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6371Y1 - 소형 단말기의 문자 입력 장치 - Google Patents

소형 단말기의 문자 입력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6371Y1
KR200296371Y1 KR2020020026425U KR20020026425U KR200296371Y1 KR 200296371 Y1 KR200296371 Y1 KR 200296371Y1 KR 2020020026425 U KR2020020026425 U KR 2020020026425U KR 20020026425 U KR20020026425 U KR 20020026425U KR 200296371 Y1 KR200296371 Y1 KR 20029637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acter
key
input
information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642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준모
Original Assignee
김준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준모 filed Critical 김준모
Priority to KR202002002642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637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637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6371Y1/ko

Links

Landscapes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소형 단말기의 문자 입력 장치가 게시된다. 본 고안의 문자 입력 장치는 적어도 2개의 문자가 소정 순서로 각각 할당된 다수의 키가 눌러지는 경우, 소정의 키 입력신호를 발생시키는 입력 수단; 문자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 수단; 단위키 정보를 적어도 하나 포함한 문자 정보를 문자별로 저장한 정보 저장 수단; 및 그룹 키와 위치 키의 입력신호의 순차 조합에 대응하는 문자를 표시 수단 상에 표시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한다. 단위키 정보는 문자가 할당된 그룹 키와, 문자의 그룹 키에서의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키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른 문자 입력 장치에 의하면, 문자 입력이 편리하면서도 소요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기존의 장치에 비해 훨씬 많은 문자를 숫자 기판 상에 올릴 수 있는 가능성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소형 단말기의 문자 입력 장치{Apparatus of character inputs on small computing/communications devices}
본 고안은 소형 단말기의 문자 입력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문자 입력에 소요되는 시간을 감소시키고, 문자 입력의 편의성을 향상시킨 문자 입력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형 단말기는 그 크기가 작아 기존의 키보드를 입력장치로 사용하기가 곤란한 제반의 소형 컴퓨터 또는 통신을 위한 단말기를 말하며, 전화기의 숫자키로써 문자를 입력해야 하는 제반의 기기를 포함한다. 이러한 소형 단말기는 는 휴대의 편리를 위하여 점차적으로 소형화 및 경량화되고, 기능이 다양화되는 추세에 있다. 이에 따라, 소형 단말기에서 숫자 기판이 차지할 수 있는 면적은 점차 감소되지만, 필요한 키의 개수는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키 누름 횟수 또는 시간에 따라 다른 문자를 입력하도록 구현된 소형단말기의 문자 입력 장치가 제시된바 있다. 이러한 경우, 문자 입력 장치는 각각의 문자를 고유의 규칙에 따라 입력하도록 구현된다.
이와 같은 기존 소형 단말기의 문자 입력 장치에 의하면, 사용자가 소형 단말기상의 키를 이용하여 문자를 입력할 경우, 1개의 키를 최소 1회에서 최대 5회까지 반복하여 누름으로써 원하는 문자를 입력한다. 한편, 1개의 키에 할당된 자음들이 종성으로 표시된 후에 바로 다음 글자의 초성으로 표시되어야 하는 경우, 사용자는 커서가 문자를 표시할 다음 위치로 이동될 때까지 소정시간을 기다리거나 이동키를 누른 다음, 문자를 입력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기존 소형 단말기의 문자 입력 장치에 의하면, 1개의 문자를 입력하기 위해 동일한 키를 최대 5회까지 반복해서 눌러야 하며, 특히, 커서가 문자를 표시할 다음 위치로 이동될 때까지 기다리거나 이동키를 눌러야 하는 경우가 발생하므로, 문자 입력에 소요되는 시간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소형 단말기의 문자 입력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소형 단말기의 문자 입력 장치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2는 도1에 도시된 입력 수단의 키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3은 도1에 도시된 정보 저장 수단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4a 내지 도4c는 도3에 도시된 정보 저장 수단의 저장부에 저장되는 정보와 그 포맷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5는 도1에 도시된 제어 수단의 문자 및 숫자 입력을 위한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도6은 본 고안에 따른 문자 입력 장치의 문자 모드에서 문자를 입력하는 절차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7은 도6의 순서도에서 선택된 문자를 표시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8은 본 고안에 따른 문자 입력 장치의 숫자 모드에서 숫자를 입력하는 절차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입력 수단 120 : 표시 수단
