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5586Y1 - 피디피 티브이용 거치대의 각도조절 장치 - Google Patents

피디피 티브이용 거치대의 각도조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5586Y1
KR200295586Y1 KR2020020024607U KR20020024607U KR200295586Y1 KR 200295586 Y1 KR200295586 Y1 KR 200295586Y1 KR 2020020024607 U KR2020020024607 U KR 2020020024607U KR 20020024607 U KR20020024607 U KR 20020024607U KR 200295586 Y1 KR200295586 Y1 KR 20029558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angle
fixing plate
wall fixing
pd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460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호
Original Assignee
김병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병호 filed Critical 김병호
Priority to KR202002002460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558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558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5586Y1/ko

Links

Landscapes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피디피 티브이용 거치대의 각도조절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피디피 티브이가 거치되는 거치대의 각도 조절을 용이, 신속하게 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각도조절도 간헐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벽면에 설치되는 벽고정판과 피디피 티브이가 장착되는 각도조절판의 하단을 힌지축으로 상호 축설되게 하여 힌지축을 중심으로 각도조절판 상부가 일정폭 가변되는 피디피 티브이용 거치대를 좌우 양측에 대칭되게 구성하고 이를 연결판으로 서로 연결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벽고정판과 각도조절판은 그 상부 내측으로 각기 지지판을 구비하여 그 일측단을 설치축으로 축설하고 타측단은 상호 연결볼트로 고정하여 그 사이에 탄력스프링의 일측단이 연결된 연결구를 개입시키고, 상기 탄력스프링의 타측단은 벽고정판 하단 일측부로 마련된 탄력스프링 고정장치에 연결 구성하되, 연결볼트에 고정되는 지지판과 연결구 사이에는 각기 다수개의 와셔를 개입시켜 지지판의 회동 마찰력을 높이도록 한 구조이다.

