86. Therefore, when the ornament 81 is attached to the string 1, since the side of the ornament 81 is seen in various ways, the user can select an appropriate ornament 81 according to the preference.

본 발명의 제9 실시예가 도 24에 도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고정구(90)는 복수개의 수납홈(94)이 형성되는 수납판(93)과 상기 복수개의 수납홈(94)에 각각 삽입되는 결합돌기(92)가 돌출 형성되는 가압판(91)을 포함하게 된다.A ni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FIG. As shown, the fastener 9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protrudes the receiving plate 93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receiving grooves 94 and the engaging projection 92 is inserted into the plurality of receiving grooves 94, respectively. It includes a pressure plate 91 is formed.

그리고, 상기 수납판(93)과 가압판(91)이 서로 일체로 결합될때, 평면형상의 휴대기기 및 장신구 줄(1)이 상기 수납판(93)과 가압판(91)의 사이에 끼워지므로써 일체로 고정된다.When the storage plate 93 and the pressure plate 91 are integrally coupled to each other, the flat portable device and the jewelry string 1 are integrally sandwiched between the storage plate 93 and the pressure plate 91. It is fixed.

즉, 상기 줄(1)을 수납판(93)의 상면에 위치시키고, 상기 가압판(91)의 결합돌기(92)를 수납판(93)의 수납홈(94)과의 결합 위치에 정열한다. 그리고, 외력을 가하여 상기 가압판(91)을 수납판(93) 방향으로 밀게되면, 상기 결합돌기(92)가 상기 수납홈(94)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삽입된다.That is, the string 1 is position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eceiving plate 93, and the engaging protrusion 92 of the pressing plate 91 is aligned at the engaging position with the receiving groove 94 of the receiving plate 93. Then, when the pressing plate 91 is pushed in the direction of the receiving plate 93 by applying an external force, the coupling protrusion 92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groove 94 in an interference fit manner.

이때, 상기 평면형상의 줄(1)이 상기 결합돌기(92)에 의하여 상기 수납홈(94)의 내부로 끼워지므로써 고정되는 것이다.At this time, the planar string (1) is fixed by being fitted into the interior of the receiving groove 94 by the coupling protrusion 92.

또한,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구(90)는 고리(95)를 대신하여 핸드폰 끈(96)이 직접 고정구(90)에 연결될 수도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25, the fastener 90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fastener 90 by a mobile phone string 96 instead of the ring 95.

즉, 상기 고정구(90)의 소정위치에 걸림돌기(97)가 돌출 형성되며, 일측방향으로 관통홀(98)이 형성된다. 그리고, 핸드폰 끈(96)이 상기 관통홀(98)을 통과하여 상기 걸림돌기(97)에 묶이므로써 일체로 연결된다.That is, the locking protrusion 97 is formed to protrude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fixture 90, the through hole 98 is formed in one side direction. Then, the mobile phone string 96 is integrally connected by passing through the through hole 98 and tied to the locking protrusion 97.

본 실시예에 있어서 줄의 형상이 평면형상의 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코일 형상의 줄도 사용가능한 것은 물론이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hape of the cord is not limited to a planar cord, and a coil-shaped cord can also be used.

또한, 전술한 실시예들에 예시된 고정구는 휴대폰 뿐만 아니라 목걸이등의 귀금속, 악세서리에도 적용가능하다.In addition, the fasteners exemplified in the above embodiments are applicable not only to mobile phones but also to precious metals and accessories such as necklaces.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기기 및 장신구줄 고정구는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ortable device and the ornament strap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the following advantages.

첫째, 휴대기기 및 장신구줄 고정구는 억지끼움 방식에 의하여 줄에 부착하므로써 조립시간이 절감되므로 생산성이 향상된다.First, since the assembly time is reduced by attaching the mobile device and the ornament strap to the line by the interference fitting method, the productivity is improved.