130 : 정보 저장 수단 140 : 제어 수단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면은 소형 단말기의 문자 입력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일면에 따른 문자 입력 장치는 적어도2개의 문자가 소정 순서로 각각 할당된 다수의 키가 복수의 행과 열로 이루어진 매트릭스 구조로 배열되며, 상기 키가 눌러지는 경우, 상기 키 각각에 대하여 소정의 키 입력신호를 발생시키는 입력 수단; 상기 입력 수단에 의하여 입력된 문자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 수단; 소정의 단위키 정보를 적어도 하나 포함한 문자 정보를 상기 문자별로 저장한 문자 정보 저장부를 구비하는 정보 저장 수단; 및 상기 입력 수단에서 순차적으로 발생되는 그룹 키와 위치 키의 입력신호를 제공받아 상기 문자 정보를 검색하여, 상기 그룹 키 입력신호와 상기 위치 키 입력신호의 순차 조합에 대응하는 문자를 상기 표시 수단 상에 표시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단위키 정보는 각각의 상기 문자에 대하여, 상기 문자가 할당된 상기 그룹 키와, 상기 문자의 상기 그룹 키에서의 위치를 나타내는 상기 위치 키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한다.
본 고안과 본 고안의 동작상의 잇점 및 본 고안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 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후술되는 설명에서는 일반 문자인 영어 및 한글과, 특수 문자와, 숫자를 입력하도록 구현된 본 고안 장치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 첨부한 도1 내지 도8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소형 단말기의 문자 입력 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소형 단말기의 문자 입력 장치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문자 입력 장치(100)는 입력 수단(110), 표시 수단(120), 정보 저장 수단(130) 및 제어 수단(140)을 구비한다.
상기 입력 수단(110)은 숫자 기판 상에 장착된 다수의 키들을 구비하며, 상기 키가 사용자에 의해 눌러지는 경우, 상기 눌린 키에 해당하는 키 입력신호를 발생시켜 제어 수단(140)으로 제공한다. 이러한 입력 수단(110)의 키들은 복수의 행과 열을 가지는 매트릭스 구조로 배열되며, 일반 문자(한글의 자음, 한글의 모음 및/또는 영어 알파벳), 특수 문자 및 숫자 중 적어도 2개가 할당된다. 도2를 참조하면, 입력 수단(110)의 키들은 4 ×3의 매트릭스 구조로 배열되며, 상기 키들에는 1, 2, ..., 0, * 및 #이 각각 할당되어 좌측 상단에 인쇄된 숫자키이다. 본 명세서에서는, 상기 키들이 그에 할당된 숫자 또는 특수 문자에 따라 1키(201), 2키(202), 3키(203), 4키(204), 5키(205), 6키(206), 7키(207), 8키(208), 9키(209), *키(210), 0키(211) 및 #키(212)로 구분된다. 또한, 상기 키들(201 내지 212) 각각에 할당된 문자(일반 문자 및/또는 특수 문자)는 적어도 1개의 문자행에 소정 순서로 배열된다. 이 때, 각 문자행에 배열될 수 있는 문자의 최대 개수는 상기한 매트릭스 구조의 열의 수와 동일하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각 키상에서 1개의 문자행에 배열될 수 있는 문자의 최대 개수는 3개이다. 한편, 입력 수단(110)은 상기한 12개의 키들(201 내지 212) 이외에 기능키, 통화키, 메뉴키 등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표시 수단(120)은 제어 수단(140)에 의해 제어되어, 문자 입력 장치의 현재 모드, 입력 수단(110)을 통해 입력되는 일반 문자, 특수 문자 및 숫자 등을표시한다. 본 고안의 문자 입력 장치에 의하면, 상기 문자 입력 장치의 모드는 키들(201 내지 212)에 할당된 일반 문자(한글 또는 영어) 및 특수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일반 문자 모드와, 키들(201 내지 212)에 할당되어 있지 않은 특수 문자만을 입력하기 위한 특수 문자 모드와, 숫자만을 입력하기 위한 숫자 모드 등을 포함한다. 상기 특수 문자 모드는 표시 수단(120) 상의 선택 화면에 표시되는 특수 문자를 선택적으로 입력하도록 설정되는 모드로서, 공지된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러한 표시 수단(120)은 LCD(Liquid Crystal Display)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정보 저장 수단(130)은 소정의 정보와 상기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여, 제어 수단(140)으로부터 제공되는 모드 확인 신호(MODE_CON) 및 문자 선택 신호(CHA_SEL)에 의해 검색되는 정보 및 문자를 제어 수단(140)으로 제공한다. 이러한 정보 저장 수단(130)은 롬(ROM: Read Only Memory) 또는 램(RAM: Random Access Memory)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3을 참조하면, 정보 저장 수단(130)은 정보 관리부(301), 모드 정보 저장부(303), 문자 정보 저장부(305), 숫자 정보 저장부(307) 및 특수 문자 정보 저장부(309)를 구비한다.
