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8015Y1 - Beverage container - Google Patents

Beverage contai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8015Y1
KR200298015Y1 KR2020020023861U KR20020023861U KR200298015Y1 KR 200298015 Y1 KR200298015 Y1 KR 200298015Y1 KR 2020020023861 U KR2020020023861 U KR 2020020023861U KR 20020023861 U KR20020023861 U KR 20020023861U KR 200298015 Y1 KR200298015 Y1 KR 20029801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w
beverage container
beverage
container
f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3861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상화
Original Assignee
이상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화 filed Critical 이상화
Priority to KR202002002386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8015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801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8015Y1/en

Links

Landscapes

  • Packages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음료용기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에 따른 음료용기는 음료수가 저장되도록 상단이 개방되고 바닥이 막혀있는 원통형태의 몸체; 상기 몸체의 벽체에 상기 몸체의 상단에서 바닥 측으로 관통 연장되어 빨대가 삽입될 수 있도록 된 삽입로가 구비된 것으로, 이러한 본 고안에 따른 음료용기는 빨대를 음료용기의 소정위치에 항상 고정 위치시킬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음료수와 음식물의 동시 섭취가 가능하도록 하고, 음식물의 섭취 후에도 안정적으로 빨대를 고정시킨 상태로 사용 가능하도록 하며, 판매자에게 빨대를 고정시키기 위한 부가적인 구조물의 구입 없이 음료용기의 구입 활용이 가능하도록 하여 보다 높은 판매효율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everage container, the beverage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cylindrical body of which the top is open and the bottom is closed so that the beverage is stored; The wall of the body is provided with an insertion path extending from the top of the body to the bottom side so that the straw can be inserted, the beverage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always be fixed in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beverage container straw It allows the user to simultaneously drink and drink food, and can be used with the straw stably fixed after ingesting the food, and purchase and use the beverage container without purchasing additional structures to fix the straw to the seller. By enabling this it is possible to exert a higher sales efficiency.

Description

음료용기{BEVERAGE CONTAINER}Beverage container {BEVERAGE CONTAINER}

본 고안은 음료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음료용기에 빨대를 삽입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음료용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everage contai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beverage container to be used by inserting a straw in the beverage container.

일반적으로 음료용기는 음료수를 저장하여 사용자가 휴대한 상태로 음료를섭취하도록 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이고, 빨대는 이러한 음료용기에 저장된 음료를 구강으로 흡입하여 섭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In general, a beverage container is used to store a beverage to allow the user to take a beverage in a portable state, and a straw is to inhale and ingest the beverage stored in the beverage container into the oral cavity.

이러한 음료용기 중에서 널리 사용되는 것 중에 플라스틱 또는 종이 등으로 된 일회용 음료용기이다. 특히 근래에 테이크 아웃(TAKE OUT)이 널리 유행하면서 테이크 아웃의 특성상 다기능 복합구조로 된 일회용 음료용기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Among the beverage containers widely used are disposable beverage containers made of plastic or paper. In particular, in recent years, the take out (TAKE OUT) is widely popular, the disposable drink containers having a multi-functional composite structure due to the nature of the take out has been used a lot.

이들 다기능 복합구조로 된 일회용 음료용기는 음료수와 함께 별도의 음식물을 동시에 저장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거나 또는 빨대를 고정시키는 구조, 음료수와 음식물을 구분하여 섭취할 수 있도록 하는 이중 구조 및 복수 용기 구조 등 다양한 구조들이 개발되어 제품화되고 있다.Disposable beverage containers with multi-functional complex structure can be used to store and use separate foods at the same time with a drink, or a structure for fixing a straw, a double structure and a plurality of container structures for distinguishing and ingesting beverages and foods. Structures are being developed and commercialized.

그러나 종래의 이들 대부분의 음료용기는 빨대를 고정시키거나 또는 음식물과 음료수를 함께 저장하게 할 경우에 빨대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별도로 부가적인 구조로 된 커버, 이중용기 등이 항상 필요하다. 즉 음료용기 자체만으로 빨대를 고정시키거나 음료수의 구분섭취가 가능하게 하지 못하다는 것이다.However, most of these conventional beverage containers always need a separate additional cover, double container, etc. to secure the straw in the case of fixing the straw or to store food and drink together. In other words, it is not possible to fix the straw or drink intake only by the beverage container itself.

