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8170Y1 - 여과기를 이용한 산소호흡기 - Google Patents

여과기를 이용한 산소호흡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8170Y1
KR200298170Y1 KR2020020026311U KR20020026311U KR200298170Y1 KR 200298170 Y1 KR200298170 Y1 KR 200298170Y1 KR 2020020026311 U KR2020020026311 U KR 2020020026311U KR 20020026311 U KR20020026311 U KR 20020026311U KR 200298170 Y1 KR200298170 Y1 KR 20029817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se
filter
air
oxygen
oxygen respi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631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원
하동주
Original Assignee
하동주
하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동주, 하원 filed Critical 하동주
Priority to KR202002002631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817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817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8170Y1/ko

Links

Landscapes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산소호흡기에 관한 것으로서, 유연성 및 탄성을 갖는 호스가 구비된 산소호흡기에 있어서, 상기 호스를 구부렸을 때 구부린 상태가 유지되도록 와이어가 내장된 호스와, 유입되는 공기의 기밀성을 유지하기 위해 몸통의 상부에 고정결합되는 커버와, 공기를 정화시키기 위해 상기 몸통의 내부에 설치되는 필터로 구성된 여과기가 상기 호스와 연결되어 이루어져, 별도의 고정수단을 사용하지 않고도 사용자의 안면부에 상기 호스를 고정된 상태로 유지시켜 여과기에 의해 정화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는 여과기를 이용한 산소호흡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여과기를 이용한 산소호흡기{FILTER USING AN OXYGEN INHALER}
본 고안은 비강부 또는 구강부에 호스를 착용하여 산소를 공급하는 산소호흡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유연성(柔軟性) 및 소성(塑性)을 갖는 호스와 공기정화를 할 수 있는 여과기가 연결되어 이루어져 상기 호스를 착용하였을 때 그 고정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게 되면서 여과기에 의해 정화된 깨끗한 공기가 직접 신체로 유입되어 건강을 보호 및 증진 시킬 수 있는 여과기를 이용한 산소호흡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소호흡기는 치료의 목적을 위하여 의료용 또는 잠수용, 소방용, 가정용 등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병인의 의한 호흡곤란 또는 수중에서의 호흡곤란, 화재발생시 질식에 의한 호흡곤란 등으로 인한 소생조치에 있어서 필수적인 장비이다.
또한, 최근에는 사회적인 특성상 담배연기, 아황산가스, 질소화합물, 일산화탄소 등의 공기오염에 의한 호흡기 질환의 발생에 따른 방어의 목적으로 간단한 구조의 산소호흡기 또는 공기여과기 등이 일상생할에서 사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상기의 치료 목적을 위한 산소호흡기는 통상적으로 산소통에 흡입호스 또는 마스크가 연결되어 사용자의 비강부 또는 구강부에 상기 흡입호스 또는 마스크를 착용시켜 산소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었다.
