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7549Y1 - Rainwater eliminator for side-mirror of vehicle - Google Patents

Rainwater eliminator for side-mirror of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7549Y1
KR200297549Y1 KR2020020026895U KR20020026895U KR200297549Y1 KR 200297549 Y1 KR200297549 Y1 KR 200297549Y1 KR 2020020026895 U KR2020020026895 U KR 2020020026895U KR 20020026895 U KR20020026895 U KR 20020026895U KR 200297549 Y1 KR200297549 Y1 KR 20029754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mirror
vehicle
cap
rainwater removal
removal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6895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두영
Original Assignee
이두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두영 filed Critical 이두영
Priority to KR202002002689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7549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754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7549Y1/en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 사이드 미러에 부착되는 사이드 미러용 빗물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사이드 미러(1)의 상부에 흡입구(5)와 배출구(6) 및 후크장치(15)를 구비한 빗물제거장치(3)를 설치하고, 사용자가 자동차 운행중에 상기 빗물제거장치(3)의 개폐버튼(4)을 누르면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빗물제거장치(3)의 흡입구(5)가 상방으로 열리면서 공기를 흡입하고, 상기 흡입된 공기가 유도판(12) 및 배출구(6)를 통해 사이드 미러의 유리면(2)에 압축배출됨으로써, 사이드 미러 유리면(2)에 부착된 물방울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으며, 고정나사(16)와 밀착판(17)에 의해 고정되므로 부착과 탈착이 용이하고, 별도의 전기적인 장치가 부가되어 있지 않은 단순한 구성으로서 고장의 우려성이 없고, 제작비용이 저렴한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ainwater removal device for a side mirror attached to a vehicle side mirror, and in particular, a rainwater removal device having an inlet 5, an outlet 6, and a hook device 15 on an upper side of the side mirror 1 ( 3), and when the user presses the opening / closing button 4 of the rainwater removal device 3 while the vehicle is running, the suction port 5 of the rainwater removal device 3 is opened upward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spring to suck in air. In addition, the sucked air is compressed and discharged to the glass surface 2 of the side mirror through the guide plate 12 and the outlet 6, thereby effectively removing the water droplets attached to the side mirror glass surface 2, Since it is fixed by the 16 and the contact plate 17, it is easy to attach and detach, and there is no risk of failure and the manufacturing cost is low, with a simple configuration without an additional electrical device.

Description

자동차의 사이드 미러용 빗물제거장치{ RAINWATER ELIMINATOR FOR SIDE-MIRROR OF VEHICLE}Rainwater removal device for side mirrors of automobiles {RAINWATER ELIMINATOR FOR SIDE-MIRROR OF VEHICLE}

본 고안은 자동차의 사이드 미러에 장착되는 빗물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사이드 미러의 상부에 흡입구와 배출구 및 후크장치를 구비한 빗물제거장치를 설치하고, 사용자가 자동차 운행중에 상기 빗물제거장치의 개폐버튼을 누르면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상기 빗물제거장치의 흡입구가 상방으로 열리면서 공기를 흡입하고, 상기 흡입된 공기가 유도판 및 배출구를 통해 사이드 미러의 유리면에 압축배출됨으로써, 사이드 미러 유리면에 부착된 물방울을 제거하는 자동차의 사이드 미러용 빗물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ainwater removal device mounted on a side mirror of a vehicle, and in particular, a rainwater removal device including an inlet, an outlet, and a hook device is install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side mirror, and the user opens and closes the rainwater removal device while driving a vehicle. When the button is pressed, the inlet of the rainwater removal device is opened upward by the elasticity of the spring to suck in air, and the sucked air is compressed and discharged to the glass surface of the side mirror through the guide plate and the outlet port, whereby water droplets attached to the side mirror glass surface It relates to a rainwater removal device for a side mirror of a car to remove the.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차체 양측에는 사이드 미러가 고정설치되어, 운전자는 상기 사이드 미러를 통해 후방에서 주행하는 차량의 존재여부 및 인접거리를 확인하여 차선변경을 하게 되는데, 상기 사이드 미러는 하우징 내에 미러가 수동 또는자동으로 조정가능한 상태로 결합된다.In general, side mirrors are fixedly installed at both sides of the vehicle body, and the driver changes lanes by checking the presence and adjacent distance of the vehicle traveling rearward through the side mirrors. Combined in a manually or automatically adjustable state.

