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6506Y1 - paper rolled pencil - Google Patents
paper rolled pencil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296506Y1 KR200296506Y1 KR2020020026833U KR20020026833U KR200296506Y1 KR 200296506 Y1 KR200296506 Y1 KR 200296506Y1 KR 2020020026833 U KR2020020026833 U KR 2020020026833U KR 20020026833 U KR20020026833 U KR 20020026833U KR 200296506 Y1 KR200296506 Y1 KR 200296506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encil
- wound
- lead
- paper
- sharpener
- Prior art date
Links
Landscapes
- Drawing Aids And Blackboar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연필에 관한 것으로, 연필심을 일정한 폭으로 조금씩 풀러 사용할 수 있도록 종이를 권취하고, 연필의 뒷부분에 결합되는 지우개부에 연필심을 깎을 수 있는 연필깎이부가 마련된 권지형 연필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encil,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ound-type pencil provided with a pencil sharpener for winding a paper so that the pencil core can be used little by little with a predetermined width, and to sharpen the pencil core to an eraser portion coupled to the back of the pencil.
이를 위한 본 고안은, 통상의 연필심과, 소정의 간격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평행절취선에 의해 해권부가 형성되어, 연필심에 권취될 때 전방부가 원뿔형상으로 형성되도록 연필심에 대하여 소정 각도 기울어진 상태로 권취되는 권지와, 권지의 최외측에 해권부를 평행절취선의 폭만큼을 절단하기 위한 절취실이 마련되는 연필과; 일측에 연필의 후방 단부에 결합되고, 내측 하부가 연필심의 지름에 대응되는 원뿔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부가 원뿔형상의 지름에 대응되는 사각형상으로 형성되는 삽입홈이 형성되며, 삽입홈의 상부측에는 삽입홈의 하부를 형성하는 원뿔형상의 단면 형상에 대하여 대칭되는 형상으로 칼날이 마련되는 연필심깎기가 마련되는 연필결합부와, 타측에 지우개가 결합되는 지우개 결합부가 형성되는 연필심깎기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this purpose, the seashoe portion is formed by a common pencil lead and parallel cutting lines continuously form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wound up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pencil lead so that the front portion is formed in a conical shape when the pencil lead is wound up. A pencil to be provided, and a cutting chamber for cutting the width of the pistol by the width of the parallel cutting line on the outermost side of the roll; It is coupled to the rear end of the pencil on one side, the inner lower portion is formed in a cone shape corresponding to the diameter of the pencil lead, the upper portion is formed with an insertion groove formed in a square shape corresponding to the diameter of the cone shape, the insertion side is inserted into the upper sid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encil engaging portion is provided with a pencil sharpener is provided in the blade symmetry in a shape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conical shape forming the lower portion of the groove, and a pencil shim portion formed with an eraser coupling portion is coupled to the other side .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권지형 연필은, 연필심의 외주면에 소정의 폭으로 절취선이 형성된 종이를 권지함으로써, 연필을 다 쓰거나 부러졌을 때 권지된 종이를 풀러 새로운 연필심을 사용할 수 있게 함으로 사용자에게 더욱 편리함을 줄 수 있고, 연필의 후방에 마련되는 연필심깎기부로 돌출된 연필심만을 깎을 수 있어 사용자가 더욱 편리하게 연필을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wound-type penci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winding a paper with a perforated line with a predetermined width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encil core, by using a new pencil lead by unwinding the wound paper when the pencil is used up or broken It can be more convenient to the user, and can only cut the pencil lead protruded by the pencil lead sharpener provided on the back of the pencil has the effect that the user can use the pencil more conveniently.
Description
본 고안은 연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연필심을 일정한 폭으로 조금씩 풀러 사용할 수 있도록 종이를 권취하고, 연필의 뒷부분에 결합되는 지우개부에 연필심을 깎을 수 있는 연필깎이부가 마련된 권지형 연필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encil, and more particularly, to a wound-type pencil provided with a pencil sharpener for winding a paper so that a pencil core can be used little by little with a predetermined width and cutting the pencil lead to an eraser portion coupled to the back of the pencil. .
일반적인, 연필은 흑연 연필심의 둘레에 향목 연필 자루를 입힌 필기구로서 초기의 연필은 봉상으로 절단한 흑연에 실을 감거나 나무에 끼워서 사용하였다.In general, a pencil is a writing instrument coated with a cedar pencil bag around a graphite pencil core, and the initial pencil was used by winding a thread or inserting a piece of wood into graphite cut into rods.
