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6437Y1 - 스트립형 부품의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스트립형 부품의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6437Y1
KR200296437Y1 KR2020020027037U KR20020027037U KR200296437Y1 KR 200296437 Y1 KR200296437 Y1 KR 200296437Y1 KR 2020020027037 U KR2020020027037 U KR 2020020027037U KR 20020027037 U KR20020027037 U KR 20020027037U KR 200296437 Y1 KR200296437 Y1 KR 20029643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dless belt
belt
strip
wheel
pa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70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우형
Original Assignee
안우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우형 filed Critical 안우형
Priority to KR20200200270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643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643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6437Y1/ko

Links

Landscapes

  • Electroplating Methods And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스트립형 부품의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환형의 띠모양을 한 무한벨트와 상기 무한벨트가 감기어 돌아가는 휠 및 상기 무한벨트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장치를 포함하는 스트립형 부품의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무한벨트(10)는 한 쌍으로서 벨트 자체가 영구자석이거나 벨트에 영구자석을 설치하여 자력을 가진 벨트이고, 상기 무한벨트가 감기어 돌아가는 휠(20);을 각 벨트당 2개씩 구비하며, 상기 무한벨트(10)와 휠(20)은 일정 구간에서 두개의 무한벨트의 바깥 면이 자석의 인력에 의하여 부품을 파지할 수 있도록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형 부품의 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고안에 의한 스트립형 부품의 처리장치는 탄성체를 파지수단으로 사용하는 종래의 부품처리장치와 비교하여 볼 때, 그 구조가 간단하고 피가공 부품을 견고하게 파지하여 장기간 사용 할 수 있으며, 전기도금에 사용할 때 무한벨트에서 나오는 자장의 영향으로 보다 더 균일한 도금막을 형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스트립형 부품의 처리장치{apparatus for treating strip-shaped parts}
본 고안은 스트립형 부품의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무한벨트에 마련된 부품파지수단을 이용하여 스트립형 부품을 파지한 상태로 이송하면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처리조를 통과할 수 있는 장치를 구체화한 것이다.
스트립형 부품의 처리장치 및 무한벨트에 관한 종래의 기술로는 미국특허 제4,534,843호, 미국특허 제5,024,745호 및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20-154432호 등이있다.
미국특허 제4,534,843호, 미국특허 제5,024,745호 및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20-154432호는 반도체 리드프레임과 같은 스트립형 부품의 전해처리, 도금, 세척, 건조 등에 사용하는 무한벨트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스트립형 부품을 파지하는 수단으로서 무한벨트에 탄성을 가진 그리퍼(gripper)를 설치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은 무한벨트와 그리퍼를 별도로 제작하여 조립함으로써 제작·조립·보수가 불편하고 사용할수록 그리퍼의 탄성이 저하되므로 수시로 교체하여야만 하는 단점이 있고, 벨트와 그리퍼가 일체로 성형된 무한벨트의 경우라고 하더라도 무한벨트에 형성된 그리퍼 중에 어느 하나라도 탄성이 저하되거나 파손이 되는 경우 벨트 전체를 교환해야 하는 결정적인 단점이 있으며, 전기도금시에는 부품의 모서리에 전류가 집중되어 도금막이 전체적으로 균일하지 못하다는 단점이 있다.
종래 기술의 문제점들을 개선하고자, 스프링에 의한 탄성을 이용하지 아니하고 비교적 일정한 힘으로 장기간 동안 부품을 파지할 수 있으며, 스트립형 부품의 이송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전기도금시에 사용하면 보다 더 균일한 도금막이 형성되는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로 한다.
도1은 본 고안에 의한 부품처리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에 의한 부품처리장치에서 부품을 파지하여 이송하는 것을 도시한 설명도
도3은 본 고안에 의한 부품처리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무한벨트 20: 휠