한편, 우천시에 자동차를 주행하는 경우, 바람에 의해 흩날리는 빗물이 자동차의 전면 유리 및 사이드 미러에 부착되어 운전자의 전방 및 후방 시야를 방해하는 작용을 하므로, 운전자는 상기 전면유리에 구비된 와이퍼장치를 작동시켜 전방시야를 확보하게 되는데, 상기 사이드 미러는 별도의 청소방법이 없으므로 후방시야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운전자가 사이드 미러를 직접 닦아 내는 방법 밖에는 없었다.On the other hand, when driving a car in rainy weather, the rain water blown by the wind is attached to the windshield and side mirrors of the car to interfere with the driver's front and rear view, so the driver wiper device provided on the windshield The front view is secured by operating the side mirror. Since there is no separate cleaning method, the driver only wipes the side mirror to secure the rear view.

따라서, 최근에는 이를 보완하기 위해 사이드 미러에 와류로 인해 맺힌 물방울을 제거시키기 위한 장치나, 마찰력을 줄여 물방울이 쉽게 부착되지 않도록 왁스를 바르는 왁스 타입 등이 제안되었으나, 상기 장치는 그 구조가 복잡하고 설치 및 작동상이 번거롭고 제작 및 유지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상기 왁스는 비가 지속적으로 내리는 경우에는 왁스의 성능이 크게 줄어드는 문제점이 있었다.Therefore, in recent years, to compensate for this, a device for removing water droplets caused by vortices in the side mirror, or a wax type for applying wax to prevent water droplets from being easily attached by reducing friction, has been propos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installation and operation is cumbersome and takes a lot of manufacturing and maintenance costs, the wax has a problem that the performance of the wax is greatly reduced when the rain continues to fall.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사이드 미러의 상부에 흡입구와 배출구 및 후크장치를 구비한 빗물제거장치를 설치하고, 사용자가 자동차 운행중에 상기 빗물제거장치의 개폐버튼을 누르면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상기 빗물제거장치의 흡입구가 상방으로 열리면서 공기를 흡입하고, 상기 흡입된 공기가 유도판 및 배출구를 통해 사이드 미러의 유리면에 압축배출됨으로써, 사이드 미러 유리면에 부착된 물방울을 제거하는 자동차의 사이드 미러용 빗물제거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nstall a rainwater removal device having a suction port and an outlet port and a hook device on the upper side of the side mirror, and when the user presses the opening and closing button of the rainwater removal device The inlet of the rainwater removal device is opened upward by the elasticity of the spring to suck in air, and the sucked air is compressed and discharged to the glass surface of the side mirror through the guide plate and the outlet, thereby removing water droplets attached to the glass surface of the side mirror.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rain removal device for a side mirror of a vehicle.

도 1은 자동차의 사이드 미러에 본 고안에 의한 자동차 사이드 미러용 빗물제거장치가 장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rainwater removal apparatus for a vehicle side mirr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a side mirror of a vehicle;

도 2는 도 1에서 자동차의 사이드 미러 부분만을 확대한 부분 사시도,FIG. 2 is an enlarged partial perspective view of only a side mirror portion of a vehicle in FIG. 1;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자동차 사이드 미러용 빗물제거장치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시도,Figure 3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rainwater removal apparatus for a vehicle side mirr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자동차 사이드 미러용 빗물제거장치의 후크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시도이다.Figure 4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hook device of the rainwater removal apparatus for a vehicle side mirr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Brief descrip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사이드 미러 2: 유리면1: side mirror 2: glass

