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6665Y1 - 보조테이블을 갖는 책상 - Google Patents

보조테이블을 갖는 책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6665Y1
KR200296665Y1 KR2020020027086U KR20020027086U KR200296665Y1 KR 200296665 Y1 KR200296665 Y1 KR 200296665Y1 KR 2020020027086 U KR2020020027086 U KR 2020020027086U KR 20020027086 U KR20020027086 U KR 20020027086U KR 200296665 Y1 KR200296665 Y1 KR 20029666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sk
auxiliary table
top plate
support member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708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준홍
Original Assignee
(주)동성 Naiki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동성 Naiki filed Critical (주)동성 Naiki
Priority to KR202002002708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666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666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6665Y1/ko

Links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두 개로 분리된 책상 상판을 일정 각도로 펼쳤을 때 보조테이블이 그 책상상판 사이에 일정 높이로 제공되며, 그러한 책상 상판을 슬라이딩 이동함은 물론 상기 보조테이블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보조테이블을 갖는 책상에 관한 것이다.
그러한 보조테이블을 갖는 책상은 중앙에 중공부가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며 하단 내부에 탄력을 제공하는 스프링편이 구비되는 한편 상단 외주면에 제 1 및 제 2관통홀을 가지는 소정 길이의 지지부재, 상기 중공부내에서 상하 운동이 가능하며 일정 높이에서 고정된 자세를 유지하도록 상기 제 1 및 제 2관통홀을 매개하여 끼워지는 조절핀 및 고정볼트가 고정되도록 그 대응되는 외주면에 조절홈 및 고정홈이 수직방향으로 일정 간격주기로 하나 이상 형성됨과 아울러 상단면에 보조테이블이 나사결합되는 상하이송샤프트, 상기 상하이송샤프트에 체결된 보조테이블과 지지부재 상단면 사이에 순차적으로 결합되어 회동 가능하도록 일단은 환형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타단으로 연장된 부위에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제 1 및 제 2회동부재 및, 상기 가이드홈에 안착되어 슬라이딩 이송가능하도록 그 가이드홈의 돌출부와 대응되어 내향절곡되는 가이드편이 하단에 구비됨과 아울러 상단면은 책상상판과 나사결합되는 서로 수직방향의 길이가 상이한 제 1 및 제 2상판지지부재로 구성되는 것에 의해 달성되며; 따라서 정해진 작업공간내에서도 작업 환경에 따라 책상 구조를 임의로 변경할 수 있어 다양한 작업환경을 도출시킬 수 있으며, 또한 책상상판만을 다른 형상을 가진 상판으로 교체할 수 있어 책상 교체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Description

보조테이블을 갖는 책상{DESK HAVING A ASSISTANCE TABLE}
본 고안은 보조테이블을 갖는 책상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두 개로 분리된 책상 상판을 일정 각도로 펼쳤을 때 보조테이블이 그 책상상판 사이에 일정 높이로 제공되며, 그러한 책상 상판을 슬라이딩 이동함은 물론 상기 보조테이블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보조테이블을 갖는 책상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책상은 상판의 하부 방향에 각각의 지지부재가 고정 설치되며 그 상판이 고정된 상태로 제작되는 것이 대부분이며, 사용자의 연령 및 신체적 조건에 따라 책상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거나 설계도면 등을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도록 상판의 각도 조절이 가능한 다양한 책상 구조 또한 제공되고 있다.
그리고, 컴퓨터용 책상 등에서는 컴퓨터 본체 등을 일정 개소에 안착시킨 다음 경우에 따라 그 컴퓨터 본체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프레임이 슬라이딩 이동되는 슬라이딩 구조가 구비된 책상 등도 보급되고 있다.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서는 책상 상판이 고정되어 있어 한정된 부분에서만 필요한 작업을 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었으며, 또한 책상 높이를 조절하거나 책상 상판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는 책상 역시, 책상 상판이 하나의 상판만으로 구성되어 있어 필요에 따라 보다 넓은 책상 상판의 면적을 요구하는 사용자에겐 적절하게 대응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예컨대 책상에서 필요 업무를 수행하는 것 이외에 회의를 위한 테이블의 기능을 제공할 때에는 한정된 책상으로서는 그 기능을 충분히 소화할 수 없어 별도의 회의 테이블이 있어야 하고 이에 따라 좁은 공간에서는 이를 모두 수용할 수 없었다.