1940년대부터 국내에서도 생산되기 시작한 연필은 글씨를 썼다가 지울 수 있어 글씨체가 형성되기 전의 초등학생에게 필수적인 지정필기구로 사용되고 있다.Pencils, which began to be produced in Korea since the 1940s, can be written and erased, and are used as an essential writing instrument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before writing.
연필의 제조 공정은 흑연과 점토 등을 적당한 비율로 배합하고 심의 모양으로 성형한 후 높은 온도로 구워 심을 만들고, 홈이 패인 축판 두 장 사이에 심을 넣고 붙여 씌운 후 육각 또는 원주로 연필 자루를 깎아 외부를 페인트로 칠하여 제조한다.In the pencil manufacturing process, graphite and clay are mixed in an appropriate ratio, molded into the shape of a seam, baked at high temperature to make a seam, a seam is inserted between two grooved shaft plates, and then the pencil bag is cut out by a hexagon or a circumference. It is prepared by painting with paint.
이와 같은 연필은, 사용 전에 연필심이 밖으로 나오도록 연필 자루를 깎아 사용하는 것으로서 유치원생이나 초등학교 4~5학년까지의 어린이에게 예리한 연필깎이용 칼을 사용하게 하는 데에 위험이 따른다.Such pencils use a sharp pencil sharpener for preschoolers or children in grades 4-5 to use sharp pencil sharpeners by cutting the pencil sacks so that the pencil leads out before use.
이러한, 어려움으로 어린이들에게 칼의 사용을 자제시키고 윗사람이 연필을 깎아주거나 연필 깎기를 사용하게 하지만 일일이 연필을 깎아 주기가 쉽지 않다.These difficulties make children refrain from using knives and have their superiors sharpen or use pencil sharpeners, but it is not easy to sharpen them.
또한, 연필깎기는 그 수명이 짧고 고장이 빈번하고, 어린이들의 책가방에 휴대하기에도 불편하다.In addition, the pencil sharpener has a short lifespan, frequent breakdowns, and is inconvenient to carry in children's backpacks.
한편, 종래에 연필형 지우개 또는 색연필의 자루를 향목으로 만들지 아니하고 권지를 사용하여 한 칸씩 좁은 폭으로 풀어서 쓰게 하고 있으나 이와 같은 색연필 등은 학습용 지정 필기구로 사용하기에는 부적합한 문제점이 있었다.On the other hand, conventionally, the pencil-shaped eraser or the bag of colored pencils are not made of fragrance, but instead of using a roll of paper to write one by one in a narrow width, such as colored pencils, etc. There was a problem inadequate to use as a designated writing instrument for learning.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연필심의 외주면에 소정의 폭으로 절취선이 형성된 종이를 권지하여 연필을 다 쓰거나 부러졌을 때 권지된 종이를 풀러 새로운 연필심을 사용할 수 있게 함과 동시에, 연필의 마련되는 지우개에 연필심만을 깎을 수 있는 연필심깎기가 마련된 권지형 연필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t is recommended to use a new pencil lead by unrolling the recommended paper when the pencil is used up or broken by recommending a paper having a perforated line with a predetermined width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encil lead and At the same tim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olled-up pencil provided with a pencil sharpener capable of sharpening only a pencil lead to an eraser provided with a pencil.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권지형 연필을 나타낸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wound penci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권지형 연필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단면도.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a wound penci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권지형 연필의 연필심깎기부를 나타낸 단면사시도.Figure 3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pencil sharpener of the winding type penci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권지형 연필의 연필심을 깎는 상태를 나타낸 작동도.Figure 4 is an operation view showing a state of sharpening the pencil lead of the winding type penci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연필 10 : 연필심1: pencil 10: pencil lead
20 : 권지 21 : 평행절취선20: winding 21: parallel cut line
22 : 해권부 23 : 접착부22: nautical region 23: adhesive
24 : 고정부 25 : 절취실24: fixing part 25: cutting room
30 : 연필심깎기부 31 : 연필결합부30: pencil sharpener 31: pencil coupling portion
32 : 연필심깎기 33 : 삽입홈32: pencil sharpener 33: insertion groove
34 : 칼날 35 : 지우개결합부34: blade 35: eraser coupling portion
36 : 지우개 37 : 고정캡36: eraser 37: fixed cap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권지형 연필은, 통상의 연필심과, 소정의 간격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평행절취선에 의해 해권부가 형성되어, 상기 연필심에 권취될 때 전방부가 원뿔형상으로 형성되도록 상기 연필심에 대하여 소정 각도 기울어진 상태로 권취되는 권지와, 상기 권지의 최외측에 상기 해권부를 상기 평행절취선의 폭만큼을 절단하기 위한 절취실이 마련되는 연필과; 일측에 상기 연필의 후방 단부에 결합되고, 내측 하부가 상기 연필심의 지름에 대응되는 원뿔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부가 상기 원뿔형상의 지름에 대응되는 사각형상으로 형성되는 삽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홈의 상부측에는 상기 삽입홈의 하부를 형성하는 원뿔형상의 단면 형상에 대하여 대칭되는 형상으로 칼날이 마련되는 연필심깎기가 마련되는 연필결합부와, 타측에 지우개가 결합되는 지우개 결합부가 형성되는 연필심깎기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wound-type penci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seashoe portion formed by a common pencil lead and parallel cut lines continuously form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so that the