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6860Y1 - 유축기의 압력 조절 장치 - Google Patents

유축기의 압력 조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6860Y1
KR200296860Y1 KR2020020026325U KR20020026325U KR200296860Y1 KR 200296860 Y1 KR200296860 Y1 KR 200296860Y1 KR 2020020026325 U KR2020020026325 U KR 2020020026325U KR 20020026325 U KR20020026325 U KR 20020026325U KR 200296860 Y1 KR200296860 Y1 KR 20029686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hole
passage
valve
air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632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경렬
김상헌
이병종
유경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버베이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버베이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버베이비
Priority to KR202002002632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686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686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6860Y1/ko

Links

Landscapes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Abstract

공압 발생 장치로부터 발생되어 산모의 수유부에 씌워진 흡착관으로 전달되는 흡입 압력을 조절하기 위한 장치를 개시한다. 개시된 압력 조절 장치는 유축기의 공압 발생 장치에서 발생된 공기의 이동 통로에 분기 연결되는 통로를 갖는 밸브 몸체를 포함한다. 밸브 몸체는 분기 통로와 연통되는 축공을 갖는다. 분기 통로를 중심으로 축공의 일측 내주면에는 나사부가 형성된다. 분기 통로를 중심으로 축공의 타측에는 축공의 직경보다 긴 직경을 갖는 공기 배출 통로가 형성된다. 축공 내부에는 밸브 스템이 배치되고, 밸브 스템은 축공의 나사부와 나사 결합된다. 밸브 스템의 일측에는 조절 노브가 설치된다. 밸브 스템의 타측에는 공기 배출 통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밸브 헤드부가 일체로 형성된다.

