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5969Y1 - 생활정보지 배부대 - Google Patents

생활정보지 배부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5969Y1
KR200295969Y1 KR2020020025149U KR20020025149U KR200295969Y1 KR 200295969 Y1 KR200295969 Y1 KR 200295969Y1 KR 2020020025149 U KR2020020025149 U KR 2020020025149U KR 20020025149 U KR20020025149 U KR 20020025149U KR 200295969 Y1 KR200295969 Y1 KR 20029596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cap
male
living information
information distribu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514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병준
Original Assignee
이병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병준 filed Critical 이병준
Priority to KR202002002514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596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596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5969Y1/ko

Links

Landscapes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생활정보지 배부대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밀폐된 수납공간(3)이 형성되고, 상부에 지지돌부(4)가 돌출형성되며 상기 지지돌부(4) 사이에 제1수나사부(5) 및 주입구(7)가 형성된 제2수나사부(6)가 구비되는 지지대(2)(22)와; 저면에 상기 제1수나사부(5) 및 제2수나사부(6)가 끼워지도록 링형지지부(11)가 형성된 하판(10)이 구비되고, 상기 하판(10) 둘레에 상기 지지대(2)(22)의 지지돌부(4)가 인입되도록 하부공간(12)이 형성되며, 생활정보지(1)가 수납구비되는 수납대(8)(28)와; 상기 수납대(8)의 링형지지부(11) 상측으로 돌출구비된 제1수나사부(5) 및 제2수나사부(6)에 체결되어 상기 수납대(8)(28)와 지지대(2)(22)를 결합지지하는 제1캡(13) 및 제2캡(14)으로 이루어진 생활정보지 배부대를 구비하였다.
그러므로, 지지대(2)(22)의 주입구(7)를 통해 수납공간(3) 내에 물을 주입하고 수납대(8)(28)의 하부를 지지대(2)(22)의 상부에 안착시킨 후 제1수나사부(5) 및 제2수나사부(6)에 제1캡(13) 및 제2캡(14)을 체결시키면 지지대(2)(22)의 주입구(7)가 밀폐됨과 동시에 수납대(8)(28) 및 지지대(2)(22)가 서로 결합지지되며, 이에 따라 물이 채워진 지지대(2)(22)에 의해 생활정보지 배부대의 하측에 무게중심이 형성되므로, 바람 등의 외력에도 생활정보지 배부대가 쉽게 쓰러지지 않도록 하였다.