3: 빗물제거장치 4: 개폐버튼3: rainwater removal device 4: opening and closing button

5: 흡입구 6: 배출구5: inlet 6: outlet

10: 상부캡 11: 돌기10: upper cap 11: protrusion

12: 유도판 13: 스프링장치12: guide plate 13: spring device

14: 하부캡 15: 후크장치14: lower cap 15: hook device

16: 고정나사 17: 밀착판16: Fixing screw 17: Contact plate

21: 집게 22: 링크21: Tongs 22: Link

23: 고정핀 24: 이동핀23: fixing pin 24: moving pin

25: 스프링 26: 후크하우징25: spring 26: hook housing

27: 이동홈 28: 왕복부재27: moving groove 28: reciprocating member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y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자동차의 사이드 미러에 본 고안에 의한 자동차 사이드 미러용 빗물제거장치가 장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자동차의 사이드 미러 부분만을 확대한 부분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자동차 사이드 미러용 빗물제거장치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자동차 사이드 미러용 빗물제거장치의 후크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rain mirror removal apparatus for a vehicle side mirr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a side mirror of a vehicle, FIG. 2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of an enlarged side mirror portion of a vehicle in FIG. 1, and FIG. 3. 4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rainwater removal apparatus for a vehicle side mirr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hook device of the rainwater removal apparatus for a vehicle side mirr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고안에 의한 자동차의 사이드 미러용 빗물제거장치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의 저항을 최소화하기 위해 유선형의 외부모양을 갖는 상부캡(10)과, 상기 상부캡(10)의 상측 소정부위에 구비되어 있으며 후크장치(15)를 통해 개폐동작이 가능하도록 수동으로 가압하는 개폐버튼(4)과, 상기 상부캡(10)의 후측 소정부위에 구비되어 있으며 흡입구(5)에서 흡입된 공기가 사이드 미러 유리면(2)에 정확하게 배출되도록 하는 유도판(12)과, 상기 상부캡(10)의 전면부 내측하부에 구비되어 있으며 걸림턱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돌기(11)와, 사이드 미러(1)의 상부에 설치되며 사이드 미러(1) 내측 하부면에 삽입되는 밀착판(17)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하부캡(14)과, 상기 밀착판(17)에 대향되는 위치에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밀착판(17)과 함께 하부캡(14)을 사이드 미러(1)의 상부에 고정시키는 고정나사(16)와, 상기 하부캡(14)에서 이탈된 상부캡(10)의 전면부가 힌지장치(도시되지 않음)를 중심으로 상방으로 개방되도록 하는 스프링장치(13)로 구성되어 있다.Rainwater removal apparatus for a side mirror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upper cap 10 having a streamlined outer shape to minimize the resistance of the air, as shown in Figures 1 to 3 and, of the upper cap 10 It is provided at a predetermined portion on the upper side and is provided at a predetermined portion on the rear side of the upper and lower caps and the opening and closing button (4) for manually pressing to enable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through the hook device 15, the suction port (5) An induction plate 12 for allowing the air to be accurately discharged to the side mirror glass surface 2, a protrusion 11 provided at an inner lower portion of the front portion of the upper cap 10 and having a locking jaw integrally formed therein; It is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side mirror (1) and the lower cap 14, which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contact plate (17) inserted into the lower surface inside the side mirror (1), and the position opposite to the contact plate (17) The lower cap 14 together with the contact plate 17 is provided Fixing screw 16 for fixing to the upper side of the side mirror (1), and the front portion of the upper cap 10 detached from the lower cap 14, the spring to open upwardly around the hinge device (not shown) The apparatus 13 is comprised.

본 고안에 의한 빗물제거장치(3)는 자동차의 양측에 구비된 사이드 미러(1) 상부에 고정나사(16) 및 밀착판(17)에 의해 고정결합되는데, 상기 고정나사(16)는 하부에 고무재질의 패킹(도시되지 않음)이 결합되어 있으므로, 추후 빗물제거장치(3)를 탈착시키더라도 사이드 미러(1) 표면에 흠집을 발생시키지 않으며, 상기 고정나사(16)에 대칭되는 사이드 미러(1)의 내측에는 상부에 요철구조가 형성된 밀착판(17)이 삽입되어 있다.Rainwater removal device 3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ixed to the upper side mirror 1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vehicle by a fixing screw 16 and the contact plate 17, the fixing screw 16 is lower Since the rubber packing (not shown) is combined, the side mirror 1 is not damaged even when the rainwater removing apparatus 3 is detached later, and the side mirror symmetrical to the fixing screw 16 ( Inside the 1), the close contact plate 17 having the uneven structure formed therein is inserted.

