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6782Y1 - 디지털전원차단장치 - Google Patents

디지털전원차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6782Y1
KR200296782Y1 KR2020020026923U KR20020026923U KR200296782Y1 KR 200296782 Y1 KR200296782 Y1 KR 200296782Y1 KR 2020020026923 U KR2020020026923 U KR 2020020026923U KR 20020026923 U KR20020026923 U KR 20020026923U KR 200296782 Y1 KR200296782 Y1 KR 20029678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input signal
signal
wire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692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효 신 박
Original Assignee
효 신 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효 신 박 filed Critical 효 신 박
Priority to KR202002002692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678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678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6782Y1/ko

Links

Landscapes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 Emergency Protection Circuit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계측, 경보 및 자기진단 기능을 갖는 디지털전원차단장치는, 공급되는 전압의 부족전압 및 과전압 상태를 검출하기 위해 실내측 주전선의 입력단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전압검출부와,
과전류 상태를 검출하기 위해, 전선에 장착되는 제1전류감시수단과,
상기 전선과 대지간에 흐르는 지락전류를 감시하여 감전 및 누전상태를 검출하기 위해, 상기 전선에 장착되는 제2전류감시수단과,
상기 전압검출부, 및 상기 제1 및 2전류감시수단을 통해 입력되는 아날로그 입력 신호를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처리가능한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입력신호변환부와,
상기 입력신호변환부에서 변환된 상기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처리가능한 각각의 입력신호를 입력받아 비교 연산처리하고, 각 요소들을 제어하며, 자기진단기능을 시행하기 위한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를 통한 연산결과에 의거하여, 지락 또는 과전류, 단락, 부족전압, 과전압의 전기 사고가 감지되는 경우, 전원투입을 차단하기 위한 차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네트워크 상에서 상기 이상신호 및 계측, 계량, 자동 컨트롤에 대한 관련정보를 공유할 수 있도록 실내외 전력선에 정보 전송용의 고주파를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부에 접속되도록 구성하여, 과전류, 단락, 지락등의 전기사고를 방지하고 이를 계측 , 계량 및 경보함과 아울러, 가정에 공급되는 전력의 이상 발생을 검지하여 이 검지 신호를 전력선 모뎀과 같은 통신부를 매개로 하여 사용자에게 이상발생 정보 와 원격계량검침을 위한 계량 정보의 제공 또는 홈오토메이션을 위한 원격 제어 수행기능을 제공하여, 실외를 포함한 외부 환경에서 즉각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하였다.

Description

디지털전원차단장치{DIGITAL POWER BREAKER}
본 고안은 일반적으로는 사무실용이나 가정용 등, 각종 전원시설에 사용되는 전원차단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원설비를 갖춘 건물 전기장치류 사용 등에서 발생할 수 있는 부족전압, 과전압, 과전류, 지락, 단락등의 전기사고를 사용자에게 경보하고 사고 발생시 전원을 신속하게 안전을 위한 다중으로 전원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하여 인명 및 재산상 손실을 방지하기 위한 계측, 경보 및 자기진단 기능을 갖는 디지털전원차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각 가정이나 사무실 등에서 사용되는 중에 발생할 수 있는, 과전류, 지락, 단락등을 차단하기 위한 전원 차단기는 전자 및 기계식을 혼합하여 오래 전에 개발된 제품으로서, 현시대에 필요한 최상의 안정성을 갖추지 못하고 있다. 그러한 이유로 전기 누전에 의한 감전사고, 과전류, 과전압 등으로 인한 전기제품의 파손 및 그러한 전기사고로 인해 전기 감전, 화재 사고가 하루를 멀다하고 발생하여 많은 인명을 해치고 있다.
