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8058Y1 - 윙바디 조립체 및 이 조립체를 갖는 화물 차량 - Google Patents

윙바디 조립체 및 이 조립체를 갖는 화물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8058Y1
KR200298058Y1 KR2020020026442U KR20020026442U KR200298058Y1 KR 200298058 Y1 KR200298058 Y1 KR 200298058Y1 KR 2020020026442 U KR2020020026442 U KR 2020020026442U KR 20020026442 U KR20020026442 U KR 20020026442U KR 200298058 Y1 KR200298058 Y1 KR 20029805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g
screw
body assembly
vehicle
wing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644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창우
Original Assignee
(주)윙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윙테크 filed Critical (주)윙테크
Priority to KR202002002644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805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805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8058Y1/ko

Links

Landscapes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윙바디 조립체는, 바닥 프레임들과 측벽 프레임들 및 천정 프레임들로 이루어지며, 적재 공간을 형성하는 프레임 조립체와; 차량의 차폭방향 중간 위치에서 차량의 전장 방향으로 설치되는 윙 설치 부재와; 상기 윙 설치 부재에 설치되며, 상기 적재 공간의 한 측면을 개폐하는 윙과; 차량의 전방쪽에 위치한 프레임에 설치되며, 상기 윙을 개폐하는 모터 구동식 액튜에이터와; 차량의 후방쪽에 위치한 프레임에 설치되며, 상기 모터 구동식 액튜에이터에 의해 윙이 개폐될 때 상기 윙을 지지하는 가스 스프링과; 상기 윙이 설치된 반대쪽으로 적재 공간의 다른 측면을 개폐하는 미닫이식 또는 여닫이식 측면 도어 및 이 도어를 갖는 측면 벽체와; 차량의 후방쪽에 위치한 프레임에 설치되며, 적재 공간의 후면을 개폐하는 미닫이식 또는 여닫이식 후방 도어 및 이 도어를 갖는 후방 벽체와; 상기 바닥 프레임들에 설치되는 바닥체;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의 윙바디 조립체는 윙의 개폐에 필요한 공간이 확보되지 못한 경우에도 화물의 상차 및 하차 작업이 가능하며, 제조 원가 및 유지 보수 비용이 저렴하다

Description

윙바디 조립체 및 이 조립체를 갖는 화물 차량{WING BODY ASSEMBLY AND A TRUCK WITH THE ASSEMBLY}
본 고안은 개선된 윙바디 조립체 및 이 조립체를 갖는 화물 차량에 관한 것이다.
화물 차량의 적재함은 화물 상차 및 하차 작업의 편리화를 도모하기 위하여 양측방과 후방벽체가 열릴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의 적재함은 적재되는 화물을 눈과 비로부터 보호할 수 없고 운송 중에 화물이 적재함 밖으로 낙하되는 등의 문제점을 갖기 때문에 적재함을 외부로부터 완전히 밀폐할 수 있는 이른 바 박스 차량의 선호도가 높아지고 있다.
지금까지 공지되어 있는 박스 차량은 후방측으로 열려지는 캐비닛형과 양측방으로 열려지는 윙바디형이 알려져 있는바, 윙바디를 갖는 화물 차량은 화물의 상차 및 하차 시간 단축 등의 이유로 인해 물류 부분의 생산성 향상에 크게 기여하여 빠르게 확대 사용되고 있는 추세에 있다.
종래에 공지된 화물 차량의 윙바디는 도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적재함의 양측방으로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2개의 윙(102,104)이 바디 프레임의 외측에 아연 도금한 철판(106) 또는 알루미늄 패널을 부착시켜서 제조되고, 이들 윙(102,104)은 차량의 전장 방향으로 적재함의 전방측 및 후방측에 각각 설치된 2개의 유압 실린더(108,110)에 의해 개폐 작동되며, 양쪽 윙(102,104)이 경첩으로 연결된 부분에는적재 공간으로의 빗물 침투 및 빗물로 인한 부식 등을 방지하기 위한 커버(112)가 설치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구성의 윙바디는 윙(102,104) 개폐수단으로 유압 실린더(108,110)를 사용함으로 인해 자동 개폐 및 윙 개방 각도 조절이 가능한 장점이 있지만, 유압 호스 등의 설치로 인해 구조가 복잡하고, 제조 원가 및 유지 보수비가 높은 단점이 있다.