그러한 책상은 책상 구조가 제작된 상태에서 모양·형태를 변경하지 못하기때문에 장시간 사용에 따라 쉽게 싫증나기 쉬우며, 정해진 공간에 맞춰 설치되기 때문에 다른 장소에 설치시 공간활용이 제대로 이루어질 수 없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두 개로 분리된 직선형태의 책상 상판을 그대로 이용할 수 있음은 물론 그 분리된 책상 상판을 소정 각도로 펼쳤을 때, 보조 테이블이 그 책상 상판 사이에 제공되도록 함으로써, 책상 상판구조를 편리에 따라 임의로 변경할 수 있도록 한 보조테이블을 갖는 책상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책상 상판을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하여 책상 상판의 위치를 가변적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보조테이블의 높낮이를 조절하도록 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두 개로 분리된 책상 상판의 형상을 다른 형상을 가지는 다양한 상판으로 교체 가능하도록 제공함으로써, 상판만이 파손 등으로 인하여 교체가 필요한 경우 책상 전체를 교체하지 않고 상판만을 일정 형상을 가지는 상판으로 교체하도록 하여 경제적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보조테이블을 갖는 책상은, 중앙에 중공부가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며 하단 내부에 탄력을 제공하는 스프링편이 구비되는 한편 상단 외주면에 제 1 및 제 2관통홀을 가지는 소정 길이의 지지부재, 상기 중공부내에서 상하 운동이 가능하며 일정 높이에서 고정된 자세를 유지하도록상기 제 1 및 제 2관통홀을 매개하여 끼워지는 조절핀 및 고정볼트가 고정되도록 그 대응되는 외주면에 조절홈 및 고정홈이 수직방향으로 일정 간격주기로 하나 이상 형성됨과 아울러 상단면에 보조테이블이 나사결합되는 상하이송샤프트, 상기 상하이송샤프트에 체결된 보조테이블과 지지부재 상단면 사이에 순차적으로 결합되어 회동 가능하도록 일단은 환형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타단으로 연장된 부위에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제 1 및 제 2회동부재, 상기 가이드홈에 안착되어 슬라이딩 이송가능하도록 그 가이드홈의 돌출부와 대응되어 내향절곡되는 가이드편이 하단에 구비됨과 아울러 상단면은 책상상판과 나사결합되는 서로 수직방향의 길이가 상이한 제 1 및 제 2상판지지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보조테이블을 갖는 책상의 분리사시도,
도 2a 및 도 2b는 본 고안의 보조테이블을 갖는 책상의 단면도,
도 3a 및 도 3b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지지부재, 102 : 스프링편,
112 : 조절핀, 114 : 탄성스프링,
122,156,166 : 고정볼트 130 : 상하이송샤프트,
132 : 요홈부, 133 : 조절홈,
134 ; 고정홈, 140 : 보조테이블,
150, 160 : 제 1 및 제 2회동부재, 152, 162 : 가이드홈,
172, 176 : 제 1 및 제 2상판지지부재, 180 : 책상상판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보조테이블을 갖는 책상의 분리사시도, 도 2a 및 도 2b는 본 고안의 보조테이블을 갖는 책상의 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에 중공부(A)가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며 하단 내부에 탄력을 제공하는 스프링편(102)이 구비되는 한편 상단 외주면에 제 1관통홀(110) 및 제 2관통홀(120)을 가지는 소정 길이의 지지부재(100), 상기 중공부(A)내에서 상하 운동이 가능하며 일정 높이에서 고정된 자세를 유지하도록 상기 제 1관통홀(110) 및 제 2관통홀(120)을 매개하여 끼워지는 조절핀(112) 및 고정볼트(122)가 고정되도록 외주면에 조절홈(133) 및 고정홈(134)이 일정 간격으로 하나이상 형성됨과 아울러 상단면에 보조테이블(140)이 나사결합되는 상하이송샤프트
(130), 상기 상하이송샤프트(130)에 체결된 보조테이블(140)과 상기 지지부재(100) 상단면 사이에 순차적으로 결합되어 회동 가능하도록 일단은 환형형상(154,164)으로 이루어지고 타단으로 연장된 부위에 가이드홈(152,162)이 형성되는 제 1 및 제 2회동부재(150,160), 상기 가이드홈(152,162)상에 안착되어 슬라이딩 이송가능하도록 내향절곡된 가이드편(174,178)이 하단에 구비됨과 아울러 상단면은 책상상판 (180)과 나사결합되는 서로 수직방향의 길이가 상이한 제 1 및 제 2상판지지부재(1
72,176)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상판지지부재(172,176)의 길이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상판지지부재(176)의 수직방향 길이(L2)는 상기 제 1상판지지부재(172)의 수직방향 길이(L1)보다 제 1회동부재(150)의 수직방향 길이(L3)만큼 더 길게 형성되어 상기 제 1책상상판과 제 2책상상판이 펼쳐졌을 때 동일한 수평면을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1관통홀(110)에 끼워지는 조절핀(112)의 외측에는 공간부가 존재하도록 덮개부재(116)가 감싼 상태로 나사결합되며 상기 조절핀(112)에 탄성을 제공하도록 그 공간부내에 탄성스프링(114)이 제공된다. 상기 탄성스프링(114)은 사용자가 보조테이블(140)을 올렸을 때 상하이송샤프트(130)가 원활하게 이송될 수 있도록 적절한 탄성력을 제공해야 한다.