이러한 차단기들은 일반적으로 전원에 대한 차단기능만 있어 전선로에 흐르는 전압 및 전류요소를 계측하는데는 별도의 계측기 및 센서를 장착해야 하는 문제가 있어 설치작업의 불편함이 따르며 차단기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에 대해 확인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직접 수동으로 차단기의 고장 유무를 판별해야 하는 등의 불편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사용자 설정에 의해 장치내부에 장착 및 구비되어 있는 전자 및 기계 부품에 대해 항시 자기 진단 기능을 가져 최상의 상태를 유지하여 불시의 전기 사고 등을 대비하기 위한 계측, 경보 및 자기 진단 기능을 갖고, 이들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신호 및 정보를 원격으로 수취 및 응답 또는 원격 제어를 수행할 수 있는 디지털 전원차단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최적의 제품상태에서 부족전압, 과전압, 과전류, 지락, 단락 등의 전기사고를 감지하고 이를 경고 및 차단하기 위해, 별도의 계측기 및 센서를 추가 설비하지 않고도 전압 및 전류 성분의 계측이 가능하며, 또한, 경보, 자기진단, 원격계량검침, 원격경보 실행 기능 및 리모트 콘트롤 기능을 갖는 디지털전원차단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부가적인 목적은 장치의 본체에 내장된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하여 각종 계측정보를 컴퓨터와 같은 외부 기기에 전송함으로써, 상기 외부 기기를 제어하거나, 또는 외부 기기에 의해 제어 가능한 계측, 경보 및 자기진단 기능을 갖는 디지털전원차단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계측, 경보 및 자기진단 기능을 갖는 디지털전원차단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2는 도1의 디지털전원차단장치 중 입력신호 변환부와 제어부를 보다 상세히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3은 본 고안의 계측, 경보 및 자기진단 기능을 갖는 디지털전원차단장치에서, 전기 사고시 전원을 차단하는 순서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4는 본 고안에 따라 자기 진단 기능을 시행하는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디지털누전차단장치 110:입력신호변환부
111:증폭기 113:필터
115:MUX 117:S/H
119:A/D변환기 120:제어부
121:CPU 123:RAM
125:ROM 127:시간계수기
130:경보기 131:키이
133:디스플레이부 NFB:차단기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라, 과전류 및 단락, 지락등의 전기사고를 방지 및 차단하기 위한 디지털전원차단장치는,
공급되는 전압의 부족전압 및 과전압 상태를 검출하기 위해 실내측 주전선의입력단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전압검출부와,
과전류 상태를 검출하기 위해, 전선에 장착되는 제1전류감시수단과,
상기 전선과 대지간에 흐르는 지락전류를 감시하여 감전 및 누전상태를 검출하기 위해, 상기 전선에 장착되는 제2전류감시수단과,
상기 전압검출부, 및 상기 제1 및 2전류감시수단을 통해 입력되는 아날로그 입력 신호를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처리가능한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입력신호변환부와,
상기 입력신호변환부에서 변환된 상기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처리가능한 각각의 입력신호를 입력받아 비교 연산처리하고, 각 요소들을 제어하며, 자기진단기능을 시행하기 위한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를 통한 연산결과에 의거하여, 지락 또는 과전류, 단락, 부족전압, 과전압의 전기 사고가 감지되는 경우, 전원투입을 차단하기 위한 차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네트워크 상에서 상기 경보신호 및 계측, 계량에 대한 관련정보를 공유할 수 있도록 실내외 전력선에 정보 전송용의 고주파를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부(유무선 통신모듈 포함)에 접속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의 계측, 경보 및 자기진단 기능을 갖는 디지털전원차단장치(100)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선상에 공급되는 전압의 과전압 또는 부족전압 상태를 지속적으로 감시하기 위해 주전선상에 연결된 검출용PT(변압기)를 포함하고 있다.
