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7208Y1 - Contact assembly for film detection on camera - Google Patents

Contact assembly for film detection on camera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7208Y1
KR200297208Y1 KR2019970027916U KR19970027916U KR200297208Y1 KR 200297208 Y1 KR200297208 Y1 KR 200297208Y1 KR 2019970027916 U KR2019970027916 U KR 2019970027916U KR 19970027916 U KR19970027916 U KR 19970027916U KR 200297208 Y1 KR200297208 Y1 KR 20029720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camera body
camera
film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27916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9990014717U (en
Inventor
윤진수
Original Assignee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7002791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7208Y1/en
Publication of KR1999001471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4717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720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7208Y1/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24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with means for separately producing marks on the film, e.g. title, time of exposur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28Locating light-sensitive material within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Abstract

카메라에 장착되는 필름에 정보를 인식하기 위해, 카메라 몸체에 설치되는 필름 검지용 컨택트 어셈블리로서, 필름에 일측부를 탄성적으로 접촉하고 다른 일측부는 카메라 CPU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컨택트는, 연결살에 의해 다수로 연결되어 컨택트 조립체로 형성된다. 이 컨택트 조립체는, 컨택트 캡과 함께 카메라 몸체에 결합되며, 이 때, 컨택트 캡에 형성된 커팅날은, 연결살을 가압하면서 카메라 몸체에 형성된 커트용 홈에 삽입 결합된다. 이 과정에서 연결살이 커트날에 의해 절단되고 이에 다수의 컨택트들은, 상호 분리된 상태로 카메라 몸체에 고정 설치되어지게 된다. 이러한 필름 검지용 컨택트 어셈블리는, 그 설치 작업을 용이하게 하고 컨택트를 개별적으로 카메라 몸체에 설치할 필요가 없어 조립 시간의 단축에 따른 작업 생산성 향상에 효과를 갖게 한다.A film detecting contact assembly installed on a camera body for recognizing information on a film mounted on a camera, wherein a contact elastically contacts one side to the film and the other side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amera CPU by a connection. It is connected in plurality to form a contact assembly. The contact assembly is coupled to the camera body together with the contact cap, wherein the cutting blade formed on the contact cap is inserted into the cut groove formed in the camera body while pressing the connecting teeth. In this process, the connecting teeth are cut by the cutting blade and a plurality of contacts are fixed to the camera body in a state of being separated from each other. Such a film detection contact assembly facilitates the installation work and does not require the contacts to be individually installed on the camera body, thereby making it effective in improving work productivity due to shortening of the assembly time.

Description

카메라의 필름 검지용 컨택트 어셈블리Contact assembly for film detection on camera

본 고안은 카메라 필름에 제공된 정보를 인식하기 위한 필름 검지용 컨택트를 카메라 몸체에 용이하게 설치 가능토록 한 카메라의 필름 검지용 컨택트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lm detection contact assembly of the camera to facilitate installation of the film detection contact for recognizing information provided on the camera film to the camera body.

일반적으로 대부분의 자동 카메라에서는, 필름의 파트로네(patrone)에 데이터 인덱스 코드(DX CODE; data index code)가 마련되어 있는 필름(이하, DX 필름이라 칭함)을 사용하고 있다.In general, most automatic cameras use a film (hereinafter referred to as DX film) provided with a data index code (DX CODE) in a patrone of a film.

이 DX 필름은, 코드의 표시에 따라 필름의 감도, 매수, 관용도 등을 카메라가 자동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한 필름으로서, 이 DX 필름을 사용하는 카메라에는 상기 DX 코드를 읽을 수 있는 장치를 별도로 마련하고 있다.This DX film is a film that allows the camera to automatically recognize the sensitivity, number of copies, latitude, etc. of the film according to the code display. A camera using the DX film has a device that can read the DX code separately. I am preparing.

즉, 종래에 DX 필름을 채용하는 카메라에서는, 카메라 몸체에 다수로 장착되면서 카메라의 CPU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컨택트를 사용하여, DX 필름의 정보를 읽어 들일 수 있도록 하고 있다.That is, in the conventional camera employing the DX film, the DX film information can be read using a contact that is attached to the camera body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PU of the camera.