상기 정보 관리부(301)는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내장하여, 제어 수단(140)으로부터 입력된 신호에 상응하는 정보를 저장부(303, 305, 307 또는 309)에서 독출하여 제어 수단(140)으로 제공한다.
상기 모드 정보 저장부(303)는 본 고안의 문자 입력 장치를 소정 모드에서 다른 모드로 변환하기 위한 키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다. 도4a를 참조하면, 상기모드 정보 저장부(303)는, 일반 문자 모드에서, 특수 문자 모드, 숫자 모드, 리셋 모드, 영어 대소문자 토글 모드 및 상하이동 토글 모드로의 변환을 위해 입력될 2개의 키에 대한 모드 변환 정보로서, 상기 각 모드별로 저장한다. 그리고, 상기 모드 정보 저장부(303)는, 숫자 모드에서, 일반 문자 모드 또는 특수 문자 모드로의 변환을 위해 입력될 1개의 키 입력신호에 대한 정보와, 특수 문자 모드에서, 일반 문자 모드 또는 숫자 모드로의 변환을 위해 입력될 1개의 키 입력신호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리셋 모드는 표시 수단(120) 상에 이미 표시된 오탈자를 삭제하기 위한 모드이다. 상기 영어 대소문자 토글 모드는 영어 알파벳의 대문자 및 소문자 입력을 위해 발생된 2개 키 입력신호의 발생 순서를 역순으로 인식하기 위한 모드이다. 예를 들어, 알파벳 소문자 'a' 및 대문자 'A'의 입력을 위한 키 정보가 각각 '2*' 및 '*2'라고 가정하자. 이 때, 상기한 대소문자 토글 모드로 전환되고 '*2' 및 '2*'에 해당하는 2개의 키 입력신호들이 발생되면, 상기 '*2' 및 '2*'이 역순으로 인식되어 'a' 및 'A'가 각각 표시 수단(120) 상에 표시된다. 상기 상하이동 토글 모드는 문자가 표시될 위치를 나타내는 커서의 위치를 표시 수단(120)의 화면 상에서 상단 및 하단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모드이다.
상기 문자 정보 저장부(305)는, 일반 문자 모드에서, 한글의 (쌍)자음, 한글의 (복)모음, 영어 알파벳 대소문자 및 입력 수단(110)의 키들(201, 210, 211, 212)에 할당된 특수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키에 대한 정보를 문자 정보로서 상기 각 문자별로 저장한다. 상기 문자 정보 각각은 표시될 문자가 할당된 1개의 키(이하, '그룹 키'라 함)와, 상기 표시될 문자의 그룹 키내에서의 위치를 나타내는 1개의 키(이하, '위치 키'라 함)에 관련된 정보를 조합한 단위 키 정보를 적어도 하나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한글의 (쌍)자음, 한글의 모음, 영어 알파벳의 대소문자 및 소정 개수의 특수 문자에 대한 문자 정보는 1개의 단위 키 정보(즉, 1쌍의 그룹키/위치키 입력신호에 대한 정보)로 이루어지고, 한글의 복자음, 한글의 복모음에 대한 문자 정보는 2개의 단위 키 정보(즉, 2쌍의 그룹키/위치키 입력신호에 대한 정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ㅑ', 'ㅕ', 'ㅛ' 및 'ㅠ'와 같이 'ㅣ'가 포함되는 모음에 대해서는, 문자 정보가 2개의 단위 키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영어 알파벳의 각 대문자에 대한 단위 키 정보는 그에 대응하는 소문자의 단위 키 정보를 역순으로 배열한 정보이다. 상기 위치 키는 각 문자에 따라 그룹 키와 소정의 상관 관계에 의해 결정된다.
