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6125Y1 - 영상표시기기의 외부커버 결합구조 - Google Patents

영상표시기기의 외부커버 결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6125Y1
KR200296125Y1 KR2020020025547U KR20020025547U KR200296125Y1 KR 200296125 Y1 KR200296125 Y1 KR 200296125Y1 KR 2020020025547 U KR2020020025547 U KR 2020020025547U KR 20020025547 U KR20020025547 U KR 20020025547U KR 200296125 Y1 KR200296125 Y1 KR 20029612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fitting
display device
coupling structure
lower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554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창현
Original Assignee
이미지퀘스트(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미지퀘스트(주) filed Critical 이미지퀘스트(주)
Priority to KR202002002554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612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612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6125Y1/ko

Links

Landscapes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영상표시기기의 상 ·하 외부커버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부커버와 하부커버 사이에 고정부를 형성함으로써 상 ·하부커버를 결합시키도록 한 영상표시기기의 외부커버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상부커버와 하부커버가 상 ·하로 조립됨으로써 음극선관을 수납하는 영상표시기기 외부커버의 결합구조에 있어서, 상기 상부커버 및 하부커버의 각각에는 조립시에 서로 겹쳐지는 끼움구멍을 구비한 고정부가 형성되고, 상기 끼움구멍을 통하여 끼움브라켓이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결합구조는, 상부커버와 하부커버에 일체로써 형성된 고정부와 끼움브라켓으로 조립을 행하므로, 큰 비용을 들이지 않고 튼튼한 조립을 행할 수 있으며, 또한 중량이 큰 영상표시기기에 있어서도 조립상태의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다,