이 때문에 사용자 또는 음료수를 판매하는 판매자의 경우 음료용기와 함께 빨대를 고정시키는 구조물을 함께 사용하거나 구입하여야 하므로 사용자에게는 사용상의 불편한 문제점이 있고, 판매자에게는 부가적인 구조물을 구입하여야 하므로 원가상승의 문제를 가지게 된다.For this reason, users or sellers who sell beverages have to use or purchase a structure that fixes the straw together with the beverage container, which is inconvenient for the user, and sellers must purchase additional structures, thereby increasing the cost. Have.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빨대를음료용기의 소정위치에 고정 위치시킬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음료수와 음식물의 동시 섭취가 가능하도록 하고, 음식물의 섭취 후에도 안정적으로 빨대를 고정시킨 상태로 사용 가능하도록 하고, 판매자에게 빨대를 고정시키기 위한 부가적인 구조물의 구입없이 음료용기의 구입 활용이 가능하도록 하여 보다 높은 판매효율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한 음료용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able the user to take a drink and food at the same time by stably positioning the straw in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beverage container, and stably after the intake of food It is to provide a beverage container that can be used in a fixed state of the straw, and to enable the purchase and use of the beverage container without the purchase of additional structures for fixing the straw to the seller to exhibit higher sales efficiency.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음료용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everage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음료용기의 단면도이다.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beverage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음료용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beverage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음료용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beverage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00...몸체100 ... body

110...삽입로110 ... with insert

300...빨대300 ... straw

400...음식물 저장용기400 ... Food Container

500...보조 음식물 저장용기500 ... Secondary Food Container

전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음료용기는 음료수가 저장되도록 상단이 개방되고 바닥이 막혀있는 원통형태의 몸체; 상기 몸체의 벽체에 상기 몸체의 상단에서 바닥 측으로 관통 연장되어 빨대가 삽입될 수 있도록 된 삽입로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Beverage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cylindrical body of which the top is open and the bottom is closed so that the beverage is stored; The wall of the body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insertion path is provided so that the straw can be inserted through extending from the top of the body to the bottom side.

그리고 바람직하게 상기 몸체의 상측에는 상기 몸체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몸체와 겹쳐져 설치되는 음식물 저장용기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preferably, the upper side of the body is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body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ood storage container is installed to overlap with the body is provided.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음식물 저장용기의 상측에는 상기 음식물 저장용기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음식물 저장용기와 겹쳐지되 상기 음식물 저장용기의 내부가 상부로 노출되도록 하는 개구부와 상기 개구부의 일측으로 구획 형성되어 음식물이 저장되는 저장부를 가진 보조 음식물 저장용기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preferably the upper side of the food storage container is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food storage container overlapping with the food storage container, the opening is formed so that the inside of the food storage container is exposed to the upper portion and the food is divided into one side of the opening.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auxiliary food storage container having a storage unit is provided.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음료용기에 대한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one preferred embodiment of a beverage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음료용기는 음료수가 저장되도록 상단이 개방되고 바닥이 막혀있는 타원형 원통 형태로 된 몸체(100)를 구비한다. 이 몸체(100)의 형상은 일반적인 일회용 음료용기와 유사하다.As shown in Figure 1 and 2, the beverage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body 100 in the form of an oval cylinder with an open top and closed bottom to store the beverage. The shape of the body 100 is similar to a general disposable beverage container.

그리고 몸체(100)의 벽체 일측으로는 몸체의 상단에서 바닥 측으로 관통하여 연장된 삽입로(110)가 형성된다. 이 삽입로(110)는 상단으로 빨대(30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구(120)가 형성되어 있고, 삽입된 빨대(300)가 음료용기의 몸체(100) 바닥측과 인접하여 연통되도록 연통구(130)가 형성되어 있다.And one side of the wall of the body 100 is formed with an insertion path 110 extending from the top of the body to the bottom side. The insertion path 110 has an insertion hole 120 is formed so that the straw 300 can be inserted into the top, the communication hole so that the inserted straw 300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bottom side of the body 100 of the beverage container. 130 is formed.

따라서 음료수를 섭취할 경우에는 빨대(300)를 삽입구(120)를 통하여 삽입로(110)에 삽입한 후 삽입로(110)에 고정 위치한 빨대를 통하여 음료수를 섭취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Therefore, when the beverage is ingested, the straw 300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path 110 through the insertion hole 120, and the beverage can be ingested through the straw fixedly positioned in the insertion path 110.