둘째, 장신구를 추가로 장착하여 고정구와 함께 고리에 연결하므로써 줄을 절반정도의 길이로 줄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사용이 편리한 장점이 있다.Secondly, by attaching the ornament additionally connected to the hook with the fastener can be used to reduce the length of the line to about half,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is convenient to use.

셋째, 고정구에 안내홈을 형성하여 줄 삽입시 줄을 안내하므로써 줄이 조립위치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조립시간 및 조립 정밀도를 향상시키는 장점이있다.Third, there is an advantage to improve the assembly time and assembly precision by preventing the line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assembly position by guiding the line when inserting the line by forming a guide groove in the fixture.

넷째, 줄의 단면 및 평면을 다양하게 형성하므로써, 피부와 접촉시 피부에 완전히 밀착되지 않으므로 땀이 차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Fourth, by forming a variety of cross-sections and planes of the string, it is possible to prevent sweating because it does not completely adhere to the skin when in contact with the skin.

다섯째, 장신구의 형상을 다양하게 형성하므로써, 줄에 부착시 디자인적으로 세련된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다.Fifth, by forming a variety of ornaments, when attached to a string can create a sophisticated design atmosphere.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특허 청구의 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and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addition, it is natural that it belongs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6)

일측면에 서로 소정간격 이격되는 복수개의 돌출턱에 의하여 제1 요철부가 형성되는 수납판;A storage plate having a first uneven portion formed by a plurality of protruding jaw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on one side thereof; 일측면에 상기 제1 요철부에 대응되는 제2 요철부가 형성되므로써, 상기 수납판의 제1 요철부에 억지끼움방식에 의하여 일체로 고정되는 가압판;A pressure plate which is integrally fixed to the first uneven portion of the accommodation plate by an interference fitting method by forming a second uneven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uneven portion on one side; 상기 수납판과 상기 가압판의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수납판과 가압판이 결합되는 경우 그 사이에 일체로 고정되는 줄; 그리고A string positioned between the storage plate and the pressure plate and integrally fixed therebetween when the storage plate and the pressure plate are coupled; And 상기 가압판 및 수납판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돌출 형성되어 휴대기기 및 장신구가 결합가능한 걸림수단을 포함하는 휴대기기 및 장신구줄 고정구.Mobile device and ornaments straps and protrusions selectively formed on any one of the pressure plate and the receiving plate comprising a locking means coupled to the mobile device and jewelry.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판의 하부에는 안내홈이 형성되므로써, 상기 줄의 양단부가 삽입되어 상기 수납판과 가압판이 결합되는 경우, 상기 줄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휴대기기 및 장신구줄 고정구.The portable device of claim 1, wherein a guide groove is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accommodating plate, and thus, when both ends of the cord are inserted to couple the accommodating plate and the pressure plate, the cord is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일측면으로부터 내부로 소정의 수납공간이 형성되는 몸체;A body in which a predetermined storage space is formed from one side thereof; 상기 몸체의 수납공간에 억지끼움 방식에 의하여 삽입되어 일체로 고정되는 삽입부재;An insertion member inserted into the storage space of the body by an interference fitting method and fixed integrally with the body; 상기 삽입부재가 상기 몸체에 삽입되는 경우, 그 양단부가 상기 삽입부재와 상기 몸체의 사이에 끼워지므로써 일체로 고정되는 줄; 그리고When the insertion member is inserted into the body, both ends thereof are integrally fixed by being sandwiched between the insertion member and the body; And 상기 몸체의 하부에 돌출 형성되어 휴대기기 및 장신구가 선택적으로 걸릴 수 있는 걸림수단을 포함하는 휴대기기 및 장신구줄 고정구.Is formed protruding in the lower portion of the body and portable devices and ornaments straps including a locking means that can be selectively caught mobile devices and ornaments.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재는 하부면에 소정의 빈 공간이 내부로 형성되며, 상기 줄의 양단부가 상기 빈 공간에 끼워지는 휴대기기 및 장신구줄 고정구.According to claim 3, The insertion member has a predetermined empty space is formed in the lower surface, the mobile device and jewelry strap fixing device that both ends of the string is fitted into the empty space.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재의 빈 공간에 억지끼움 방식에 의하여 삽입되므로써, 상기 삽입부재의 빈 공간에 상기 줄이 끼워진 경우, 상기 줄을 상기 삽입부재의 내부에 밀착하여 고정시키는 보조 삽입부재를 더 포함하는 휴대기기 및 장신구줄 고정구.The auxiliary inserting member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when the string is inserted into the empty space of the inserting member, the auxiliary inserting member is fixed in close contact with the inside of the inserting member. Mobile device and ornaments including more fixtures.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재의 하부에는 상부로 절개되는 홈이 형성되며, 상기 줄의 양단부가 상기 홈을 통하여 서로 교차되는 휴대기기 및 장신구줄 고정구.According to claim 3, The lower portion of the insertion member is formed with a groove which is cut upwards, the mobile device and jewelry strap fixture that the both ends of the string cross each other through the groove.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재의 양측면에는 소정형상의 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수납공간의 내측면에도 소정형상의 홈이 형성되어, 상기 삽입부재가 상기 몸체의 수납공간에 삽입될때, 상기 돌기가 상기 홈에 억지끼움되므로써 일체로 고정되는 휴대기기 및 장신구줄 고정구.