상기 흡입호스는 일반적으로 고무 또는 실리콘 등으로 형성되어 재질이 갖는 고유의 성질인 유연성 및 탄성력을 가지고 있으며, 내압력을 증가시켜주기 위하여 보강수단을 내장하여 편상식(編上式) 또는 포권식(布捲式) 등의 방법으로 호스를 성형하였다. 이렇게 성형된 호스는 유체의 팽창압력 뿐만 아니라 외력에도 쉽게 변형되지 않으며 탄성력에 의하여 굴곡시키면 다시 복원되는 성질이 크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흡입호스에 의해 산소를 공급할 때는 사용자, 즉 환자의 비강부 또는 구강부에 위치시키기 위하여 적절히 구부러뜨린 후 상기 흡입호스의 복원을 저지하기 위하여 테이프를 사용하여 상기 호스를 안면부에 고정시키거나 또는 굴곡부에 엘보우, U보우 등의 연결부재를 부가한 후 이를 테이프로 고정시켜서 사용되었다. 이 경우 장시간 상기 테이프를 안면부에 부착하여 사용하므로 피부에서 분비되는 분비물에 의하여 부착력이 약화되거나 상기 사용자의 안면에 테이프를 직접 부착함으로써 답답함과 거부감을 가질 수 있었다. 또한, 상기 흡입호스를 수직으로 세워서 사용할 경우 유연성과 탄성으로 인해 직립되지 못하여 일정 높이마다 고정수단으로 고정시켜 사용해야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상기 마스크는 산소의 이동로인 산소호스와 연결되고 그 전면에는 공기 배출공이 형성되어 그 후방으로 사용자의 안면에 접하여 별도로 형성된 밴드등에 의해 사용자의 머리에 고정시켜 사용하였다. 그러나, 상기 마스크의 착용시 그 전면에 형성된 흡입공을 통해 외부의 오염된 공기와 함께 먼지가 여과없이 흡입될 우려가 있고, 또 코의 양측 오목한 부분이 들뜨게 되어 그 틈새를 통해서도 먼지나 이물질및 병균이 침투할 우려가 높은데, 이러한 먼지는 농도가 공기 1m3중 7mg 이상일 경우에는 집진(集塵), 그 이하일 경우에는 공기정화의 범위이고, 인간의 폐에 들어가면 해로운 먼지의 크기는 0.5~5이며, 10이상의 것은 육안으로도 확인이 되는 크기이므로 불쾌감을 유발하며 또한 사용자가 환자인 경우 합병증을 유발시키거나 또는 생명에 위협을 가할 소지가 있었다.
또한 병의원에서 사용되는 상기 호스 또는 마스크를 포함한 산소호흡기는 전문가에 의해 관리되고 일정한 장소에 설치되어 환자가 사용하기에 아무런 문제가 없지만, 일반가정에서 또는 외부에서의 갑작스런 사고 발생의 경우 산소통이 구비된 산소호흡기를 사용하기에는 상기 산소통이 무거우므로 이동에 상당한 무리가 따르고 전문지식을 갖지 않은 사람이 다루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그리고, 갑작스런 외부에서의 사고발생의 경우에는 튜브형으로 형성되어 수동으로 공기를 불어넣는 산소호흡기에 의해 대기중의 산소를 주입할 경우 오염된 공기가 주입될 우려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비강부 또는 구강부에 착용되는 호스의 내부에 와이어가 내장되어 상기 호스를 구부린 상태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하여 별도의 고정수단를 사용하지 않고도 위치선정을 할 수 있고, 상기 호스에 여과기가 연결되어 산소통의 공기 뿐만 아니라 대기중의 공기도 정화시켜 장소에 구애를 받지않고 더욱 깨끗한 공기를 제공하는 여과기를 이용한 산소호흡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상기 목적은, 호스가 구비된 산소호흡기에 있어서, 상기 호스를 구부렸을 때 구부린 상태가 유지되도록 와이어가 내장된 호스와, 유입되는 공기의 기밀성을 유지하기 위해 몸통의 상부에 고정결합되는 커버와, 공기를 정화시키기 위해 상기 몸통의 내부에 고정되는 필터와 망체로 구성된 여과기가 상기 호스와 연결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여과기를 이용한 산소호흡기에 의해서 달성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여과기를 이용한 산소호흡기의 사시도,
도 2는 도1에 도시된 호스의 단면도,
도 3a, 3b는 본 고안에 따른 호스의 다른 실시예로서 한 쌍으로 이루어진 호스를 도시한 사시도,
도 4은 본 고안에 따른 여과기를 이용한 산소호흡기의 사용상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호스와 액상의 내용물이 담겨진 저장용기가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저장용기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 1":호스 2:여과기
3:와이어 4:비강부
5:구강부 6:내용물
7:액상의 내용물 11:내관
12:단면 13:유입구
21:몸체 22:커버
23:망체 24:필터
25:흡입구 26:연결구
27:저장용기 100:산소호흡기
