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6430Y1 - 앵커해체용 인장부재 - Google Patents

앵커해체용 인장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6430Y1
KR200296430Y1 KR2020020026624U KR20020026624U KR200296430Y1 KR 200296430 Y1 KR200296430 Y1 KR 200296430Y1 KR 2020020026624 U KR2020020026624 U KR 2020020026624U KR 20020026624 U KR20020026624 U KR 20020026624U KR 200296430 Y1 KR200296430 Y1 KR 20029643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nsion member
anchor
outer shell
tension
gr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662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태희
Original Assignee
박태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태희 filed Critical 박태희
Priority to KR202002002662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643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643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6430Y1/ko

Links

Landscapes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토목공사에서 연약지반 보강을 위한 앵커공법에 사용되는 인장부재에 관한 것으로서, 인장부재의 외경보다 1∼3㎜정도 큰 내면직경을 갖는 외피로 마련하여 지중에 매설된 상태에서도 인장부재를 절단하여 제거할 때 인장부재의 자중 이외엔 별다른 부하가 걸리지 않아 인장부재의 인출이 용이하도록 함에 있다.
본 고안의 앵커해체용 인장부재는 다수가닥의 와이어(10a,10b)가 꼬여 이루어진 와이어로프로 된 인장부재(10); 이 인장부재(10)의 외면과 이격되도록 인장부재(10)의 외면보다 1∼3㎜정도 내면직경이 크게 형성된 외피(12)로 이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앵커해체용 인장부재{tension member for anchor elimination}
본 고안은 토목공사에서 연약 지반 보강을 위한 앵커공법에 사용되는 인장부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앵커에 고정된 인장부재의 체결을 해제시킨 후 그라우트인 콘크리트가 부착된 외피를 제외한 인장부재의 빼냄이 용이한 앵커해체용 인장부재에 관한 것이다.
앵커공법은 흙막이 공사, 터널갱구부 안정용, 석축 및 옹벽 보강용 등 토목공사에서 주로 사용되어지는 공법이며, 이 공법은 천공하고자하는 위치의 지반에 천공기를 이용하여 천공하고 이 구멍에 그라우트호스와 인장부재로 구성된 내하체를 삽입한 다음, 그라우트호스를 통해 그라우트를 주입하고 주입된 그라우트가 내하체와 양생되면 인장부재의 다른 한쪽끝단에 앵커를 체결한 후 인장부재를 인장기로 당겨 그라우트와 지면을 인장 함으로써 연약한 지면을 보강하는 것이다. 이때, 인장부재의 표면에는 그라우트와 내하체가 양생되기 때문에 인장부재의 제거가 곤란한 것이었다.
이러한 앵커공법의 적용은 도심지공사에서 효과적인 시공관리 및 공기단축 등의 장점이 있으나 인접지대에 대한 추후공사시 일반철근의 강도에 비해 단면적상 강도가 약6배인 인장부재의 가설로 인해 굴착장비 및 천공장비의 손실과 공기지연이 발생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굴착공사 완료 후 건축공정에 맞추어 인장부재를 제거할 수 있는 앵커가 개발되어 사용되었다.
따라서, 앵커는 인장부재를 물었다가 해제하는 구조가 구비되어야 했고 인장부재의 표면에는 인장부재만을 빼낼 수 있도록 외피가 씌워지는 구조로 마련되기에 이르렀다.
구체적으로, 이러한 앵커공법용의 앵커(A)는 도 1과 같이 모두 앵커몸체(B)의 내부에 3개의 분할웨지가 하나의 유닛을 이루는 웨지유닛(W)이 인장부재(10)의 끝단부분을 물도록 설치되고 이 웨지유닛(W)에 의해 물려있는 인장부재(10)가 선택적으로 해제되는 구조가 구비되어 있다.
또 상기 인장부재(1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략 7가닥의 와이어(10a,10b)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중앙의 와이어(10a) 주위에 6가닥의 와이어(10b)가 배열되어 일정한 피치를 갖고 꼬아진 와이어로프이며, 이는 지중에 매설되었을 때 그라우트인 콘크리트의 부착을 방지하여 인장부재(10)를 보호하기 위한 외피(12)가 씌워져 있고 와이어로프와 외피(12) 사이엔 마찰을 최소화하여 인장부재(10)인 와이어로프의 빠짐이 용이하게 이뤄지도록 윤활제인 그리스(14)가 채워져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앵커공법용 인장부재는 앵커몸체에 기밀이 유지되게 외피(12)가 압입 고정되고 이 외피(12)의 내부로 삽입된 와이어로프는 앵커몸체 내의 웨지유닛(W)에 의해 물려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앵커해체용 인장부재를 지중에 설치한 상태에서 해체하여 제거하는 방법은, 지중에 긴장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는 인장부재(10)를 절단하고 절단된 인장부재(10)의 끝단을 망치 따위로 쳐서 매립 설치된 인장부재(10)의 선단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인장부재(10)에 웨지유닛(W)이 밀려들어가거나 밀려들어갔을 때 분할웨지가 벌어져서 인장부재의 선단에 대한 웨지물림이 해제되게 된다. 