종래에 이러한 컨택트는, 카메라 몸체에 장착시, 그 일측이 탄성적으로 필름에 접촉될 수 있도록 하고, 그 다른 일측은 CPU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게 DX 플랙시블 회로기판(F-PCB)과 연결된다.Conventionally, such a contact, when mounted on the camera body, allows one side to be elastically in contact with the film, and the other side is connected to the DX flexible circuit board (F-PCB)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PU. .

이의 장착 방식을 개략적으로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가장 일반적으로 행하는 상기 컨택트의 장착은, 단품으로 제조된 컨택트를 컨택트 캡에 다수로-통상,4∼6개-조립한 후, 이 컨택트 캡을 카메라 몸체에 체결함으로써 이루는 방식이다.The mounting method thereof is as follows. First, the most common contact is made by attaching a single-piece contact to a contact cap in a large number, usually 4 to 6, and then fastening the contact cap to the camera body.

또한, 상기 방식외에 널리 알려진 방식은, 상기 컨택트를 상기와 달리 단품으로 제조하지 않고 다수개가 한몸을 이룰 수 있도록 사출 성형한 후, 이에서 불필요한 부분을 절단한 다음, 이를 컨택트 캡에 조립하여 카메라 몸체에 장착하는 것이다.In addition, a method widely known in addition to the above method, injection molding to form a plurality of contacts without forming the contact as a single, unlike the above, and then cut unnecessary parts therein, and then assembled it in a contact cap to the camera body Will be mounted on.

이처럼 종래에 행하고 있던 상기 필름 감지용 컨택트의 장착은, 단품으로 제조된 컨택트를 낱개로 카메라 몸체에 조립하거나, 혹은 다수개가 한 셋트로 제조된 컨택트를 카메라 몸체에 조립하여 행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conventional film-sensing contact is performed by assembling a single piece of contact into the camera body or assembling a plurality of contacts into the camera body.

그러나, 상기한 방식으로 컨택트를 조립할 때에는 다음의 문제점으로 인해 카메라 제작을 어렵게 하고 있는 실정이다.However, when assembling the contact in the above manner, the situation is making the camera difficult due to the following problems.

우선, 상기 컨택트를 낱개로 카메라 몸체에 조립하는 방식에서는, 개별화된 컨택트를 일일이 카메라 몸체에 체결하는 과정에 따라 조립 시간을 과다하게 하여 작업 생산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First, in the method of assembling the contacts individually to the camera body, there is a problem of reducing the productivity by excessively assembling time according to the process of fastening the individualized contacts to the camera body.

또한, 상기한 방식은 다수의 컨택트가 상호 분리된 상태로 카메라 몸체에 체결되는 과정에서 조립 공차를 발생할 확률이 높기 때문에 조립 불량을 일으킬 소지가 많은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 above-described method has a high possibility of causing assembly failure since a high probability of generating assembly tolerance in the process of fastening the plurality of contacts to the camera body in a state where they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이와 다르게 상기한 또 하나의 컨택트 조립 방식은, 다수의 컨택트를 한몸으로 이루는 사출 공정과 이에 따른 절단 공정이 컨택트 제조 공정에 추가되므로 인해 컨택트 제조 원가를 상승시키는 문제점이 내재되어 있다.In contrast, another contact assembly method described above has an inherent problem of increasing the cost of manufacturing a contact because an injection process and a cutting process for forming a plurality of contacts are added to the contact manufacturing process.

따라서,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카메라 몸체에 필름 검지용 컨택트를 용이하게 장착시켜 조립 시간의 단축에 따른 작업 생산성의 향상과, 조립시 컨택트들간의 조립 공차를 줄여 제조 불량율이 감소될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컨택트 제조 원가 절감에도 이점을 가질 수 있도록 한 카메라의 필름 검지용 컨택트 어셈블리를 제공함에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in view of such a conventional problem,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asily attach a film detecting contact to a camera body, thereby improving work productivity due to a shortening of assembly time, and contact during assembl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ntact assembly for detecting a film of a camera, which reduces manufacturing assembly rate by reducing assembly tolerances between them, and also has advantages in reducing contact manufacturing cost.