도2 및 도4b를 참조하여 상기 위치 키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한글의 자음, 모음 및 상기 키들(201, 210, 211, 212)에 할당된 특수 문자에 대해서는, 상기 위치 키는 표시될 문자가 할당된 그룹 키가 속하는 행과 상기 표시될 문자의 그룹 키 상에서의 위치에 상응하는 열의 교차 지점에 위치된다. 이에 따라, 한글 자음 'ㄱ'의 단위 키 정보는 그룹 키인 '4'키(204)와 위치 키인 '5'키(205)의 정보를 조합한 '45'이며, 한글 모음 'ㅏ'의 단위 키 정보는 그룹 키인 '5'키(205)와 위치 키인 '5'키(205)의 정보를 조합한 '55'이다.
그리고, 한글 쌍자음에 대해서는, 상기 위치 키가 표시될 쌍자음이 할당된 그룹 키와 동일한 열에 위치된 키들 중에서 상기 그룹 키의 바로 위 또는 아래에 위치된다. 이에 따라, 한글 쌍자음 'ㄲ'의 단위 키 정보는 그룹 키인 '4'키(204)와 위치 키인 '7'키(207)의 정보를 조합한 '47'이다.
또한, 영어 알파벳 소문자에 대해서는, 상기 위치 키가 임의로 지정된 특정 행(본 실시예에서는 4행)에 위치되는 '*'키(210), '0'키(211) 및 '#'키(212) 중 표시될 알파벳의 그룹 키 상에서의 위치에 상응하는 열에 위치되는 키이다. 이에 따라, 영어 알파벳 소문자 'a'의 단위 키 정보는 그룹 키인 '2'키(202)와 위치 키인 '*'키(210)의 정보를 조합한 '2*'이며, 대문자 'A'의 단위 키 정보는 'a'키를 나타내는 단위 키 정보의 역순인 '*2'이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의 문자 입력 장치에 의하면, 일반 문자 모드에서 모드 변환을 하지 않고 그룹키 및 위치키의 입력신호를 발생시켜 한글, 영어, 소정 개수의 특수 문자 입력이 가능하므로, 문자 입력이 편리하다.
상기 숫자 정보 저장부(307)는 도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숫자를 입력하기 위한 키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다. 도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문자 입력 장치에 의하면, 숫자 모드에서, 각각의 숫자는 1개의 해당 입력 키만을 누르면 입력된다.
상기 특수 문자 정보 저장부(309)는, 특수 문자 모드에서, 표시 수단(120) 상의 선택 화면에 표시될 특수 문자와, 상기 선택 화면 상의 특수 문자를 선택하기 위한 키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다. 이러한 특수 문자 정보 저장부(309)는 공지된 기술과 유사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4개의 저장부들(303, 305, 307 및 309)이 1개의 저장부로 통합될 수도 있다.