21: 제3의 휠 30: 스트립형태의 부품
40: 부품처리조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환형의 띠모양을 한 무한벨트와 상기 무한벨트가 감기어 돌아가는 휠 및 상기 무한벨트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장치를 포함하는 스트립형 부품의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무한벨트(10)는 한쌍으로서 벨트 자체가 영구자석이거나 벨트에 영구자석을 설치하여 자력을 갖는 벨트이고, 상기 무한벨트가 감기어 돌아가는 휠(20);은 기본적으로 각 벨트당 2개씩구비하며, 상기 무한벨트(10)와 휠(20)은 일정 구간에서 두개의 무한벨트의 바깥 면이 자석의 인력에 의하여 부품을 파지 할 수 있도록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형 부품의 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도1은 본 고안에 의한 부품처리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2는 스트립형 부품을 파지하여 이송하는 것을 도시한 설명도이고, 도3은 본 고안에 의한 부품처리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고로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반도체 리드프레임과 같은 스트립형 부품을 처리하기 위한 장치에 사용되는 종래의 무한벨트에는 판스프링 또는 코일스프링의 탄성을 이용한 부품파지수단으로 그리퍼가 구비되어 있는데, 사용할 수록 스프링의 탄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종래의 기술이 가지고 있는 단점을 근본적으로 개선하기 위하여, 부품파지를 위한 힘으로 그 성질이 반영구적인 자력을 이용하는데 특징이 있다.
이를 위하여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가 영구자석재로 된 한 쌍의 무한벨트(10)를 각각의 자극이 다르게 하여 벨트의 바깥면이 마주보도록 좌우로 배치하고, 상기 무한벨트가 감기어 회전할 수 있도록 각 벨트의 양 끝으로 휠(20)을 설치하고,
무한벨트(10)를 회전을 시키면 일정구간(A-B)에서는 2개의 무한벨트가 자석의 인력에 의해 서로 밀착된 상태로 운행하게 되고, 휠(20)을 따라 감기어 돌아가면서 다시 벌어지게 된다.
따라서, 구간의 시작점(A)에서 부품을 파지하고, A-B구간에서 부품처리조를 통과한 후 구간의 종점(B)에서 처리된 부품을 배출하게 된다.
상기 무한벨트(10)의 내면과, 휠(20)의 외주면으로 서로 대응하는 요철돌기를 형성하여 무한벨트를 좀 더 정확하게 구동 및 제어할 수 있고, 휠과 무한벨트는 피가공 부품의 형태, 크기, 성질 등을 고려하여 다양한 형태와 소재로 만드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스트립 형태의 부품을 이송하는 운송수단인 무한벨트의 다른 실시예로서 직물제, 합성수지재 또는 금속재의 무한벨트에 영구자석을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두개의 무한벨트 중에서 하나의 무한벨트가 자화가능한 소재로 된 것이라면, 다른 하나의 무한벨트에만 영구자석을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무한벨트(10)에 자석을 설치하는 것은 피가공부품의 형태, 크기, 성질 등을 고려하여 자석의 종류와 크기, 설치위치를 필요에 따라 자유로이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한벨트(10)의 외부에 유연성이 있는 고무자석을 부착하거나, 무한벨트의 내부에 영구자석을 매설할 수도 있다.
또한, 무한벨트(10)의 일부를 도체로 하는 경우에는 도전성을 이용하여 통상적인 방법으로 피가공부품을 전기도금하는데 본 고안을 사용할 수 있으며, 무한벨트로 부터 나오는 자장의 영향으로 인하여 탄성체를 파지수단으로 하는 경우보다균일한 도금막을 형성 할 수가 있다.
본 고안에 의한 스트립형 부품의 처리장치의 다른 실시예로서, 무한벨트와 휠을 상하로 배치하면 스트립형 부품을 수평으로 파지하여 이송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한벨트와 휠을 상하로 배치하고, 상부에 위치하는 2개의 휠 사이에 무한벨트를 아래방향으로 유도하는 제3의 휠(21)을 설치하고 하부에 위치하는 2개의 휠 사이에는 부품처리조(40)를 설치하여, 2개의 무한벨트가 자석의 인력에 의하여 부품을 파지하고, 상기 제3의 휠에 의하여 아래로 처지는 구간에서 상기 부품처리조(40)의 내부를 통과하면서 스트립형 부품을 가공하는 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따라서, 부품처리조(40)의 내부에 도금액을 채우고 양극을 인가하며, 무한벨트의 도체부분을 통하여 스트립형 부품에 음극을 인가하면 도금조의 형태를 극히 단순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과 같은 장치를 상하 또는 좌우로 병행설치하여 스트립형태의 부품을 양쪽에서 더욱 견고하게 파지 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스프링에 의한 탄성력을 이용하지 않기 때문에 오랜 사용에 따른 탄성력의 저하 또는 부품의 잦은 교체와 같은 문제가 발생하지 아니하므로, 반 영구적으로 사용 할 수 있고, 특히 전기도금에 본 고안품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무한벨트의 자성으로 부터 나오는 자장의 영향으로 탄성체를 파지수단으로 하는 경우보다 좀더 균일한 도금막을 형성할 수 있으며,
파지수단이 구비된 위치에 구애받지 않아서 스트립형 부품의 투입과 배출이 용이한 매우 효율적인 스트립형 부품의 처리장치이다.