즉, 밀착판(17)은 사이드 미러(1)의 내측에 삽입되어 사이드 미러(1) 하부면에 밀착되는데, 마찰력을 강화할 수 있도록 상부에 요철구조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외부의 충격 또는 바람에 의한 저항력에 의해서도 사이드 미러(1)에서 빗물제거장치(3)가 쉽게 이탈되지 않는다.That is, the contact plate 17 is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side mirror 1 an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side mirror 1, because the uneven structure is formed on the upper portion to strengthen the friction force, due to external impact or wind Even by the resistive force, the rainwater removing device 3 is not easily separated from the side mirror 1.

한편, 상기 빗물제거장치(3)의 상부에는 개폐버튼(4)이 구비되어 있는데, 상기 개폐버튼(4)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자가 손가락으로 가압하면 돌기(11) 및 후크장치(15)의 구속 및 해제에 의해 누를때마다 열리거나 닫히는 작용을 반복수행한다.On the other hand, the rain water removing device 3 is provided with an opening and closing button (4), the opening and closing button (4) is a projection 11 and when the driver presses the finger as shown in Figs.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hook device 15 is repeatedly performed by pressing and restraining the hook device 15.

즉, 운전자가 사이드 미러(1)의 상부에 흡입구(5)와 배출구(6) 및 후크장치(15)를 구비한 빗물제거장치(3)를 설치하고, 자동차 운행중에 상기 빗물제거장치(3)의 개폐버튼(4)을 누르면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상기 빗물제거장치(3)의 흡입구(5)가 상방으로 열리면서 공기를 흡입하고, 상기 흡입된 공기는 유도판(12) 및 배출구(6)를 통해 사이드 미러의 유리면(2)에 압축배출됨으로써, 사이드 미러 유리면(2)에 부착된 물방울을 제거하게 된다.That is, the driver installs a rainwater removal device 3 having an inlet 5, an outlet 6, and a hook device 15 on the upper side mirror 1, and the rainwater removal device 3 while driving a vehicle. Pressing the opening and closing button 4 of the spring inlet 5 of the rainwater removal device 3 by the elasticity of the upper opening to inhale the air, the suctioned air is guide plate 12 and the outlet (6) By compressing and discharging to the glass surface 2 of the side mirror through, the water droplet adhering to the side mirror glass surface 2 is removed.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의한 빗물제거장치의 개폐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rainwater remova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운전자가 본 고안에 의한 빗물제거장치(3)의 상부에 부착된 개폐버튼(4)을 누르면, 돌기(11)가 후크장치(15)에서 이탈하게 되는데, 상기 상부캡(10)과 하부캡(14)은 힌지장치(도시되지 않음) 및 스프링장치(13)에 의해 연결되어 있으므로, 사이드 미러(1)에 고정된 하부캡(14)을 중심으로 상부캡(10)이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상방으로 이동하여 흡입구(5)를 개방한다.When the driver presses the opening / closing button 4 attach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rainwater removal device 3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jection 11 is released from the hook device 15, the upper cap 10 and the lower cap ( 14 is connected by a hinge device (not shown) and the spring device 13, so that the upper cap 10 is moved upward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spring around the lower cap 14 fixed to the side mirror 1 To open the suction port 5.

상기 흡입구(3)는 상방으로 약 30°정도 회전하여 개방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회전되는 정도가 지나치면 오히려 바람의 저항력으로 빗물제거장치(3)가 탈착될 우려가 있으므로, 제작단계에서 힌지장치 및 스프링장치(13)를 조절하여 흡입구(5)가 개방되는 정도를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uction port 3 is preferably opened by rotating about 30 ° upwards, but if the degree of rotation is excessive, the rainwater removal device 3 may be detached due to the resistance of the wind. And it is preferable to limit the extent to which the suction port 5 is opened by adjusting the spring device (13).

차량이 주행중에는 상기 흡입구(5)를 통해 흡입된 공기가 상부캡(10)의 내측면을 따라 유도판(12)에 도달하게 되고, 유도판(12)에 의해 방향이 꺽어진 공기는 출구가 좁은 배출구(6)를 통해 압축배출된다.While the vehicle is running, the air sucked through the suction port 5 reaches the guide plate 12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upper cap 10, and the air that is bent by the guide plate 12 has an outlet. Compressed through the narrow outlet (6).