Description

영상표시기기의 외부커버 결합구조{Connecting structure of monitor's outer-covers}
본 고안은 영상표시기기의 상 ·하 외부커버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부커버와 하부커버 사이에 고정부를 형성함으로써 상 ·하부커버를 결합하도록 한 영상표시기기의 외부커버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영상표시기기의 외부커버의 조립방식은, 전방커버와 후방커버를 결합시키는 방식과 상부커버와 하부커버를 결합시키는 방식이 있는데, 본 고안은 상부커버와 하부커버를 결합시키는 방식에 적용되는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하 종래의 외부커버 결합구조를 설명한다.
도1은 종래의 결합구조를 구비한 영상표시기기의 외부커버의 분해사시도 및 일부분의 확대도이고, 도2는 도1이 결합된 상태의 결합구조의 측면도이다.
종래에는 외관을 해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외부커버의 내부에 후크결합방식을 채택하여 결합하였는데,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커버(1)의 내측에는 후크(3)를 형성하고, 하부커버(2)의 접합면에는 후크홈(4)을 돌출되게 형성하여, 상기 후크홈(4)에 후크(3)가 끼워지도록 하여 외부커버를 결합하였다(도2참조). 비록 도면에서는 후크(3)가 상부커버(2)에, 후크홈(4)이 하부커버(2)에 형성된 것을 도시하였지만, 형성되는 위치는 서로 바뀔 수 있으며, 또한 상기 돌출부에 후크를 형성하고 반대쪽 커버의 내측에 후크홈을 형성한 종래기술도 있었다.
또한, 상기 후크(3)를 후크홈(4)에 끼우고나서, 결합의 안정성을 확보하기위해 상 하부커버(1,2)에 일부분이 형성된 설치부(5)에 절곡된 커버캡(6)을 접착제 등으로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였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결합구조는, 영상표시기기의 중량이 비교적 작은 경우에는(경험적으로는 17인치 이하까지는) 문제가 없으나, 이보다 큰 중량의 영상표시기기에 있어서는 상기 후크결합방식 만으로는 영상표시기기의 중량을 충분히 지지하지 못하여 운반중에 상 ·하부커버(1,2)가 분리되는 등의 안정성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중 ·대형의 영상표시기기에 있어서도 중량을 충분히 지지할 수 있으며, 또한 조립이 용이한 외부커버의 결합구조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도1은, 종래의 결합구조를 채용한 영상표시기기의 외부커버의 분해사시도 및 일부분의 확대도이다.
도2는, 도1에 따른 종래의 결합구조의 측면도이다.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결합구조의 실시예를 채용한 영상표시기기의 외부커버의 분해사시도이다.
도4는, 도3의 점선부분의 결합구조의 확대사시도이다.
<주요부분의 부호의 설명>
1,100... 상부커버, 1,200... 하부커버,
3.300... 후크, 4,400... 후크홈,
5... 설치부, 6,600... 커버캡,
700... 상부커버의 고정부, 800... 하부커버의 고정부,
900... 끼움브라켓, 901... 끼움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상부커버와 하부커버가 상 ·하로 조립됨으로써 음극선관을 수납하는 영상표시기기 외부커버의 결합구조에 있어서, 상기 상부커버 및 하부커버의 각각에는 조립시에 서로 겹쳐지는 끼움구멍을 구비한 고정부가 형성되고, 상기 끼움구멍을 통하여 끼움브라켓이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부는, 상부커버 및 하부커버의 접합단부 중 어느 일 측에는돌출되게 형성되고 타 측에는 두께 내측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끼움브라켓은 양 단부가 수직으로 절곡되어 상기 절곡된 양 단부가 끼움부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정부에 형성된 끼움구멍의 폭이 상기 끼움브라켓의 끼움부의 폭보다 더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결합구조의 일 예를 채용한 영상표시기기의 외부커버의 분해사시도이고, 도4는 도3에 따른 결합구조의 확대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의 결합구조는,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커버(100)에 형성된 고정부(700)와, 하부커버(200)에 형성된 고정부(800)와, 끼움브라켓(900)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상부커버(100)의 고정부(700)는 상부커버(100)에 일체로 형성되고, 두께는 원활한 결합을 위하여 상부커버(100)의 두께의 절반 정도이고, 끼움구멍을 구비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끼움구멍은 도시한 2개에 한하지 않으며 2개 이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4참조).
또한, 하부커버(200)의 고정부(800)는 하부커버(200)의 접합면에 돌출되게 형성되고, 두께는 원활한 결합을 위해 하부커버(200)의 두께의 절반 정도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상부커버(100)의 고정부(700)에 형성된 끼움구멍과 동일한 수의 끼움구멍이 형성된다(도4참조).
끼움브라켓(900)은,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 단부가 수직으로 절곡되어 상기 절곡된 양 단부가 끼움부(901)로 형성되는 형상으로서, 상부커버(100)의 고정부(700)와 하부커버 (200)의 고정부(800)를 그 끼움구멍이 서로 관통하도록 위치된 때에, 상기 끼움구멍에 끼워 상 ·하부커버(100,200)를 조립한다. 여기서 상기 끼움부(901)의 개수는 끼움구멍의 개수와 동일하다(도면에서는 2개). 상기 끼움부(901)의 폭은 끼움구멍의 폭보다 약간 작아서 억지끼워맞춤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록, 도3 및 도4에는 하부커버(200)의 고정부(800)가 돌출 형성되고 상부커버(100)의 고정부(700)가 두께 내측에 형성된 것을 도시하였지만, 돌출된 고정부를 상부커버(100)에 형성하고 두께 내측에 형성된 고정부를 하부커버(200)에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구성에 더하여, 결합을 더욱 확실하게 하기 위하여,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크(300)와 후크홈(400)을 형성하여 끼우고, 커버캡(600)을 접착제 등으로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후크(300)과 후크홈(400) 및 커버캡(600)은 종래기술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상기 실시예의 조립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음극선관 기타 부품(미도시)을 하부커버(200)에 수납한 후, 상부커버 (100)와 하부커버(200)를 후크(400)와 후크홈(300)을 이용하여 서로 끼우고 나서, 서로 끼움구멍이 일치된 상태인 상부커버(100)의 고정부(700)과 하부커버(200)의 고정부(800)의 끼움구멍에 끼움브라켓(900)을 끼워 넣는다. 그 후, 커버캡(600)을접착제 등의 수단으로 부착함으로써 조립을 완성한다.
본 고안에 따른 결합구조는, 상부커버와 하부커버에 일체로써 형성된 고정부와 끼움브라켓으로 조립을 행하므로, 큰 비용을 들이지 않고 용이하게 조립을 할 수 있으며, 또한 중량이 큰 영상표시기기에 있어서도 조립상태의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다,