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a projection having a predetermined shape protrudes on both side surfaces of the insertion member, and a groove of a predetermined shape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torage space of the body so that the insertion member is inserted into the storage space of the body. , The mobile device and the jewelry strap fixture is fixed integrally by being pressed into the groove. 제1 또는 제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그 중간에 복수개의 관통홀이 형성되는 사각 플레이트와 상기 사각 플레이트의 네 변에 고리가 각각 돌출 형성되는 장신구를 더 포함하여, 상기 줄이 상기 관통홀을 통과하므로써 상기 장신구가 상기 줄에 끼워지는 휴대기기 및 장신구줄 고정구.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further comprising a rectangular plate in which a plurality of through-holes are formed in the middle and ornaments protruding from the four sides of the rectangular plate, respectively, wherein the string is through A mobile device and a jewelry strap fixture, through which the ornament is fitted to the strap.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장신구의 고리를 상기 고정구의 고리에 연결되는 핸드폰 고리에 연결하므로써 상기 줄의 길이를 줄여서 사용 가능한 휴대기기 및 장신구줄 고정구.The apparatus of claim 8, wherein the strap of the ornament is usable by reducing the length of the cord by connecting the hook of the cell phone to the hook of the fixture. 제1 또는 제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줄은 소정폭을 갖는 평면형상이며, 그 단면의 형상이 다이아몬드형, 요철형, 사각형, 원형 중 어느 한 형상인 휴대기기 및 장신구줄 고정구.The mobile device and jewelry file fastener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file has a flat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and the cross section has any one of a diamond shape, an uneven shape, a square shape, and a circular shape.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줄은 그 평면이 곡선, 사선, 정형상, 부형상중 어느 한 형상으로 이루어 지는 휴대기기 및 장신구줄 고정구.11. The mobile device and trinket strap according to claim 10, wherein the string has a planar shape of any one of a curved line, an oblique line, a regular shape, and an extruded shape. 제1 또는 제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수단은 고리를 포함하는 휴대기기 및 장신구줄 고정구.The mobile device and the jewelry strap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locking means comprises a hook. 제1 또는 제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수단은 끈과 일체로 성형되는 인써트부를 포함하는 휴대기기 및 장신구줄 고정구.The mobile device and the trinket strap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locking means comprises an insert part integrally formed with a string. 제1 또는 제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수단은 그 내부에 관통홀이 형성되어 끈이 관통하는 인써트부를 포함하며, 상기 관통홀을 관통한 상기 끈은 상기 가압부와 수납부의 사이에 끼워지므로써 고정되는 휴대기기 및 장신구줄 고정구.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locking means has a through hole formed therein and includes an insert portion through which the string penetrates, The string penetrating the through hole is the pressing portion and the receiving portion Mobile devices and trinkets fastened by being sandwiched between them. 제1 또는 제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수단은 그 내부에 관통홀이 형성되어 끈이 관통하며, 상기 관통홀의 상부에 소정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관통홀을 관통한 상기 끈의 상단부에 매듭이 형성되므로써 고정되는 인써트부를 포함하는 휴대기기 및 장신구줄 고정구.The method of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locking means has a through hole formed therein, through which a string penetrates, and a predetermined space is formed in an upper portion of the through hole. Mobile device and jewelry strap fixture comprising an insert that is fixed by forming a knot at the top.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납홀이 형성되는 수납판;An accommodation plate on which at least one storage hole is formed; 상기 수납홀에 대응되는 결합돌기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결합돌기가 상기 수납홀에 각각 삽입되므로써 상기 수납판에 일체로 결합되는 가압판; 그리고A pressure plate that is formed to protrude from a coupling protrusion corresponding to the storage hole, and the coupling protrusion is integrally coupled to the storage plate by being inserted into the storage hole, respectively; And 상기 가압판과 수납판이 서로 일체로 결합되는 경우, 그 사이에 위치하므로써 상기 결합돌기에 의하여 상기 수납홀에 끼워지는 줄을 포함하는 휴대기기 및 장신구줄 고정구.When the pressing plate and the receiving plate is integrally coupled to each other, the mobile device and jewelry strap fixture including a line that is inserted between the receiving hole by the coupling projection located between.
KR1020000039684A 2000-07-11 2000-07-11 Accessary for use in necklace KR100362330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9684A KR100362330B1 (en) 2000-07-11 2000-07-11 Accessary for use in necklace
KR2020000020531U KR200208094Y1 (en) 2000-07-11 2000-07-18 Accessary for use in necklace and portable applian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9684A KR100362330B1 (en) 2000-07-11 2000-07-11 Accessary for use in necklace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0531U Division KR200208094Y1 (en) 2000-07-11 2000-07-18 Accessary for use in necklace and portable appliance
KR2020000020530U Division KR200208719Y1 (en) 2000-07-18 2000-07-18 String for use in accessary and portable applian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6180A KR20020006180A (en) 2002-01-19
KR100362330B1 true KR100362330B1 (en) 2002-11-29