그리고, 상기 제 1회동부재(150) 및 제 2회동부재(160)는 상하이송샤프트(13
0)에 끼워진후 고정볼트(156,166)에 의해 유동되지 않도록 체결된다.
또한, 상기 하나 이상의 조절홈(133)은 내향절곡된 요홈부(132)내에 형성되어 일단의 걸림턱이 제공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조절핀(110)이 조절홈(133)에 끼워졌을 때 그 요홈부(132)의 걸림턱으로 인해 상하이송샤프트(130)가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책상상판을 지지하는 지지부재는 이동이 용이하도록 휠부재가 구성된다.
미설명부호 170은 가이드홈(152,162)에서 제 1 및 제 2상판지지부재(172,176
)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단면에 나사결합되는 부재이다.
그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도 1내지 도 3b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고안의 가변형 책상을 일자 형태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3a와 같이 보조테이블(140)을 책상 상판하부(180)에 위치시킨 상태로 사용할 수가 있게 된다.
그와 같이 보조테이블을 사용하지 않는 상태(즉, 도 2a와 3a)에서 보조테이블을 사용하고 책상 모양을 도 3b와 같이 변경시키고자 하는 경우에 제 1 및 제 2회동부재(150,160)의 회동에 의해 이를 실행시킬 수 있다.
이를 설명하면 도 2a 및 도 3a와 같은 초기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제 1 및 제 2회동부재(150,160)에 체결된 고정볼트(156,166) 및 제 1관통홀(110)에 체결된 고정볼트(122)를 느슨하게 한 상태에서, 제 1회동부재(150)및 제 2회동부재(160)를 상하이송샤프트(130)를 축으로 하여 소정 각도만큼 회동시키게 되면 일자 형태의가변형 책상 구조는 도 3b와 같이 일정 곡률이 주어지는 형태로 변경되며, 이때 회동부재(150,160)와 상판지지부재(172,176)로 연결된 책상상판(180)의 이동에 따라 상기 보조테이블(140)의 상부 방향은 개방상태로 되고, 상하이송샤프트(130)의 하부에 개재된 스프링편(102)의 탄력에 의해 상하이송샤프트(130)가 소정 높이만큼 상측방향으로 이송된다.
여기서, 상기 상하이송샤프트(130)의 이송거리는 보조테이블(140)이 이동되어 책상상판(180)과의 수평을 이룰수 있도록 책상상판(180)의 두께(D1)만큼 올라가게 된다. 즉, 상하이송샤프트(130)에 형성된 조절홈(133)의 첫 번째와 두 번째 간격(D2)은 책상상판(180)의 두께(D1)만큼 형성되어 상기 보조테이블(140)이 스프링편(102)의 탄성에 의해 상향 이동되었을 때 좌우방향의 책상상판(180)과 동일한 높이를 유지해야 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스프링편(120)은 상기 보조테이블(140)이 책상상판(180)과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충분한 탄성력을 제공함이 바람직하다.
그러한 과정에 의해 책상이 가변적으로 변경된 다음에는 책상상판(180) 및 보조테이블(140)의 유동이 발생되지 않도록 느슨하게 풀어놨던 고정볼트(156,166,122)를 고정시킨다.
