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6884Y1 - 도자기 물통 - Google Patents

도자기 물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6884Y1
KR200296884Y1 KR2020020027219U KR20020027219U KR200296884Y1 KR 200296884 Y1 KR200296884 Y1 KR 200296884Y1 KR 2020020027219 U KR2020020027219 U KR 2020020027219U KR 20020027219 U KR20020027219 U KR 20020027219U KR 200296884 Y1 KR200296884 Y1 KR 20029688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bucket
valve body
porcelain
ceram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721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영자
Original Assignee
유영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영자 filed Critical 유영자
Priority to KR202002002721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688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688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6884Y1/ko

Links

Landscapes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음용수를 변질 없이 장기간 보관할 수 있고, 실내에 비치하고 사용할 때 물통으로서의 기능뿐만 아니라 하나의 장식품으로서도 기능할 수 있는 도자기 물통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도자기 물통(1)은, 물(W)이 수용되는 몸체(11)의 상측에 뚜껑(14)에 의해 덮여지는 주둥이(12)가 형성되어 있고, 그 하측에 물배출구(13)가 형성되어 있으며, 도자기로 성형된 도자기물통부(10), 상기 물배출구(13)에 걸쳐서 수밀하게 장착되어 상기 몸체(11)에 수용된 물(W)을 따를 수 있게 형성된 밸브체(20), 및 상측에 상기 밸브체(20)가 통과되는 구멍(31)이 형성되어 있고 둘레의 일측에는 상기 밸브체(20)의 하단 아래로 컵(2)을 접근시킨 수 있는 컵투입부(32)가 형성되어 있는 받침대(30)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본 고안의 도자기 물통(1)은 상기 받침대(30)를 받쳐줌으로써 상기 밸브체(20)로부터 부주의하게 흘려진 물이 주변을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하는 물받이반(40)이 더 포함될 수 있고, 상기 도자기물통부(10)에는 항균체(50)를 투입할 수 있다.