상기 제어 수단(140)은 입력 수단(110)에서 순차적으로 발생되는 키의 입력신호를 제공받아 정보 저장 수단(130)을 검색하고, 정보 관리부(301)로부터 출력되는 모드 변환 정보에 따라 소형 단말기의 모드를 변환하거나 문자 또는 숫자를 표시 수단(120) 상에 표시한다. 이러한 제어 수단(140)은 일반 문자 모드, 특수 문자 모드 및 숫자 모드 중 일반 문자 모드를 초기 모드로 설정한다. 도5를 참조하면, 제어 수단(140)은 분배부(501), 그룹키 입력부(503), 위치키 입력부(505), 신호 판독부(507), 모드 관리부(509), 문자/숫자 선택부(511) 및 표시 제어부(513)를 구비한다. 분배부(501)는 문자 입력 장치(100)의 현재 모드에 따라 입력 수단(110)으로부터 입력되는 1개 또는 2개의 키 입력신호를 그룹키 입력부(503) 및/또는 위치키 입력부(505)로 분배한다. 그룹키 입력부(503) 및 위치키 입력부(505)는 분배부(501)로부터 제공된 신호를 신호 판독부(501)로 제공한다. 신호 판독부(507)는 그룹키 입력부(503) 및/또는 위치키 입력부(505)로부터 제공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모드 확인 신호(MODE_CON)를 발생시키고, 상기 발생된 모드 확인 신호(MODE_CON)를 이용하여 정보 저장 수단(130)을 검색한다. 이어, 상기 입력된 신호가 모드 변환을 위한 키 입력신호인 경우, 상기 신호 판독부(507)는 검색된 모드 변환 정보를 모드 관리부(509)로 제공한다. 이 때, 상기 모드 관리부(509)는 모드 변환 정보를 분배부(501), 문자/숫자 선택부(511) 및 표시 제어부(513)로 제공하여, 문자 입력 장치의 현재 모드를 입력된 모드 변환 정보에 따라 변환한다. 반면에, 상기 입력된 신호가 모드 변환을 위한 키 입력신호가 아닌 경우, 상기 신호 판독부(507)는 그룹키 입력부(503) 및/또는 위치키 입력부(505)로부터 제공된신호를 순차적으로 문자/숫자 선택부(511)로 제공한다. 문자/숫자 선택부(511)는 모드 관리부(509)로부터 제공된 모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신호 판독부(507)로부터 제공되는 그룹키 및/또는 위치키 입력신호에 상응하는 문자 선택 신호(CHA_SEL)를 발생시켜 정보 저장 수단(130)으로 제공한다. 표시 제어부(513)는 모드 관리부(509)로부터 제공되는 모드 정보, 정보 저장 수단(130)으로부터 제공되는 문자, 숫자 등을 표시 수단(120) 상에 표시한다. 또한, 상기 제어 수단(140)은, 송수신 수단(150)을 통해, 마이크(16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외부로 전송하거나, 외부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스피커(170)로 출력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제어 수단(140)의 분배부(501), 그룹키 입력부(503), 위치키 입력부(505), 신호 판독부(507), 모드 관리부(509), 문자/숫자 선택부(511) 및 표시 제어부(513)는 통합되어 구현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한 각 구성(501 내지 503)의 작용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6은 본 고안에 따른 문자 입력 장치의 문자 모드에서 일반 문자 및 특수 문자를 입력하는 절차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1 내지 도6을 참조하면, 입력 수단(110)의 키들(201 내지 212)에 할당된 일반 문자 및 특수 문자를 입력하도록 설정된 초기의 일반 문자 모드에서, 먼저 제어 수단(140)이 입력 수단(110)으로부터 그룹키 입력신호 및 위치키 입력신호가 발생되는지를 확인한다(S600). 상기 확인 단계(S600)에서, 그룹키 입력신호 및 위치키 입력신호가 발생된 경우, 상기 제어 수단(140)은 입력 수단(110)에서 발생된 그룹키 입력신호 및 위치키 입력신호를 이용하여 정보 저장 수단(130)의 모드 정보 저장부(303)에 저장된 모드 변환 정보를검색하고(S610), 모드 변환 정보가 검출되는지를 조사한다(S620).
상기 조사단계(S620)에서, 상기 모드 변환 정보가 검출된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제어 수단(140)은 검출된 모드 변환 정보에 따라 문자 입력 장치의 현재 모드를 변환한다(S625). 이 때, 제어 수단(140)은 표시 수단(120) 상에 변환된 모드에 대한 정보를 표시한다.