Description

유축기의 압력 조절 장치{PRESSURE CONTROLLER FOR A MILKING MACHINE}
본 고안은 유축기의 압력 조절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산모의 수유부(유방)으로부터 모유를 강제로 짜내기 위한 유축기에서, 흡입 압력을 조절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유축기란 유아에게 모유를 먹이는 수유부의 젖이 남거나 유아가 젖을 먹지 않을 경우, 산모는 수유부에 젖이 과다하게 남아서 심한 고통을 느끼게 되므로, 과다하게 남은 모유를 수유부로부터 강제로 짜내기 위해 사용된다.
이러한 유축기는 현재 여러 형태로 시중에 시판되고 있는데, 방식으로 구분해보면 수동식과 전동식이 있다.
수동식 유축기는 수유부에 씌워지는 나팔관 형태의 흡착관과, 흡착관에 공기압을 발생시키기 위한 고무공 형태의 진공 펌프 및 흡착관으로 유입된 모유가 저장되는 젖병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수동식 유축기는 산모 또는 보조자가 한 손으로 흡착관을 수유부에 대고 다른 한 손으로는 진공 펌프를 눌렀다 폈다하는 동작으로 모유를 수유부로부터 강제로 빼내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수동식 유축기는 사용자의 손의 힘에 의해 공기압이 발생되기 때문에, 강한 공기압을 발생시킬 수가 없어서 유축 효율이 매우 낮고, 사용자의 힘이 많이 소요되어 사용이 매우 불편한 점이 있다.
반면에, 전동식 유축기는 모터와 에어 실린더를 갖는 공압 발생 장치와, 공압 발생 장치에 연결된 흡착관 및 흡착관을 통해 유입된 모유가 저장되는 젖병으로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도 1에는 종래의 전동식 유축기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와 에어 실린더가 내장된 공압 발생 장치(1)에 호스(4)를 매개로 흡착관(2)이 연결되어 있다. 흡착관(2)에는 흡입된 모유를 저장하는 젖병(3)이 연결되어 있다.
한편, 공압 발생 장치(1)에서 발생된 공기압이 흡착관(2)으로 전달되는 정도를 조절하기 위한 종래의 압력 조절 장치가 도 2에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공압 발생 장치(1)에서 발생되어 호스(4)로 연결되는 공기의 이동 통로(5)에 조절 볼트(6)가 경사지게 체결되어 있다. 조절 볼트(6)에는 V자형의 압력 조절홈(7)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서, 산모의 수유부에 가해지는 압력이 너무 높으면, 조절 볼트(6)를 푼다. 그러면, 외부에 노출되는 V자형의 압력 조절홈(7) 영역이 확장되므로, 공기 이동 통로(5)내의 공기가 압력 조절홈(7)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따라서, 흡착관으로 전달되는 압력이 그만큼 줄어들게 된다.
반면에, 산모의 수유부에 가해지는 압력이 너무 낮으면, 조절 볼트(6)를 조인다. 그러면, 외부에 노출되는 압력 조절홈(7)의 영역이 축소되므로,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양이 줄어들게 된다. 따라서, 흡착관으로 전달되는 압력이 높아지게 된다.
그런데, 종래의 조절 볼트(6)는 공기 이동 통로(5)에 직접 체결되어 공기압을 직접적으로 받게 된다. 이로 인하여, 조절 볼트(6)를 조이거나 푸는 경우에, 과다한 힘이 요구된다. 특히, 조절 볼트(6)를 푸는 경우에, 공기 이동 통로(5)로부터 조절 볼트(6)가 풀어지는 정도를 제한하는 구조물이 없는 관계로, 조절 볼트(6)가 공기 이동 통로(5)로부터 완전히 분리되는 경우도 많다.
본 고안의 목적은 공기압을 간접적으로 받도록 하여 사용상의 편리함을 도모하고, 또한 압력 조절 동작 중에 이동 변위량이 제한되도록 하여 종래와 같은 완전 분리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유축기의 압력 조절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유축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유축기에 적용된 압력 조절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압력 조절 장치를 갖는 유축기 전체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압력 조절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압력 조절 장치가 최고 압력으로 설정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압력 조절 장치가 최저 압력으로 설정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50 : 조절 노브 51 : 손잡이부
52 : 보스부 53 : 삽입홈
60 : 공기 이동 통로 70 : 밸브 몸체
71 : 분기 통로 72 : 축공
73 : 나사부 74 : 공기 배출 통로
75 : 경사부 80 : 밸브 스템
82 : 밸브 헤드부 83 : 밸브 시트부
상술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유축기의 압력 조절 장치는 유축기의 공압 발생 장치에서 발생된 공기의 이동 통로에 분기 연결되는 통로를 갖는 밸브 몸체를 포함한다. 밸브 몸체는 분기 통로와 연통되는 축공을 갖는다. 분기 통로를 중심으로 축공의 일측 내주면에는 나사부가 형성된다. 분기 통로를 중심으로 축공의 타측에는 축공의 직경보다 긴 직경을 갖는 공기 배출 통로가 형성된다. 축공 내부에는 밸브 스템이 배치되고, 밸브 스템은 축공의 나사부와 나사 결합된다. 밸브 스템의 일측에는 조절 노브가 설치된다. 밸브 스템의 타측에는 공기 배출 통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밸브 헤드부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된 본 고안의 구성에 의하면, 밸브 몸체가 공기 이동 통로에 분기 연결되므로써, 압력 조절 장치가 공기압을 직접적으로 받지 않게 되어 조작이 용이해진다. 특히, 밸브 스템의 이동 변위는 조절 노브의 회전 가능 변위로 제한되므로, 밸브 스템이 밸브 몸체로부터 완전 분리되는 현상이 근원적으로 방지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축기의 압력 조절 장치를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압력 조절 장치를 갖는 유축기 전체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압력 조절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5는 압력 조절 장치가 최고 압력으로 설정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6은 압력 조절 장치가 최저 압력으로 설정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유축기는 흡입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공압 발생 장치(10)와, 공압 발생 장치(10)에 호스(30)로 연결되어 산모의 수유부에 씌워지는 흡착관(20) 및 흡착관(20)을 통해 흡입된 모유가 저장되는 젖병(40)을 포함한다.
공압 발생 장치(10)는 에어 실린더(11)와, 에어 실린더(11)의 피스톤 로드를 직선 왕복 운동시키는 모터(12)를 포함한다. 모터(12)는 모터축이 연직 상부를 향하도록 배치되고, 에어 실린더(11)는 수평하게 배치된다.
모터(12)의 축은 변환 링크(13)를 매개로 피스톤 로드의 후단에 연결된다. 변환 링크(13)는 모터(12)의 회전력을 피스톤 로드의 직선 운동력으로 변환하여 전달하는 기능을 갖는다.
또한, 공압 발생 장치(10)는 모터(12)의 회전 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노브(14)와, 에어 실린더(11)로부터 발생되는 공기 압력을 조절하기 위한 노브(50)도 갖는다.
조절 노브(50)의 조작으로 공기 압력을 조절하는 본 고안에 따른 압력 조절 장치가 도 4에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압력 조절 장치는 밸브 몸체(70)를 포함한다. 밸브 몸체(70)는 에어 실린더로부터 흡착관으로 연결되는 공기 이동 통로(60)에 분기 연결된 분기 통로(71)를 갖는다. 또한, 밸브 몸체(70)는 축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된 축공(72)를 갖는데, 이 축공(72)은 분기 통로(71)와 연통된다. 분기 통로(71)가 연결되는 부분을 중심으로, 축공(72)의 상부 내주면에는 나사부(73)가 형성된다.
또한, 축공(72)의 하부에는 공기 배출 통로(74)가 형성된다. 공기 배출 통로(74)는 축공(72)의 직경보다 긴 직경을 갖는다. 따라서, 공기 배출 통로(74)에서부터 공간이 넓어지는 확장 영역이 된다. 그리고, 공기 배출 통로(74)와 축공(72)간의 경계부에는 소정의 예각, 대략 45°정도의 각도로 경사부(75)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밸브 스템(80)이 축공(72)에 축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특히, 밸브 스템(80)의 외주면에도 나사부(81)가 형성되어, 밸브 스템(80)의 나사부(81)가 축공(72)의 나사부(73)에 나사 결합된다.
밸브 스템(80)의 하부에는 공기 배출 통로(74)에 배치되는 밸브 헤드부(82)가 일체로 형성된다. 특히, 밸브 헤드부(82)는 공기 배출 통로(74)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것으로서, 공기 배출 통로(74)의 직경보다는 짧고 축공(72)의 직경보다는 긴 직경을 갖는다. 따라서, 밸브 헤드부(82)의 외주면은 공기 배출 통로(74)의 내주면과 소정 간격을 두고 이격된다. 또한, 밸브 헤드부(82)와 스템(80)간의 경계부에는 축공(72)의 경사부(75)와 선택적으로 밀착되는 경사형 밸브 시트부(83)가 형성된다.
경사형 밸브 시트부(83)의 경사 각도는 축공(72)의 경사부(75) 각도와 동일한 것이 가장 바람직하지만, 반드시 동일할 필요는 없다. 경사 각도가 동일하면, 밸브 시트부(83) 전체면이 경사부(75)에 밀착될 수 있어서 기밀 유지 효과는 우수하지만, 유축기 자체가 정밀한 압력 조절을 필요로 하는 것은 아니므로, 최소한 점접촉만으로도 어느 정도의 압력 조절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즉, 각 경사 각도가 다르면, 밸브 시트부(83)와 경사부(75)는 최소한 점접촉은 이루어져, 어느 정도의 압력 유지 기능은 발휘하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밸브 헤드부(82)와 공기 이동 통로(74)간의 접촉부 형상을 경사진 형태로 구성할 필요도 없다. 가장 단순하게, 축공(72) 구조를 경사부(75)를 형성하지 않고 단차진 형태로 형성하고, 이에 따라 밸브 스템(80)과 헤드부(82)도 단차진 형태로 구성하면, 각 단차진 면들이 접촉하여 압력 유지 기능을 발휘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된 조절 노브(50)가 밸브 몸체(70)의 상부에 배치된다. 조절 노브(50)는 손잡이부(51)와, 손잡이부(51)의 밑면 중앙에 형성되어 축공(72)으로 진입한 보스부(52)로 이루어진다. 물론, 보스부(52)는 축공(72) 내부에서 상하로 이동이 가능하다.
보스부(52)의 밑면 중앙에 삽입홈(53)이 형성된다. 삽입홈(52)에 끼워지는 돌출부(84)가 밸브 스템(80)의 상단에 형성된다. 즉, 밸브 스템(80)과 조절 노브(50)는 삽입홈(53)에 삽입된 돌출부(84)에 의해 연결되므로써, 조절 노브(50)의 회전력이 밸브 스템(80)으로 전달되어, 밸브 스템(80)이 각 나사부(73,81)를 따라 회전하면서 상하로 이동하게 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에 따른 유축기의 압력 조절 장치로 압력을 조절하는 동작을 도 5 및 도 6을 참고로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4의 상태에서 흡입 압력이 낮다고 판단되면, 조절 노브(50)의 손잡이부(51)를 돌려서, 도 5와 같이 조절 노브(50)를 최고 위치까지 상승시킨다. 그러면, 밸브 스템(80)도 상승하게 되므로, 밸브 헤드부(82)의 밸브 시트부(83)가 경사부(75)에 밀착하게 된다. 따라서, 공기 이동 통로(60)를 따라 흐르던 공기는 분기 통로(71)를 통해서도 외부로 배출되지 않게 되므로, 공압 발생 장치(10)에서 발생된 전체 공기압이 그대로 흡착관(20)으로 전달된다.
반면에, 산모가 강한 흡입력으로 인해 통증을 느낀다면, 조절 노브(50)의 손잡이부(51)를 돌려서, 도 6과 같이 조절 노브(50)의 밑면이 밸브 몸체(70)의 상부면에 접촉하도록 조절 노브(50)를 최하 위치까지 하강시킨다. 그러면, 밸브 스템(80)도 같이 하강하게 된다.
따라서, 경사부(75)로부터 밸브 시트부(83)가 떨어지게 되고, 밸브 헤드부(82)의 외주면은 공기 배출 통로(74)의 내주면과 이격되어 있으므로, 각각에 형성된 공간을 통해서 공기 이동 통로(60)를 따라 흐르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된다.
그러므로, 공기 이동 통로(60)내의 공기 일부가 누설되어 공기압이 낮아지게 되므로, 약한 공기압이 흡착관(20)으로 전달되어 산모의 고통을 줄일 수가 있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밸브 몸체가 분기 통로를 매개로 공기 이동 통로에 간접적으로 연결되므로써, 압력 조절 동작이 한결 수월해진다. 특히, 밸브 스템의 이동 변위가 조절 노브의 이동 거리로 한정되므로, 조절 노브나 밸브 스템이 분리되는 현상이 방지된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축기의 압력 조절 장치에 대해서 설명 및 도시하였으나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하기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5)