상기 흡입구(5) 크기는 배출구(6) 크기의 5배 이상이 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흡입구(5)를 통해 흡입된 공기가 배출구(6)에서 압축되어 빠른 유속 및 압력으로 사이드 미러 유리면(2)에 분출되므로, 상기 사이드 미러 유리면(2)에 부착된 물방울이 효과적으로 제거된다.Preferably, the size of the inlet 5 is at least five times the size of the outlet 6. The air sucked through the inlet 5 is compressed at the outlet 6 so that the side mirror glass surface 2 has a high flow rate and pressure. Water droplets adhering to the side mirror glass surface 2 are effectively removed.

또한, 사이드 미러 유리면(2)에 부착된 물방울이 완전히 제거된 후에 상기 개폐버튼(4)을 다시 한번 누르면, 상기 돌기(11)가 후크장치(15)에 삽입고정되어 빗물제거장치(3)의 흡입구(5)가 폐쇄되므로, 주행중에 발생되는 공기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water droplet attached to the side mirror glass surface 2 is completely removed, pressing the opening / closing button 4 again, the projection 11 is inserted into the hook device 15 and fixed to the rain water removing device 3. Since the intake port 5 is closed,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air resistance generated during driving.

한편, 상기 후크장치(15)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크하우징(26)과, 상기 후쿠하우징(26) 내부에 삽입되어 왕복구동하는 왕복부재(28)로 구성되어 지는데, 상기 후크하우징(26)은 일측이 개방되어 왕복부재(28)를 수용하는 개방부를 가지고, 일측은 이동홈(27)이 형성되어 있는 통형구조이며, 왕복부재(28)는 상부에 한쌍의 집게(21)가 형성되어 있어 왕복부재(28)의 구동에 따라 돌기(11)를 파지하거나 이탈시키도록 되어 있고, 후크하우징(26)의 개방부로 삽입되어 왕복구동한다.On the other hand, the hook device 15 is composed of a hook housing 26 and a reciprocating member 28 inserted into the Fuku housing 26 reciprocating as shown in Figure 4, the hook housing ( 26 has an open side to open the one side to receive the reciprocating member 28, one side is a cylindrical structure in which the moving groove 27 is formed, the reciprocating member 28 is formed with a pair of tongs 21 on the top The grip 11 is gripped or disengaged according to the driving of the reciprocating member 28, and is inserted into the opening of the hook housing 26 to reciprocate.

상기, 이동홈(27)의 배면에는 캠(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되어 있어 이동핀(24)이 이동하게 될 이동 궤적을 제공한다. 즉, 이동핀(24)은 이동홈(27)과 그 배면의 캠 구조가 형성하는 궤적을 따라 이동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도면상으로는 반시계 방향으로 삼각형과 같은 궤적을 그리며 이동하게 된다.The back of the moving groove 27 is formed with a cam (not shown) to provide a moving trajectory to which the moving pin 24 will move. That is, since the moving pin 24 is moved along the trajectory formed by the moving groove 27 and the cam structure on its rear surface, the moving pin 24 moves in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drawing a triangle-like trajectory.

상기 왕복부재(28)는 후크하우징(26) 내부에 구속되어 왕복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예를 들어, 후크하우징(26)의 개방부에는 이탈 방지를 위한 턱이 형성되어 있다든지 하여 왕복부재(28)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The reciprocating member 28 is constrained inside the hook housing 26 so as to reciprocate. For example, the jaw is formed in the opening of the hook housing 26 to prevent the separation of the reciprocating member 28.

또한, 왕복부재(26)에는 별도의 링크(22)가 더 구비되어 있는데, 상기 링크(220의 일측에는 왕복부재(28)와 결합되어 왕복할 수 있도록 고정핀(23)이 형성되어 있고, 타측에는 후크하우징(26)의 이동홈(27)과 그 배면의 캠 형상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이동핀(24)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링크(22)는 고정핀(23)을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링크(22)는 고정핀(23)에 의해 왕복부재(28)에 회전가능하도록 체결된다.In addition, the reciprocating member 26 is further provided with a separate link 22, the fixing pin 23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link 220 to reciprocate in combination with the reciprocating member 28, A moving pin 24 is formed at the side to move along the cam shape of the moving groove 27 and the rear surface of the hook housing 26, and the link 22 is rotatable about the fixing pin 23. Since the link 22 is rotatably fastened to the reciprocating member 28 by the fixing pin 23.