이에, 본 고안은 상기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된 다수의 카메라 필름 검지용 컨택트들이 그 사이에 배치되어 외부 충격시, 파손되는 연결수단에 의해 한몸을 이루도록 연결되어 이루어진 컨택트 조합체와; 이 컨택트 조합체를 감싸면서 카메라 몸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컨택트 캡과; 이 컨택트 캡 또는 상기 카메라 몸체의 일면에 제공되어 상기 컨택트 캡이 카메라 몸체에 결합시, 상기 연결수단을 파손시켜 상기 컨택트들이 개별로 분리되도록 하는 분리수단이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카메라의 필름 검지용 컨택트 어셈블리를 제안한다.Thus,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realize the above object, a plurality of camera film detection contacts arrang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re arranged between them to be connected so as to form a body by a connection means that is broken during external impact, Wow; A contact cap detachably coupled to the camera body while surrounding the contact assembly; A contact assembly for film detection of a camera provided on one side of the contact cap or the camera body and including separation means for breaking the connection means to separate the contacts separately when the contact cap is coupled to the camera body. Suggest.

이와 같은 본 고안에서 상기한 연결수단은, 상기 컨택트들 사이의 적어도 1곳에 배치되어 그 양단을 상기 컨택트에 연결하는 연결살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connecting means is preferably made of at least one place between the contacts to connect both ends thereof to the contact.

또한, 상기한 컨택트 분리수단은, 상기 컨택트 캡의 일면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돌출 형성되어, 상기 컨택트 캡이 상기 카메라 몸체에 결합시, 상기 연결살의 첨예부에 접촉되면서 상기 카메라 몸체에 형성된 커트용 홈으로 삽입 결합되는 다수의 커트날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한데, 이는 상기 카메라 몸체의 일면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돌출 형성되어, 상기 컨택트 캡이 상기 카메라 몸체에 결합시, 상기 연결살의 첨예부에 접촉되면서 상기 컨택트 캡의 일면에 형성된 커트용 홈으로 삽입 결합되는 다수의 커트날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contact separating means is formed to protrude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n one surface of the contact cap, when the contact cap is coupled to the camera body, the cut formed in the camera body in contact with the sharp part of the connection It is preferably made of a plurality of cutting blades are inserted into the groove, which is formed to protrude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n one surface of the camera body, when the contact cap is coupled to the camera body, the contact cap is in contact with the sharp part of the It may be made of a plurality of cutting blades that are inserted into the cut groov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contact cap.

아울러, 상기한 첨예부는 상기 연결살의 양단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이 연결살의 중심부위에 형성된다.In addition, the sharp portion is formed at both ends of the connecting ribs, or formed on the center of the connecting ribs.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의 필름 검지용 컨택트 어셈블리가 카메라 몸체에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contact assembly for film detection of a camer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a camera body;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필름 검지용 컨택트 조립체를 도시한 정면도이고,2 is a front view showing a film detection contact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에 실시예에 따른 컨택트 캡을 도시한 사시도이고,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tact ca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택트 연결수단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고,4 is a view illustrating a contact connecting mean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카메라의 필름 검지용 컨택트 어셈블리가 카메라 몸체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고,Figure 5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ntact assembly for detecting the film of the camer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the camera body,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의 필름 검지용 컨택트 어셈블리가 카메라 몸체에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film assembly contact assembly for a camera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a camera body;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의 필름 검지용 컨택트 어셈블리가 카메라 몸체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7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ntact assembly for detecting a film of the camera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the camera body.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카메라의 필름 검지용 컨택트 어셈블리가 카메라 몸체에 장착되는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필름 검지용 컨택트 조립체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컨택트 캡을 도시한 사시도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film assembly contact assembly of a camer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a camera body, and FIG. 2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a film detection contact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It is a perspective view which shows the contact cap which concerns on invention.