이렇게 웨지유닛(W)으로부터 해제된 후 인장부재(10)의 절단된 끝단부분에 별도의 장비인 인출기 등을 설치하여 잡아당기면 외피(12)와 인장부재(10) 사이에 그리스(14)가 채워져 있어 인장부재(10)만이 인출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앵커해체용 인장부재에 있어서는, 지줌에 매설되는 부분이 40∼50m에 이르고 인장부재(10)와 외피(12)와의 사이에 그리스(14)가 채워져 있다하더라도 작업자의 인력만으론 인장부재(10)의 인출이 불가능하였고 이로 인하여 인장부재(10)의 끝단부분에 별도의 장비인 인출기를 장착하여야 하나 협소한 공간에선 설치가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인장부재(10)와 외피(12) 사이에 주입된 그리스(14)로 인하여 지하수 내지 토질오염 등의 환경오염이 발생되기 쉽고 이로 인한 사용이 규제되기에 이르렀으며, 상기 외피(12)로부터 빼낸 인장부재(10)의 외면에는 그리스(14)가 묻어있으므로 작업인부들이 작업을 기피하고 이에 따라서 인장부재(10)의 재활용이 부진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연구 개발한 것으로서, 인장부재의 외경보다 1∼3㎜정도 큰 내면직경을 갖는 외피로 마련함으로써 인장부재와 외피가 서로 이격되게 되며 이에 따라서 지중에 매설된 상태에서도 인장부재를 절단하여 제거하고자 할 때 인장부재의 자중 이외엔 별다른 부하가 걸리지 않아 인장부재의 인출이 용이하도록 한 앵커해체용 인장부재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기존 앵커에 인장부재가 장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종래의 앵커해체용 인장부재를 나타낸 조립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앵커해체용 인장부재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부호의 설명>
10: 인장부재 10a,10b: 와이어
12: 튜브 14: 그리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앵커해체용 인장부재는, 7가닥의 와이어가 꼬여 이루어진 와이어로프로 된 인장부재; 이 인장부재의 외면과 이격되도록 인장부재의 외면보다 1∼3㎜정도 내면직경이 크게 형성된 외피로 이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앵커해체용 인장부재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앵커해체용 인장부재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인장부재(10)는 7가닥의 와이어로 이루어지고 중앙의 와이어(10a) 주위에 6가닥의 와이어(10b)가 배열되어 일정한 피치를 갖고 꼬아진 와이어로프이며, 상기 인장부재(10)의 외면에는 그 외면과 이격되도록 인장부재(10)의 외면보다 1∼3㎜정도 내면직경이 크게 형성된 외피(12)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앵커해체용 인장부재는 통상적인 방법과 같이 지중에 매설되며 도 1을 참고로 하여 설명한다. 앵커(A)의 웨지유닛(W)에 의해 인장부재(10)를 그 한쪽끝단에 체결하고 천공기에 의해 천공된 지중의 구멍으로 그라우트호스와 인장부재로 구성된 내하체를 삽입한 다음, 그라우트호스를 통해 그라우트를 주입하고 주입된 그라우트가 내하체와 양생되면 상기 인장부재(10)의 다른 한쪽끝단 또한 앵커(A)를 체결한 후 인장부재(10)를 인장기로 당겨 그라우트와 지면은 물론 인장부재(10)에 최대의 인장력이 작용하도록 시공 설치된 상태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외부로 인출된 부분의 인장부재(10)를 절단하게되면 인장부재(10)에 가해졌던 인장력이 해제된 상태로 유지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절단된 인장부재(10) 끝단부분의 외부에 씌워진 외피(12)를 벗겨내고 인장부재(10)의 끝단을 망치 등으로 타격하게 되면 웨지유닛(W)으로부터인장부재(10)가 분리되거나 해제되게 된다.
이와 같이 앵커(A)의 웨지유닛(W)으로부터 인장부재(10)가 해제되면 상기 인장부재(10)의 자체중량과 약간의 마찰저항만이 존재하므로 인장부재(10)의 끝단을 잡은 상태에서 당김으로써 인장부재(10)를 쉽게 빼내어 제거할 수 있는 것이다. 이렇게 외피(12)로부터 빼낸 인장부재(10)는 생산시와 마찬가지로 깨끗하므로 아무런 부담없이 재활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앵커해체용 인장부재는 인장부재의 외경보다 1∼3㎜정도 큰 내면직경을 갖는 외피로 마련하여 인장부재와 외피가 서로 이격되게 되며 지중에 매설된 상태에서도 인장부재를 절단하여 제거하고자 할 때 인장부재의 자중 이외엔 별다른 부하가 걸리지 않아 인장부재의 인출이 용이하게 되는 특유의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다수가닥의 와이어(10a,10b)가 꼬여 이루어진 와이어로프로 된 인장부재(10); 이 인장부재(10)의 외면과 이격되도록 인장부재(10)의 외면보다 1∼3㎜정도 내면직경이 크게 형성된 외피(12)로 이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해체용 인장부재.
KR2020020026624U 2002-09-05 2002-09-05 앵커해체용 인장부재 KR20029643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6624U KR200296430Y1 (ko) 2002-09-05 2002-09-05 앵커해체용 인장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6624U KR200296430Y1 (ko) 2002-09-05 2002-09-05 앵커해체용 인장부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3252A Division KR100483560B1 (ko) 2002-09-04 2002-09-04 앵커해체용 인장부재 및 그 제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6430Y1 true KR200296430Y1 (ko) 2002-11-23