  1. 유축기의 공압 발생 장치에서 발생되어 공기 이동 통로를 통해 산모의 수유부에 씌워진 흡착관으로 전달되는 공기의 압력을 조절하는 장치로서,
    상기 공기 이동 통로에 분기 연결된 통로를 갖고, 상기 분기 통로와 연통되는 축공을 가지며, 상기 분기 통로가 연결되는 부분을 중심으로 상기 축공의 일측 내주면에는 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축공의 타측에는 축공의 직경보다 긴 직경을 갖는 공기 배출 통로가 형성된 밸브 몸체;
    상기 밸브 몸체의 축공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축공의 나사부와 나사 결합되는 나사부를 가지며, 상기 축공의 직경보다는 길고 상기 공기 배출 통로의 직경보다는 짧은 직경을 가져서 상기 공기 배출 통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밸브 헤드부를 갖는 밸브 스템; 및
    상기 밸브 스템을 회전 이동시키는 조절 노브를 포함하는 유축기의 압력 조절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축공과 공기 배출 통로의 경계부에 소정의 예각으로 경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경사부에 선택적으로 밀착되는 밸브 시트부가 상기 밸브 헤드부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축기의 압력 조절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시트부는 상기 경사부와 동일한 각도로 경사진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축기의 압력 조절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 노브는
    손잡이부; 및
    상기 손잡이부에 형성되어, 상기 축공 내부로 이동 가능하게 진입한 보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축기의 압력 조절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보스부에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는 돌출부가 상기 밸브 스템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축기의 압력 조절 장치.
KR2020020026325U 2002-09-03 2002-09-03 유축기의 압력 조절 장치 KR20029686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6325U KR200296860Y1 (ko) 2002-09-03 2002-09-03 유축기의 압력 조절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6325U KR200296860Y1 (ko) 2002-09-03 2002-09-03 유축기의 압력 조절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6860Y1 true KR200296860Y1 (ko) 2002-12-02