본 고안에 의한 카메라의 필름 검지용 컨택트 어셈블리는, 크게 컨택트 조합체(1)와 컨택트 캡(3)으로 양분져 구성되어 카메라 몸체(5)에 탈착하게 결합된다.The contact assembly for film detection of the camer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largely divided into a contact assembly 1 and a contact cap 3 and detachably coupled to the camera body 5.

즉, 상기 컨택트 조합체(1)는, 도 2를 통해 더욱 알 수 있듯이, 통상의 구조로 이루어지는 필름 검지용 컨택트(10a)가 다수로- 본 실시예에서는 6개 - 연결된 구성물로서, 이는 상기 카메라 몸체(1)에 그 일측을 탄성적으로 움직이면서 DX필름의 인덱스코드(도시되지 않음)에 접촉되고, 다른 일측은 지지되어 고정되도록 설치된다.That is, the contact assembly 1, as can be seen further through Figure 2, the film detection contact (10a) having a conventional structure of a plurality-in this embodiment six-connected configuration, which is the camera body One side thereof is in contact with the index code (not shown) of the DX film while elastically moving one side thereof, and the other side thereof is installed to be supported and fixed.

다시 말해, 상기 컨택트(10a)는,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면서 그들 상호간은 본 고안에 따라 제공되는 연결수단에 의해 상호 연결되고 있는 바, 여기서 이 연결수단은 상기 컨택트(10a) 사이에 배치되어 이 컨택트(10a)들을 연결하게 되며 이는, 외부의 충격을 받게 되면 파손되어지게 된다.In other words, the contacts 10a are arrang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re mutually connected to each other by connecting means provid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the connecting means are connected between the contacts 10a. The contacts 10a are disposed at the connection to the contact 10a, which is broken when the external shock is received.

이러한 연결수단을 본 실시예에서는 미세하게 형성된 연결살(12a)로 이루고 있는데, 이 연결살(12a)은, 적어도 상기 컨택트(10a)들 사이의 1곳 부위에 배치되어 상기 컨택트(10a)들을 연결하게 된다.In this embodiment, the connecting means 12a comprises finely formed connecting teeth 12a. The connecting teeth 12a are disposed at least at one portion between the contacts 10a to connect the contacts 10a. Done.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연결살(12a)이 상기 컨택트(10a) 사이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2곳에 배치되어 그 양단을 상기 컨택트(10a)에 연결함으로써, 상기 컨택트(10a)들이 상호 연결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nnecting teeth 12a are disposed at two locations at predetermined intervals between the contacts 10a, and both ends thereof are connected to the contacts 10a so that the contacts 10a can be connected to each other. have.

한편, 상기 연결살(12a)에는 충격에 의한 파손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첨예부(120a)가 형성되는 바, 이 실시예에서의 첨예부(120a)는, 도면을 통해 알 수 있듯이 상기 연결살(12a)의 중심부위에 배치되어 상호 맞대면서 연결되고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onnection part 12a is formed with a sharp portion 120a to facilitate the damage caused by the impact bar, the sharp portion 120a in this embodiment, as can be seen through the drawings the connection They are placed on the center of the flesh 12a and connected to each other.

물론, 상기한 첨예부(120a)는, 반드시 상기 경우로 한정되지 않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살(12)의 양단에 배치되도록 형성되면서 상기 컨택트(12a)들과 연결되는 구조를 갖는 것도 가능하다.Of course, the sharpened portion 120a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above case, and is formed to be disposed at both ends of the connecting ribs 12 as shown in FIG. 4, and has a structure connected to the contacts 12a. It is also possible to have.

이와 같은 연결수단에 따라, 다수의 상기 컨택트(10a)들이 한몸을 이루게 되면, 이는 상기한 컨택트 캡(3)과 함께, 상기 카메라 몸체(5)에 결합하게 되는데, 이 때, 상기한 연결살(12)은, 상기 컨택트 캡(3) 또는 카메라 몸체(5)의 일면에 제공되는 분리수단에 의해 파손되어지게 된다.According to such a connecting means, when the plurality of the contacts 10a form a body, which is coupled to the camera body 5 together with the contact cap 3, wherein the connection ( 12 is broken by the separating means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contact cap 3 or the camera body 5.