한편, 후크하우징(26)의 내부에는 왕복부재(28)의 왕복을 돕기 위한 스프링(25)이 내장되는데, 상기 스프링(25)은 후크하우징(26)의 내부 바닥면과 왕복부재(28)의 밑면과의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inside of the hook housing 26 has a spring 25 for assisting the reciprocation of the reciprocating member 28, the spring 25 is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hook housing 26 and the reciprocating member 28 It is located between the bottom and the bottom.

상술한 후크장치(15)의 구성은 원터치(One-Touch)방식으로 돌기(11)를 파지하거나 이탈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한번의 가압으로 돌기(11)를 파지하여 하강 고정되고, 다시 한번의 가압으로 상승 이탈되면서 돌기(11)를 이탈시키도록 되어 있다.The configuration of the hook device 15 described above is for gripping or detaching the protrusions 11 in a one-touch manner, and gripping the protrusions 11 with a single press to lower and fix them. The protrusion 11 is detached while being lifted up.

우선, 외부의 가압에 의해 돌기(11)가 하강하면, 상기 왕복부재(28)는 하강하여 후크하우징(26) 내부로 이동하게 되고, 돌기(11)는 양 집게(21)에 의해 파지되며, 링크(22)의 일측에 형성된 이동핀(24)은 이동홈(27)의 도면상 하방 오목한 골 부위로 이동하여 하강 고정된다.First, when the projection 11 is lowered by external pressure, the reciprocating member 28 is lowered to move into the hook housing 26, the projection 11 is gripped by both tongs 21, The moving pin 24 formed on one side of the link 22 moves downward to the concave bone portion in the drawing of the moving groove 27 and is fixed downward.

다시 돌기(11)가 외부의 힘에 의해 가압되면 이동핀(24)은 이동홈(27)의 오목한 골 부위에서 이탈되면서 상승하여 이동홈(27)의 최상부 골 부위에서 이동을 멈추게 되는데, 이러한 구동에 원동력이 되는 것은 외부에서 가압하는 힘과 스프링(25)의 복원력이다.When the projection 11 is pressurized again by an external force, the moving pin 24 is lifted from the concave bone portion of the moving groove 27 to stop the movement at the uppermost bone portion of the moving groove 27. The driving force to the outside force and the restoring force of the spring (25).

본 고안에 의한 자동차 사이드 미러용 빗물제거장치는 사이드 미러(1)의 상부에 흡입구(5)와 배출구(6) 및 후크장치(15)를 구비한 빗물제거장치(3)를 설치하고, 사용자가 자동차 운행중에 상기 빗물제거장치(3)의 개폐버튼(4)을 누르면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빗물제거장치(3)의 흡입구(5)가 상방으로 열리면서 공기를 흡입하고, 상기 흡입된 공기가 유도판(12) 및 배출구(6)를 통해 사이드 미러의 유리면(2)에 압축배출됨으로써, 사이드 미러 유리면(2)에 부착된 물방울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으며, 고정나사(16)와 밀착판(17)에 의해 고정되므로 부착과 탈착이 용이하고, 별도의 전기적인 장치가 부가되어 있지 않은 단순한 구성으로서 고장의 우려성이 없고, 제작비용이 저렴한 효과가 있다.Rainwater removal apparatus for a vehicle side mirr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ide mirror (1) and the rainwater removal device (3) provided with an inlet (5), outlet 6 and the hook device 15, the user Pressing the opening / closing button 4 of the rainwater removal device 3 while driving a vehicle opens the inlet port 5 of the rainwater removal device 3 upward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spring to inhale air, and induces the sucked air. By compressing and discharging to the glass surface 2 of the side mirror through the plate 12 and the discharge port 6,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remove the water droplets attached to the side mirror glass surface 2, the fixing screw 16 and the contact plate 17 Since it is fixed by), it is easy to attach and detach, and there is no risk of failure and the manufacturing cost is low as it is a simple configuration without an additional electric device.