따라서, 유압 실린더를 사용한 윙바디는 5톤 이상의 대형 화물 차량에는 적용되고 있지만, 1톤 차량 등의 소형 화물 차량에는 적용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에, 제조원가 및 유지 보수비가 저렴한 가스 스프링을 윙 개폐수단으로 사용함으로써 소형 화물 차량에 윙바디를 적용하는 경우도 있는데, 상기 가스 스프링은 통상적으로 실린더의 내부에서 피스톤에 의해 구획된 압축 챔버와 인장 챔버에 각각 가스와 오일을 채우고, 실린더의 내부에 채워진 고압 가스의 반발력이 피스톤에 작용하도록 하여 피스톤을 이동시킴으로써 피스톤 로드가 실린더의 외부로 신장되면서 윙이 개방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가스 스프링을 윙 개폐수단으로 사용하는 윙바디는 유압 실린더와는 달리 상기 윙이 2가지의 상태, 즉 폐쇄 상태 및 완전 개방 상태 중에서 어느 한 상태로만 유지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가스 스프링을 사용하는 종래의 윙바디는 위에서 언급한 가스 스프링의 특성으로 인해 윙을 임의의 개방 위치(예를 들어 30°또는 45°의 개방 위치)에 고정할 수 없다. 이에 따라, 상차 및 하차 작업중에 작업자의 작업 공간이 햇빛 또는 빗물 등에 노출되는 경우가빈번하게 발생되며, 이로 인해 작업 환경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윙 개방 상태에서 바람 등의 외부 힘에 상기 윙이 폐쇄됨으로 인해 작업자가 위험에 처할수도 있다. 그리고, 윙을 개방 상태에서 폐쇄 상태로 하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수동으로 윙을 폐쇄해야 되는데, 상기 윙이 개방된 상태에서는 작업자의 손이 윙에 닿지 않는다. 따라서, 윙에는 윙 폐쇄시에 작업자가 손으로 잡아당길 수 있는 줄이 매달려 있는데, 이 줄은 상차 및 하차 작업시의 방해 요소로 작용한다.
한편, 상기한 윙바디를 갖는 화물 차량은 윙의 개폐시에 차량의 측면 공간이 어느 정도 확보되어야 하는데, 양쪽 윙을 갖는 윙바디의 경우 좁은 작업장에서 화물을 취급할 때 상기 윙의 사용이 오히려 화물 취급에 있어서 방해가 될 수도 있다.
그리고, 윙을 아연 도금한 철판으로 제작하는 경우에는 적재함의 중량 및 제작 비용 감소를 위해 철판(106)의 두께를 1mm 이하로 할 경우 상기 철판(106)이 내부에 적재된 화물 또는 다른 차량과의 가벼운 접촉에도 쉽게 파손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 커버(112)는 윙바디의 특성상 천막과 같이 유연한 재질을 사용할 수밖에 없으므로, 양 쪽 윙(102,104)의 잦은 개폐 작동으로 인해 커버(112)가 벗겨지거나 파손될 경우 이 부분을 통해 빗물이 스며들어 화물을 적시게 되거나, 빗물이 커버(112) 부분에 잔류하여 경첩 구조물을 부식시키는 등의 많은 문제를 발생시키고 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자동 개폐 및 윙 개방 각도 조절이 가능하면서도 저렴하며 내구성이 향상되고, 좁은 작업장에서도 화물 취급이 용이하며, 힌지 구조를 통한 빗물의 침투를 방지하고 나아가 빗물에 의한 부식이 초래되지 않는 구조를 갖춘 개선된 윙바디 조립체 및 이 조립체를 갖는 화물 차량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바닥 프레임들과 측벽 프레임들 및 천정 프레임들로 이루어지며, 적재 공간을 형성하는 프레임 조립체와;
차량의 차폭방향 중간 위치에서 차량의 전장 방향으로 설치되는 윙 설치 부재와;
상기 윙 설치 부재에 설치되며, 상기 적재 공간의 한 측면을 개폐하는 윙과;
차량의 전방쪽에 위치한 프레임에 설치되며, 상기 윙을 개폐하는 모터 구동식 액튜에이터와;
차량의 후방쪽에 위치한 프레임에 설치되며, 상기 모터 구동식 액튜에이터에 의해 윙이 개폐될 때 상기 윙을 지지하는 가스 스프링과;
상기 윙이 설치된 반대쪽으로 적재 공간의 다른 측면을 개폐하는 미닫이식 또는 여닫이식 측면 도어 및 이 도어를 갖는 측면 벽체와;
차량의 후방쪽에 위치한 프레임에 설치되며, 적재 공간의 후면을 개폐하는 미닫이식 또는 여닫이식 후방 도어 및 이 도어를 갖는 후방 벽체와;
상기 바닥 프레임들에 설치되는 바닥체;
를 포함하는 윙바디 조립체를 제공한다.