즉, 상기 분리수단은 상기 컨택트 캡(3)이 나사 결합을 통해 상기 카메라 몸체(5)에 결합될 때, 상기 미세살(12a)을 파손시켜 상기 컨택트(10a)들이 상호 분리될 수 있도록 하게 된다.That is, the separating means is such that when the contact cap 3 is coupled to the camera body 5 through screwing, the fine flesh 12a is broken so that the contacts 10a can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

더욱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상기 컨택트 분리수단은, 상기 컨택트(10a)가 조합체로 상기 카메라 몸체(5)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컨택트 캡(3)이 카메라 몸체(5)에 결합되는 시점에서는, 상기 연결살(12)을 부러뜨려 결과적으로 상기 컨택트(10a)가 낱개로 상기 카메라 몸체(5)에 결합되도록 하는 작용을 하게 된다.More specifically, the contact separating means is the connection at the time when the contact cap 3 is coupled to the camera body 5 in a state where the contact 10a is mounted to the camera body 5 in combination. By breaking the flesh 12, the result is that the contact 10a is individually joined to the camera body 5.

이러한 컨택트 분리수단을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컨택트 캡(3)의 일면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면서 돌기져 형성되는 다수의 커트날(30a)로 이룬다.In this embodiment, the contact separating means is formed of a plurality of cutting blades (30a) formed by being projected while being dispos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n one surface of the contact cap (3).

이 때, 상기 커트날(30a)은 수직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그 유지 간격은, 상기 컨택트 조립체(1)에서 컨택트(10a)들이 유지하는 사이 간격을 고려하여 설정됨이 바람직하며, 그 형성수는 상기 연결살(12a)의 수에 맞추게 된다.At this time, the cutting blade (30a)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long the vertical longitudinal direction, the holding interval is set in consideration of the interval between the holding of the contacts (10a) in the contact assembly (1) Preferably, the number of formation is adapted to the number of the connecting teeth 12a.

이와 같이 형성되는 상기 커트날(30a)은, 상기 컨택트 캡(3)이 상기 카메라 몸체(5)에 결합될 때, 이 카메라 몸체(5)에 관통 형성된 커트용 홈(50a)에 각기 삽입되면서 상기 미세살(12a)을 파손시키게 되는 바, 이의 작용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The cut blades 30a formed as described above are respectively inserted into the cut grooves 50a formed through the camera body 5 when the contact cap 3 is coupled to the camera body 5. The fine flesh (12a) is to be broken, look at the action thereof in detail as follows.

먼저, 상기 필름 검지용 컨택트 어셈블리의 장착은, 상기 컨택트 조립체(1)를 상기 카메라 몸체(5)에 결합하는 것으로 이루게 된다.First, the mounting of the film detection contact assembly is made by coupling the contact assembly 1 to the camera body 5.

즉, 상기 컨택트(10a)의 일측부가 상기 카메라 몸체(5)에 형성된 구멍부(52a)가 삽입되도록 하고 다른 일측부는 상기 카메라 몸체(5)에 밀착되도록 하여 상기 컨택트 조립체(1)를 상기 카메라 몸체(5)에 결합시키게 된다.That is, one side of the contact 10a allows the hole 52a formed in the camera body 5 to be inserted, and the other side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camera body 5 so that the contact assembly 1 is connected to the camera body. To (5).

이 컨택트 조립체(1) 결합시, 상기 연결살(12a)들은, 상기 각 커트용 홈(50a)에 그 첨예부(120a)를 대응하여 이와 동일 중심선상에 위치하게 된다.When the contact assembly 1 is engaged, the connecting teeth 12a are located on the same center line of the cut grooves 50a corresponding to the sharp portions 120a.