front portion is formed into a conical shape when wound on the pencil lead. A sheet of paper wound up in a stat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pencil core, and a cutting chamber provided at the outermost side of the sheet of paper to cut the sea circle in the width of the parallel cutting line; Is coupled to the rear end of the pencil on one side, the inner lower portion is formed in a conical shape corresponding to the diameter of the pencil lead, the upper portion is formed with an insertion groove formed in a square shape corresponding to the diameter of the cone shape, the insertion groove The upper side of the pencil comprises a pencil engaging portion is provided with a pencil sharpener is provided with a blade in a shape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cone-shaped forming the lower portion of the insertion groove, and the pencil shim portion is formed with an eraser coupling portion is coupled to the other side It is characterized by.
또한, 일측에 상기 연필의 후방 단부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홈이 형성되고, 타측에 상기 연필깎기부의 상기 연필결합부가 결합되는 결합부가 형성되는 고정캡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rear end of the pencil is inserted into the groove is fixed to one side is formed, the other side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 fixing cap formed with a coupling portion is coupled to the pencil coupling portion of the pencil sharpener.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권지형 연필을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wound penci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정의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 내려진 것으로,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본 고안의 기술적 구성요소를 한정하는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s defined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custom of a person skilled in the art, and thus means to limit the technical compon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not be understood as.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권지형 연필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권지형 연필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권지형 연필의 연필심깎기부를 나타낸 단면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wound type penci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wound type penci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pencil shim portion of the wound type penci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be.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권지형 연필(1)은, 통상의 연필심(10)과, 상기 연필심(10)의 외주면에 감기는 권지(20)와, 상기 연필심(10) 및 상기 연필심(10)에 권취되는 권지(20)로 구성된 연필(1)의 말단에 결합되어 권지(20)가 감겨있는 연필심(10)이 밀려나오는 것을 방지하는 고정캡(37)이 마련되고, 상기 고정캡(37)의 단부에 상기 연필심(10)을 깎는 연필심깎기부(30)가 마련된다.As illustrated, the wound pencil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normal pencil core 10, a winding paper 20 wound around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encil core 10, the pencil core 10 and the pencil core ( 10 is provided with a fixed cap 37 coupled to the end of the pencil (1) consisting of a roll of paper (20) wound on the roll to prevent the pencil core (10) on which the roll of paper (20) is rolled out. 37 is provided with a pencil sharpener 30 for cutting the pencil lead (10) at the end of.
상기 권지(20)는, 상기 연필심(10)의 외부면에 권취되어 상기 연필심(10)을 보호함과 동시에 상기 연필심(10)이 닳았을 때 해권시켜 연필심(10)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약 2~4mm정도의 간격을 유지하여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평행절취선(21)에 의해 형성되는 해권부(22)가 형성되고, 일단의 일면에는 상기 연필심(10)에 권취될 때 상기 연필심(10)에 고정되기 위한 접착제가 도포되고, 타측 일면에는 상기 연필심(10)에 권지되었을 때 고정되기 위한 접착제가 도포되며, 상기 궝지의 최외측 아래면에는 상기 연필심(10)에 권취된 상기 권지(20)에서 최외측의 해권부(22)를 해권하기 위하여 상기 해권부(22)를 상기 평행절취선(21)의 폭만큼 잡아당겨 절단하는 절취실(25)이 마련된다.The winding paper 20 is to be woun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pencil lead 10 to protect the pencil lead 10 and at the same time to uncoil when the pencil lead 10 is worn to use the pencil lead 10, The pistol portion 22 is formed by a parallel cutting line 21 that is continuously formed while maintaining a distance of about 2 ~ 4mm, one end of the pencil core 10 when wound on the pencil core 10 Adhesive to be fixed to the coated on the other side, the adhesive is applied to the fixed when it is wound on the pencil lead 10, the outer surface of the wedge is wound around the pencil core (10) wound (20) In order to reciprocate the outermost circumference portion 22, a cutting chamber 25 is provided to pull and cut the tract portion 22 by the width of the parallel cutting line 21.