본 고안을 실시함에 있어서, 상기 모터 구동식 액튜에이터는,
프레임에 힌지 고정되는 정역 모터 및 상기 모터의 구동력을 감속하는 감속기와;
상기 감속기의 축과 결합되어 모터 구동시 회전되는 스크류와;
상기 스크류를 감속기의 축과 결합하는 베어링 조립체와;
일단부가 윙에 힌지 결합되며, 상기 스크류에 암수 결합되어 이 스크류의 회전 방향에 따라 전진 또는 후진하는 너트 부재와;
상기 너트 부재의 전진 및 후진 거리를 제한하는 스토퍼 부재;
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의 본 고안에 의하면, 유압식 실린더보다 저렴한 모터 구동식 액튜에이터를 사용하여 윙을 개폐 구동하는 한편, 가스 실린더를 사용하여 윙 개폐시의 처짐을 방지하도록 한다. 따라서, 유압식 실린더에 비해 윙바디 조립체를 저렴하게 구성할 수 있으면서도 윙 자동 개폐 및 개방 각도 조절이 가능하다.
그리고, 적재함의 일측에만 윙을 설치하고, 윙이 설치된 적재함의 반대측 및 후방측에 여닫이 또는 미닫이 도어를 설치함으로써, 윙의 개폐에 필요한 공간이 확보되지 못한 경우에도 화물의 상차 및 하차 작업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윙바디 조립체를 갖는 화물 차량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윙바디 조립체의 골격을 형성하는 프레임 조립체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모터 구동식 액튜에이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액튜에이터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윙의 단면도.
도 6은 종래 기술에 따른 윙바디를 갖는 화물 차량의 사시도.
도 7은 도 6의 원형부를 확대한 확대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프레임 조립체 22 : 실링 러버
28 : 미닫이식 측면 도어 32 : 여닫이식 후방 도어
36 : 보조 측면 도어 38 : 모터 구동식 액튜에이터
40 : 가스 스프링 44 : 모터
46 : 감속기 48 : 베어링 조립체
58 : 너트 부재 60 : 너트 하우징
62 : 너트 66 : 하우징 케이스
본 고안의 이점과 장점은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상세히 설명함으로써 보다 명확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윙바디 조립체를 갖는 화물 차량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윙바디 조립체의 골격을 형성하는 프레임 조립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모터 구동식 액튜에이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액튜에이터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윙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윙바디 조립체는 골격을 형성하는 프레임 조립체(10)를 구비한다.
프레임 조립체(10)는 바닥 프레임들(12)과 측벽 프레임들(14) 및 천정 프레임들(16)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바닥 프레임들(12)은 차량의 전장 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는 4개의 종방향 바닥 프레임(12a)과, 차폭 방향으로 종방향 바닥 프레임(12a)에 얹혀지는 8개의 폭방향 바닥 프레임(12b)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측벽 프레임들(14)은 적재함의 네귀퉁이를 형성하는 4개의 주 측벽 프레임(14a)과, 전방쪽에 배치된 2개의 주 측벽 프레임(14a)에 연결되는 2개의 횡 측벽 프레임(14b)과, 하측의 횡 측벽 프레임을 지지하는 2개의 종 측벽 프레임(14c)을 포함하며, 천정 프레임들(16)은 주 측벽 프레임(14a)을 연결하는 주 천정 프레임(16a)과, 적재함의 전방측 및 후방측에 배치된 주 천정 프레임(16a)의 중간 위치에서 차량의 전장 방향으로 설치되는 윙 설치 부재(16b)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의 프레임 조립체(10)에 있어서, 상기 종방향 바닥 프레임(12a)에는 일정 간격만큼 이격된 3쌍, 즉 총 6개의 결합 브래킷(18)이 구비되는데, 이 결합 브래킷(18)은 조립이 완료된 윙바디 조립체(10)를 화물 차량에 조립할 때 사용된다.