Claims (5)

  1. 상부커버(100)와 하부커버(200)가 상 ·하로 조립됨으로써 음극선관을 수납하는 영상표시기기 외부커버의 결합구조에 있어서,
    상기 상부커버(100) 및 하부커버(200)의 각각에는 조립시에 서로 겹쳐지는 끼움구멍을 구비한 고정부(700,800)가 형성되고, 상기 끼움구멍을 통하여 끼움브라켓(900)이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 외부커버의 결합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부커버(100) 및 하부커버(200) 중 어느 일 측에는 돌출되게 형성되고, 타 측에는 두께 내측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 외부커버의 결합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브라켓(900)은, 양 단부가 수직으로 절곡된 형상으로, 상기 절곡된 양 단부가 끼움부(901)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 외부커버의 결합구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700,800)에 형성된 끼움구멍의 폭이 상기 끼움브라켓(900)의 끼움부(901)의 폭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 외부커버의 결합구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커버(100)와 하부커버(200) 중 어느 한개의 내측에는 후크(300)와, 타 측의 접합면에는 후크홈(400)을 형성하여 서로 끼우고, 상기 상 ·하부커버 (100,200)에 절곡된 커버캡(600)을 부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 외부커버의 결합구조.
KR2020020025547U 2002-08-27 2002-08-27 영상표시기기의 외부커버 결합구조 KR20029612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5547U KR200296125Y1 (ko) 2002-08-27 2002-08-27 영상표시기기의 외부커버 결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5547U KR200296125Y1 (ko) 2002-08-27 2002-08-27 영상표시기기의 외부커버 결합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6125Y1 true KR200296125Y1 (ko) 2002-11-29

Family

ID=731278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5547U KR200296125Y1 (ko) 2002-08-27 2002-08-27 영상표시기기의 외부커버 결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612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66213B2 (en) Assembly structure of a cabinet and thin display device
JP3372905B2 (ja) 液晶モジュール取付け構造
US6905103B2 (en) Display apparatus
JP2009151112A (ja) 液晶表示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の組立方法
KR200296125Y1 (ko) 영상표시기기의 외부커버 결합구조
KR100774005B1 (ko) 디스플레이 장치
US20020080566A1 (en) Assembly in a displaying apparatus
JP4386714B2 (ja) テーブルのフレーム構造
US6234265B1 (en) Ignition coil cover
CN213987140U (zh) 相机挂扣结构及使用该结构的相机
CN217841383U (zh) 一种组合门结构
KR20000016094U (ko) 케이스 결합장치
JPH07336625A (ja) 壁掛テレビジョンの収納架機構
JP4024416B2 (ja) スピーカ用ガスケット
JP3199676B2 (ja) 透光性プレートの取付構造
KR100422698B1 (ko) 미러 고정 장치
JP2001027752A (ja) 液晶表示パネル固定構造及びそれを用いた液晶表示装置
JPH059818Y2 (ko)
JPS61285184A (ja) 樹脂製分割型ハンドルカバ−の取付構造
JP3095977U (ja) 連結構造
JP3081145U (ja) 電源コード取付構造、コード取付構造およびコード取付部材
KR200213728Y1 (ko) 실내용 칸막이의 유리창틀 구조
KR200399813Y1 (ko) 책상 조립용 커넥터
KR100643245B1 (ko) 디스플레이장치
KR200308870Y1 (ko) 프로젝션 텔레비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15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