Claims (5)

  1. 환형의 띠모양을 한 무한벨트와 상기 무한벨트가 감기어 돌아가는 휠 및 상기 무한벨트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장치를 포함하는 스트립형 부품의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무한벨트(10)는 한 쌍으로서 자력을 가지며, 상기 무한벨트가 감기어 돌아가는 휠(20);은 각 벨트당 2개씩 구비하며, 상기 무한벨트(10)와 휠(20)은 일정 구간에서 두개의 무한벨트의 바깥 면이 자석의 인력에 의하여 스트립형의 부품을 파지 할 수 있도록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형 부품의 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무한벨트 자체가 영구자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형 부품의 처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무한벨트(10)에 영구자석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형 부품의 처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한쪽의 무한벨트(10)는 자화가능한 소재의 무한벨트이고, 다른 쪽 무한벨트에는 영구자석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형 부품의 처리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무한벨트와 휠을 상하로 마주보게 배치하고, 상부에 위치하는 2개의 휠 사이에 무한벨트를 아래방향으로 유도하는 제3의 휠(31)을 설치하고 하부에 위치하는 2개의 휠 사이에는 부품처리조(40)를 설치하여, 2개의 무한벨트가 인력에 의하여 부품을 파지하면서 상기 제3의 휠에 의하여 아래로 처지는 구간에서 상기 부품처리조(40)의 내부를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 형 부품의 처리장치.
KR2020020027037U 2002-09-10 2002-09-10 스트립형 부품의 처리장치 KR20029643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7037U KR200296437Y1 (ko) 2002-09-10 2002-09-10 스트립형 부품의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7037U KR200296437Y1 (ko) 2002-09-10 2002-09-10 스트립형 부품의 처리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4205A Division KR20020074140A (ko) 2002-09-09 2002-09-09 스트립형 부품의 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6437Y1 true KR200296437Y1 (ko) 2002-11-23

Family

ID=730849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7037U KR200296437Y1 (ko) 2002-09-10 2002-09-10 스트립형 부품의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643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54652B (zh) 表面處理裝置和電鍍槽
US9358587B2 (en) Substrate treating apparatus
US9653339B2 (en) Integrated shielding for wafer plating
KR200296437Y1 (ko) 스트립형 부품의 처리장치
ATE377488T1 (de) Greif- und spannvorrichtung mit magnetantrieb zum bewegen eines fingers
KR101147636B1 (ko) 수중 자성분말 분리 장치
KR200298405Y1 (ko) 스트립형 부품의 처리장치
KR20020074140A (ko) 스트립형 부품의 처리장치
KR20020081181A (ko) 스트립형 부품의 처리장치
CN207001487U (zh) 一种生产线用的电路板夹紧装置
JP2005537390A (ja) ストリップ型部品の処理装置
CN116313991A (zh) 一种晶圆翻转装置
KR100882596B1 (ko) 자력고정부를 구비한 도금장치
JP2006306567A (ja) マグネットコンベア
JP2014156355A (ja) ベルトコンベヤ
KR101307096B1 (ko) 박막소자를 유연 기판에 제작하는 롤투롤 증착기의 기판 홀딩 장치
CN209781391U (zh) 一种高频磁路自动化生产设备
KR101356032B1 (ko) 컨베이어의 기판용 반송홀더
CN209501937U (zh) 用于led支架上料机的除铁屑装置及led支架上料机
KR101395570B1 (ko) 기판공급장치
JPH08264617A (ja) 半導体装置の搬送方法および搬送装置
CN219246662U (zh) 一种晶圆翻转装置
CN216582354U (zh) 一种电磁铁导磁套生产输送装置
CN213010182U (zh) 一种铜箔胶带磁吸处理装置
CN215933858U (zh) 一种磁性导电夹及镀膜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