그리고, 상기 윙 설치 부재(16b)는 빗물을 배수하는 오목한 형상의 채널부(C)를 구비하도록 형성되며, 이 부재(16b)의 측벽에는 힌지부를 중심으로 회동하는 경첩(20)이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개가 배치되고, 힌지부를 중심으로 경첩(20)의 일부분은 윙 설치 부재(16b)의 측벽에, 그리고 다른 반대쪽 부분은 윙(W)의 단부에 볼트 또는 용접에 의해 각각 고정된다. 따라서, 윙 설치 부재(16b)에 설치되는 윙(W)은 상기 힌지부를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윙 설치 부재(16b)에는 길이방향으로 실링 러버(22)가 부착된다. 따라서 실링 러버(22) 상부에 윙(W)이 얹혀져서 윙(W)과 윙 설치 부재(16b)간의 결합부를 통한 빗물의 누수를 완벽히 차단할 수 있으며, 채널부(C)를 통해 빗물을 배수하게 된다. 한편, 하측의 횡 측벽 프레임(14b)에는 윙 설치 부재(16b)의 단부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 프레임(14d)이 더욱 구비된다.
이때, 상기 윙(W)은 강성과 강도를 높이면서 중량을 경감시키기 위하여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섬유 강화 플라스틱(FRP: Fiber Reinforced Plastic) 또는 알루미늄 패널로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윙(W)의 강성을 더욱 높이기 위하여 윙(W)의 내측면에 오목한 형상의 보강 그루브(24)를 격자상으로 형성하고, 보강 그루브(24)의 오목한 부분에는 윙(W)의 강성과 강도를 더욱 강화시키기 위해 보강 파이프(26)를 일체로 부착할 수 있다. 이때, 보강 파이프(26)는 바람직하게는 섬유 강화 플라스틱, 합성수지, 또는 강을 채용하는 것이 좋다. 이 보강 파이프(26)는 그 단면 형상이 중공인 원형으로 형성되어 보강 그루브(24)와 넓은 면으로 접촉되어 윙(W)의 강성과 강도를 더욱 강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윙 설치 부재(16b)에 설치된 윙(W)의 반대쪽으로는 미닫이식 측면 도어(28)를 갖는 측면 벽체(30)가 고정 설치된다. 상기 미닫이식 측면 도어(28)는 공지의 것으로,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때, 물론 상기 미닫이식 측면 도어(28) 대신에 여닫이식 측면 도어를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측면 벽체(30)의 천정 부분(30')은 자연 채광이 가능한 반투명 섬유 강화 플라스틱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차량 후방측의 주 측벽 프레임(14a) 및 주 천정 프레임(16a)에는 공지의 여닫이식 후면 도어(32)를 구비한 후방 벽체(34)가 고정 설치된다. 또한, 차량 전방측의 측벽 프레임에는 전방 벽체(미도시함)가 고정 설치되고, 윙(W)이 설치되는 쪽의 종방향 바닥 프레임(12a)에는 윙(W)을 개방한 후 지게차 등의 작업이 가능하게 하는 보조 측면 도어(36)가 힌지 고정된다.
상기 도 1에서 미설명 도면부호 28'는 미닫이 도어(28)의 개폐시 사용하는 손잡이이다.
이러한 구성의 윙바디 조립체를 갖는 차량은 작업 공간이 좁아서 윙(W)을 개폐하는데 필요한 공간을 확보하기 어려울 경우 상기 미닫이 도어(28)를 화살표 방향으로 개방한 상태에서 화물의 상차 및 하차 작업이 가능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하측의 횡 측벽 프레임에는 윙(W)을 자동개폐 구동하기 위한 모터 구동식 액튜에이터(38)가 설치되고, 후방측의 천정 프레임(16a)에는 윙(W) 개폐시 상기 윙(W)을 지지함으로써 처짐을 방지하는 가스 스프링(40)이 설치된다. 상기 가스 스프링(40)은 실린더와, 이 실린더의 내부에 직선 왕복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며 실린더의 내부를 압축 챔버와 인장 챔버로 구획하는 피스톤과, 이 피스톤의 이동 거리를 제한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공지의 것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며, 이하에서는 모터 구동식 액튜에이터에 대해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액튜에이터(38)는 모터 케이스(42)에 고정되는 정역 모터(44)를 구비한다. 상기 모터 케이스(42)에는 횡 측벽 프레임(14b)에 고정된 지지 브래킷(B)에 핀 결합되는 블라인드 브래킷 홀(42')이 제공된다. 따라서, 상기 지지 브래킷(B)에 결합되는 별도의 브래킷을 모터 케이스(42)에 형성하는 경우에 비해 부품수 및 제조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블라인드 브래킷 홀(42')이 제공된 부분은 일부분을 경사지게 형성하여 상기 지지 브래킷(B)과의 접촉을 방지한다. 그리고, 모터 케이스(42)는 도 4에 화살표로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된 상태에서 횡 측벽 프레임(14b)의 다른 위치에도 고정할 수 있다.
