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7108Y1 - 건강보조용 옥매트 - Google Patents

건강보조용 옥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7108Y1
KR200297108Y1 KR2020020024858U KR20020024858U KR200297108Y1 KR 200297108 Y1 KR200297108 Y1 KR 200297108Y1 KR 2020020024858 U KR2020020024858 U KR 2020020024858U KR 20020024858 U KR20020024858 U KR 20020024858U KR 200297108 Y1 KR200297108 Y1 KR 20029710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ade
mat
plate
receiving
mesh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485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이
Original Assignee
김용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이 filed Critical 김용이
Priority to KR202002002485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710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710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7108Y1/ko

Links

Landscapes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강보조용 옥 매트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옥이 설치되는 매트의 표면상판에 옥 수납홀을 형성하는 완충수용판과 수용판 보호부재를 구비되도록하여, 일련의 옥 설치관계를 완충수납구조로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매트 사용에 따른 사용자 신체의 배김현상을 방지되도록하고, 이와같은 신체 배김현상의 방지로서 안락하고, 편안한 사용관계를 갖도록 한 건강보조용 옥 매트를 제공함에 있는 것이며, 또 다른 목적으로는 수용공간부 내로 수납된 옥의 불필요한 유동작용을 방지되도록 하여 외부간섭에 따른 망사부재의 손상 및 파손을 예방되도록 하고, 이와같은 망사부재의 손상 및 파손의 방지로서 내구성을 극히 향상시킬수 있도록 한 건강보조용 옥 매트를 제공함에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체적인 수단으로는;
매트본체의 표면상판에 망사부재에 의한 다수개의 수용공간부를 형성하고, 이와같이 형성된 각 수용공간부내에 옥을 개별적 수납구조로 설치되도록 한 옥 매트에 있어서, 상기 표면상판의 상부로 다수개의 수납안내공을 갖는 완충수용판과, 수용판 보호부재를 일체로 적층구성하여, 옥이 수납되는 원형 홈구조의 옥 수납홀을 형성시키고, 상기 옥 수납홀의 상부로 상기 망사부재로 이루어진 수용공간부를 형성되게 함으로써 달성된다.

Description

건강보조용 옥매트{Health mat}
본 고안은 건강보조용 옥매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완충 수납구조를 이루는 일련의 옥 설치관계로서, 매트 사용에 따른 신체 배김현상을 예방되도 하고, 또한, 사용자 신체 접촉시 부분적으로 발생되는 옥의 밀림현상을 방지되도록하여 안락한 사용관계를 갖도록 한 건강보조용 옥 매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강보조용 매트라 함은 침구류의 일종으로서, 이는 전기적 발열작용에 의한 신체 보온기능과 함께, 각종 건강보조소재(옥, 숯판, 세라믹 등) 적용에 따른 원적외선 방출기능으로서 인체에 유익한 건강증진 작용을 부여하게 되는 것이다.
이에, 일반적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는 종래 건강보조용 매트는 도 1로 도시된 바와같은 구성으로서;
이는, 받침판(10)과, 쿠션판(20)과, 전열판(30)과, 전자파 차단판(40)과, 표면상판(50)으로 이루어진 일련의 적층구성부를 외피(60)에 의해 피복, 마감처리하여 매트본체를 형성시킨 상태하에, 상기 표면상판(60)으로 망사부재(70)를 봉제결합하여 다수개로 구획된 수용공간부(80)를 형성하고, 재차 상기 구획된 각 수용공간부(70)내에 건강보조소재인 옥(90)을 수납되게 함으로써 형성한 것이었다.