이러한 1차 결합이 끝나게 되면, 그 다음으로 상기 컨택트 캡(3)을 상기 카메라 몸체(5)에 나사 결합시키게 되는데, 이 때, 상기 컨택트 캡(3)은 상기 컨택트 조립체(1)를 감싸면서 이를 상기 카메라 몸체(5)에 고정시키게 된다.When the primary coupling is completed, the contact cap 3 is then screwed to the camera body 5, wherein the contact cap 3 wraps the contact assembly 1 while It is fixed to the camera body (5).

그런데, 이 컨택트 캡(3) 결합 과정에서, 상기 커트날(30a)은,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커트용 홈(50a)에 각기 삽입 결합하게 되는 바,(도 5 참조) 여기서 상기 연결살(12a)들은, 상기 커트부재(30a)가 부가하는 가압력에 의해 그 첨예부(120a) 부위가 부러져 파손되어지게 된다.By the way, in the process of coupling the contact cap 3, the cutting blade 30a is inserted into the cut groove 50a, respectively, as described above (see Fig. 5), where the connection teeth 12a ), The sharp portion 120a is broken due to the pressing force applied by the cut member 30a.

따라서, 상기 컨택트(10a)들은, 상기 과정에 따라 연결살(12a)에 의해 더 이상 상호 연결되지 않고, 개별적으로 분리된 상태로서 상기 카메라 몸체(5)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Thus, the contacts 10a are no longer interconnected by the connecting teeth 12a according to the above process, and remain connected to the camera body 5 as individually separated states.

즉, 본 고안에서는 컨택트(10a)가 상호 연결된 상기 컨택트 조립체(1)를 상기 카메라 몸체(5)에 1차 결합하고, 여기에 상기 컨택트 캡(3)을 2차 결합하여 상기 컨택트(10a)가 분리된 상태로 상기 카메라 몸체(5)에 고정되도록 하게 된다.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act assembly 1 having the contacts 10a interconnected to the camera body 5 may be primarily coupled to the contact cap 3 to be coupled to the second contact 10a. It is to be fixed to the camera body 5 in a separated state.

한편, 본 고안은 상기 분리수단을 달리한 다른 실시예로도 구비됨이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ovided in another embodiment with different separation means.

즉,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다수의 커트날(30a)을 상기 컨택트 캡(3)의 일면에 형성함으로써, 상기 분리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반면, 이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카메라 몸체(5)의 일면에 형성되는 다수의 커트날(54a)로 상기한 분리수단을 구비한다.That is, in the above embodiment, the plurality of cutting blades 30a ar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contact cap 3, so that the separating means is provided, whereas in this embodiment, one surface of the camera body 5 is provided. A plurality of cutting blades (54a) formed in the provided with the above separation means.

이를 도면을 통해 알아보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트날(54a)은, 상기 카메라 몸체(5)의 전면측으로 상기 컨택트 조립체(1)의 연결살(12a)에 각기 대응하여 형성되고 있다.6, the cutting blades 54a ar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connecting teeth 12a of the contact assembly 1 toward the front side of the camera body 5, respectively. have.

다시 말해, 상기 커트날(54a)은 상기 컨택트 조립체(1)와 상기 컨택트 캡(3)이 상기 카메라 몸체(5)에 결합시, 상기 컨택트 캡(3)의 일면에 형성된 커트용 홈(32a)에 삽입되어 상기 연결살(12a)을 파손시킬 수 있도록 상기한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뾰족한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물론, 이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other words, the cut blade 54a has a cut groove 32a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contact cap 3 when the contact assembly 1 and the contact cap 3 are coupled to the camera body 5. It is made of a pointed shape a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so as to be inserted into and to break the connecting teeth 12a. Of course, the shape thereof is not limited thereto.

