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8133Y1 - 편향요크보정회로 - Google Patents

편향요크보정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8133Y1
KR200298133Y1 KR2019980006705U KR19980006705U KR200298133Y1 KR 200298133 Y1 KR200298133 Y1 KR 200298133Y1 KR 2019980006705 U KR2019980006705 U KR 2019980006705U KR 19980006705 U KR19980006705 U KR 19980006705U KR 200298133 Y1 KR200298133 Y1 KR 20029813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tical deflection
variable resistor
screen
deflection yoke
misconverge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670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40147U (ko
Inventor
조상준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8000670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8133Y1/ko
Publication of KR1999004014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014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813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8133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3/0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 H04N3/1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 H04N3/16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by deflecting electron beam in cathode-ray tube, e.g. scanning corr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Video Image Reproduction Devices For Color Tv Systems (AREA)

Abstract

편향요크를 구비한 브라운관에서, 편향요크 보정회로는 직렬로 연결된 제 1 및 제 2 수직편향코일(VCOIL11)(VCOIL12)과, 상기 제 1 및 제 2 수직편향코일(VCOIL11)(VCOIL12)에 각각 병렬접속된 제 1 및 제 2 저항(R11)(R12)과, 상기 제 1 및 제 2 저항(R11)(R12)과 직렬접속되어 화면 상측의 미니컨버젼스를 보정하는 상측보정부와, 상기 상측보정부와 병렬접속되어 화면 하측의 미니컨버젼스를 보정하는 하측보정부로 구성된 것으로 화면의 미스컨버젼스를 상·하측을 각각 독립적으로 조정함으로써 미스컨버젼스의 보정이 용이하다.