모터 케이스(42)에 설치된 모터(44)에는 모터(44)의 구동력을 감속하는 감속기(46)가 설치된다. 감속기(46)의 축(46')은 변속 기어를 이용하여 감속을 행하는 감속기의 특성상 모터(44)의 구동축(44')에 일정량만큼 편심되는데, 이때, 상기 블라인드 브래킷 홀(42')은 감속기(46)의 축(46')과 동일선상에 형성하여 이후 설명할 스크류 및 너트 하우징의 축방향 하중을 최적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감속기(46)에는 베어링 조립체(48)에 의해 스크류(S)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바, 이하에서는 스크류(S)의 조립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베어링 조립체(48)는 감속기(46)에 체결 고정되는 베어링 플랜지(50)를 포함한다. 베어링 플랜지(50)의 내측으로는 감속기(46)의 축(46')이 배치되고, 이 축(46')은 스크류(S)의 단부에 삽입 고정된다.
그리고, 베어링 플랜지(50)의 내측에 배치된 스크류(S)의 단부 외주면에는 스크류 플랜지(52)가 설치되고, 스크류 플랜지(52)의 좌측으로 축(46')의 외주면에는 드러스트 베어링(54: thrust bearing)이 설치되며, 스크류 플랜지(52)의 우측으로 스크류(S)의 외주면에는 레이디얼 베어링(56: radial bearing) 또는 앵귤러 콘택트 베어링(angular contact bearing)이 설치된다.
이러한 구성의 스크류 조립 구조에 의하면, 스크류(S)의 축방향 하중이 스크류 플랜지(52) 및 드러스트 베어링(54)을 통해 감속기(46)에 전달되므로, 상기 축방향 하중이 감속기(46)의 축(46')에 직접 전달되는 경우에 비해 내구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베어링 플랜지(50)의 내측에 설치된 레이디얼 베어링(52)은 스크류(S)의 굽힘 하중을 흡수하여 스크류(S)의 흔들림을 방지함과 아울러, 스크류(S)의 회전 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작용한다.
이와 같이 조립된 스크류(S)에는 너트 부재(58)가 조립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너트 부재(58)가 스틸(steel) 재질의 중공형 너트 하우징(60)과, 이 하우징(60)의 단부 내측에 압입 고정되는 구리(copper) 재질의 너트(62)로 구성된다.여기에서, 상기 너트 하우징(60)을 스틸 재질로 형성하는 것은 기계적 강도를 확보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너트(62)의 내측에는 스크류(S)의 수나사부와 나사 결합되는 암나사부가 구비되어 있고, 너트 하우징(60)의 단부에는 윙(38)에 고정된 지지 브래킷(40)에 핀 결합되는 블라인드 브래킷 홀(60')이 제공된다. 이때, 상기 블라인드 브래킷 홀(60')은 모터 케이스(42)에 제공된 블라인드 브래킷 홀(42')과 마찬가지로 감속기 축과 동일선상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너트 부재(58)를 내부에 암나사부가 구비된 한 개의 너트 하우징으로 구성하는 것도 무방하다.
한편, 너트 하우징(60)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스크류(S)의 단부에는 스크류 가이드(64)가 고정 설치되는데, 이 스크류 가이드(64)는 스크류(S)가 너트 하우징(60)의 내측에서 기울어지는 현상을 방지한다. 그리고, 베어링 플랜지(50)에는 하우징 케이스(66)가 고정되는데, 이 하우징 케이스(66)는 너트 하우징(60) 및 스크류(S)를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작용을 한다.
본 고안의 모터 구동식 액튜에이터(38)는 또한 너트 하우징(60)의 전진 위치 및 후퇴 위치를 제한하는 스토퍼 부재를 구비하는데, 상기한 스토퍼 부재는 너트 하우징(60)의 외면에 구비되는 위치 감지 레버(68)와, 하우징 케이스(66)에 제공되는 2개의 리미트 스위치(70,70')로 이루어진다. 물론, 상기 하우징 케이스(66)에는 위치 감지 레버(68)의 이동 통로(66')가 제공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모터 구동식 액튜에이터(38)의 작동 과정을 설명한다.