하지만, 전술한 바와같은 종래의 건강보조용 옥매트는 건강보조소재인 옥이 망사부재로 구획된 다수개의 수용공간부내에 단순 수납된 구조로서, 이에 이와같이 수납된 옥은 표면상판으로 돌출되며 매트표면에 도 1의 부분확대도로 도시된 바와 같은 불규칙한 요철을 형성하게 되는 것이었던바;
이에, 사용자가 이와같은 건강보조용 매트를 사용할 경우, 상기 수용공간부 내로 수납된 옥은 그 요철, 돌출구성에 의해 매트 표면으로 접촉되는 사용자의 신체를 자극하며 배김현상을 유발되게 하는 문제점을 주는 것이었을 뿐만 아니라 이와같은 옥에 의한 배김현상으로서 장시간 사용을 불가하게 되는 등, 매우 불편한사용상의 문제점을 갖게 하는 것이었다.
한편, 또 다르게 전술한 바와같은 종래의 건강보조용 옥 매트는 건강보조소재인 옥이 망사부재로 구획된 수용공간부 내에 별도의 고정수단 없이 단순 수납된 구조로서, 그 수납된 수용공간부내에서 자유로운 유동관계를 갖게 되는 것이었던 바;
이에, 매트사용시 사용자 신체접촉에 의한 마찰작용 내지 부분적인 외부간섭작용 등이 있을 경우, 수용공간부내의 옥이 그 외부작용에 의해 쉽게 밀림(유동)되며 망사부재로 이루어진 수용공간부내에서 이탈하고자 하는 응력을 발생시키게 됨으로, 망사부재를 쉽게 손상(망사부재의 늘어짐 현상등)시키거나, 혹은 파손되게 하는등 상당한 내구성 저하의 문제점 또한 항상 상존되게 하는 것이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종래 건강보조용 옥 매트의 제반적인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안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옥이 설치되는 매트의 표면상판에 옥 수납홀을 형성하는 완충수용판과 수용판 보호부재를 구비되도록하여, 일련의 옥 설치관계를 완충수납구조로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매트 사용에 따른 사용자 신체의 배김현상을 방지되도록하고, 이와같은 신체 배김현상의 방지로서 안락하고, 편안한 사용관계를 갖도록 한 건강보조용 옥 매트를 제공함에 있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으로는 수용공간부 내로 수납된 옥의 불필요한 유동작용을 방지되도록 하여 외부간섭에 따른 망사부재의 손상 및 파손을 예방되도록 하고, 이와같은 망사부재의 손상 및 파손의 방지로서 내구성을 극히 향상시킬수 있도록 한 건강보조용 옥 매트를 제공함에 있는 것이다.
이에,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체적인 수단으로는;
매트본체의 표면상판에 망사부재에 의한 다수개의 수용공간부를 형성하고, 이와같이 형성된 각 수용공간부내에 옥을 개별적 수납구조로 설치되도록 한 옥 매트에 있어서;
상기 표면상판의 상부로 다수개의 수납안내공을 갖는 완충수용판과, 수용판 보호부재를 일체로 적층구성하여, 옥이 수납되는 원형 홈구조의 옥 수납홀을 형성시키고, 상기 옥 수납홀의 상부로 상기 망사부재로 이루어진 수용공간부를 형성되게 함으로써 달성된다.