여기서, 상기 연필심(10)에 권취되는 상기 권지(20)는 상기 연필심(10)에 대하여 소정 각도 기울어진 상태로 권취되어 상기 연필심(10)에 권취된 후 상기 연필(1)의 전방부가 원뿔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권지(20)의 외측으로는 상기 권지(20)를 감추기 위한 보호지(27)가 마련되며, 상기 보호지(27)에는 상호, 제품명, 광고문구 등이 인쇄될 수 있다.Here, the wound paper 20 wound on the pencil lead 10 is wound in a stat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pencil lead 10 and wound on the pencil lead 10, and then the front portion of the pencil 1 is conical. It is formed to, the outer side of the wrapper 20 is provided with a protective paper 27 for concealing the wrapper 20, the protective paper 27 may be printed name, product name, advertising phrases and the like.
그리고, 상기 고정캡(27)은, 상기 연필심(10)에 상기 권지(20)가 감겨 구성된 연필(1)의 후방 단부에 상기 권지(20)가 감긴 연필심(10)이 상기 연필(1)의 후방을 돌출되는 것과, 상기 연필(1)의 후방부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일측에 상기 연필(1)의 후방 단부가 삽입되는 홈이 형성되고, 타측에 상기 연필심깎기부(30)가 결합되는 결합부(38)가 형성된다.In addition, the fixing cap 27, the pencil core 10 is wound around the pencil core 10, the pencil core 10 is wound around the pencil core 10, the pencil core 10 of the pencil (1) Protruding from the rear, and to prevent the rear portion of the pencil (1) is damaged, a groove is formed in one side of the rear end of the pencil (1) is inserted, the other side is the pencil shim (30) An engaging portion 38 to be combined is formed.
상기 연필심깎기부(30)는, 상기 연필(1)의 상기 연필심(10)을 깎기 위한 것으로, 일측에는 상기 연필(1)의 후방 단부에 결합되는 상기 고정캡(37)의 결합부(38)에 결합되는 연필결합부(31)와, 타측에는 상기 연필(1)에 의해 쓰여진 글씨 또는 그림 등을 지우는 지우개(36)가 결합되는 지우개결합부(35)가 형성되며, 상기 연필결합부(31)의 내측에는 상기 권지(20)의 최외측 해권부(22)가 해권될 때 돌출되는 상기 연필심(10)의 단부를 절삭하여 깎기 위한 연필심깎기(32)가 마련된다.The pencil sharpener 30 is for cutting the pencil lead 10 of the pencil 1, the coupling portion 38 of the fixing cap 37 is coupled to the rear end of the pencil 1 on one side The pencil coupling portion 31 coupled to the, and the other side is formed with an eraser coupling portion 35 is coupled to the eraser 36 for erasing letters or pictures written by the pencil (1), the pencil coupling portion 31 ) Is provided with a pencil sharpener 32 for cutting and cutting the end of the pencil lead 10, which protrudes when the outermost unwinding portion 22 of the wrapper 20 is unsealed.
여기서, 상기 연필심깎기(32)는, 상기 연필결합부(31)의 내측면에 상기 연필심(10)의 단부가 삽입되도록 하부가 상기 연필심(10)의 지름에 대응되는 원뿔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부가 원뿔형상의 지름에 대응되는 사각형상으로 형성되는 삽입홈(33)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홈(33)의 상부측에는 상기 삽입홈(33)의 하부를 형성하는 원뿔형상의 단면 형상에 대하여 대칭되는 형상으로 칼날(34)이 마련된다.Here, the pencil sharpener 32, the lower portion is formed in a conical shape corresponding to the diameter of the pencil lead 10 so that the end of the pencil lead 10 is inserted into the inner surface of the pencil coupling portion 31, the upper Insertion groove 33 is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corresponding to the diameter of the cone shape is formed, the upper side of the insertion groove 33 is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cone shape forming the lower portion of the insertion groove 33 The blade 34 is provided.