본 고안의 디지털전원차단장치(100)는 또한, 전선상에 흐르는 전류의 상태를 지속적으로 감시하기 위해 전선상에 장착된 전류 검출용 CT(변류기)를 포함하고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디지털전원차단장치(100)는 상기한 PT, CT와 더불어, 전선에서 대지간에 흐르는 전류, 즉, 상기 전선상에 흐르는 전류 이외의 지중 및 지상 또는 건물 및 설비들의 누출되는 전류인, 지락전류를 검출하기 위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전선에 장착된 ZCT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CT 및 ZCT, PT에서 검출된 신호들을 입력으로 하여 전선을 통해 투입되고 있는 전원의 이상유무 및 전기사고, 예를 들면, 과전류 및 단락, 지락, 부족전압, 과전압등의 사고여부를 검출하기 위하여, 입력신호변환부(110)를 통해 상기 입력신호들이 프로그램 연산가능한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다.
상기한 디지털 변환을 위해, 상기 입력신호변환부(110)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PT, CT 및 ZCT로부터 입력되는 미세한 상기 입력 신호들을 소정의 레벨로 증폭하기 위한 증폭기(111)와, 이렇게 증폭된 신호에 영향을 미치게 되는 신호영역 이외의 바람직하지 않게 발생되는 잡음 및 고조파등을 제거하기 위한 필터(113)를 포함하며, 이들은 상기 PT, CT 및 ZCT와 신호전송선을 통해 연결되어 있다.
상기 입력신호변환부(110)는 상기 증폭기(111)와 필터(113) 이외에도, 상기 증폭되고 필터링된 아날로그 신호를 멀티플렉싱하여 전송하기 위한 멀티플렉서(115), 상기 입력되는 아날로그값의 신호들을 순간 포착하여 샘플링하는처리를 위해 S/H(117)(Sample/Holer), 및 상기 샘플링된 아날로그값을 본 고안에 따라 프로그래밍된 소프트웨어로 처리가능한 디지털 값으로 변환하기 위해 A/D변환기(119)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디지털 값으로 변환된 값들은 CPU(121)를 포함한 제어부(120)를 통해 연산처리되게 되는데,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CPU(121)와,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이 프로그래밍되어 있으며 입력되는 전류의 기준치가 설정되고 내장되어 있는 ROM(125)과, 상기 입력되는 디지털 데이터를 자료화 하며, 상기 프로그램에 의해 설정되어 있는 기준치와의 비교연산처리를 위한 데이터 처리용 RAM(123)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RAM(123)은 전원이 차단될 경우에도 지워지지 않는 플래쉬 메모리와 일반적인 스태틱 메모리가 복합되어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어부(120)에 입력되는 값들이 설정된 기준치와 비교 연산처리되어, 설정치를 소정 범위 이상 벗어나 어떠한 사고가 감지되는 경우, 본 고안에 따라, 사고가 발생한 전선으로의 전원의 투입을 신속하게 차단하도록, 본 고안의 디지털전원차단 장치(100)는 차단기(NFB), 일예로, External Control이 가능한 주전선용 NFB(논퓨즈 브레이커) 와 각 분기선을 위한 NFB(논퓨즈 브레이커)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차단기(NFB)는 입력되는 전원을 차단하기 위한 것으로서, 실질적으로 상기 제어부(120)의 연산결과 전원을 차단해야될 경우에, 전원을 자동으로 차단한다.
또한, 긴급시 수동으로도 전원을 차단할 수 있도록 전선상에 기계식 수동조작스위치가 추가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차단기(NFB)는 제어부(120)의 작동에 의해 보다 신속하게 작동되도록 연결 구성되어 있다.
본 고안에 따라 계측, 경보 및 자기진단 기능을 갖는 디지털전원차단장치(100)의 동작 및 현재의 전원 투입 상태, 즉, 각선로의 전류량, 전력량등의 계측 및 이상유무 등을 디스플레이하여 이를 육안으로 식별가능하도록 디스플레이부(133)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33)는 LCD, LED, 및 램프 등으로 구성되거나 이의 조합으로 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디지털전원차단장치(100)에 대해,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각종 시설에 따른 전류의 기준치, 동작 커브 등을 사용자가 직접 설정하고 자기진단시간 등을 입력할 수 있도록, 사용자 설정을 위한 각종 키이(131)(key)들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사용자에게 발생된 전기사고를 경보하거나 장치의 이상 또는 전류의 설정범위를 벗어난 이상을 경보하기 위한 경보기(130, Alarm(Buzer, voice))를 포함하고 있다.