이 다른 실시예에 의한 분리수단의 작용을 도면을 통해 더욱 알아보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컨택트 조립체(1)가 그 연결살(12a)의 중심부 즉, 첨예부(120a)가 맞닿는 부위를 상기 커트용 홈(32a)의 중심선상에 맞추어 상기 컨택트 캡(3)과 함께 상기 카메라 몸체(5)에 밀착되어 나사 결합되면, 이 과정에서 상기 커트날(54a)은 상기 각 첨예부(120a) 부위를 파손시키면서 상기 커트용 홈(32a)에 각기 삽입되어지게 된다.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the separating mean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rough the drawings, as shown in Figure 7, the contact assembly 1, that is, the center of the joint 12a, that is, the sharp portion (120a) abuts When the part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camera body 5 together with the contact cap 3 in accordance with the center line of the cut groove 32a, the cut blades 54a are each sharpened in the process. Each of the cut grooves 32a is inserted into the cut grooves 32a.

따라서, 상기한 커트날(54a)의 작용에 따라 상기 다수의 컨택트(10a)들을 개별로 분리되면서 상기 카메라 몸체(5)에 결합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the plurality of contacts 10a may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according to the action of the cutting blade 54a and coupled to the camera body 5.

이상을 통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실용신안 등록 청구의 범위와 고안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it is possible to carry out various modifications within the scope of the utility model registration claims and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accompanying drawings. This also belongs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한 실시예의 설명을 통해 알아 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카메라의 필름 검지용 컨택트 어셈블리는, 필름 검지용 컨택트를 연결수단인 연결살을 이용하여 다수개가 한몸을 이룰 수 있도록 형성하고, 이를 한동작으로서 카메라 몸체에 결합시킬 수 있음에 따라, 종래에 컨택트를 단품으로 형성하여 이를 카메라 몸체에 낱개로 결합시킬 때, 일어나는 문제점인 조립 시간의 단축으로 작업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As described through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 described above, the film detection contact assembly of the camer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so that a plurality of one body can be formed by using a connection rib as a connecting means for the film detection contact, and this is one operation. As it can be coupled to the camera body as in the prior art,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work productivity by shortening the assembly time, which is a problem that occurs when the contacts are formed in a single piece and combined with the camera body individually.

또한, 본 고안은 컨택트 조립체를 카메라 몸체에 결합시킨 상태에서, 컨택트 캡을 카메라 몸체의 지정된 부위에 결합시키게 되면, 컨택트가 저절로 분리되면서 카메라 몸체에 고정되는 결과를 갖게 되므로, 다수의 컨택트를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는 효과 또한 얻게 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ontact assembly is coupled to the camera body in a state in which the contact assembly is coupled to the camera body, since the contact is spontaneously separated and fixed to the camera body, so that a plurality of contacts are easily You can also combine effects.

아울러, 본 고안을 통해서는, 컨택트 조립체를 제조시, 복잡한 사출 공정과 별도의 절단 공정을 생략할 수 있게 되므로, 컨택트 조립체를 간단한 공정을 통해 제조하여 그 제조 단가를 낮출 수 있는 부수적인 효과도 거둘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manufacturing the contact assembly, it is possible to omit a complicated injection process and a separate cutting process, it is also a side effect that can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by manufacturing the contact assembly through a simple process It becomes possible.