한편, 상기 보조테이블(140)은 그 높이가 조절될 수 있는 바, 보조테이블(140)이 책상상판(180)과 수평된 상태에서 책상상판(180)보다 더 높게 할때에는 고정볼트(122)를 해제시킨 다음 그 보조테이블(140)을 상부방향으로 들어올려 원하는 높이로 조절할 수 있으며, 이때 탄성스프링(114)의 탄성에 의해 조절핀(112)은 상하이송샤프트(130)의 이동에 따라 조절홈(133)에 삽입되었다가 다시 원위치로 이동하는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그리고 조절핀(112)이 소정 조절홈(133)에 삽입된 상태에서 그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고정홈(134)에 고정볼트(122)를 체결하여 현재 위치를 유지하도록 한다. 물론, 상기 과정에 따라 보조테이블(140)을 책상상판(180)보다 더 낮게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보조테이블이 제공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및 제 2책상상판(180)을 슬라이딩 이동시켜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책상상판을 오도록 할 수 있다. 즉, 이동시키고자 하는 책상상판(180)을 해당 가이드홈(152,162)을 매개하여 일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 책상상판(180)의 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는 것이다. 예컨대, 제 1상판지지부재(172)에 의해 지지되는 책상상판(180)만을 보조테이블(140)로부터 일정 간격 떨어진 상태로 위치시키고자 하는 경우, 도 2b에서의 화살표 방향으로 책상상판을 슬라이딩 이동시킬수 있다.
이때 상기 책상상판의 유동거리범위는 상기 회동부재의 길이 및 그 회동부재의 가이드홈이 어느 정도의 길이만큼 형성되어 있는 가에 따라 달라진다. 즉, 어느 하나의 책상상판보다 해당 책상상판을 움직이는 회동부재의 길이가 길면 길수록 그 책상상판의 이동거리는 더 길어지게 되고, 따라서 보다 더 효율적으로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전술한 과정에 따라 책상상판(180)이 일정 각도만큼 펼쳐진 상태에서 일자형태로 원상 복귀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제 1 및 제 2회동부재(150,160)를 고정하고 있는 고정볼트(156,166) 및 보조테이블(140)용 고정볼트(166)를 해제시킨다음, 보조테이블(140)을 하향 이동시킨 후 책상상판(180)을 상하이송샤프트(130)의 중심축 방향으로 밀어넣게 되면 상기 보조테이블(140)이 책상상판(180)의 하단부분에 위치된 상태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다시말해, 본 고안에 따른 책상은 사용자의 작업환경에 따라 책상구조 변경 및 보조테이블의 유무를 임의로 설치변경 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의 책상에서는 나사 결합되는 책상상판만을 교체할 수가 있어 사각형의 책상상판뿐만 아니라 다양한 형상을 가지는 책상상판을 교체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보조테이블을 갖는 책상에 따르면, 두 개로 분리된 직선형태의 책상 상판의 조작에 따라 그대로 이용할 수 있음은 물론 소정 각도로 펼쳐 임의의 모양을 만들어서 사용할 수 있고, 또한 책상 상판의 하단부위에 위치된 보조 테이블을 경우에 따라 제공할 수 있는 것과 같이 작업 환경에 따라 책상 구조를 임의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책상 상판을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하여 책상 상판의 위치를 가변적으로 움직일 수 있고 보조테이블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정해진 사이즈 이외에 다른 사이즈를 도출시킬 수 있어 작업 환경을 다양하게 제공할 수 있다.