이하, 상기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시 할 수 있는 본 고안에 따른 여과기를 이용한 산소호흡기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여과기를 이용한 산소호흡기의 사시도로서,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되는 호스(1)와 공기를 정화시키기 위한 여과기(2)가 연결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호스(1)는 합성수지, 플라스틱, 실리콘, 고무 등의 유연한 성질를 갖는 재료로 형성되어 사람의 비강부(4) 또는 구강부(5)에 착용되어 폐로 산소를 주입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유체의 이동을 위한 내관(11)이 형성되어 있고, 그 단면(12)에는 상기 호스(1)가 자유자재로 위치설정될 수 있도록 와이어(3)가 심어진 상태에서 상기 호스(1)의 변형에 대하여 단면(12)이 심하게 변형되거나 찢겨지지 않도록 일정한 두께로 다소 두껍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와이어(3)는 유연성(柔軟性) 및 소성(塑性)이 우수한 재질로 형성되고, 수분이 포함된 유체에 대하여 적용되기 위해서 상기 와이어(3)에 방청 코팅을 행하거나 비철금속으로 형성된 와이어(3)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여과기(2)는 유입되는 공기를 깨끗하게 정화시키기 위한 장치로서, 상부는 개방되고 하부는 공기가 유입되기 위한 흡입구(25)를 갖는 몸체(21)와, 상기 몸체(21)의 상부에 안착되어 상기 호스(1)와 연결되기 위한 연결구(26)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호스(1)로 유입되는 공기가 오염되지 않도록 기밀성을 유지하기 위해 상기 몸체(21)에 고정결합되는 커버(22)와, 상기 몸체(22)의 내부에 설치되는 망체(23)와, 상기 망체(23)의 상부에 안착되어 유입되는 공기를 정화시키는 필터(24)로 구성된다.
상기 필터(24)는 일반적으로 매우 얇은 직물, 종이, 유리섬유 등이 촘촘히 겹쳐져 형성되며, 그 틈새로 공기가 흐르면서 일반분진과 미립자, 박테리아, 진드기, 바이러스 뿐만아니라 담배연기, 냄새, 먼지 등이 포집되어 공기를 정화시키게 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호스의 단면도로서, 상기 호스(1)는 내관(11)을 중심으로 단면(12)의 두께가 일정하며 상기 단면(12)의 일측에는 와이어(3)가 내장되어 있다. 이때 상기 와이어(3)는 상기 호스(1)의 탄성력보다 더 큰 변형력을 갖고 있어서 상기 와이어(3)가 내장된 호스(1)는 사용자의 소망에 따라 어느 위치에서든 구부러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호스(1)에 와이어(3)를 내장시키기 위해서는 공지의 압출성형에 의하여 호스(1)를 제작할 때, 상기 호스(1)의 압출성형과 동시에 그 단면(12)에 길이가 긴 와이어(3)를 연속적으로 공급하면서 압출을 행하여 상기 호스(1)에 와이어(3)가 내장되도록 성형한다. 그 밖의 방법으로는 유연한 호스(1)를 압출성형기를 사용하여 성형한 후 상기 호스(1)의 단면(12)에 와이어(3)가 끼워지기 위한 구멍을 형성하며 이후 상기 구멍에 와이어(3)를 끼워넣는 방식으로 형성할 수도 있지만 이 방법은 와이어(3)를 호스(1)의 단면(12)에 형성된 구멍에 끼워넣는 것이 다소 까다롭고 길이가 긴 호스(1)에 대해서는 적용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도 3a는 본 고안에 따른 호스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수평상태로 놓인 호스(1')에 대해서 직교방향으로 소정의 길이 연장되어 두 개의 유입구(13)가 형성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으며, 도 3b는 상기 호스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하나로 이어지던 호스(1")를 소정의 위치에서 두개로 분리시켜 두개의 유입구(13)가 형성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때 도 3a에 도시된 유입구(13)는 비강부(4)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적당한 간격으로 형성되고, 도 2b에 도시된 하나로 이어져오던 호스(1")가 소정의 위치에서 두개로 분리되어 연장된 호스(1")에 대해서는 두개의 와이어(3)가 내장되어 각각의 유입구(13)에도 와이어(3)가 각각 내장되어 있는 상태이다.
상기와 같이 한 쌍의 유입구(13)를 갖는 상기 호스(1',1")를 사용자의 비강부(4)에 착용하여 공기를 주입하게 되면, 더욱 원활히 사용자의 폐로 여과기(2)에 의해 정화된 깨끗한 공기를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여과기를 이용한 산소호흡기의 사용상태도로서, 한개 또는 두개의 유입구(13)가 형성된 호스(1, 1')에 연결된 여과기(2)에는 대기중의 공기가 유입될 수도 있고, 또는 상기 여과기(2)에 산소공급장치(미도시)가 연결되어 산소가 공급될 수도 있다.