반면에, 상기 조사단계(S620)에서, 상기 모드 변환 정보가 검출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제어 수단(140)은 그룹키 입력신호에 상응하는 정보를 정보 저장 수단(130)의 문자 정보 저장부(305)에서 검색하여(S630), 소정의 문자 그룹을 선택한다(S640). 이어, 상기 제어 수단(140)은 위치키 입력신호에 상응하는 정보를 정보 저장 수단(130)의 문자 정보 저장부(305)에서 검색하여(S650), 상기 S640단계에서 선택된 그룹내의 문자 중에서 위치키 입력신호에 해당하는 위치의 문자를 1개 선택한다(S660). 예를 들면, 그룹키 입력신호로서 '4'키(204)의 입력신호가 발생된 경우, 상기 S640단계에서 선택된 문자 그룹은 한글 자음의 'ㄱ', 'ㅋ' 및 'ㄲ'과, 한글 모음의 'ㅗ', 'ㅚ', 'ㅘ' 및 'ㅙ'와, 영어 알파벳 소문자인 'g' 및 'j'를 포함한다. 이어, 위치키 입력신호로서 '4'키(204)와 동일한 행의 두 번째 열에 위치된 '5'키(205)의 입력신호가 발생되는 경우, 상기 S660단계에서 선택된 문자는 'ㄱ'이다.
그런 다음, 상기 제어 수단(140)은 표시 수단(120)상에 S660단계에서 선택된 문자를 표시한다(S670). 이 때, 상기 제어 수단(140)은 선택된 문자와 이전 문자와의 상관 관계를 고려하여, 상기 선택된 문자를 표시한다. 도7을 참조하면, 상기제어 수단(140)은 S660단계에서 선택된 문자가 이전 문자와 조합 가능한가를 판단한다(S710). 그리고, 상기 선택된 문자가 이전 문자와 조합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어 수단(140)은 선택된 문자를 이전 문자와 조합하여 표시한다(S720). 구체적으로, 한글의 복자음(ㄳ, ㄵ ㄶ, ㄺ, ㄻ, ㄼ, ㄽ, ㄾ, ㄿ, ㅀ, ㅄ), 복모음(ㅐ, ㅒ, ㅔ, ㅖ, ㅘ, ㅙ, ㅚ, ㅝ, ㅞ, ㅟ, ㅢ) 및 모음의 'ㅣ'가 포함된 모음(ㅑ, ㅕ, ㅛ, ㅠ, ㅒ, ㅖ)의 경우는, 첫 번째 문자를 입력한 후에 두 번째 문자를 첫 번째 문자와 조합하여 입력할 수 있으므로, 나중에 입력되는 문자를 이전 문자와 조합하여 표시한다. 반면에, 상기 선택된 문자가 이전 문자와 조합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어 수단(140)은 선택된 문자를 이전 문자와 분리하여 표시한다(S730).
그런 다음, 상기 제어 수단(140)은 입력 종료 신호가 발생되는지를 확인하여(S680), 상기 입력 종료 신호가 발생되는 경우에는 본 고안에 따른 문자 입력을 종료하되, 상기 입력 종료 신호가 발생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S600단계를 수행한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의 문자 입력 장치에 의하면, 그룹 키와 입력 키의 순차적인 누름에 의해 문자가 입력되므로, 문자 입력을 위해 커서가 다음 위치로 이동될 때까지 기다리거나 이동키를 눌러야 하는 불편함을 없앨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이유로 인하여, 본 고안의 문자 입력 장치는, 문자 입력에 소요되는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8은 본 고안에 따른 문자 입력 장치의 숫자 모드에서 숫자를 입력하는 절차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8을 참조하면, 0, 1, ..., 9의 숫자를 입력하도록 설정된 숫자 모드에서, 먼저 제어 수단(140)이 입력 수단(110)으로부터 키 입력신호가 발생되는지를 확인한다(S800). 상기 확인 단계(S800)에서, 키 입력신호가 발생된 경우, 상기 제어 수단(140)은 입력 수단(110)에서 발생된 키 입력신호를 이용하여 정보 저장 수단(130)의 모드 정보 저장부(303)에 저장된 모드 변환 정보를 검색하여(S810), 모드 변환 정보가 검출되는지를 조사한다(S820).
상기 조사단계(S820)에서, 상기 모드 변환 정보가 검출된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제어 수단(140)은 검출된 모드 변환 정보에 따라 문자 입력 장치의 현재 모드를 변환한다(S825). 이 때, 제어 수단(140)은 표시 수단(120) 상에 변환된 모드에 대한 정보를 표시한다.