Description

도자기 물통{Ceramics Water Jar}
(기술분야)
본 고안은 물통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물(음용수)을 담아 놓고 수시로 음용하는 물통으로서, 음용수를 변질 없이 장기간 보관할 수 있고, 물통으로서의 기능뿐만 아니라 장식품으로서도 기능하는 도자기로 된 물통에 관한 것이다.
(배경기술)
생활수준이 향상되고 수질오염과 건강에 대한 관심이 더욱 커짐에 따라, 음용수(물)에 관한 소비자의 선택이 더욱 까다로워지고 있다. 이에 따라 수돗물을 바로 마시지 않고 정수기로 거른 물이나 생수 또는 약수를 마시는 사람들의 비율이 점차 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깨끗한 물을 편리하게 음용할 수 있는 편익을 제공하지만, 정수기와 생수를 담는 생수통은 실내 공간을 적지 않게 점유하여 거치적거릴 뿐만 아니라, 실내의 다른 물품들과의 조화되기 쉽지 않아 실내의 미관에 헤치는 경향이 적지 않으며, 따라서 생수통이나 정수기는 가능한 한 주방의 한쪽 구석 등에 설치(비치)하여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목적하는 깨끗한 물을 음용할 수 있기 위해서, 필터를 교환하는 등 수시로 정수기를 관리하여야 하고, 생수나 약수는 장시간 보관으로 변질되지 않도록 유의하여야 한다.
따라서, 물(음용수)을 깨끗한 상태로 장기간 보관할 수 있으면서도 실내에 비치하였을 때 장식적인 물품으로도 겸용될 수 있는 물통이 개발된다면 바람직할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물(음용수)의 보관에 관련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음용수를 변질 없이 장기간 보관할 수 있고, 또한 실내에 비치하여 사용할 때 물통으로서의 기능뿐만 아니라 장식품으로서도 기능할 수 있는 물통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예시적인 도자기 물통의 분해사시도,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예시적인 도자기 물통의 단면도,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예시적인 도자기 물통의 사용상태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본 고안의 도자기 물통 2: 컵
10: 도자기물통부 11: 몸체
12: 주둥이 13: 물배출구
14: 뚜껑 20: 밸브체
21: 레버 22: 스템
23: 패킹 24: 고정나사
30: 받침대 31: 구멍
32: 컵투입부 33: 턱
40: 물받이반 50: 항균체
51: 옥 52: 은사
본 고안에 따라, 도자기물통부, 밸브체, 및 받침대를 포함하는 도자기 물통이 제공된다.
상기 도자기물통부는, 물이 수용되는 몸체의 상측에 뚜껑에 의해 덮여지는 주둥이가 형성되어 있고 그 하측에 물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밸브체는, 상기 물배출구에 걸쳐서 수밀하게 장착되며 상기 몸체에 수용된 물을 따라 낼 수 있게 하는 밸브구조이다.
상기 받침대는, 상측에 상기 밸브체가 통과되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둘레에는 상기 밸브체의 하단 아래로 컵을 접근시킨 수 있는 컵투입부가 형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 본 고안의 도자기물통은, 상기 받침대를 받쳐줌으로써 상기 밸브체로부터 부주의하게 흘려진 물이 주변을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하는 물받이반을더 포함한다.
상기 도자기물통부에는 옥(玉)이나 은사(銀絲) 등을 포함한 항균체를 투입함으로써 수용된 물을 변질 없이 보다 장기간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도자기 물통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구체예는 본 고안에 따른 도자기 물통을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일 뿐, 본 고안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아니한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예시적인 도자기 물통의 분해사시도,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예시적인 도자기 물통의 단면도,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예시적인 도자기 물통의 사용상태 사시도.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도자기 물통(1)은, 크게 도자기물통부(10), 밸브체(20) 및 받침대(3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도자기물통부(10)는 널리 알려진 도자기, 바람직하게 장식용으로 응접실 등에 널리 진열하여 감상하는 사군자, 서체 등 각종 문양이 조각 또는 그려 넣어진 백자, 분청사기, 청자 등의 다양한 형상과 문양의 자기로 되어 있다.
도자기물통부(10)는, 전체적으로는 관상용으로 바람직한 일반적이 도자기 형상을 가지지만, 구체적으로는 물(W)이 수용되는 몸체(11)와, 외부로부터 물(W)을 부어 넣을 수 있는 상측의 주둥이(12)와, 후술하는 밸브체(20)를 장착하기 위한 하면의 물배출구(13)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주둥이(12)는 외부로부터 이물유입을 방지하기 위한 뚜껑(14)에 의해개폐되며, 바람직하게 뚜껑(14)도 몸체(11)와 조화를 이루도록 역시 도자기로 되어 있다.
도자기물통부(10)의 용량은 그 사용 장소에 따라 다양하게 결정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널리 사용되는 20리터 내외 용량의 생수통의 물(W: 생수)을 수용할 수 있을 정도의 내부 용량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밸브체(20)는 널리 정수기나 냉온수기 등에 적용되어 물을 따를 수 있도록 하는 밸브구조로서, 바람직하게 컵(2)으로 레버(21)를 밀면 밸브체(20)가 개방되어 물(W)이 배출되고, 레버(21)를 가압하지 않으면 밸브체(20)가 잠겨서 물의 배출이 정지되는 공지의 밸브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밸브체(20)는 도자기물통부(10)의 하면에 형성된 상기 물배출구(13)에 수밀하게 장착된다. 도시된 구체예에서는 밸브체(20)의 스템(22)을 패킹(23)을 매개하여 상기 물배출구(13)에 삽입하고 고정나사(24)로 나사 체결함으로써 고정시킨 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와 같이 밸브체(20)를 도자기물통부(10)의 하면에 장착하면, 밸브체(20)는 도자기물통부(10)에 수밀하게 고정되어 그 하측(꼭지와 레버)이 도자기물통부(10)의 하면 밖으로 약간 노출된 상태가 된다.
상기 받침대(30)는 밸브체(20)가 장착된 상태의 도자기물통부(10)를 문갑이나 전용의 거치대(3)에 올려놓음에 있어서, 도자기물통부(10)를 안전하게 받쳐주고, 도자기물통부(10)로부터 노출된 부분의 밸브체(20)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여 주며, 또한 물(W)을 용이하게 따를 수 있도록 하는 부재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받침대(30)는 내부가 중공된 하광상협의 원뿔대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고, 그 상측(상면)에는 상기 밸브체(20)가 통과되는 구멍(31)이 형성되어 있으며, 둘레에는 상기 밸브체(20)의 아래로 컵(2)을 접근시킨 수 있는 통로를 형성하는 컵투입부(32)가 형성되어 있다.
도시된 구체예에서는 컵투입부(32)가 대략 눈사람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받침대(30)의 구조적인 안전성과 컵(2)의 접근성이 보장된다면 그 형상은 이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바람직하게, 받침대(30)의 상단 둘레에는 도자기물통부(10)의 하단 둘레에 형성된 턱(15)이 끼워 넣어지는 턱(33)을 형성함으로써 도자기물통부(10)가 보다 안정되게 안치되도록 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도자기 물통(1)은 적어도 도자기물통부(10)가 도자기로 되어 있는 것을 기본으로 하지만, 도자기물통부(10)와 받침대(30)의 조화를 위해 받침대(30)도 도자기물통부(10)와 같은 도자기로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다만 도자기물통부(10)와 전체적으로 조화를 유지할 수 있다면, 각종 플라스틱 성형체 등 다른 소재를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상과 같은 구조의 받침대(30)에 의해 도자기물통부(10)를 받쳐줌에 따라, 컵(2)을 받침대(30) 안으로 투입하였을 때 도자기물통부(10)에 장착된 밸브체(20)의 하단(꼭지)은 컵(2)의 바로 위에 위치하게 되고 컵(2)으로 레버(21)를 밀어 물(W)을 받을 수 있게 된다.
바람직하게, 본 고안의 도자기 물통(1)에는 물받이반(40)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물받이반(40)은 받침대(30)에 대응하는 크기의 쟁반과 같은 형상을 가지며, 받침대(30)의 아래에 받쳐짐으로써 밸브체(20)로부터 부주의하게 흘려진 물이 주변을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에 따른 도자기 물통(1)에 의하면, 세라믹스인 도자기로 된 도자기물통부(10)에 물(W)이 보관되기 때문에, 원적외선 방사체로서 널리 알려진 도자기 소재(세라믹스)의 일반적인 특성에 따라 내부에 보관된 물을 장시간 변질 없이 신선하게 보관할 수 있게 되고, 또한 밸브체(20)를 통해 용이하게 물을 음용할 수 있게 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도자기물통부(10)에는 원적외선 방사효과나 소재자체의 특성으로부터 항균(또는 살균) 작용을 나타내는 것으로 널리 알려진 옥(玉)과 같은 원적외선 방사체나 은사(銀絲: 은으로 만들어진 섬유 또는 직조물) 등을 포함한 인체에 무해한 각종 항균체(50)를 투입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항균체(50)가 물(W)에 침지된 상태로 존재하게 되므로, 수용된 물(W)을 변질 없이 더욱 오랫동안 보관할 수 있게 된다. 도시된 구체예에서 도면부호 51은 옥을 나타내고 52는 은사를 나타낸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에 따른 도자기 물통(1)은, 기존의 생수통이나 정수기와는 달리 자체가 하나의 장식물로서의 기능을 하기 때문에, 주방과 같은 장소가 아닌 관상용 도자기와 같이 응접실 등에 비치하여 사용할 수 있고, 또한 도자기(세라믹) 소재 자체나 상기 항균체(50)가 가지는 널리 입증된 항균(살균)작용을 통해 물을 오랫동안 변질 없이 신선하게 보관하면서 음용할 수 있고, 또한 장착된 밸브체(20)를 이용하여 매우 편리하게 물을 따라 마실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에 따른 도자기 물통(1)에 의하면, 물(음용수)을 변질 없이 장기간 보관하면서 편리하게 음용할 수 있고, 또한 실내에 비치하여 사용할 때 물통으로서의 기능뿐만 아니라 장식품으로서도 기능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물(W)이 수용되는 몸체(11)의 상측에 뚜껑(14)에 의해 덮여지는 주둥이(12)가 형성되어 있고, 그 하측에 물배출구(13)가 형성되어 있으며, 도자기로 성형된 도자기물통부(10);
    상기 물배출구(13)에 걸쳐서 수밀하게 장착되어 상기 몸체(11)에 수용된 물(W)을 따를 수 있게 형성된 밸브체(20); 및
    상측에 상기 밸브체(20)가 통과되는 구멍(31)이 형성되어 있고 둘레의 일측에는 상기 밸브체(20)의 하단 아래로 컵(2)을 접근시킨 수 있는 컵투입부(32)가 형성되어 있는 받침대(3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자기 물통.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30)를 받쳐줌으로써 상기 밸브체(20)로부터 부주의하게 흘려진 물이 주변을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하는 물받이반(40)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자기 물통.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도자기물통부(10)에는 옥(51)과 은사(52)를 포함하는 항균체(50)가 투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자기 물통.
KR2020020027219U 2002-09-11 2002-09-11 도자기 물통 KR20029688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7219U KR200296884Y1 (ko) 2002-09-11 2002-09-11 도자기 물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7219U KR200296884Y1 (ko) 2002-09-11 2002-09-11 도자기 물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6884Y1 true KR200296884Y1 (ko) 2002-11-30