도 1은 종래 건강보조용 옥 매트의 구성상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건강보조용 옥 매트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건강보조용 옥 매트의 결합단면 구성도
도 4는 본 고안에 다른 건강보조용 옥 매트의 요부확대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건강보조용 옥 매트의 또 다른 실시예도
< 도면 주요부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매트본체 2 : 완충수용판 3 : 수용판 보호부재
4 : 망사부재 4' : 은(銀)사 5 : 옥
21,31 : 수납안내공 41 : 수용공간부 311 : 옥밀착편
H : 옥수납홀
이하, 본 고안에 따른 건강보조용 옥 매트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건강보조용 옥 매트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건강보조용 옥 매트의 결합단면 구성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로서 그 구성을 살펴보면;
받침판(11)과, 쿠션판(12)과, 전열판(13)과, 전자파 차단판(14)과, 표면상판(15)과, 외피(16)로 이루어진 매트본체(1)와, 상기 표면상판(15)으로 결합되는 완충수용판(2) 및 수용판 보호부재(3)와, 그리고 수용판 보호부재(3) 상부로 결합되는 망사부재(4)를 구비토록 함으로써 구성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매트본체(1)를 형성하는 받침판(11)은, 일정한 지지력과 받침력을 갖게 되는 일반적인 매트의 기초골격 구성으로서, 이와같은 받침판(11)은 천연섬유 내지 인조섬유 등을 소정의 두께로 압축가공한 펠트등의 소재를 이용하여 구성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매트본체(1)를 형성하는 쿠션판(12)은 매트에 적용되는 통상적 구성의 완충수단으로서, 이와같은 쿠션판(12)은 쿠션기능과 함께 일정한 보온기능을 병행할수 있도록 일반적인 솜 내지 인외적 형태로 가공된 합성섬유등을 선택적으로 적용, 구성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매트본체(1)를 형성하는 전열판(13)은 전기적 발열작용에 의해 보온효과를 제공하는 매트의 일반적 구성부품으로서, 이와같은 전열판(13)은 부직포에 전열선을 지그재그 형태로 배설시켜 구성하거나, 혹은 일반적인 면상발열체를 선택적으로 구성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매트본체(1)를 이루는 전자파 차단판(14)은 전술한 전열판(13)의 발열작용시, 그 전기접속부위로 부터 발생되는 유해전자파를 강제적으로 상쇄시키게 위한 통상의 매트 구성부품으로서, 이와같은 전자파 차단판(14)은 유해전자파 차단소재로 널리 알려진 동판 내지 알루미늄판을 선택적으로 적용하여 구성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표면상판(15)은 도 2로 도시된 바와같이 매트본체(1)의 상부면으로 노출되는 통상의 매트표면 구성으로서, 이와같은 표면상판(15)은 수용성 접착제와 건강보조물질(황토분말 또는 숯분말)을 혼합 도포시켜 판상체 구조로 고형화 시킨 통상의 직물재로 구성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표면상판(15)은 후술하는 완충수용판(2)과 수용판 보호부재(3) 그리고 망사부재(4)가 결합되며, 그 결합부위에 다수개로 구획된 수용공간부(41)를 형성하게 되는 것인바, 이에 표면상판(15)에 있어 수용공간부(41)가 형성되는 각 위치로는 도 3의 부분확대도로 도시된 바와같은 절개된 구조로서 접착테이프(B)에 의해 밀폐되는 옥 설치홈(151)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외피(16)는 전술한 일련의 구성들을 감싸며 매트본체(1)의 외관을 이루게 되는 통상의 마감처리 수단으로서, 이와같은 외피(16)는 일반적으로 합성수지 또는 인조가죽등의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한편, 상기 완충수용판(2)과 수용판 보호부재(3)는 본 고안의 핵심적 요지 구성으로서, 이는 전술한 표면상판(15)에 일체로 설치되어지는 것인바;
이에, 먼저 상기 완충수용판(2)은 스폰지 또는 라텍스(고무판)등과 같은 탄력적 소재를 소정 두께의 판상체로 형성시킨 상태하에, 그 상부 전면에 걸쳐 규칙적인 관통 배열구조로서 다수개의 수납안내공(21)을 구비되도록하여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용판 보호부재(3)는 전술한 완충수용판(2)과 일체로 결합되는 매트의 표면보호수단으로서, 이에 이와같은 수용판 보호부재(3)는 인조가죽 또는 직물소재를 판상체 구조로 형성한후, 그 전면에 걸쳐 상기 완충수용판(2)과 대응하는 형태로서 또 다른 관통 배열구조의 수납안내공(31)을 구비되도록 하여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망사부재(4)는 전술한 수용판 보호부재(3)의 상부면에 결합되는 통상적인 매트의 표면구성으로서, 이와같은 망사부재(4)를 본 고안에 적용함에 있어서는 직조가공등을 통해 이루어지는 망사부재(4) 상에 도 2의 부분확대도록 도시된 바와같이 은(銀)사(4')를 부가적인 형태로 직조 결합시켜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은사(4')는 증착가공방법등을 통해 섬유소재에 은을 피복처리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건강보조용 옥 매트를 상호 결합함에 있어서는;
먼저, 표면상판(15) 상부면으로 완충수용판(2)과 수용판 보호부재(3)를 순차적인 적층구조로 일체화 결합시키고, 이와같이 적층 결합된 수용판 보호부재(3)의 상부면으로 망사부재(4)를 밀착시켜 봉제가공에 의한 결합형태로서 다수개로 구획된 수납공간부(41)를 형성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완충수용판(2)과 수용판 보호부재(3)로 형성된 각 수납안내공(21)(31)은 그 결합관계에 따라 원형의 홈구조로서 다수개의 옥수납홀(H)을 형성하게 되는 것이며, 이와같이 형성된 옥수납홀(H)은 상기 구획된 수납공간부(41) 내측에 도 3으로 도시된 바와같이 위치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이와같이 형성된 옥수납홀(H)으로는 표면상판(15)의 절개된 옥 설치홈(151)을 통해 다수개의 옥(5)이 각각 삽입 수용되는 것이다.