Family

ID=196774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9684A KR100362330B1 (en) 2000-07-11 2000-07-11 Accessary for use in neckla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62330B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6180A (en) 2002-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54719B1 (en) Connecting structure of a bulb holder of a decorative light string
KR100362330B1 (en) Accessary for use in necklace
KR100880951B1 (en) Accessories coupling device
KR200208094Y1 (en) Accessary for use in necklace and portable appliance
US6981781B2 (en) Decorative light supporting assembly
KR100495501B1 (en) Connector for use in necklace
KR101240693B1 (en) Nail accessory
KR200208719Y1 (en) String for use in accessary and portable appliance
KR200298518Y1 (en) Connecting apparatus and accessory therewith
KR101605458B1 (en) Accessory for attached devices
KR100548789B1 (en) Mobile phone accessory
KR200491074Y1 (en) chain
KR20040037434A (en) Strap and accessory
KR200198210Y1 (en) Coil-cord connecting structure
KR100536179B1 (en) A strap for portable electronic machine and method of same that
KR100528978B1 (en) Connection buckle
KR200158149Y1 (en) Cord hook connector of bag
KR100628944B1 (en) Necklace having connector
JPS6333927Y2 (en)
KR200210233Y1 (en) Ring structure for accessary
KR200327776Y1 (en) string join structure for cellular phone
KR200298511Y1 (en) Conclude structure of personal ornaments
KR200201857Y1 (en) Connector assembly
KR200179845Y1 (en) Pendant structure for decoration
JP2024063498A (en) Jewelry parts and jewel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