더욱이, 본 고안은 상기 두 개로 분리된 책상 상판만을 다른 형상을 가진 상판으로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책상 교체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Claims (4)

  1. 중앙에 중공부가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며 하단 내부에 탄력을 제공하는 스프링편이 구비되는 한편 상단 외주면에 제 1 및 제 2관통홀을 가지는 소정 길이의 지지부재,
    상기 중공부내에서 상하 운동이 가능하며 일정 높이에서 고정된 자세를 유지하도록 상기 제 1 및 제 2관통홀을 매개하여 끼워지는 조절핀 및 고정볼트가 고정되도록 그 대응되는 외주면에 조절홈 및 고정홈이 수직방향으로 일정 간격주기로 하나 이상 형성됨과 아울러 상단면에 보조테이블이 나사결합되는 상하이송샤프트,
    상기 상하이송샤프트에 체결된 보조테이블과 지지부재 상단면 사이에 순차적으로 결합되어 회동 가능하도록 일단은 환형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타단으로 연장된 부위에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제 1 및 제 2회동부재 및,
    상기 가이드홈에 안착되어 슬라이딩 이송가능하도록 그 가이드홈의 돌출부와 대응되어 내향절곡되는 가이드편이 하단에 구비됨과 아울러 상단면은 책상상판과 나사결합되는 서로 수직방향의 길이가 상이한 제 1 및 제 2상판지지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테이블을 갖는 책상.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내에서 상하이송샤프트의 회전을 방지하도록 상기 조절핀이 끼워지는 상기 하나 이상의 조절홈은 상하이송샤프트의 외주면에 내향 절곡된 요홈부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테이블을 갖는 책상.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관통홀에 끼워지는 조절핀의 외측에는 공간부가 존재하도록 덮개부재가 감싼 상태로 제공되며 상기 조절핀에 탄성을 제공하도록 그 공간부내에 탄성스프링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테이블을 갖는 책상.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책상상판이 펼쳐졌을 때 상향 이동되는 보조테이블이 그 책상상판과 동일한 수평면을 유지할 수 있도록 제 2상판지지부재의 수직방향 길이(L2)가 상기 제 1상판지지부재의 수직방향 길이(L1)보다 제 1회동부재의 수직방향 길이(L3)만큼 더 길게 형성되는 한편, 상하이송샤프트에 형성된 조절홈의 첫 번째와 두 번째 간격(D2)은 책상상판의 두께(D1)만큼 형성되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테이블을 갖는 책상.
KR2020020027086U 2002-09-10 2002-09-10 보조테이블을 갖는 책상 KR20029666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7086U KR200296665Y1 (ko) 2002-09-10 2002-09-10 보조테이블을 갖는 책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7086U KR200296665Y1 (ko) 2002-09-10 2002-09-10 보조테이블을 갖는 책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6665Y1 true KR200296665Y1 (ko) 2002-12-05

Family

ID=730789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7086U KR200296665Y1 (ko) 2002-09-10 2002-09-10 보조테이블을 갖는 책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6665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6539Y1 (ko) * 2014-08-27 2015-03-10 이상호 테이블용 다리 구조체
KR101547404B1 (ko) * 2013-12-12 2015-08-25 윤진호 융합형 주방가전기기용 서랍레일
KR101608957B1 (ko) 2016-03-04 2016-04-21 (주)티온코리아 각도고정설치가 용이한 전동식 조립테이블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7404B1 (ko) * 2013-12-12 2015-08-25 윤진호 융합형 주방가전기기용 서랍레일
KR200476539Y1 (ko) * 2014-08-27 2015-03-10 이상호 테이블용 다리 구조체
KR101608957B1 (ko) 2016-03-04 2016-04-21 (주)티온코리아 각도고정설치가 용이한 전동식 조립테이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88812B2 (en) Self-locking support arm
US5924666A (en) Carrier device
US6161487A (en) Computer office table structure
US8500098B2 (en) Elevation mechanism
US6199809B1 (en) Support device for keyboard
US7469644B2 (en) Desk assembly
US20110168062A1 (en) Mechanically adjustable work station with optional retractable work support ledge
US20180213927A1 (en) Lifting table with height adjustment device
US5246191A (en) Cradle assembly for a moveable arm support system
US5370346A (en) Wrist/forearm support
US20150265048A1 (en) Lift stand with arms
US20080035031A1 (en) Desk and office construction system
US9834965B1 (en) Multi-link hinge assembly
US20180346046A1 (en) Transfer pallet with support plate
KR200296665Y1 (ko) 보조테이블을 갖는 책상
JP2008521478A (ja) 高低調節可能なテーブル
JP5008920B2 (ja) 家具の脚体
JP2017048502A (ja) 引き違い戸装置
KR101761901B1 (ko) 핀홀 위치조절 방식의 높낮이 조절용 이동식 책상
KR102137249B1 (ko) 칸막이를 구비한 컴퓨터 책상
KR100432245B1 (ko) 컴퓨터용 테이블의 보조 기기 설치용 받침판 체결장치
JP5027609B2 (ja) 天板の高さ調節装置
KR102333857B1 (ko)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가구
US6807991B2 (en) Wood planing machine with a foldable workpiece-supporting table
KR20090078882A (ko) 책상의 경사 조절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21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