Description

편향요크 보정회로
본 고안은 티브이 브라운관에 관한 것으로, 특히 브라운관용 편향요크의 보정회로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티브이 브라운관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티브이 브라운관용 편향요크 보정회로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기술에 따른 티브이 브라운관은 세 개의 전자빔을 방출하는 전자총(1)과, 상기 전자총(1)으로부터 방출된 빔이 부딪혀 빛을 재현하는 스크린(2)과, 상기 전자총(1)에서 방출되는 3개의 전자빔을 구분하는 새도우 마스크(3)와, 상기 전자빔을 전기 스크린(2)의 정해진 장소로 편향시켜주는 편향요크(4)로 구성된다.
특히, 상기 편향요크(4)는 전자총(1)으로부터 방사된 전자빔을 수평방향으로 편향하는 수평편향코일(5)과, 수직방향으로 편향하는 수직편향코일(6)과, 상기 수평/수직편향코일(5)(6)에서 발생된 자기력을 손실을 줄여주어 자기효율을 높이는 원추형 페라이트 코어(7)와, 상기 수평/수직편향코일(5)(6)과 원추형 페라이트 코어(7)를 정해진 위치에 고정시켜주며 수평편향코일(5)과 수직편향코일(6) 사이에서 절연체 역할을 하는 홀더(8)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편향요크(4)의 넥크부에는 제조오차로 인한 미스컨버젼스(기울음)를 보정하고자 컨버젼스 요크(9)와, 한쌍의 링형상의 영구자석(10)이 부착/사용된다.
상기 편향요크(4)는 수평편향코일(5)에 일반적으로 15.75㎑ 또는 그 이상의 주파수를 가지는 전류를 흘려주고, 이에 따라 발생하는 자계를 이용해서 브라운관내부의 전자빔을 수평방향으로 편향시켜주며, 상기 수직편향코일(6)에는 보통 60㎐의 주파수를 가지는 전류를 흘려주어 이에따라 발생하는 자계를 이용해서 수직방향으로 전자빔을 편향시킨다.
그리고, 수평편향코일(5) 및 수직편향코일(6)에 의한 비균일 자계를 이용해서 세 전자빔이 별도의 부가회로 및 부가장치를 이용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화면에서 컨버젼스를 이룰 수 있도록 해주는 셀프컨버젼스 형태의 편향요크가 주로 개발된다.
즉, 수평편향코일(5) 및 수직편향코일(6)의 권선분포를 조정해서 각 부위별(개구부, 중간부, 넥크부)로 바렐 혹은 핀-쿠션형 자계로 만들어 주어서 세 개의 전자빔이 위치에 따라서 각각 다른 편향력을 경험하게 해 주어 전자빔의 출발지점에서부터 도착지점인 스크린(2)까지의 각각 다른 거리에서 동일한 지점으로 모아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수평/수직편향코일(5)(6)에 전류를 흘려주어 자계를 만들어 주는 경우 코일에 의한 자계만으로는 전자빔을 화면의 전면에 편향시키기 어렵고 투자율의 페라이트 코어(7)를 사용하여 자계의 귀환경로상에서의 손실을 최소화함으로써 자계의 효율을 높여 자기력을 증대시키고 있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미스컨버젼스 보정회로를 나타낸 것으로, 복수개의 수직편향코일(VCOIL1)(VCOIL2)과, 복수개의 가변저항(VR1)(VR2)과, 복수개의 저항(R1)(R2)과, 제 1 내지 제 4 다이오드(D1)(D2)(D3)(D4)가 병렬로 연결된다.
수직편향전류가 수직편향부에 흐를 때 일부는 저항(R1)(R2)을 통해 흐르고,일부는 수직편향전류가 플러스(+)이면 제 1 다이오드(D1)과 제 3 다이오드(D3)를 통해 전류가 흐르고, 수직편향전류가 마이너스(-)이면 제 2 다이오드(D2)와 제 4 다이오드(D4)를 통해 전류가 흐른다.
상기 수직편향전류가 플러스(+)인 경우 가변저항(VR1)을 중앙에 위치시키면 도 3a와 같이 제 1 수직편향코일(VCOIL1)과 제 2 수직편향코일(VCOIL2)의 폭이 일정하게 자계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가변저항(VR1)을 제 1 수직편향코일(VCOIL1)보다 제 2 수직편향코일(VCOIL2)에 흐르는 전류의 값을 크게하면 도 3b와 같이, 제 2 수직편향코일(VCOIL2)에서 제 1 수직편향코일(VCOIL1)으로 점점 폭이 넓게 자계가 형성된다.
이와 반대로, 상기 가변저항(VR1)을 제 2 수직편향코일(VCOIL2)보다 제 1 수직편향코일(VOIL1)에 흐르는 전류의 값을 크게하면 도 3c와 같이, 제 2 수직편향코일(VCOIL2)에서 제 1 수직편향코일(VCOIL1)로 점점 폭이 좁게 자계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자계형성을 조정함으로써, 도 3b와같이 형성된 자계를 이용하여 도 4a에 도시된 화면의 미스컨버젼스를 보정할 수 있으며, 도 3c와 같이 형성된 자계를 이용하여 도 4b와 같은 화면의 미스컨버젼스를 보정할 수 있으며, 상기 보정 원리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도 3b와 같이 자계가 코일내에 형성되면 B비임보다 R비임이 더 많이 편향되고, R비임과 B비임이 12시 방향으로 이동시 이동량이 서로 달라지고, 수직편향전류가 음(-)인 경우에는 자계의 방향이 반대로 형성되어 동일한 원리로 도 4a와같이 R빔이 중앙에 위치한 화면의 미스컨버젼스를 보정할 수 있으며. 이와 반대로 도 3b와 같이 자계가 코일내에 형성되면 도 4b와 같이 B비임이 중앙에 위치한 화면의 미스컨버젼스를 보정할 수 있다.