반면에, 상기 조사단계(S820)에서, 상기 모드 변환 정보가 검출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제어 수단(140)은 키 입력신호에 상응하는 정보를 정보 저장 수단(130)의 숫자 정보 저장부(307)에서 검색하여(S830), 상기 입력된 키 입력신호에 대응하는 숫자를 선택한다(S840).
그런 다음, 상기 제어 수단(140)은 표시 수단(120)상에 S840단계에서 선택된 문자를 표시한다(S850). 계속하여, 상기 제어 수단(140)은 입력 종료 신호가 발생되는지를 확인하여(S860), 상기 입력 종료 신호가 발생되는 경우에는 본 고안에 따른 문자 입력을 종료하되, 상기 입력 종료 신호가 발생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S800단계를 수행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문자 입력 장치는, 기존의 문자 입력 장치에는 없는숫자 모드에서 1회의 키 누름 만으로 숫자를 입력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숫자 입력이 종래 기술의 문자 입력 장치에 비하여 월등히 편리하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면,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특정의 상기 문자를 선택하기 위한 위치 키가 그룹 키와 동일한 행(또는, 지정된 특정 행)에 배열되되, 상기 특정 문자의 상기 그룹 키내에서의 위치에 상응하는 열에 위치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위치 키가 그룹 키와 동일한 열(또는, 지정된 특정 열)에 배열되되, 상기 특정 문자의 상기 그룹 키내에서의 위치에 상응하는 행에 위치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문자 입력 장치(100)는 상기한 키 뿐만아니라 공지된 메뉴키에 의해서도 모드를 변환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문자 입력 장치에 의하면, 키의 개수가 제한된 소형 단말기의 숫자 기판 위에서 '2회의 키 누름'을 쉽고 직관적인 조합으로 변환하여 키 스페이스가 가상적인 2차원으로 확장될 수 있다. 즉, 실제의 기판은 그대로이지만, 가상적인 키의 개수를 증가시킴으로써 기존보다 훨씬 많은 개수의 자소를 숫자 기판 위에서 직접 입력 할 수 있다. 결국, 본 고안의 문자 입력 장치에서는, 모든 자소에 대응하는 2회의 누름이 사실상 하나의 가상키에 대응하며, 그 가상키의 개수가 매우 많아지므로, 사실상의 모든 자소가 단지 2회의 키 누름에 대응되어 입력되는 것이다. 이에 따른 본 고안 문자 입력 장치에 의한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 째, 50여개 이상의 자소를 가진 일본어 등을 숫자 기판 위에서 직접 입력할 수 있다.
둘 째, 한글, 영어와 추가의 특수 문자들을 모드 변환 없이 하나의 모드에서 입력할 수 있다.
셋 째, 숫자의 입력을 위한 별도의 모드에서, 숫자 입력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
넷 째, 여분의 키 조합을 사용하여, 숫자 기판 위에서 모드의 변환을 할 수도 있다.
다섯 째, 하나의 자소를 선택하기 위한 2개의 키가 직관적으로 인식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별도의 학습 없이 문자 입력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여섯 째, 그룹 키와 입력 키의 순차적인 누름에 의해 문자가 입력되므로, 문자 입력을 위해 커서가 다음 위치로 이동될 때까지 기다리거나 이동키를 눌러야 하는 불편함을 배제할 수 있다.