모터 케이스(64)는 횡 측벽 프레임(14b)에 고정된 지지 브래킷(B)에 핀 결합되며, 너트 하우징(60)은 윙(W)에 고정된 지지 브래킷(B')에 핀 결합된다.
상차 또는 하차 작업을 위해 작업자가 도시하지 않은 모터 구동 스위치를 온(on)시키면, 모터(44)의 구동력이 감속기(46)에 의해 감속된 상태에서 축(46')에 전달된다. 이에 따라, 감속기(46)의 축(46')이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 축(46')의 단부가 삽입 고정된 스크류(S)도 축(46')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때, 스크류(S)에 나사 결합된 너트(62)가 너트 하우징(60)에 고정되어 있고, 너트 하우징(60)의 단부가 윙(W)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상기 스크류(S)의 회전에 따라 너트(62) 및 너트 하우징(60)이 전진하면서 윙(W)을 개방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위치 감지 레버(68)가 리미트 스위치(70')에 의해 감지되면 모터(44) 구동이 정지되어 윙(W)이 최대로 개방된다.
물론, 작업자가 윙 개방 작동중에 모터 구동 스위치를 오프(off)시키면 스크류(S)의 회전 작동이 정지되므로, 윙(W)은 작업자가 원하는 임의의 개방 위치(예를 들어 56°또는 45°의 개방 위치)에서 개방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윙(W)이 액튜에이터(38)에 의하여 개폐될 때, 경첩(20)은 윙(W)의 원활한 회동을 보장하여 주고, 빗물은 윙 설치 부재(16b)의 채널부(C)를 타고 외부로 흘러 나가게 되므로 빗물이 적재함의 내부로 침투하게 되는 일은 생기지 않는다.
그리고 채널부(C)를 형성하는 윙 설치 부재(16b)의 상변에 실링 러버(22)가 구비되어 윙(W)의 내측면과 긴밀히 접촉되어 있으므로 빗물이 조금도 스며들지 못하게 된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와 고안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윙바디 조립체 및 이 조립체를 갖는 화물 차량은 다음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로, 윙바디 조립체의 바닥 프레임들에 결합 브래킷이 제공되어 있으므로, 이 결합 브래킷을 이용하여 윙바디 조립체를 화물 차량에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다.
둘째로, 적재함의 일측에만 윙을 설치하고, 다른측에는 미닫이 또는 여닫이 도어를 설치하므로써, 윙의 개폐에 필요한 공간이 확보되지 못한 경우에도 화물의 상차 및 하차 작업이 가능하다.
셋째로, 제조 원가 및 유지 보수 비용이 저렴하다. 1톤 화물차 기준으로 종래에 철판과 유압 실린더를 사용한 윙바디보다 본 고안의 윙바디 조립체는 제조 원가가 최소 30%에서 최대 50% 까지 저렴하다. 섬유 강화 플라스틱을 성형하여 윙바디 부품을 규격화 할 수 있으므로 대량생산이 가능하고, 값비싼 유압 실린더를 대체하여 모터 구동식 액튜에이터 및 가스 실린더를 사용함으로써 제조 원가를 대폭 줄일 수 있다. 가스 스프링의 문제점들을 모두 제거하면서도 유압 실린더에 비해 저렴한 비용으로 시스템 구성이 가능하다.
넷째로, 모터 구동식 액튜에이터는 윙을 자동 개폐할 수 있으므로 가스 스프링을 이용하여 윙을 수동으로 폐쇄 작동시키는 경우 윙에 설치해야 하는 줄을 제거할 수 있어 상차 및 하차 작업시의 방해 요소로 제거할 수 있고, 또한 작업자가 원하는 임의의 개방 상태로 유지할 수 있으므로, 상차 및 하차 작업중에 작업자의 작업 공간이 햇빛 또는 빗물 등에 노출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드러스트 베어링 및 레이디얼 베어링을 포함하는 베어링 조립체를 사용하여 스크류를 조립함으로써, 상기 스크류의 축방향 하중 및 굽힘 하중으로 인한 내구성 저하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으며, 윙 개방 상태에서는 바람 등의 외부 요인으로 인해 윙이 저절로 폐쇄되는 것이 방지되므로 안정성이 향상된다.