Family

ID=730847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6325U KR200296860Y1 (ko) 2002-09-03 2002-09-03 유축기의 압력 조절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686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86494A (en) Milking apparatus
US4883464A (en) Milking equipment
EP0997156B1 (en) Facial aesthetic treatment apparatus
US4964851A (en) Battery-powered breastpump
US6706012B2 (en) Apparatus for expressing milk
US20030139702A1 (en) Breast pump system
US20040158199A1 (en) Apparatus for expressing milk
JP2005536261A (ja) 刺激特徴付きの手動搾乳器
CN108105923B (zh) 气泵式顶部加水加湿器
KR20050076637A (ko) 피부 관리기
WO2002102437B1 (en) System for a portable hands-free breast pump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US5173033A (en) One-way umbrella valve and portable fluid pumping device including same
JP4228396B2 (ja) 搾乳器
KR200296860Y1 (ko) 유축기의 압력 조절 장치
JP4505757B2 (ja) 搾乳器
KR100390618B1 (ko) 모유 착유기
KR20130001923U (ko) 모유 착유기
US2819013A (en) Diaphragm compressor pump
KR19990036936U (ko) 유축기
KR200327301Y1 (ko) 모유착유기
KR200313778Y1 (ko) 압력조절기 및 그 압력조절기를 포함한 유축기
CA3165535A1 (en) Massage device with negative pressure cavity
JP2006015004A (ja) 搾乳器
KR200219781Y1 (ko) 모유 착유기
US20020188231A1 (en) Device for performing can sucking therap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124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