또, 실내 전력선에 정보 전송용의 고주파를 송수신하는 통신부(153, 전력선 모뎀 포함, 또는 유무선 통신 모듈)를 통해 통신단말기를 접속함으로써, 전력선 네트워크를 구축함과 아울러, 실내 전력선(Indoor)과 실외 전력선(Outdoor)과의 원격 접속에서, 정보 전송용의 고주파를 저지 블로킹 회로(BC)를 라인연결하고, 이들실내 전력선(Indoor) 및 실외 전력선(Outdoor)의 통신부(135, 전력선 모뎀)를 통해, 네트워크 사이의 정보 전송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120) 및, 통신 프로토콜(TCP/IP, CAN, DNP-30, MODEBUS 등등)을 매개로, 전력선/인터넷 네트워크 상의 통신 단말기(내외부 컴퓨터 및 인터넷 서버 포함)로부터 실내외 전력선 네트워크로의 통신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블로킹 회로(BC)는, 전력선 네트워크에 있어서 비화성을 확보하기 위해(때문에), 실내 전력선(Indoor)과 실외 전력선(Outdoor)와의 사이에서 고주파의 통과를 규제한다. 전력선 통신에 있어서는, 고주파수를 사용하여, 신호를 전송하는 데, 블로킹 회로(BC)는, 상용 주파수에 대해서는 임피던스가 작고, 고주파수로 임피던스가 큰 성질을 갖는 인덕턴스가 채용되어 있다.
이로써, 전송 신호가 투과하지 않고, 실내와 실외에서 독립적인 네트워크가 구축될 수 있다. 블로킹 회로(BC)는, 택내의 외부신호로 차단 가능한 주전선차단기인 NFB(논퓨즈-브레이커)가 검출부의 상류와 하류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또, 통신부(153)로 채용된 전력선 모뎀(PLC Modem)은, 블로킹 회로(BC)보다 실내측의 실내 전력선(Indoor)에 접속되어 있고, 실내 전력선과의 사이에서 신호를 송수신하는 것이 가능하다. 통신부(153)는, 타지역의 실외 전력선(Outdoor)과 디지털전원차단장치(100)를 통해 신호를 송수신한 것이 가능하다.
또, 실내 전력선(Indoor)과 실외 전력선(Outdoor)의 고주파 통과를 규제하는 블로킹 회로(BC)는 도1에 2중으로 도시되었으나 일체형(실내외 고조파 블로킹 복합처리가능)으로 1개의 회로만 장착하는것으로도 가능하다.
또한, 제어부(120)는 전력선 모뎀(163, 통신부)에 접속되고, 기존의 통신 프로토콜(TCP/IP)을 매개로 통신부(153)에 라인 연결될 수 있기 때문에, 실내 전력선과 실외 전력선 사이의 네트워크에서 쌍방 통신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의 디지털전원차단장치(100)는 각종 계측, 계량 정보를 통신망(전력선 통신망 또는 인터넷 광역 통신망) 등을 통해 컴퓨터 또는 외부 서버(NETWORK SERVER)와 같은 외부기기에 전송하거나 또는 상기 외부기기에 의해 각종 데이터를 공유하여 제어가능하도록, 인터페이스(이더넷, RS232/422/485통신 출력, 저속 SERIAL 출력, BCD출력, 아날로그 출력(DC4-20mA) NPN/PNP 오픈콜렉터 출력, 릴레이 출력)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3을 참고로, 과전류 및 단락 사고시 전원차단을 위한 처리절차를 살펴보면, 우선적으로, 사고발생의 검출은 전선상에 장착되어 있는 PT, CT(101), ZCT(103)등을 통해 입력되는 전압, 전류신호를, 사용자가 키이(131)를 통해 설정한 기준 전압, 전류치와 비교를 통해 과전류, 단락, 지락, 부족전압, 및 과전압등의 전기 사고발생이 감지된다.