다섯째로, 빗물 등과 같은 액체가 적재함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종래 철판을 사용한 윙바디의 경우 리벳팅한 부분이 진동에 의해 틈새가 발생하여 이 틈새부분으로 빗물이 누수 될 수 있고, 윙이 결합되는 천정 부분의 구조상 결함으로 빗물이 누수 될 수 있다. 그러나 본 고안은 윙 자체를 일체로 성형함으로써 틈새 발생을 근본적으로 차단하고 윙이 결합되는 부분에 빗물받이용 채널부를 갖는 윙 설치 부재를 설치하는 등 윙의 결합구조를 개선하여 누수 원인을 완벽히 차단할 수 있다.
여섯째로, 섬유 강화 플라스틱로 제조된 윙바디는 철판을 사용한 윙바디보다대략 1/3 정도 중량 감소가 가능하므로, 화물 차량의 전체 중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일곱째로, 섬유 강화 플라스틱을 사용하고, 또한 보강 파이프를 그루부에 일체로 접착하므로써 윙바디의 강도와 그 내구력을 철판 윙바디에 비해 최소한 2 내지 3배 가량 증가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윙바디의 강도와 내구력을 향상시킴으로써 외부의 충격에 의하여 쉽게 파손되지 않고 내부 화물의 접촉에 의해서 찌그러지지 않는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한 윙바디는 그 사용수명을 최소한 5년 이상 대폭 증가시킬 수 있다.
여덟째로, 측면 벽체의 천정 부분을 자연 채광이 가능한 반투명 섬유 강화 플라스틱으로 구성함으로써, 주간에는 적재함 내부를 별도의 조명 기구를 사용하여 조명하지 않을 수 있다.

Claims (14)

  1. 바닥 프레임들과 측벽 프레임들 및 천정 프레임들로 이루어지며, 적재 공간을 형성하는 프레임 조립체와;
    차량의 차폭방향 중간 위치에서 차량의 전장 방향으로 설치되는 윙 설치 부재와;
    상기 윙 설치 부재에 설치되며, 상기 적재 공간의 한 측면을 개폐하는 윙과;
    차량의 전방쪽에 위치한 프레임에 설치되며, 상기 윙을 개폐하는 모터 구동식 액튜에이터와;
    차량의 후방쪽에 위치한 프레임에 설치되며, 상기 모터 구동식 액튜에이터에 의해 윙이 개폐될 때 상기 윙을 지지하는 가스 스프링과;
    상기 윙이 설치된 반대쪽으로 적재 공간의 다른 측면을 개폐하는 미닫이식 또는 여닫이식 측면 도어 및 이 도어를 갖는 측면 벽체와;
    차량의 후방쪽에 위치한 프레임에 설치되며, 적재 공간의 후면을 개폐하는 미닫이식 또는 여닫이식 후방 도어 및 이 도어를 갖는 후방 벽체와;
    상기 바닥 프레임들에 설치되는 바닥체;
    를 포함하는 윙바디 조립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닥 프레임들에는 윙바디 조립체를 화물 차량에 조립하기 위한 조립 브래킷들이 제공되는 윙바디 조립체.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윙은 다수의 보강 그루브들을 갖는 섬유 강화 플라스틱으로 제조되며, 상기 보강 그루브에는 보강 파이프가 일체로 고정되는 윙바디 조립체.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보강 파이프는 합성수지, 섬유 강화 플라스틱, 강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재질로 제조되는 윙바디 조립체.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윙은 알루미늄 패널로 제조되는 윙바디 조립체.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측면 벽체의 천정 부분은 채광 가능한 반투명 섬유 강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는 윙바디 조립체.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윙 설치 부재는 빗물의 배수를 유도하는 채널부를 일체로 구비하는 윙바디 조립체.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윙 설치 부재와 윙 사이에는 이들 양 부재의 힌지 결합된 부분을 통해 빗물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실링 러버가 배치되는 윙바디 조립체.