다음으로 이러한 음료용기의 몸체(100) 상측으로 별도의 보조용기(400)(500)들을 겹쳐져서 설치될 수 있는데, 이 경우는 테이크 아웃 상태로 음료수 및 음식물을 함께 사용자가 섭취하고자 하는 경우에 적용된다.Next, a separate auxiliary container 400, 500 may be installed to the upper side of the body 100 of such a beverage container, this case is applied when the user wants to drink and drink together with the take-out state. do.

이를 위한 보조용기(400)(500)들을 살펴보면, 몸체(100)의 상측에 몸체(10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겹쳐지도록 상단 가장자리에 턱(410)이 형성되고, 그 내측으로 저장부(420)가 형성된 음식물 저장용기(400)가 구비되고, 이 음식물 저장용기(400)의 상측으로는 음식물 저장용기(40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음식물 저장용기(400)와 겹쳐지도록 턱(510)과 저장부(530) 그리고 저장부(520)의 일측으로 상하 개구된 개구부가 마련된 보조 음식물 저장용기(500)로 구성될 수 있다. 이 보조 음식물 저장용기(500)는 음식물의 섭취시 함께 사용되는 소스 등이 저장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Looking at the auxiliary container 400, 500 for this, the upper edge of the body 100 is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body 100, the jaw 410 is formed on the upper edge so as to overlap, the storage unit 420 in the inside Is provided with a food storage container 400 is formed, the upper side of the food storage container 400 is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food storage container 400 to overlap the food storage container 400 and the jaw 510 and the storage unit 530 and the auxiliary food storage container 500 is provided with an opening that is opened up and down to one side of the storage unit 520. The auxiliary food storage container 500 is for allowing the source and the like to be stored when ingesting food.

한편, 삽입로(110)의 하단 연통구(130)의 위치는 도 2에서와 같이 몸체(100)의 바닥까지 연장되게 형성할 수 도 있지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00)의 중간부분까지만 연장되게 형성할 수 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osition of the bottom communication port 130 of the insertion path 110 may be formed to extend to the bottom of the body 100 as shown in FIG. As shown in Figure 3 may be formed to extend only to the middle portion of the body (100).

그리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식물 저장용기(400)에 별도의 구획된 공간(430)을 형성하여, 도 3에서와 같이 보조 음식물 저장용기(500)를 사용하지 않고 소스등을 섭취하도록 할 수 있다.And as shown in Figure 4 by forming a separate compartment 430 in the food storage container 400, as shown in Figure 3 may be to consume the source and the like without using the auxiliary food storage container 500. have.

이하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음료용기의 사용상태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state of use of the beverage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본 고안에 따른 음료용기의 사용상태는 두 가지 형태가 가능한다. 첫째는 단지 음료수만을 섭취할 경우와 음료수와 함께 다른 음식물을 함께 섭취할 경우가 각각 적용될 수 있다.The state of use of the beverage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ossible in two forms. First, the case where only drinking water and other foods together with the drinking water may be applied respectively.

음료수만을 섭취하고자 할 경우는 몸체(100)에 음료수를 저장한 다음 몸체(100)의 삽입홀을 통하여 빨대(300)를 삽입한 후 사용자가 빨대(300)를 통하여 음료수를 흡입 섭취하면 된다. 그리고 다른 음식물을 함께 섭취할 경우에는 몸체(100)의 상측으로 음식물 저장용기(400)를 겹쳐서 삽입 설치하고, 필요에 따라 보조 음식물 저장용기(500)를 음식물 저장용기(400)에 겹쳐서 설치한 후 빨대(300)를 몸체(100)의 삽입홀(120)을 통하여 삽입한다.If you only want to drink the beverage, after storing the beverage in the body 100 and then insert the straw 300 through the insertion hole of the body 100, the user may inhale and drink the beverage through the straw (300). And when ingesting the other food together, the food storage container 400 is inserted and installed overlapping to the upper side of the body 100, and if necessary, after installing the auxiliary food storage container 500 overlapping the food storage container 400 The straw 300 is inserted through the insertion hole 120 of the body 100.

이러한 상태에서 빨대(300)를 통하여 음료수를 섭취하고, 음식물은 보조 음식물 저장용기(500)의 개구부(520)을 통하여 섭취하면 하나의 용기에서 음료수와 음식물의 선택적인 섭취가 가능하게 된다.In this state, the drinking water is ingested through the straw 300, and the food is ingested through the opening 520 of the auxiliary food storage container 500, thereby allowing the selective intake of the beverage and food in one container.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음료용기는 필요시 빨대를 음료용기의 삽입홀을 통하여 삽입한 후 섭취할 수 있도록 하며, 동시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음식물 저장용기를 음료용기 몸체에 겹쳐서 설치할 수 있도록 하여 테이크 아웃 상태에서 음료수와 음식물의 섭취가 종래의 음료용기에 비하여 간편하게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As described above, the beverage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ngested after inserting the straw through the insertion hole of the beverage container if necessary, and at the same time, the food storage container used in general can be superimposed on the beverage container body to be taken. Drinking water and food in the out state can be made easily and efficiently compared to conventional beverage containers.