Description

피디피 티브이용 거치대의 각도조절 장치{OBJUST AN ANGLE EQUIPMENT OF A PROP FOR PDP TV}
본 고안은 벽면에 고정 설치되는 벽걸이용 티브이(plasma display panel TV : 이하 "PDP TV"로 표기함)의 시청각도를 편리하고 신속하게 조절 가능토록 하는 PDP TV용 거치대의 각도조절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PDP TV는 그 표시면적이 크고 용적이 작은, 이른바 평면형 표시장치로서, 이러한 PDP TV를 벽면에 설치함과 동시에 그 시청각도를 조절 가능케 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첨부된 도면 도 6에서와 같이, 벽면에 설치되는 벽고정판 외측으로 PDP TV가 설치되는 각도조절판을 마련하여 그 하단을 힌지축으로 상호 축설하고 상단은 각도조절판이 가변되어 고정지지 될 수 있도록 각도조절판의 중앙부로 다수개의 걸림공을 형성하여 이에 벽고정판 상단에 설치된 지지대의 끝단이 끼워져 고정 지지될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이는 PDP TV의 시청각도 조절시 PDP TV가 설치된각도 조절판을 가변시키면 벽고정판 상단에 설치된 지지대의 끝단이 각도조절판의 걸림공에 선택적으로 끼워지면서 각도조절판을 고정 지지하므로 일정각을 유지 할 수 있게 하여 준다.
즉 각도조절판의 걸림공에 끼워져 있는 지지대의 끝단을 해체 손잡이를 이용하여 지지대를 고정 지지하는 작동판을 해체시킨 다음 PDP TV를 가변시켜 원하는 위치에서 다시 지지대의 끝단을 다수개의 걸림공에 선택적으로 끼운 후 이를 해체손잡이를 이용하여 작동판으로 고정 지지되게 하므로 PDP TV의 시청각도를 유지하는 것인데 이는, 부피가 큰 PDP TV의 각도조절시 한손으로 PDP TV를 잡은 상태에서 다른 한손으로 PDP TV용 거치대의 해체손잡이를 조작해야 하므로 그 조작이 매우 불편 할뿐 아니라 다수개의 걸림공에 의한 PDP TV의 한정된 각도조절로 인해 시청자가 원하는 미세 각도조절이 불가능하였으며, 특히 PDP TV용 거치대의 구조가 매우 복잡하고 제품의 생산비가 매우 높은 폐단을 가졌던 실정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위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보완하여 시청자가 단지 PDP TV를 손으로 밀고 당기는 단순조작으로 시청각도를 편리하고 신속하게 조절토록 함은 물론 각도변화에 따른 제한이 없어 시청자가 원하는 미세 각도까지 조절가능하며, 또한 그 구조가 간단하여 생산성의 향상과 제작 원가의 절감을 꾀할 수 있는데 그 기술적 과제를 두고 안출된 것으로 이를 첨부된 도면과 함께 더욱더 상세히 설명하자면 아래와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예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측단면 부분예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가" 부 확대 단면예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 상태예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 예시도,
도 6은 종래 피디피 티브이용 거치대의 실시 상태예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 각도조절판 1' : 지지판
11 : 설치축 12 : 힌지축
101 : 결합홈 102 : 피디피 디브이
103 : 거치대 104 : 연결판
2 : 벽고정판 2' : 지지판
21 : 설치축 201 : 와셔
3 : 연결볼트 4 : 연결구
4' : 탄력스프링 5 : 고정장치
5' : 탄력조절대 51 : 고정구
52 : 조절손잡이 53 : 결합판
54 : 결합돌기
본 고안은 벽면에 설치되는 벽고정판(2)과 PDP TV(102)가 장착되는 각도조절판(1)의 하단을 힌지축(12)으로 상호 축설되게 하여 힌지축(12)을 중심으로 각도조절판 (1) 상부가 일정폭 가변되는 PDP TV(102)용 거치대(103)를 좌우 양측에 대칭되게 구성하고 이를 연결판(104)으로 서로 연결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벽고정판(2)과 각도조절판(1)은 그 상부 내측으로 각기 지지판(1')(2')을 구비하여 그 일측단을 설치축(11)(21)으로 축설하고 타측단은 상호 연결볼트(3)로 고정하여 그 사이에 탄력스프링(4')의 일측단이 연결된 연결구(4)를 개입시키고, 상기 탄력스프링(4')의 타측단은 벽고정판(2) 하단 일측부로 마련된 탄력스프링 고정장치(5)에 연결 구성하되,
상기 연결볼트(3)에 고정되는 지지판(1')(2')과 연결구(4) 사이에는 각기 다수개의 와셔(201)를 개입시켜 지지판(1')(2')의 회동 마찰력을 높여서 된 구조이다.
그리고 상기 탄력스프링 고정장치(5)는 벽고정판(2) 하단일측부에 일체 마련된 고정구(51) 내측으로 탄력조절대(5')를 나사 결합하여 그 측단에 탄력스프링 (4')의 타측단을 연결하고 탄력조절대(5')의 타측에는 조절손잡이(52)를 형성하여서 된 구조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과 함께 그 작용을 설명하자면 우선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연결판(104)에 의해 연결구성된 양측의 벽고정판(2)을 설치벽면에 볼트 설치한 다음 벽고정판(2) 외측의 각도조절판(1)으로 PDP TV(102)의 후면으로 장착된 결합판(53)을 체결함에 있어, 결합판(53)의 결합돌기 (54)를 각도조절판(1) 외측면에 다수개 형성된 결합홈(101)으로 견고히 체결하여 PDP TV(102)가 벽면에 설치되게 한다.
그리고 PDP TV(102)의 시청각도를 조절 시에는 시청자가 PDP TV(102)를 손으로 밀거나 당기는 단순조작으로 그 각도를 조절 할 수 있다.
즉 PDP TV(102)의 상단부를 손으로 밀거나 당기게 되면 PDP TV(102)를 고정하고 있는 각도조절판(1)이 힌지축(12)을 중심으로 벽고정판(2)에서 가변되면서 그 각도가 변화되는데, 이때 각도조절판(1)과 벽고정판(2)의 상단이 상호 지지판 (1')(2')에 의해 연결되어 있어 무거운 PDP TV(102)의 과다 유동을 억제 할뿐 아니라 벽고정판(2)과 각도조절판(1)의 양측 지지판(1')(2')을 상호 결합시킴에 있어 그 사이사이에 다수개의 와셔(201)를 개입시켜 연결볼트(3)로 협지 시키므로 양측 지지판(1')(2')의 회동마찰력이 높아져 보다 견고하게 유동되고, 또 상기 지지판 (1')(2')을 벽고정판(2)하단의 탄력조절대에 설치된 탄력스프링 (4')에 연결 결합시켜 탄력스프링(4')에 의한 인장력으로 인해 무거운 PDP TV(102)의 가변속도를 통제함과 동시에 부드러운 가변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탄력스프링(4')은 탄력조절대(5')의 조작에 따라 그 인장력의 조절가능 하므로 PDP TV(102)의 시청각도조절을 보다 부드럽게 실시 될 수 있도록도모하여 주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PDP TV(102)의 시청각도를 단순히 시청자가 손으로 밀고 당기는 단순조작으로 실시 할 수 있어 편리하고 신속함은 물론 각도조절에 따르는 제한이 없어 시청자가 원하는 미세각도 까지 조절 가능할 뿐 아니라, 그 구조 또한 간단하여 생산성의 향상과 제작 원가의 절감을 꾀할 수 있는 등 많은 이점을 가지는 것이다.