만약, 입력 전류치가 기준전류치의 범위를 벗어나 사고가 감지되면, 도 3 및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사고 발생내용이 지락사고인지 판단하게 된다. 지락사고라면, 경보기(130)를 통해 경보를 발하고, 디스플레이부(133)를 통해 지락사고내용을 표시하며, 주전선용 차단기(NFB)를 통해 신속하게 차단함으로써, 전원공급을 차단되게 한다. 이때, 주전선용 차단기(NFB)는 제어부(120)에 의해 소프트웨어 제어되는 차단기 드라이버(145)에 의해 신속하게 전원이 차단되게 된다.
여기에서, 분기선용 차단기(NFB)는, 주전선용 차단기(NFB)를 차단한 후, 분기선 상류에 연결된 분기선용 차단기(NFB)가 차단되는 데, 이는 주전선용 차단기(NFB)의 오작동에 대한 부가적인 보완 차단장치로서 기능함과 더불어, 주전선용 차단기(NFB, Used External Control) 및 분기전선용 차단기(NFB, Used External Control)의 차단 작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제어부(120)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주전선용 차단기(NFB, Used External Control)와 분기전선용 차단기(NFB, Used External Control)는 외부 컨트롤이 불가능한 차단기로 구성되거나 주전선용 차단기(NFB, Used External Control)는 외부컨트롤이 가능하나 분기전선용 차단기(NFB, Not External Control)는 외부 컨트롤이 불가능한 차단기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한 전기사고가 지락사고가 아니라면, 과전류 또는 단락사고인지가 판단되게 되는데, 과전류 및 단락사고인 경우, 상기 지락사고 때와 마찬가지로, 경보기(130)를 통해 경보를 발하고, 디스플레이부(133)를 통해 과전류 및 단락 사고내용을 표시하며, 전선에 대해서도 제어부(120)에 의해 소프트웨어 제어된 차단기(NFB)가 작동되어 전원 공급을 차단되게 된다.
또한, 이와는 유사하게, 전압의 크기가 설정된 기준치를 벗어나는 경우, 전압의 상태가 부족전압인지 또는 과전압을 검사하여 상기 과전류 및 지락사고 때와 마찬가지로 부족전압 및 과전압사고를 경보기(130)를 통해 경보를 발하고 디스플레이부(133)를 통해 부족전압 또는 과전압의 사고내용을 표시하며 제어부(120)에 의해 소프트웨어 제어된 차단기(NFB)가 작동되어 전원 공급이 차단되게 된다.
상기 전기사고가 지락사고 및 과전류, 단락, 부족전압, 과전압사고가 아니라면, 이하 자세히 설명되는 자기진단 기능이 시작되어 디지털전원차단장치(100) 자체에 대한 이상유무를 판단하게 된다.
도4를 참고하여, 본 고안에 따라 디지털전원차단장치(100)의 작동을 최적으로 유지하기 위하여, 자체의 이상유무를 판별하기 위하여 실행되는 자기 진단기능을 살펴보면, 먼저 제어부(120)에 포함된 시간계수기(127)에서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일정간격이 되면 CPU(121)는 자기진단 작업을 시작하게 된다. 상기 시간계수기(127)에 의해 설정된 시간은 한시간, 하루 등 국한되지 않고 사용자에 의해 프로그램될 수 있다.
먼저, 자기진단을 위한 자체 신호를 발생시켜,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디지털전원차단장치(100)내의 각종 구성 시스템, 차단기, 및 경보기에 대한 에러를 체크한다.
이때, 각 요소들에서 에러가 감지되면 곧바로 경보기(130)를 통해 경보음을 발하며 또한 디스플레이부(133)를 통해 구성 시스템, 차단기, 경보기등의 요소들 중 어떤 요소에서 에러가 발생되었는지에 대해서 표시하게 된다.