일곱 째, 상기한 이유로 인하여, 문자 입력에 소요되는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Claims (6)

  1. 소형 단말기의 문자 입력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2개의 문자가 소정 순서로 각각 할당된 다수의 키가 복수의 행과 열로 이루어진 매트릭스 구조로 배열되며, 상기 키가 눌러지는 경우, 상기 키 각각에 대하여 소정의 키 입력신호를 발생시키는 입력 수단;
    상기 입력 수단에 의하여 입력된 문자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 수단;
    소정의 단위키 정보를 적어도 하나 포함한 문자 정보를 상기 문자별로 저장한 문자 정보 저장부를 구비하는 정보 저장 수단; 및
    상기 입력 수단에서 순차적으로 발생되는 그룹 키와 위치 키의 입력신호를 제공받아 상기 문자 정보를 검색하여, 상기 그룹 키 입력신호와 상기 위치 키 입력신호의 순차 조합에 대응하는 문자를 상기 표시 수단 상에 표시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단위키 정보는
    각각의 상기 문자에 대하여, 상기 문자가 할당된 상기 그룹 키와, 상기 문자의 상기 그룹 키에서의 위치를 나타내는 상기 위치 키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단말기의 문자 입력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저장 수단이
    소정의 그룹 키 입력신호 및 위치 키 입력신호에 대응하는 모드 변환 정보를 저장한 모드 정보 저장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그룹 키 및 상기 위치 키의 입력신호가 제공되는 경우, 상기 모드 정보 저장부를 더 검색하며, 상기 검색된 결과에 따라 상기 문자 입력 장치의 현재 모드를 다른 모드로 변환 또는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단말기의 문자 입력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특정의 상기 문자를 선택하기 위한 위치 키는
    상기 그룹 키와 동일한 행에 배열되되, 상기 특정 문자의 상기 그룹 키내에서의 위치에 상응하는 열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단말기의 문자 입력 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특정의 상기 문자를 선택하기 위한 위치 키는
    특정 행에 배열되되, 상기 특정 문자의 상기 그룹 키내에서의 위치에 상응하는 열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단말기의 문자 입력 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특정의 상기 문자를 선택하기 위한 위치 키는
    상기 그룹 키와 동일한 열에 배열되되, 상기 특정 문자의 상기 그룹 키내에서의 위치에 상응하는 행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단말기의 문자 입력 장치.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특정의 상기 문자를 선택하기 위한 위치 키는
    특정 열에 배열되되, 상기 특정 문자의 상기 그룹 키내에서의 위치에 상응하는 행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단말기의 문자 입력 장치.
KR2020020026425U 2002-09-04 2002-09-04 소형 단말기의 문자 입력 장치 KR20029637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6425U KR200296371Y1 (ko) 2002-09-04 2002-09-04 소형 단말기의 문자 입력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6425U KR200296371Y1 (ko) 2002-09-04 2002-09-04 소형 단말기의 문자 입력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1398A Division KR100449689B1 (ko) 2002-08-29 2002-08-29 소형 단말기의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6371Y1 true KR200296371Y1 (ko) 2002-11-23

Family

ID=731282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6425U KR200296371Y1 (ko) 2002-09-04 2002-09-04 소형 단말기의 문자 입력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637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89967B1 (en) Distal chording keyboard
US6356258B1 (en) Keypad
KR20050056277A (ko) 통신용 단말기의 문자/숫자 입력장치 및 입력방법
KR20060101367A (ko) 숫자 키를 이용한 문자 입력 장치 및 문자 입력방법
KR101808774B1 (ko) 가상 키보드 구조, 가상 키패드 기반 문자 입력 방법, 이를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0365284B1 (ko) 통신용 단말기의 문자/숫자 입력장치 및 입력방법
KR200296371Y1 (ko) 소형 단말기의 문자 입력 장치
KR100449689B1 (ko) 소형 단말기의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KR20040027197A (ko) 소형 단말기의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KR20000051881A (ko) 전화기의 문자 입력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415728B1 (ko) 특정키버튼을 이용한 글자입력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휴대전화기
KR20010107066A (ko) 문자 입력장치, 그를 갖는 이동 전화 시스템 및 그 입력제어방법
KR100373330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한글문자 입력 방법
KR100373332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한글문자 입력 방법
KR100391577B1 (ko) 방위형 문자 입력 장치
KR100616225B1 (ko)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KR20100061591A (ko) 2개의 자판부와 2개의 제어키를 이용한 문자 입력방법
KR100422379B1 (ko) 정보통신기기의 한글 입력 장치
KR100363548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한글 코드 발생 장치
KR100609020B1 (ko) 사용자 직관에 의한 문자입력 장치 및 방법
KR20030044129A (ko) 셋톱박스의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KR100912736B1 (ko) 텃치 폰의 문자입력 장치 및 이의 문자입력 방법
KR20190137222A (ko) 개별 스위치 기능이 적용된 터치 키패드 및 이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KR200289449Y1 (ko) 다중문자를 구현하는 자판장치
KR20040082760A (ko) 휴대용 단말기의 문자입력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029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