  9. 청구항 1항에 있어서, 모터 구동식 액튜에이터는,
    프레임에 힌지 고정되는 정역 모터 및 상기 모터의 구동력을 감속하는 감속기와;
    상기 감속기의 축과 결합되어 모터 구동시 회전되는 스크류와;
    상기 스크류를 감속기의 축과 결합하는 베어링 조립체와;
    일단부가 윙에 힌지 결합되며, 상기 스크류에 암수 결합되어 이 스크류의 회전 방향에 따라 전진 또는 후진하는 너트 부재와;
    상기 너트 부재의 전진 및 후진 거리를 제한하는 스토퍼 부재;
    를 포함하는 윙바디 조립체.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 조립체는, 상기 감속기에 결합되는 베어링 플랜지와, 베어링 플랜지 내측에 삽입되며 상기 스크류의 단부 외주에 설치되는 스크류 플랜지와, 상기 베어링 플랜지의 내측에 삽입되며 스크류 플랜지를 통해 상기 스크류의 축방향 하중을 감속기 케이스에 전달하는 드러스트 베어링과, 상기 스크류의 단부 외주에 설치되어 베어링 플랜지의 내측에 삽입되며 스크류의 굽힘 하중을 전달받는 레이디얼 베어링 또는 앵귤러 콘택트 베어링을 포함하는 윙바디 조립체.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너트 부재는, 상기 스크류에 나사 결합되는 너트와, 상기 너트가 내측 일단부에 고정 설치되는 중공형의 너트 하우징 및 이 하우징을 둘러싸는 하우징 케이스를 포함하는 윙바디 조립체.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너트 하우징에는 위치 감지 레버가 구비되며, 상기 하우징 케이스에는 너트 하우징의 전진 및 후진 위치를 제한하도록 상기 위치 감지 레버를 감지하는 리미트 스위치들이 구비되는 윙바디 조립체.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의 단부에는 너트 하우징의 내부에서 스크류가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스크류 가이드가 결합되는 윙바디 조립체.
  14. 청구항 1 내지 13항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윙바디 조립체를 갖는 화물차량.
KR2020020026442U 2002-09-04 2002-09-04 윙바디 조립체 및 이 조립체를 갖는 화물 차량 KR20029805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6442U KR200298058Y1 (ko) 2002-09-04 2002-09-04 윙바디 조립체 및 이 조립체를 갖는 화물 차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6442U KR200298058Y1 (ko) 2002-09-04 2002-09-04 윙바디 조립체 및 이 조립체를 갖는 화물 차량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8058Y1 true KR200298058Y1 (ko) 2002-12-13

Family

ID=731282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6442U KR200298058Y1 (ko) 2002-09-04 2002-09-04 윙바디 조립체 및 이 조립체를 갖는 화물 차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805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7960A (ko) 2018-03-13 2019-09-23 (주)한성특장 윙바디 특장차용 적재함 기초 조립체
KR101990102B1 (ko) 2019-04-17 2019-09-24 이윤완 윙바디 적재함 하중분산지지유닛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7960A (ko) 2018-03-13 2019-09-23 (주)한성특장 윙바디 특장차용 적재함 기초 조립체
KR101990102B1 (ko) 2019-04-17 2019-09-24 이윤완 윙바디 적재함 하중분산지지유닛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15763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ткрывания и закрывания тентов, применяемых для закрытия кузовов промышленных, сельскохозяйственных и аналогичных транспортных средств
US6402224B1 (en) Control mechanism for covers to large containers
US7147264B2 (en) Cover system for a transfer trailer
US20060208526A1 (en) Covering system of a truck
US7631921B2 (en) Closure system for a vehicle
US8342589B2 (en) Convertible trailer
US8123277B2 (en) Motor vehicle
CN109318920B (zh) 一种铁路货车活动顶盖及铁路货车
KR200298058Y1 (ko) 윙바디 조립체 및 이 조립체를 갖는 화물 차량
CN210822487U (zh) 一种顶盖可双侧翻转的货厢及安装该货厢的自卸车
KR100459019B1 (ko) 화물 차량용 개선 윙바디
KR200269915Y1 (ko) 화물 차량용 개선 윙바디
KR200281945Y1 (ko) 개선된 윙바디를 갖는 소형 화물 차량
KR200298059Y1 (ko) 윙 개폐용 모터 구동식 액튜에이터
CN113982436B (zh) 一种钢筋混凝土结构人防门
GB2440143A (en) Retractable cover for skip
KR200269914Y1 (ko) 화물 차량용 섬유 강화 플라스틱 윙바디
KR0142816B1 (ko) 화물 자동차 적재함의 덮개판 자동개폐장치
CN114753320A (zh) 一种用于测控一体化闸门系统的隐藏式螺杆闸门
US4747742A (en) Unloading flap for pourable particulate material
CA2799271C (en) Convertible trailer
KR102652926B1 (ko) 코일철강 운반 트레일러용 덮개 장치
US6807774B1 (en) Greaseless fulcrum for a railcar door
AU2019205976B2 (en) Drive unit for a slide-out room
KR200256310Y1 (ko) 연료절약형 내장 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