또한, 상기 삽입홈(33)은, 상기 칼날(34)이 장착되는 각도가 다른 복수개의 삽입홈(33')이 마련되어 사용자가 사용하기 편한 연필심으로 깎아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insertion groove 33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insertion grooves 33 ′ having different angles at which the blade 34 is mounted, so that the user can use the sharpened pencil lead with ease.
이에 따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권지형 연필의 사용을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한다.Accordingly,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rough the use of the wound paper penci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권지형 연필의 연필심을 깎는 상태를 나타낸 작동도이다.n4 is an operation diagram showing a state of sharpening the pencil lead of the wound-type penci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권지(20)가 권취된 연필(1)을 사용하다가 돌출된 연필심(10)이 다 닳아 없어지면 상기 연필심(10)의 권취된 상기 권지(20) 최외측의 하부에 삽입된 절취실(25)을 당겨 권지(20)의 최일측의 해권부(22)를 절단시킨다.First, when the pencil core 10 is wound around the wound paper 20 and the protruding pencil lead 10 is worn out, the cutting chamber 25 inserted in the lowermost portion of the outermost side of the wound paper 20 wound around the pencil lead 10 is worn out. ), And cut off the first rolled portion 22 of the rolled paper 20.
이후, 절단된 상기 해권부(22)를 당기면 해권부(22)를 형성하는 평행절취선(21)을 따라 상기 해권부(22)가 절취되면서 풀려 상기 해권부(22)가 상기 연필심(10)에서 풀려지고, 상기 연필심(10)의 단부가 돌출되며, 이러한 방법으로 상기 연필(1)의 단부가 닳아 없어질 때마다 연필(1)을 깎을 필요 없이 권지(20)의 일부를 해권시켜 연필(1)을 사용할 수 있다.Subsequently, when the cut-out portion of the circumference section 22 is pulled out, the tract section 22 is cut along the parallel cutting line 21 forming the tract section 22, and the tract section 22 is removed from the pencil lead 10. When the end of the pencil core 10 is released, and the end of the pencil 1 is worn out in this manner, a part of the roll 20 is unsealed without having to shave the pencil 1. ) Can be used.
여기서, 돌출된 상기 연필심(10)의 단부는 그 끝이 뭉툭하여 사용하기가 불편하기 때문에 상기 연필(1)의 후방에 결합된 상기 연필심깎기부(30)를 이용하여 상기 연필심(10)의 단부를 깎는다.Here, the end of the protruding pencil lead 10 is blunt end of the end is inconvenient to use, so that the end of the pencil lead 10 by using the pencil sharpener 30 coupled to the rear of the pencil (1) Shave.
이때, 상기 연필심(10)의 단부를 상기 연필심깎기부(30)의 삽입홈(33)에 삽입하고 소정의 힘을 가하면서 상기 연필(1)을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삽입홈(33)에 마련된 상기 칼날(34)에 의해 상기 연필심이 절삭되면서 상기 삽입홈(33)과 상기 칼날(34)에 의해 형성되는 원뿔형상으로 절삭된다.At this time, the end of the pencil lead 10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33 of the pencil sharpener 30 and when the pencil 1 is rotated in one direction while applying a predetermined force, the insertion groove 33 The pencil core is cut by the provided blade 34 and is cut into a conical shape formed by the insertion groove 33 and the blade 34.
이와 같이, 상기 연필(1)의 권지(20)가 해권되어 돌출된 상기 연필심(10)을 상기 연필(1)의 후방에 결합된 연필심깎기부(30)를 이용하여 별도의 칼을 사용하지 않고 연필심(10)을 절삭하여 상기 연필심(10)의 단부를 사용자가 사용하기 편한 원뿔형상으로 절삭할 수 있다.As such, the pencil core 10 protruding from the winding paper 20 of the pencil 1 is protruded without using a separate knife by using the pencil shim unit 30 coupled to the rear of the pencil 1. By cutting the pencil lead 10, the end of the pencil lead 10 may be cut into a cone shape that is easy for a user to use.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기술되었지만,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첨부된 청구 범위에 정의된 본 고안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고안을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앞으로의 실시예들의 변경은 본 고안의 기술을 벗어날 수 없을 것이다.Although described in detail with respect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ways. Therefore, changes in the futur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t be able to escape the technology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권지형 연필은, 연필심의 외주면에 소정의 폭으로 절취선이 형성된 종이를 권지함으로써, 연필을 다 쓰거나 부러졌을 때 권지된 종이를 풀러 새로운 연필심을 사용할 수 있게 함으로 사용자에게 더욱 편리함을 줄 수 있고, 연필의 후방에 마련되는 연필심깎기부로 돌출된 연필심만을 깎을 수 있어 사용자가 더욱 편리하게 연필을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wound-type penci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winding a paper with a perforated line with a predetermined width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encil core, by using a new pencil lead by unwinding the wound paper when the pencil is used up or broken It can be more convenient to the user, and can only cut the pencil lead protruded by the pencil lead sharpener provided on the back of the pencil has the effect that the user can use the pencil more conveniently.