Claims (2)

자동차의 사이드 미러에 있어서,In the side mirror of the car, 공기의 저항을 최소화하기 위해 유선형의 외부모양을 갖는 상부캡과, 상기 상부캡의 상측 소정부위에 구비되어 있으며 후크장치를 통해 개폐동작을 반복하도록 수동으로 가압하는 개폐버튼과, 상기 상부캡의 후측 소정부위에 구비되어 있으며 흡입구에서 흡입된 공기가 사이드 미러 유리면에 정확하게 배출되도록 하는 유도판과, 상기 상부캡의 전면부 내측 하부에 구비되어 있으며 걸림턱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돌기와, 사이드 미러의 상부에 밀착설치되며 사이드 미러 내측 하부면에 삽입되는 밀착판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하부캡과, 상기 하부캡의 내측 상부에 구비되어 있으며 상부캡의 돌기를 구속 또는 해제하는 후크장치와, 상기 밀착판에 대향되는 위치에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밀착판과 함께 하부캡을 사이드 미러에 고정시키는 고정나사와, 상기 하부캡에서 이탈된 상부캡의 전면부가 힌지장치를 중심으로 상방으로 개방되도록 하는 스프링장치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사이드 미러용 빗물제거장치.An upper cap having a streamlined outer shape to minimize the resistance of the air, and an opening and closing button which is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upper cap and manually presses to repeat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through a hook device, and the rear side of the upper cap. An induction plate provided at a predetermined portion and allowing air sucked from the inlet to be accurately discharged to the side mirror glass surface, a protrusion provided at an inner lower portion of the front portion of the upper cap and having a locking jaw integrally formed thereon, and an upper portion of the side mirror. A lower cap having an integrally formed contact plate inserted into the lower surface of the side mirror, the hook device being provided on the inner upper side of the lower cap and restraining or releasing the protrusion of the upper cap, and the contact plate. Fixing screw provided in the opposite position and fixing the lower cap to the side mirror together with the contact plate And rainwater removal device for a vehicle side mirror, characterized in that the front portion of the upper cap detached from the lower cap is configured with a spring device to open upward about the hinge device.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밀착판은 사이드 미러의 내측에 삽입되어 사이드 미러 하부면에 밀착되며, 상부에 요철구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사이드 미러용빗물제거장치.The contact plate is inserted into the inner side of the side mirror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side mirror, rain removal apparatus for a vehicle side mirror,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cave-convex structure is formed on the top.
KR2020020026895U 2002-09-09 2002-09-09 Rainwater eliminator for side-mirror of vehicle KR200297549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6895U KR200297549Y1 (en) 2002-09-09 2002-09-09 Rainwater eliminator for side-mirror of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6895U KR200297549Y1 (en) 2002-09-09 2002-09-09 Rainwater eliminator for side-mirror of vehic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7549Y1 true KR200297549Y1 (en) 2002-12-11

Family

ID=730789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6895U KR200297549Y1 (en) 2002-09-09 2002-09-09 Rainwater eliminator for side-mirror of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7549Y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97549Y1 (en) Rainwater eliminator for side-mirror of vehicle
DE19919048A1 (en) Windscreen wipers, device for removing rainwater from windscreens in vehicles
WO2022057126A1 (en) Multifunctional automobile rearview mirror
CN209003804U (en) A kind of hand-held cleaners
US9260083B2 (en) Automobile wiper flatly engagable with glass surface
CN207955487U (en) A kind of new-energy automobile rearview mirror
KR100488972B1 (en) wiper blade
EP2754587B1 (en) Automobile wiper flatly attachable on glass surface
KR0152591B1 (en) Printing head capping apparatus of ink jet printer
CN219033008U (en) Portable protective roadblock
CN202608522U (en) Multiple combination automobile sunshade cover
CN211212897U (en) Buckled opening device and on-vehicle dust catcher
CN208834094U (en) A kind of upper cover automatic turning device and printer for printer
GB2285390A (en) Helmet clip-on wiper
CN117401063B (en) Heavy truck cab top kuppe mount pad
KR100381284B1 (en) Twisting type wiper arm
CN109017680A (en) A kind of Multifunctional car windshield wiper device
CN115338802B (en) Electric motor car shell surface applique positioning fixture
CN213502451U (en) Automobile front windshield replacement frame
KR100680542B1 (en) Apparatus to set the wipers on the vehicles
CN214790494U (en) Fastening device is connected to atmospheric pressure jar
CN218791675U (en) Press flick type water cup
CN210230763U (en) Two-stage enthalpy-increasing lower cylinder head residue cleaning device
CN209305693U (en) A kind of automobile automatic gear mud plate
KR200371121Y1 (en) Rain-drop cleaner for side mirror of ca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829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