한편, 또 다르게 상기와 같이 옥(5)을 수납한 형태로 결합된 표면상판(15)과, 완충수용판(2)과 수용판부재(3)와, 망사부재(4)는 매트본체(1)의 상부면에 일체로 안착, 결합되는 것으로서, 이와같은 매트본체(1)는 받침판(11)과, 쿠션판(12)과, 전열판(13)과, 전자파 차단판(14)과, 표면상판(15)을 순차적으로 적층구성하여 외피(16)에 의해 감싸여 지도록 한 통상의 결합형태로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에, 상기와 같은 결합형태로 이루어지는 건강보조용 옥 매트는 완충수용판(2)과 수용판 보호부재(3)로 형성된 옥수납홀(H)내에 옥(5)을 수용시킨 구조로서, 이는 옥(5)이 매트표면으로 돌출되는 것을 예방되도록하여, 사용자 신체접촉에 따른 배김현상 및 옥 밀림현상 등을 방지되게 하는 것이며;
또 다르게, 완충수용판(2)에 의한 탄력적 완충작용으로서, 사용자 신체가 접촉되는 매트 표면에 부가적인 쿠션력을 부여되도록 하여, 안락한 사용관계를 부여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에 있어, 망사부재(4)로 적용되는 은사(4')는 은(銀)이 피복된 구성으로서, 이는 본초강목 또는 동의보감등의 고서를 통해 이미 알려진 바와같이 그 재질특성에 따라 은이온 방출기능을 행하게 되는 것인바, 이에 이와같이 은사로부터 방출되는 은이온은 사용자 신체로 부터 분비되는 땀이나 노폐물에 의한 세균증식 억제기능과 함께 방취 및 살균작용을 행하게 되는 것이며, 특히 제전효과에 의한 정전기 상쇄작용으로서 사용자 신체의 쇼크와 스트레스를 예방하고, 미세 먼지의 흡착을 방지되게 하는 작용등을 행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건강보조용 옥 매트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이와같은 또 다른 실시예로서의 건강보조용 옥 매트는 상기 일실예로 구성된 수용판 보호부재(3)에 있어, 관통구조를 이루는 수납안내공(31) 내측 테두리에 일정한 길이로 연장되는 옥밀착편(311)을 형성시킨 것인바;
이에, 이와같은 또 다른 실시예로서의 건강보조용 옥 매트는 도 5로 도시된 바와같이 옥 수납홀(H)로 수용된 옥(5)의 상부면을 옥밀착편(311)에 의해 지지되게 하여, 옥(5)이 매트표면으로 돌출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되게 한 것으로, 이 또한 본 고안의 범주에서 벗어나는 것은 아니다.