자기진단시 이상이 없는 경우에는, 디스플레이부(133)에 정상임을 나타내는 표시를 하고 설정된 진단시간이 될 때까지, 대기한 후 다시 상기한 요소들에 대한 에러 체크를 반복한다.
추가로, 인터페이스부가 장착되어 외부기기와의 통신이 이루어질 경우에는, 도4의 자기진단 과정에 외부기기와 구성된 상기 통신망에 대한 자기진단 과정을 추가 실시하여 이를 또한 경보할 수 있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경보기능을 갖는 디지털전원차단장치는, 자기진단 기능을 가져 사용자 설정에 의한 일일점검등의 시행으로 장치를 항상 최상의 상태를 감시하며, 전류의 기준 설정치를 통해 입력되는 전류와의 비교가 용이하며, 소프트웨어에 의해 신속하게 처리될 수 있어 전기 사고시, 사고가 발생한 전선의 전원을 신속하게 차단하여 전기 사고로 인한 인명 및 재산상 손실을 최소화하는 등의 뛰어난 효과가 있다.
전원검출부로서 PT(변압기)를 사용하여, 전압의 크기를 감시하여 전압의 이상을 검사하며 본체의 크기를 축소하고 비용절감과 과전류, 지락, 단락 사고에 있어 전류와 전압의 상관 관계를 포함하는 사고 판단기술이 적용되므로 기존 과전류, 누전 차단기에 비해 사고 파악 검출의 정밀도에 뛰어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디지털전원차단기가 설치된 선로의 전류, 전압 흐름을 눈으로 계측 가능하도록 계측 기능을 자체 갖고 있어 산업현장에서 추가로 계측기와 센서를 설치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을 극복했다.
본 고안의 실시예는 단지 예시를 위한 것일 뿐이지, 본 고안을 제한하지 않으며 본 고안의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당업자는 인지해야 한다.

Claims (6)

  1. 공급되는 전압의 부족전압 및 과전압 상태를 검출하기 위해 실내측 주전선의 입력단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전압검출부와,
    과전류 상태를 검출하기 위해, 전선에 장착되는 제1전류감시수단과,
    상기 전선과 대지간에 흐르는 지락전류를 감시하여 감전 및 누전상태를 검출하기 위해, 상기 전선에 장착되는 제2전류감시수단과,
    상기 전압검출부, 및 상기 제1 및 2전류감시수단을 통해 입력되는 아날로그 입력 신호를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처리가능한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입력신호변환부와,
    상기 입력신호변환부에서 변환된 상기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처리가능한 각각의 입력신호를 입력받아 비교 연산처리하고, 각 요소들을 제어하며, 자기진단기능을 시행하기 위한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를 통한 연산결과에 의거하여, 지락 또는 과전류, 단락, 부족전압, 과전압의 전기 사고가 감지되는 경우, 전원투입을 차단하기 위한 차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네트워크 상에서 상기 경보신호 및 계측, 계량에 대한 관련정보를 공유할 수 있도록 실내외 전력선에 정보 전송용의 고주파를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부에 접속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전원차단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류감시수단은 C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측, 경보 및 자기진단 기능을 갖는 디지털전원차단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전류감시수단은 ZC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측, 경보 및 자기진단 기능을 갖는 디지털전원차단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신호변환부는 상기 입력되는 각종 신호들을 증폭하기 위한 증폭기와, 증폭된 신호중 잡음성분을 제거하기 위한 필터와, 상기 잡음성분이 제거된 아날로그신호를 스위칭하기 위한 MUX와, 상기 스위칭된 아날로그 신호를 순간 포착하여 샘플링하기 위한 S/H와, 상기 샘플링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A/D변환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측, 경보 및 자기진단 기능을 갖는 디지털전원차단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및 각 입력신호에 대한 기준치가 설정되어 내장된 제1기억수단과, 상기 각각 입력된 신호를 자료화하고 상기 기준치와 입력신호를 비교하기 위한 제2기억수단과, 자기진단 기능 시행하기 위해, 시행 시간을 제어하기 위한 내장 타이머, 상기 요소들을 제어하기 위한 CPU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측, 경보 및 자기진단 기능을 갖는 디지털전원차단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외부기기와 통신가능하도록 인터페이스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측, 경보 ,원격계량검침, 원격경보 및 원격 제어 및, 자기진단 기능을 갖는 디지털전원차단장치.