Claims (6)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된 다수의 카메라 필름 검지용 컨택트들이 그 사이에 배치되어 외부 충격시, 파손되는 연결수단에 의해 한몸을 이루도록 연결되어 이루어진 컨택트 조합체와; 이 컨택트 조합체를 감싸면서 카메라 몸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컨택트 캡과; 이 컨택트 캡 또는 상기 카메라 몸체의 일면에 제공되어 상기 컨택트 캡이 카메라 몸체에 결합시, 상기 연결수단을 파손시켜 상기 컨택트들이 개별로 분리되도록 하는 분리수단이 포함되는 카메라의 필름 검지용 컨택트 어셈블리.A contact assembly comprising a plurality of camera film detection contacts arrang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the contact combinations being arranged between them to form a body by a connection means that is broken during an external impact; A contact cap detachably coupled to the camera body while surrounding the contact assembly; And contact means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contact cap or the camera body, the disconnection means for breaking the connection means so that the contacts are separated separately when the contact cap is coupled to the camera bod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컨택트들 사이의 적어도 1곳에 배치되어 그 양단을 상기 컨택트에 연결하는 연결살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의 필름 검지용 컨택트 어셈블리.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onnecting means, the contact assembly for detecting the film of the camera,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nection is made of at least one location between the contacts connecting the both ends to the contac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택트 분리수단은, 상기 컨택트 캡의 일면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돌출 형성되어, 상기 컨택트 캡이 상기 카메라 몸체에 결합시, 상기 연결살의 첨예부에 접촉되면서 상기 카메라 몸체에 형성된 커트용 홈으로 삽입 결합되는 다수의 커트날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의 필름 검지용 컨택트 어셈블리.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ontact separating means is formed to protrude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n one surface of the contact cap, when the contact cap is coupled to the camera body, the contact body is in contact with the sharp part of the connection to the camera body The contact assembly for the film detection of the camera,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cutting blades inserted into the cut groove form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택트 분리수단은, 상기 카메라 몸체의 일면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돌출 형성되어, 상기 컨택트 캡이 상기 카메라 몸체에 결합시, 상기 연결살의 첨예부에 접촉되면서 상기 컨택트 캡의 일면에 형성된 커트홈으로 삽입 결합되는 다수의 커트날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의 필름 검지용 컨택트 어셈블리.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ontact separating means is formed to protrude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n one surface of the camera body, when the contact cap is coupled to the camera body, the contact cap is in contact with the sharp portion of the Contact assembly for the film detection of the camera,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cutting blades inserted into the cut groove formed on one surface.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첨예부는 상기 연결살의 양단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의 필름 검지용 컨택트 어셈블리.The contact assembly for detecting a film of a camera according to claim 3 or 4, wherein the sharp portion is formed at both ends of the connecting rib.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첨예부는 상기 연결살의 중심부위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의 필름 검지용 컨택트 어셈블리.The contact assembly for detecting a film of a camera according to claim 3 or 4, wherein the sharp portion is formed on a central portion of the connecting rib.
KR2019970027916U 1997-10-08 1997-10-08 Contact assembly for film detection on camera KR200297208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7916U KR200297208Y1 (en) 1997-10-08 1997-10-08 Contact assembly for film detection on camera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7916U KR200297208Y1 (en) 1997-10-08 1997-10-08 Contact assembly for film detection on camera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4717U KR19990014717U (en) 1999-05-06
KR200297208Y1 true KR200297208Y1 (en) 2003-03-17

Family

ID=493975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27916U KR200297208Y1 (en) 1997-10-08 1997-10-08 Contact assembly for film detection on camera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7208Y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4717U (en) 1999-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647505B2 (en) Joint terminal mounting structure for electric junction box
US6764336B2 (en) Method for forming an electrical connector and an electrical connector obtained thereby
JPH0711972B2 (en) Equipment outlet
KR200297208Y1 (en) Contact assembly for film detection on camera
JP3596215B2 (en) Antenna case
KR20030085088A (en) Connector for printed circuit surface mounting and method for making same
JPH10178698A (en) Connection structure of input terminal of speaker
KR890002367Y1 (en) Relay assembling & the manufacture of method
GB2112562A (en) Device for fixing a battery in a watch
JPS6125180Y2 (en)
JPS58220316A (en) Integral rubber key top fixing structure
KR200162638Y1 (en) Earth structure of tuner
KR200257572Y1 (en) LED Lamp Assembling Structure for Mobile-Phone
KR200212966Y1 (en) Sim card connector
KR0125533Y1 (en) Fuse terminal
JPS6125179Y2 (en)
KR200176957Y1 (en) Cable connecting apparatus of laser scanning unit
JPH0115057Y2 (en)
US4099034A (en) Fastening arrangement in a telephone instrument of the one-piece type
KR200161360Y1 (en) Power button for electronics device
JPH0635426Y2 (en) Connector for printed wiring board
JPS626699Y2 (en)
JP2603146Y2 (en) Card edge connector
JPH0451675U (en)
JP2634829B2 (en) IC socket manufacturing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