한편, 도 4c 및 도 4d에 도시된 미스컨버젼스는 수직편향전류가 플러스(+)이거나 마이너스(-)에 상관 없이 자계의 방향이 바뀌지 않아야 하므로 제 1 내지 제 4 다이오드(D1)(D2)(D3)(D4)를 사용하여 전파정류를 함으로써 미스컨버젼스를 보정할 수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른 브라운관은 화면조정 볼륨을 돌리면 상하가 동시에 동작하므로 미스컨버젼스를 보정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한 것으로, 상측 미스컨버젼스와 하측 미스컨버젼스를 독립적으로 조정할 수 있는 브라운관용 편향보정회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티브이 브라운관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편향요크 보정회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회로도
도 3a 내지 도 3c는 종래 기술에 따른 수직편향코일 내의 자계형상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
도 4a 내지 도 4d는 종래 기술에 따른 화면의 미스컨버젼스 일예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편향요크 보정회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회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VCOIL11 : 제 1 수직편향코일 VCOIL12 : 제 2 수직편향코일
VR11 : 제 1 가변저항 VR22 : 제 2 가변저항
51 : 상축보정부 52 : 하측보정부
본 고안에 따른 브라운관용 편향요크 보정회로는 편향요크를 구비한 브라운관에서, 직렬로 연결된 제 1 및 제 2 수직편향코일(VCOIL11)(VCOIL12)과, 상기 제 1 및 제 2 수직편향코일(VCOIL11)(VCOIL12)에 각각 병렬접속된 제 1 및 제 2 저항 (R11)(R12)과, 상기 제 1 및 제 2 저항(R11)(R12)과 직렬접속되어 화면 상측의 미니컨버젼스를 보정하는 상측보정부와, 상기 상측보정부와 병렬접속되어 화면 하측의 미스컨버젼스를 보정하는 하측보정부로 구성되는데 그 특징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편향요크 보정회로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은 직렬로 연결된 제 1 및 제 2 수직편향코일(VCOIL11)(VCOIL12)과, 상기 제 1 및 제 2 수직편향코일(VCOIL11)(VCOIL12)에 각각 병렬접속된 제 1 및 제 2 저항(R11)(R12)과, 상기 제 1 및 제 2 저항(R11)(R12)과 직렬접속되어 화면 상측의 미스컨버젼스를 보정하는 상측보정부(51)와, 상기 상측보정부(51)와 병렬접속되어 화면 하측의 미니컨버젼스를 보정하는 하측보정부(52)로 구성된다.
상기 상측보정부(51)는 제 1 가변저항(VR11)과, 상기 제 1 가변저항(VR11)의 일단에 캐소드가 연결된 제 1 다이오드(D11)와, 상기 제 1 가변저항(VR11)의 타단에 애노드가 연결된 제 2 다이오드(D12)로 구성된다.
상기 하측보정부(52)는 제 2 가변저항(VR22)과, 상기 제 2 가변저항(VR22)의 일단에 애노드가 연결된 제 3 다이오드(D13)와, 상기 제 2 가변저항(VR22)의 타단에 캐소드가 연결된 제 4 다이오드(D14)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편향요크 보정회로에서 플러스(+) 전류가 입력되면 제 1 및 제 2 저항(R11)(R12)을 통해 흐르는 전류는 상측보정부(51)로 입력되며, 마이너스(-) 전류가 입력되면 하측보정부(52)로 입력된다.
상기 플러스(+) 전류를 입력받은 상측보정부(51)는 제 1 및 제 2 다이오드(D11)(D12)와 제 1 가변저항(VR11)으로 전류를 통과시켜 제 1 가변저항(VR11)을 조정함으로써 제 1 및 제 2 수직편향코일(VCOIL11)(VCOIL12)에흐르는 전류의 크기가 달라지게 되고 수직방향으로 서로 크기가 다른 자계가 형성되어 R비임과 B비임의 편향양이 달라짐으로써 화면상측부의 미스컨버젼스만을 보정한다.
한편, 상기 마이너스(-) 전류를 입력받은 하측보정부(51)는 제 3 및 제 4 다이오드(D13)(D14)와 제 2 가변저항(VR22)으로 전류를 통과시켜 제 2 가변저항(VR22)를 조정함으로써 제 1 및 제 2 수직편향코일(VCOIL1)(VCOIL2)에 흐르는 전류의 크기가 달라지게 되고 수직방향으로 서로 크기가 다른 자계가 형성되어 R비임과 B 비임의 편향양이 달라짐으로써 편향요크를 보정한다.
따라서, 상기 제 1 및 제 2 다이오드(D11)(D12)에 의해 미스컨버젼스의 상측만 보정하고, 상기 제 3 및 제 4 다이오드(D13)(D14)에 의해 미스컨버젼스의 하측만 보정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 1 가변저항(VR11)을 조정하여 상측 미스컨버젼스를 보정하고, 제 2 가변저항(VR22)을 조정하여 하측 미스컨버젼스를 보정하므로써 상·하측 보정이 독립적이다.
본 고안에 따른 편향요크 보정회로는 화면에 나타나는 미스컨버젼스의 상측과 하측을 독립적으로 보정할 수 있으므로 미스컨버젼스 보정이 용이하다.