Claims (2)

  1. 벽면에 설치되는 벽고정판(2)과 피디피 티브이(102)가 장착되는 각도조절판(1)의 하단을 힌지축(12)으로 상호 축설되게 하여 힌지축(12)을 중심으로 각도조절판(1) 상부가 일정폭 가변되는 피디피 티브이(102)용 거치대(103)를 좌우 양측에 대칭되게 구성하고 이를 연결판(104)으로 서로 연결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벽고정판(2)과 각도조절판(1)은 그 상부 내측으로 각기 지지판(1')(2')을 구비하여 그 일측단을 설치축(11)(21)으로 축설하고 타측단은 상호 연결볼트(3)로 고정하여 그 사이에 탄력스프링(4')의 일측단이 연결된 연결구(4)를 개입시키고, 상기 탄력스프링(4')의 타측단은 벽고정판(2) 하단 일측부로 마련된 탄력스프링 고정장치(5)에 연결 구성하되,
    상기 연결볼트(3)에 고정되는 지지판(1')(2')과 연결구(4) 사이에는 각기 다수개의 와셔(201)를 개입시켜 지지판(1')(2')의 회동 마찰력을 높여서 된 구조의 피디피 티브이용 거치대의 각도조절장치.
  2. 상기 1항에 있어서, 탄력스프링 고정장치(5)는 벽고정판(2) 하단일측부에 일체 마련된 고정구(51) 내측으로 탄력조절대(5')를 나사 결합하여 그 측단에 탄력스프링 (4')의 타측단을 연결하고 탄력조절대(5')의 타측에는 조절손잡이(52)를 형성하여서 된 구조의 피디피 티브이용 거치대의 각도조절장치.
KR2020020024607U 2002-08-19 2002-08-19 피디피 티브이용 거치대의 각도조절 장치 KR20029558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4607U KR200295586Y1 (ko) 2002-08-19 2002-08-19 피디피 티브이용 거치대의 각도조절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4607U KR200295586Y1 (ko) 2002-08-19 2002-08-19 피디피 티브이용 거치대의 각도조절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5586Y1 true KR200295586Y1 (ko) 2002-11-18

Family

ID=731276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4607U KR200295586Y1 (ko) 2002-08-19 2002-08-19 피디피 티브이용 거치대의 각도조절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558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75146B2 (en) 2003-09-18 2007-02-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Wall mount for display apparatus
KR101429707B1 (ko) 2008-09-26 2014-08-13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벽걸이 텔레비전의 화면각도 조절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75146B2 (en) 2003-09-18 2007-02-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Wall mount for display apparatus
KR101429707B1 (ko) 2008-09-26 2014-08-13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벽걸이 텔레비전의 화면각도 조절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37189B2 (en) Supporting apparatus for display device
KR100556244B1 (ko) 디스플레이 장치용 월 마운트
US8047488B2 (en) Support stand and flat-panel display monitor using the same
KR100991782B1 (ko) 디스플레이 장치용 벽걸이 거치 장치
US8313068B2 (en) Lifting device for display apparatus
EP1785661B1 (en) Apparatus to support a display device
KR20030091476A (ko) 디스플레이장치
JP2009531743A (ja) ディスプレイ取付け装置
JP2008081056A (ja) 機器支持スタンド
US20130048811A1 (en) A mounting kit
KR200489848Y1 (ko) 평면 tv용 벽걸이 거치대
KR200295586Y1 (ko) 피디피 티브이용 거치대의 각도조절 장치
JP2013511792A (ja) 照明器具及びそのためのランプ保持具
KR100545604B1 (ko) 평면 디스플레이장치의 거치 구조
KR100370254B1 (ko) 영상표시기기의 위치조정장치
KR200319602Y1 (ko) 피디피 티브이용 거치대
KR200256422Y1 (ko) 피디피 텔레비젼의 화면각도 조절장치
KR100396594B1 (ko) 천장 걸이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고정 및 각도 조절장치
KR20090061701A (ko) 벽걸이 티브이 고정장치
KR200495414Y1 (ko) 무인 교통단속 장비 지지구조
KR100628118B1 (ko) 평판형 모니터
KR200356161Y1 (ko) 평면 모니터용 지지장치
KR100443867B1 (ko) 밴드 타입 마찰부를 이용하는 힌지 장치
KR100794821B1 (ko) 박판 모니터용 스탠드 장치
KR100777074B1 (ko) 디스플레이 장치의 벽걸이 겸용 스탠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105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