이상, 본 고안에 따른 건강보조용 옥 매트는 완충수용판과 수용판 보호부재에 의한 옥의 완충수납구조로서, 매트 사용에 따른 사용자 신체의 배김현상을 방지되도록하고, 이와같은 신체 배김현상의 방지로서 안락하고, 편안한 사용관계를 갖도록 한 것이며;
또한, 옥수납홀에 의한 수용구조로서, 불필요한 옥의 유동작용을 방지되도록 하여 외부간섭에 따른 망사부재의 손상 및 파손을 예방되도록 하고, 이와같은 망사부재의 손상 및 파손의 방지로서 내구성을 극히 향상되도록 한 것으로, 매우 유용한 기대효과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Claims (3)

  1. 매트본체(1)의 표면상판(15)에 망사부재(4)에 의한 다수개의 수용공간부(41)를 형성하고, 이와같이 형성된 각 수용공간부(41)내에 옥(5)을 개별적 수납구조로 설치되도록 한 옥 매트에 있어서;
    상기 표면상판(15)의 상부로 수납안내공(21)(31)을 갖는 완충수용판(2)과, 수용판 보호부재(3)를 일체로 적층구성하여, 옥(5)이 수납되는 원형 홈구조의 옥 수납홀(H)을 형성하고, 상기 옥 수납홀(H)의 상부로 상기 망사부재(4)로 이루어진 수용공간부(41)를 형성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보조용 옥 매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판 보호부재(3)의 수납안내공(31) 내측 테두리에 옥밀착편(311)을 형성하여, 옥의 돌출현상을 방지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보조용 옥 매트.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공간부(41)를 형성하는 망사부재(4)에 은사(4')를 직조 결합시켜, 상기 은사(4')에 의한 은이온 방출기능에 따라 건강보조작용을 부가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보조용 옥 매트.
KR2020020024858U 2002-08-20 2002-08-20 건강보조용 옥매트 KR20029710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4858U KR200297108Y1 (ko) 2002-08-20 2002-08-20 건강보조용 옥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4858U KR200297108Y1 (ko) 2002-08-20 2002-08-20 건강보조용 옥매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7108Y1 true KR200297108Y1 (ko) 2002-12-06

Family

ID=730847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4858U KR200297108Y1 (ko) 2002-08-20 2002-08-20 건강보조용 옥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710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1830A (ko) * 2002-11-12 2004-05-20 임종근 온열매트의 건강부재 부착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1830A (ko) * 2002-11-12 2004-05-20 임종근 온열매트의 건강부재 부착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209283A (en) Sleeping mattress
KR100196211B1 (ko) 돌침대
WO2006054846A1 (en) Fiber reinforced heating unit and mattress with thereof
KR200487930Y1 (ko) 침대용 일체형 온열 보료
KR200297108Y1 (ko) 건강보조용 옥매트
KR20050088937A (ko) 안마와 찜질 겸용 소파
KR101994182B1 (ko) 쿠션이 있는 온돌용 바닥재
CN210902412U (zh) 复合能量床毯
KR970006178Y1 (ko) 다층구조의 매트리스
KR100711823B1 (ko) 시트
KR200323696Y1 (ko) 다기능 허리 벨트
KR20190000014U (ko) 어싱매트
CN110558791A (zh) 复合能量床毯
KR200387026Y1 (ko) 나무 상판을 구비하는 전기매트
KR20000007188A (ko) 수맥파 차단판 및 수맥파 차단 매트리스
KR200380280Y1 (ko) 통풍시트
JPH07255866A (ja) 磁気治療用マットレス
KR100510337B1 (ko) 취급의 편리성을 갖는 건강보조용 전열매트
KR200168644Y1 (ko) 경추교정베개
KR200350613Y1 (ko) 안마와 찜질 겸용 소파
KR20000008322A (ko) 매트리스
KR200220864Y1 (ko) 참숯이 내장된 베개
CN210043669U (zh) 一种防辐射毛毯
KR200269202Y1 (ko) 다용도 침대 패드
KR200306129Y1 (ko) 온열매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