Claims (2)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20026833U KR200296506Y1 (en) | 2002-09-07 | 2002-09-07 | paper rolled pencil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20026833U KR200296506Y1 (en) | 2002-09-07 | 2002-09-07 | paper rolled pencil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96506Y1 true KR200296506Y1 (en) | 2002-11-23 |
Family
ID=731284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20026833U KR200296506Y1 (en) | 2002-09-07 | 2002-09-07 | paper rolled pencil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296506Y1 (en)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10586B1 (en) | 2011-12-15 | 2013-09-23 | 차용환 | An auto-manufacturing apparatus for paper band style colored pencil |
KR101631305B1 (en) * | 2014-12-31 | 2016-06-16 | 주식회사 드림오피스 | Touch pencil cover as touch pen tip and pencil core sharpener |
KR101728794B1 (en) | 2016-11-17 | 2017-04-20 | 주식회사 드림오피스 | Touch pencil with touch pen tip and touch pencil cover for pencil core sharpener |
KR101760452B1 (en) | 2016-11-17 | 2017-07-21 | 주식회사 드림오피스 | Touch pencil with touch pen tip and touch pencil cover for pencil core sharpener |
-
2002
- 2002-09-07 KR KR2020020026833U patent/KR200296506Y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10586B1 (en) | 2011-12-15 | 2013-09-23 | 차용환 | An auto-manufacturing apparatus for paper band style colored pencil |
KR101631305B1 (en) * | 2014-12-31 | 2016-06-16 | 주식회사 드림오피스 | Touch pencil cover as touch pen tip and pencil core sharpener |
WO2016108362A1 (en) * | 2014-12-31 | 2016-07-07 | 주식회사 드림오피스 | Mechanical pencil cap having touch pen tip use and pencil lead sharpening use, and mechanical pencil having same |
KR101728794B1 (en) | 2016-11-17 | 2017-04-20 | 주식회사 드림오피스 | Touch pencil with touch pen tip and touch pencil cover for pencil core sharpener |
KR101760452B1 (en) | 2016-11-17 | 2017-07-21 | 주식회사 드림오피스 | Touch pencil with touch pen tip and touch pencil cover for pencil core sharpener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4243338A (en) | Writing instrument and holder assembly | |
KR200296506Y1 (en) | paper rolled pencil | |
US2785100A (en) | Method of applying an advertising and eraser-retaining ferrule to a pencil shaft | |
KR200225452Y1 (en) | Not cutting pencil | |
US7517167B2 (en) | Writing instrument with a tape flag dispenser | |
US20030159951A1 (en) | Three-in-one art pack | |
US20130221146A1 (en) | Clamshell packaging with handle for a paper roll kit | |
US2419746A (en) | Eraser | |
US7503716B2 (en) | Writing instrument with roll-preventing eraser | |
US354800A (en) | Combined ruler and paper-cutter | |
CN201989483U (en) | Pen with function of notepaper | |
US4190942A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winding and inserting sheet material into a tube | |
CN219667805U (en) | Album capable of repeatedly painting | |
CN201095231Y (en) | Environmental protection pencil with pencil sharpener | |
KR200276508Y1 (en) | Eraser | |
US7246964B2 (en) | Note pen | |
JP3103201U (en) | Paint transfer tool | |
EP1675733B1 (en) | Writing instrument, in particular a roller ball pen comprising an information support | |
JP2878672B1 (en) | Manufacturing method of wound pen cylinder using polymer synthetic paper and product thereof | |
US6981813B1 (en) | Notepen | |
JPS5820393Y2 (en) | guide pen | |
JPS59162098A (en) | Note | |
CN201792609U (en) | Paper-rolled pencil | |
US2686496A (en) | Pencil sharpener | |
CN201900864U (en) | Pen with adhesive tap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T201 |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T601 |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