Description

생활정보지 배부대{life information paper distribution stand}
본 고안은 생활정보지 배부대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바람 등의 외력에도 쉽게 넘어지지 않는 생활정보지 배부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생활정보지 배부대는 생활정보지가 수납되도록 수납부가 구비되며 이러한 배부대를 지주나 측벽에 기대어 놓으므로 쓰러지지 않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이러한 생활정보지 배부대는 바람 등의 외부 요인에 의해 쉽게 쓰러지는 문제가 발생되므로 철사나 못 등의 고정수단을 사용하여 생활정보지 배부대를 지주나 벽 등에 고정지지시키고 있는 실정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철사나 못 등의 별도의 고정수단 없이도 생활정보지 배부대가 쉽게 쓰러지지 않도록 한 생활정보지 배부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 생활정보지 배부대는, 생활정보지 배부대에 있어서, 내부에 밀폐된 수납공간이 형성되고, 상부에 지지돌부가 돌출형성되며 상기 지지돌부 사이에 제1수나사부 및 주입구가 형성된 제2수나사부가 구비되는 지지대와; 저면에 상기 제1수나사부 및 제2수나사부가 끼워지도록 링형지지부가 형성된 하판이 구비되고, 상기 하판 둘레에 상기 지지대의 지지돌부가 인입되도록 하부공간이 형성되며, 생활정보지가 수납구비되는 수납대와; 상기 수납대의 링형지지부 상측으로 돌출구비된 제1수나사부 및 제2수나사부에 체결되어 상기 수납대와 지지대를 결합지지하는 제1캡 및 제2캡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지지대의 주입구를 통해 수납공간 내에 물을 주입하고 수납대의 하부를 지지대의 상부에 안착시킨 후 제1수나사부 및 제2수나사부에 제1캡 및 제2캡을 체결시키면 지지대의 주입구가 밀폐됨과 동시에 수납대 및 지지대가 서로 결합지지되며, 이에 따라 물이 채워진 지지대에 의해 생활정보지 배부대의 하측에 무게중심이 형성되므로, 바람 등의 외력에도 생활정보지 배부대가 쉽게 쓰러지지 않는등의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고안 생활정보지 배부대를 보이는 사시도
도2는 생활정보지가 삽입된 상태를 보이는 사시도
도3은 도1의 분리 사시도
도4는 본 고안 생활정보지 배부대의 다른 실시예를 보이는 분리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생활정보지 2,22 ; 지지대
3 ; 수납공간 5 ; 제1수나사부
6 ; 제2수나사부 7 ; 주입구
8,28 ; 수납대 11 ; 링형지지부
13 ; 제1캡 14 ; 제2캡
본 고안의 구체적 특징 및 이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이하의 설명으로 더욱 명확해 질 것이다.
도1은 본 고안 생활정보지 배부대를 보이는 사시도이고, 도2는 생활정보지 배부대에 생활정보지(1)가 수납된 상태를 보이는 사시도이며, 도3은 도1의 분리 사시도로써, 이는 지지대(2)와, 수납대(8), 제1캡(13), 제2캡(14)으로 대분된다.
지지대(2)는, 내부에 밀폐된 수납공간(3)이 형성되고, 상부 양측 및 중앙에 지지돌부(4)가 돌출형성되며, 지지돌부(4) 사이에는 제1수나사부(5) 및 제2수나사부(6)가 돌출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2수나사부(6)에는 주입구(7)가 형성되어 있어 지지대(2) 내부의 수납공간(3)에 물을 주입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수납대(8)는, 공지된 바와 같이 생활정보지(1)가 수납되도록 수납부(9)가 구비되고, 수납대(8) 저면에는 제1수나사부(5) 및 제2수나사부(6)가 끼워지도록 링형지지부(11)가 형성된 하판(10)이 구비되며, 이 하판(10) 둘레에는 지지대(2)의 지지돌부(4)가 인입되도록 하부공간(12)이 형성된다.
또한 제1캡(13) 및 제2캡(14)은 수납대(8)의 링형지지부(11) 상측으로 돌출구비된 제1수나사부(5) 및 제2수나사부(6)에 체결되어, 수납대(8)와 지지대(2)를 결합지지시키게 된다.
이러한 구성의 본 고안 생활정보지 배부대는,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수나사부(6)의 주입구(7)를 통해 지지대(2)의 수납공간(3)에 물을 충진시키고, 수납대(8)의 하부공간(12)을 지지대(2) 상부에 안착시키면 지지대(2) 상부의 지지돌부(4)들이 수납대(8)의 하부공간(12) 내측 둘레에 지지되면서 지지대(2) 상에 수납대(8)가 안착된다.
이때 제1수나사부(5)와 제2수나사부(6)는 수납대(8) 하판(10)의 링형지지부(11)에 끼워진 상태에서 그 상측으로 돌출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링형지지부(11)에 끼워져 그 상측으로 돌출된 제1수나사부(5) 및 제2수나사부(6)에 제1캡(13)과 제2캡(14)을 결합시키는바, 제1캡(13) 및 제2캡(14)이 제1수나사부(5) 및 제2수나사부(6)에 체결되므로 지지대(2) 상에 수납대(8)가 고정지지되는 것이다.
여기서 제2캡(14)이 제2수나사부(6)에 체결될시 수납대(8) 및 지지대(2)의 결합력을 배가시킬 뿐 아니라 제2캡(14)에 의해 제2수나사부(6)의 주입구(7)가 밀폐되므로 부주의한 경우로 인해 지지대(2)가 쓰러져도 지지대(2) 내부의 물이 외부로 흘러나오지 않게 된다.
이러한 본 고안 생활정보지 배부대는 다음과 같은 장점을 가진다.
지지대(2) 내부에 밀폐된 수납공간(3)이 형성되어서 이에 물이 충진되기 때문에 물이 채워진 지지대에 의해 생활정보지 배부대의 하측에 무게중심이 형성된다. 따라서 중량의 지지대(2)를 넘어뜨릴 큰 힘이 아니라면 일반적인 바람 등의 외력에 의해서는 배부대가 넘어지지 않는다.
그러므로 이러한 본 고안 생활정보지 배부대는 넘어지는 것을 방지시키기 위해 벽이나 지주 등에 기댈 필요가 없으며, 철사나 끈, 못 등을 이용하여 고정지짓킬 필요도 없다.
한편 본 고안 생활정보지 배부대는 설치된 상태가 중량이어서 견고하게 설치되어 있는 반면에, 생활정보지 배부대를 이송시킬 때에는 간편하게 운반할 수 있는바, 이미 설치된 생활정보지 배부대를 다른 장소로 옮길시에는 지지대(2) 내부의 물을 쏟아 낸 후 수납공간(3)이 빈 상태에서 이송시키므로 가벼워진 생활정보지 배부대를 간편하게 운반할 수 있으며, 처음 제작된 생활정보지 배부대를 특정한 장소로 이송시킬 시에는 지지대(2) 내부가 빈 상태이므로 경량의 생활정보지 배부대를 간편하게 운반시키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 생활정보지 배부대는 이송 및 설치가 편리하고 벽이나 지주 등에 고정지지시킬 필요가 없으며, 설치된 상태가 비교적 견고하여 바람 등의 외부 요인에 의해 쉽게 쓰러지지 않으므로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4는 본 고안 생활정보지 배부대의 다른 실시예를 보이는 분리 사시도로써, 이는, 수납대(28)의 하부 양측에 한쌍의 훅(29)이 돌출형성되고, 이에 대응되는 지지대(22) 상부 양측에 결합홈(23)이 형성되어 있으며, 결합홈(23) 양측에는 누름부(24)가 구비되어 있어 누름부(24)를 누를시 훅(29)이 결합홈(23)에서 분리된다.
이러한 본 고안 생활정보지 배부대의 수납대(28)와 지지대(22)의 결합은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바와 같이 지지대(22)의 두 결합홈(23)에 훅(29)을 대향시킨 후 훅(29)을 결합홈(23)에 밀어 끼우면 훅(29)이 결합홈(23) 내측의 돌기(미도시)에 걸려 지지되고, 결합홈(23) 양측의 누름부(24)를 누르면 훅(29)이 결합홈(23)으로부터 이탈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본 고안 생활정보지 배부대는 도1 내지 도3의 생활정보지 배부대에 비해 지지대와 수납대를 결합시키는 구조만 다를 뿐 나머지 구성 및 효과는 상술한 바와 동일하다.
이와 같은 본 고안 생활정보지 배부대 중, 수납대와 지지대의 결합은 상술한 바에 국한되지 않으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의 범주 내에서 용이하게 변경실시 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생활정보지 배부대에 의하면, 지지대(2)(22)의 주입구(7)를 통해 수납공간(3) 내에 물을 주입하고 수납대(8)(28)의 하부를 지지대(2)(22)의 상부에 안착시킨 후 제1수나사부(5) 및 제2수나사부(6)에 제1캡(13) 및 제2캡(14)을 체결시키면 지지대(2)(22)의 주입구(7)가 밀폐됨과 동시에 수납대(8)(28) 및 지지대(2)(22)가 서로 결합지지되며, 이에 따라 물이 채워진 지지대(2)(22)에 의해 생활정보지 배부대의 하측에 무게중심이 형성되므로, 바람 등의 외력에도 생활정보지 배부대가 쉽게 쓰러지지 않는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생활정보지 배부대에 있어서,
    내부에 밀폐된 수납공간(3)이 형성되고, 상부에 지지돌부(4)가 돌출형성되며 상기 지지돌부(4) 사이에 제1수나사부(5) 및 주입구(7)가 형성된 제2수나사부(6)가 구비되는 지지대(2)(22)와;
    저면에 상기 제1수나사부(5) 및 제2수나사부(6)가 끼워지도록 링형지지부(11)가 형성된 하판(10)이 구비되고, 상기 하판(10) 둘레에 상기 지지대(2)(22)의 지지돌부(4)가 인입되도록 하부공간(12)이 형성되며, 생활정보지(1)가 수납구비되는 수납대(8)(28)와;
    상기 수납대(8)(28)의 링형지지부(11) 상측으로 돌출구비된 제1수나사부(5) 및 제2수나사부(6)에 체결되어 상기 수납대(8)(28)와 지지대(2)(22)를 결합지지하는 제1캡(13) 및 제2캡(14)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활정보지 배부대.
KR2020020025149U 2002-08-23 2002-08-23 생활정보지 배부대 KR20029596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5149U KR200295969Y1 (ko) 2002-08-23 2002-08-23 생활정보지 배부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5149U KR200295969Y1 (ko) 2002-08-23 2002-08-23 생활정보지 배부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5969Y1 true KR200295969Y1 (ko) 2002-11-29