Family

ID=730790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6624U KR200296430Y1 (ko) 2002-09-05 2002-09-05 앵커해체용 인장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643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1126170A1 (ko)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한 현장타설 콘크리트말뚝 시공방법 및 그 구조
KR101510297B1 (ko) 제거 가능한 프리스트레싱 강관 쏘일 네일링 구조
KR100586176B1 (ko) 복수의 정착날개를 갖는 앵커
KR100997672B1 (ko) 강연선의 꼬임을 방지하는 앵커 구조
KR101178043B1 (ko) 케이블 볼트 및 케이블 볼트를 이용한 시공방법
KR200296430Y1 (ko) 앵커해체용 인장부재
AU2018200935A1 (en) Improved apparatus and methods for stabilising rock
KR200443038Y1 (ko) 제거식 어스 앵커
KR101683455B1 (ko) 인장재 제거 가능한 지반 고정 부재
KR100483011B1 (ko) 앵커공법용 인장재의 체결 및 해체장치
KR100799328B1 (ko) 제거식 네일구조 및 이를 이용한 보강철근 회수공법
KR100847080B1 (ko) 재 인장이 가능한 인장선 제거식 앵커 헤드
KR200403638Y1 (ko) 인장재 제거형 그라운드 앵커
KR100729661B1 (ko) 지반개량앵커 시공방법
KR101132809B1 (ko) 앵커체 및 시공방법
KR100843166B1 (ko) 인장재 제거형 그라운드 앵커
KR101349259B1 (ko) 더블타입 하이브리드 내하체 및 이를 이용한 하중분산형 제거식 앵커 결합 구조
KR100913320B1 (ko) 다기능 복합형 앵커체
KR200282686Y1 (ko) 그라운드 앵커의 인장재 제거형 내부 정착체용 웨지
KR20030031044A (ko) 다단앵커볼트의 구조와 압축공기를 이용한 로프의 삽입과정착 방법
KR100494011B1 (ko) 인장부재 해체장치용 앵커
KR200368039Y1 (ko) 제거식 앵커
KR100479358B1 (ko) 지반 안정화용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지반 안정화공법
KR20140049729A (ko) 강연선 제거형 그라운드 앵커
KR101386557B1 (ko) 스토퍼 시스템을 구비한 확장지압형 앵커 및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