상기 여과기(2)에 연결된 호스(1)는 사용자의 안면부까지 길게 연장 형성되어 사용자는 사용자의 위치에 맞추어 상기 호스(1)의 소정의 위치를 알맞게 구부려서 일단이 비강부(4)에 착용되게 한다. 상기 비강부(4)내로 착용된 상기 호스(1)는 내부에 와이어(3)가 내장된 상태이므로 별도의 고정수단을 사용하지 않아도 상기 호스(1)는 자유자재로 사용자에 의해 위치설정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게된다. 그리고, 상기 호스(1)의 타단과 연결된 상태의 여과기(2)의 의해 유입되는 공기는 상기 여과기(2)내의 망체(23)와 필터(24)를 거쳐 상기 호스(1)로 유입되어 비강부(4) 내로 투입되므로 사용자는 깨끗하게 정화된 공기를 제공받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여과기(2)의 망체(23)에 식물의 열매, 잎, 뿌리 또는 약재 등 인체에 이로운 내용물(6)(미도시)을 담은 후 사용하게 되면 유입되는 공기와 함께 상기 내용물(6)의 향기가 함께 공급되고, 공급된 향기는 경락을 비롯한 신경계, 혈관으로 깊이 스며들어 혈액순환, 기의 소통, 제독 및 진정작용과 몸의 불균형 상태를 균형 상태로 회복시켜주며 또한 피부 기능을 촉진시키게 된다.
상기 향기를 발생시키는 내용물(6)은 당귀, 천궁, 목향, 박하, 유향, 정향, 자단향, 곽향, 고본, 영능향, 울향, 용뇌, 회향 또는 갖가지 종류의 허브등을 용법에 맞게 섞어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화학제를 첨가하지 않고 순수식물성 생약을 사용하여야 질병의 예방, 치료의 효과 및 피부기능의 촉진효과등을 얻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호스의 소정의 위치에 개페가능한 저장용기(27)를 연결시켜 상기 저장용기(27)의 내부에 식물로부터 추출한 액상의 내용물(7)을 저장시켜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액상의 내용물(7)은 액체의 특성상 향기의 유발이 더욱 잘 이루어지기 때문에 그 향기가 상기 호스(1)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되면 사용자의 신경계 및 혈관을 통해 온몸으로 전달되며 호르몬과 같은 작용으로 더욱 큰 치료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상기 액상의 내용물(7)은 보통 로즈마리, 라벤더, 세이지, 민트, 탄지 등의 갖가지 허브로 부터 추출한 순수한 에센셜오일을 사용하는데 이러한 허브들은 각기 다른 독특한 치유능력이 있기 때문에 증상에 따라 섞어서 사용하면 더욱 확실하고 강한 상승효과를 나타낼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가 유동식을 필요로 하는 환자일 경우에는 상기 여과기(2)에서 필터(24)를 분리하고 유동식을 담은 용기(미도시)를 상기 여과기(2)의 몸체(21)에 삽입시킨 후 망체(23)를 상기 몸체(21)의 안착시키고 상기 호스(1)가 고정된 커버(22)를 결합시켜 사용자에게 착용시키면 상기 망체(23)에 의해 걸러진 더욱 부드러워진 유동식을 먹을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에 의한 여과기를 이용한 산소호흡기는, 와이어가 내장된 호스와 여과기가 연결되어 이루어져 상기 호스가 사람의 비강부 또는 구강부에 착용되었을 때 와이어에 의해 호스의 지지력이 강화되어 별도의 고정수단에 의해 호스를 고정하지 않아도 그 자체로 위치설정이 가능하여 사용자의 안면부에 고정되므로 여과기에 의해 정화된 공기를 안정적으로 공급받을 수 있고, 아울러 비강부에 상기 호스를 착용할 경우 한 쌍의 유입구가 형성된 호스에 의해 더욱 원활하게 여과기에 의해 정화된 공기를 공급받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호스에 연결된 여과기의 내부에 식물의 열매, 잎, 뿌리 또는 약재 등을 담아서 유입되는 공기와 함께 정화시켜 신체의 내부로 공급함으로써 질병의 예방, 피부기능의 촉진 및 스트레스 해소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호스의 소정의 위치에 연결된 저장용기에 허브로 부터 추출된 에센션오일을 저장시켜 유입되는 공기와 함께 신체의 내부로 공급함으로써 최근에 활성화 되고 있는 아로마테라피라 불리는 자연치유요법의 효과를 함께 얻을 수 있다.