이상과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음료용기는 빨대를 음료용기의 소정위치에 항상 고정 위치시킬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음료수와 음식물의 동시 섭취가 가능하도록 하고, 음식물의 섭취 후에도 안정적으로 빨대를 고정시킨 상태로 사용 가능하도록 하며, 판매자에게 빨대를 고정시키기 위한 부가적인 구조물의 구입 없이 음료용기의 구입 활용이 가능하도록 하여 보다 높은 판매효율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The beverage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enables the user to simultaneously intake the drinking water and food by fixing the straw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beverage container at all times, and stably fix the straw even after the food intake. It is possible to use, it is possible to use the purchase of the beverage container without the purchase of additional structures for fixing the straw to the seller has the effect of exhibiting a higher sales efficiency.

Claims (3)

음료수가 저장되도록 상단이 개방되고 바닥이 막혀있는 원통형태의 몸체;A cylindrical body having an open top and a closed bottom for storing beverages; 상기 몸체의 벽체에 상기 몸체의 상단에서 바닥 측으로 관통 연장되어 빨대가 삽입될 수 있도록 된 삽입로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Drinking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insertion wall through which the straw is inserted into the wall of the body extending from the top of the body to the bottom sid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상측에는 상기 몸체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몸체와 겹쳐져 설치되는 음식물 저장용기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The beverage container of claim 1, wherein the upper side of the body is provided with a food storage container inserted into the body and overlapping with the body.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음식물 저장용기의 상측에는 상기 음식물 저장용기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음식물 저장용기와 겹쳐지되 상기 음식물 저장용기의 내부가 상부로 노출되도록 하는 개구부와 상기 개구부의 일측으로 구획 형성되어 음식물이 저장되는 저장부를 가진 보조 음식물 저장용기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upper side of the food storage container is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food storage container overlapping with the food storage container and the partition formed in one side of the opening and the opening so that the inside of the food storage container is exposed to the top. Drink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auxiliary food storage container provided with a storage unit for storing food.
KR2020020023861U 2002-08-09 2002-08-09 Beverage container KR200298015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3861U KR200298015Y1 (en) 2002-08-09 2002-08-09 Beverage contai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3861U KR200298015Y1 (en) 2002-08-09 2002-08-09 Beverage contain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8015Y1 true KR200298015Y1 (en) 2002-12-12

Family

ID=730782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3861U KR200298015Y1 (en) 2002-08-09 2002-08-09 Beverage contain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8015Y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1041Y1 (en) * 2018-08-02 2020-05-18 정균형 Straw attachment cup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1041Y1 (en) * 2018-08-02 2020-05-18 정균형 Straw attachment cup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98015Y1 (en) Beverage container
KR100980768B1 (en) Duplex receptacle
JP2003072733A (en) Paper cup
US20060273082A1 (en) Hot/chilly thermo totes
KR200390524Y1 (en) PET bottle
EP1669301B1 (en) Bag for carrying wine bottles
KR200449212Y1 (en) Vessel of meterial for dietary intake
KR200244222Y1 (en) The fluid's container
KR200311954Y1 (en) Drink bottle
KR200357016Y1 (en) A multi-heaping vessel
KR200264335Y1 (en) Portable Type Flexible Bag
KR200187691Y1 (en) A can for a beverage
KR200195551Y1 (en) Means of drink vessel
KR200286093Y1 (en) A beverage container having multi-straw
KR200312528Y1 (en) the duplex packing cup
JP2008044639A (en) Storage box for beverage container
KR200268257Y1 (en) bottle
KR200296158Y1 (en) Union contrivance of drink container
KR200169033Y1 (en) Can assembly
KR200283679Y1 (en) Portable multipurpose partition-case
KR200202889Y1 (en) The dumbbell is served as a beverage's container
JPS5924702Y2 (en) Portable canned beverage storage container
KR20210132996A (en) Disposable food container
KR200280373Y1 (en) Can union instrument
JP3096974U (en) Suction cap for plastic bott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128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