Claims (3)

  1. 편향요크를 구비한 브라운관에서,
    직렬로 연결된 제 1 및 제 2 수직편향코일(VCOIL11)(VCOIL12)과,
    상기 제 1 및 제 2 수직편향코일(VCOIL11)(VCOIL12)에 각각 병렬접속된 제 1 및 제 2 저항(R11)(R12)과,
    상기 제 1 및 제 2 저항(R11)(R12)과 직렬접속되어 화면 상측의 미니컨버젼스를 보정하는 상측보정부와,
    상기 상측보정부와 병렬접속되어 화면 하측의 미니컨버젼스를 보정하는 하측보정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요크 보정회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보정부는 제 1 가변저항(VR11)과, 상기 제 1 가변저항(VR11)의 일단에 캐소드가 연결된 제 1 다이오드(D11)와, 상기 제 1 가변저항(VR11)의 타단에 애노드가 연결된 제 2 다이오드(D12)가 직렬로 접속됨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요크 보정회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측보정부는 제 2 가변저항(VR22)과, 상기 제 2 가변저항(VR22)의 일단에 애노드가 연결된 제 3 다이오드(D13)와, 상기 제 2 가변저향(VR22)의 타단에캐소드가 연결된 제 4 다이오드(D14)가 직렬로 접속됨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요크 보정회로.
KR2019980006705U 1998-04-27 1998-04-27 편향요크보정회로 KR20029813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6705U KR200298133Y1 (ko) 1998-04-27 1998-04-27 편향요크보정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6705U KR200298133Y1 (ko) 1998-04-27 1998-04-27 편향요크보정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0147U KR19990040147U (ko) 1999-11-25
KR200298133Y1 true KR200298133Y1 (ko) 2003-04-26

Family

ID=493975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6705U KR200298133Y1 (ko) 1998-04-27 1998-04-27 편향요크보정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8133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4805B1 (ko) * 2001-09-18 2008-03-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편향요크의 컨버전스 보정장치
KR20030027223A (ko) * 2001-09-18 2003-04-0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편향요크의 컨버전스 보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0147U (ko) 1999-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88470A (en) Deflection yoke apparatus with compensation magnetic field generating means
KR200298133Y1 (ko) 편향요크보정회로
US6384546B2 (en) Deflection yoke and mis-convergence correction method for color cathode-ray tube
US6326742B1 (en) Color CRT with cross-misconvergence correction device
KR100219264B1 (ko) 브라운관용 편향요크의 컨버젼스요크
KR100487864B1 (ko) 브라운관용편향요크의컨버젼스요크
KR0139475B1 (ko) 컬러 음극선관용 전자 편향 요크
KR100419481B1 (ko) 브라운관용 편향 요크의 미스컨버전스 보정 장치
KR100313208B1 (ko) 랜딩 천이나 라스터 회전이 없이 컨버전스의 보정이 가능한 컨버전스 장치를 구비한 칼라 음극선관
US6285141B1 (en) Deflection yoke and cathode ray tube
KR100426410B1 (ko) 컬러 브라운관의 미스컨버젼스 보정회로
KR20000025809A (ko) 음극선관용 편향요크의 미스컨버젼스 보정회로
KR100277972B1 (ko) 브라운관용 편향 요크
KR20000025808A (ko) 음극선관용 편향요크의 미스컨버젼스 보정회로
KR200289337Y1 (ko) 편향요크의 미스컨버전스 보정회로
KR100510902B1 (ko) 음극선관용편향요크의컨버젼스요크구조및제어장치
KR19990021639U (ko) 편향요크의 디스토션 보정회로
KR100209660B1 (ko) 음극선관용 편향요크
KR930001418Y1 (ko) 편향요크의 디스토션 보정장치
KR200289349Y1 (ko) 편향요크의 보정편 삽입구조
KR100410950B1 (ko) 편향 요크
KR20050082116A (ko) 음극선관용 편향요크
KR20010104839A (ko) 편향 요크의 홀더 고정판을 포함하는 다중 네크 브라운관
KR20090123220A (ko) 편향요크의 미스컨버전스 보정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표시장치
KR20010054542A (ko) 브라운관용 편향 요크의 컨버젼스 보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03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