KR2020020026923U 2002-09-09 2002-09-09 디지털전원차단장치 KR20029678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6923U KR200296782Y1 (ko) 2002-09-09 2002-09-09 디지털전원차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6923U KR200296782Y1 (ko) 2002-09-09 2002-09-09 디지털전원차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6782Y1 true KR200296782Y1 (ko) 2002-12-02

Family

ID=731282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6923U KR200296782Y1 (ko) 2002-09-09 2002-09-09 디지털전원차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6782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9561B1 (ko) * 2009-06-24 2011-04-15 한국전기안전공사 데이터가공 및 무선통신기능을 갖는 회로차단기
US7952462B2 (en) 2007-01-24 2011-05-31 Livinglab Development Co., Ltd. Remote controlled power switch
KR101101839B1 (ko) * 2010-04-07 2012-01-05 (주)도암엔지니어링 가정용 전력공급 차단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052497B1 (ko) 2019-05-08 2019-12-05 (주)케이에이치오토 전원 감시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52462B2 (en) 2007-01-24 2011-05-31 Livinglab Development Co., Ltd. Remote controlled power switch
KR101029561B1 (ko) * 2009-06-24 2011-04-15 한국전기안전공사 데이터가공 및 무선통신기능을 갖는 회로차단기
KR101101839B1 (ko) * 2010-04-07 2012-01-05 (주)도암엔지니어링 가정용 전력공급 차단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052497B1 (ko) 2019-05-08 2019-12-05 (주)케이에이치오토 전원 감시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8870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 and detection in resistance grounded electrical systems
EP2080071B1 (en) Handheld field maintenance bus monitor
JP2005304148A (ja) 絶縁監視システム
KR101571877B1 (ko) 진단 장치를 내장한 폐쇄형 배전반
KR20190051225A (ko) 통합 센싱모듈을 이용한 지능형 배전반 관리시스템
KR101708005B1 (ko) 직류 과부하 겸용 아크 차단장치
KR100763881B1 (ko) 차단기 동작시간 측정용 디지털 진단방법
CN110556923A (zh) 一种配电变压器数据监控终端、监控系统及监控方法
US10761129B2 (en) Electrical power supply panel with increased safety through monitoring and control
JP2009142021A (ja) 漏電リレー
CN117496680A (zh) 电气火灾监控探测器电路
KR20200059388A (ko) 전기정보 관리시스템
KR200296782Y1 (ko) 디지털전원차단장치
KR20170101680A (ko) 전기화재 예방을 위한 사물인터넷(IoT) 기반의 과부하겸용 아크차단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251174B1 (ko) 스카다(skada) 프로그램을 이용한 화재감지 제어 방법
Ojo et al.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GSM-based Monitoring System for a Distribution Transformer
KR101336045B1 (ko) 분전반 및 배전반의 무정전 절연저항 측정장치
CN111146757A (zh) 一种铣床电器控制柜的电路保护系统
CN101995839B (zh) 一种安全级机柜监视装置
KR100556618B1 (ko) 전력통신망을 이용한 원격검침시스템
KR100602011B1 (ko) 지능형 전자식 전력량계의 네트워크 시스템
KR20090105779A (ko) 고압수용가의 파급장애 검출과 원격검침을 위한 모니터링시스템, 상태 검출 장치 및 방법
KR101442178B1 (ko) 고장진단 기능 수배전반 시스템
KR20030090480A (ko) 계측, 경보 및 자기진단 기능을 갖는 디지털누전차단장치
JP2005128699A (ja) 電気機器診断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12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