Claims (4)

  1. 호스(1)가 구비된 산소호흡기(100)에 있어서,
    상기 호스(1)를 구부렸을 때 구부린 상태가 유지되도록 와이어(3)가 내장된 호스(1)와;
    정화된 공기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몸체(21)의 상부에 고정결합되는 커버(22)와, 공기를 정화시키기 위해 상기 몸체(21)의 내부에 위치되는 필터(24)로 구성된 여과기(2)가 연결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여과기를 이용한 산소호흡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1)는 비강부(4)에 위치되어 산소가 공급되도록 한 쌍의 유입구(13)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기를 이용한 산소호흡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기(2)에는 향기를 발생시키는 다양한 식물등의 내용물(6)이 상기 여과기(2)의 망체(23)에 수용되어, 공기가 상기 여과기(2)를 통하여 비강부(4) 또는 구강부(5)로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기를 이용한 산소호흡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1)에는 식물로 부터 추출된 액상의 내용물(7)을 저장할 수 있는 저장용기(27)가 연결되어, 공기와 함께 비강부(4) 또는 구강부(5)로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기를 이용한 산소호흡기.
KR2020020026311U 2002-09-03 2002-09-03 여과기를 이용한 산소호흡기 KR20029817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6311U KR200298170Y1 (ko) 2002-09-03 2002-09-03 여과기를 이용한 산소호흡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6311U KR200298170Y1 (ko) 2002-09-03 2002-09-03 여과기를 이용한 산소호흡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8170Y1 true KR200298170Y1 (ko) 2002-12-16

Family

ID=731282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6311U KR200298170Y1 (ko) 2002-09-03 2002-09-03 여과기를 이용한 산소호흡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817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4469B1 (ko) * 2018-05-21 2019-11-13 나윤길 코 삽입형 호흡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4469B1 (ko) * 2018-05-21 2019-11-13 나윤길 코 삽입형 호흡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95735B2 (en) Nose filter
US3513839A (en) Valved nose filter
US5890491A (en) Nose filter
US5568808A (en) Nose filters
JP3048645B2 (ja) 使い捨てマスクおよび吸引カテーテル
US20020124849A1 (en) Nasal breathing mask with adjustable thermistor for treating respiratory disorders of sleep
US20040261798A1 (en) Nose filter
CN1819857A (zh) 内置式鼻过滤器
CN107921228A (zh) 正压面罩及相关接合器、设备和方法
US20070062538A1 (en) Undetectable nasal insert
KR102177023B1 (ko) 끈이 없고 입을 감싸면서 코에 삽입하여 착용하며 필터 교체가 용이한 마스크
US20080314391A1 (en) Portable "cleaned, decontaminated and disinfected air" breathing device
KR20200136936A (ko) 호흡 마스크에 사용하기 위한 라이너 및 유지 부재
KR200298170Y1 (ko) 여과기를 이용한 산소호흡기
KR100503432B1 (ko) 산소 흡입기구
US20130247909A1 (en) Nebulizer for use in mechanical respiratory ventilation therapy
CN204133978U (zh) 鼻用紧凑型喷雾器
JP2021184781A (ja) 鼻孔マスク
CN207341993U (zh) 一种呼吸导管及湿气呼吸医疗装置
CN111408082A (zh) 一种抗病毒鼻塞呼吸器
RU2737696C1 (ru) Маска защитная многоразовая
CN104800947B (zh) 医用密闭式氧气除味湿化减噪装置
KR200313902Y1 (ko) 방한대
CN216439708U (zh) 一种痰液收集装置
RU208007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чистки воздух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20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