Family

ID=731279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5149U KR200295969Y1 (ko) 2002-08-23 2002-08-23 생활정보지 배부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596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07621B2 (en) Flat panel display with detachable base
KR20040105707A (ko) 피펫팁 컨테이너
KR200295969Y1 (ko) 생활정보지 배부대
US7984680B1 (en) Knockdown shelf structure
KR101210682B1 (ko) 조립식선반용 클램프
KR20030046147A (ko) 트리 받침대
CN210407535U (zh) 化妆刷
US6547073B1 (en) Socket suspender
US20060060547A1 (en) Storage and display carton
KR20200129478A (ko) 전기 스탠드
US20090102330A1 (en) Frame assembly device
CN216122663U (zh) 电视机支架
KR100595203B1 (ko) 모니터의 스탠드 어셈블리
KR200401434Y1 (ko) 액자
KR101702550B1 (ko) 포장박스
KR200206624Y1 (ko) 수납용 박스
US20080053994A1 (en) Paper-Breaker Wastebin Structure
US20040179354A1 (en) Light device having objects receiving housing
KR200222640Y1 (ko) 반도체 메모리바디 pcb 트레이
KR200211932Y1 (ko) 벽면설치용 간이선반
KR200265378Y1 (ko) 휴대 반주기용 마이크 보관장치
KR910006039Y1 (ko) 전화기의 벽걸이 및 탁상용 겸용장치
KR200414520Y1 (ko) 이동통신 단말기용 케이스
KR200418944Y1 (ko) 병에 효율적인 구조의 편향컵지지대를 결합시킬수 있는장치
JP3106400U (ja) 収容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10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