Family

ID=730848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7219U KR200296884Y1 (ko) 2002-09-11 2002-09-11 도자기 물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688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15659A (en) Device for producing mineral-containing water for water storage vessel
US5139666A (en) Bottle and filter
AU2010300906B2 (en) Water treatment cartridge
AU781372B2 (en) Filter pitcher with ice hopper
CA2434952C (en) Bottled water discharging apparatus
KR100731206B1 (ko) 민속주 담금용 용기
KR200296884Y1 (ko) 도자기 물통
JP3168398U (ja) 携帯用浄水器
AU2010300490B2 (en) Water treatment device for producing bottled water
US4380157A (en) Self-chilling dispenser for drinking fluids
JP2003136075A (ja) 水質改善器具
US7882705B2 (en) Water cooler
JP4224281B2 (ja) ボトルキャップ
JPH04104881A (ja) 飲料水の浄化容器
KR200351905Y1 (ko) 정수부재가 삽입된 애완동물용 수통
JPS6221285Y2 (ko)
GB2213702A (en) A device for dispensing liquids
WO2006079344A1 (en) Drip-proof pouring insert
KR20090010343A (ko) 정수기
US1913866A (en) Water cooler
KR200237734Y1 (ko) 취음(取飮)이 용이한 컵
CN2438396Y (zh) 新型磁化矿化冷热饮水机
GB2579723A (en) Water bottle with sanitisers
KR19990041837U (ko) 바이오 세라믹 활성정수기
KR20090000279U (ko) 디켄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