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4675Y1 - 진공청소기 - Google Patents

진공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4675Y1
KR200294675Y1 KR2020020019607U KR20020019607U KR200294675Y1 KR 200294675 Y1 KR200294675 Y1 KR 200294675Y1 KR 2020020019607 U KR2020020019607 U KR 2020020019607U KR 20020019607 U KR20020019607 U KR 20020019607U KR 200294675 Y1 KR200294675 Y1 KR 20029467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cuum cleaner
rotating shaft
rotating body
suction
suction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960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철우
이주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일산
이주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일산, 이주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일산
Priority to KR202002001960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467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467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4675Y1/ko

Links

Landscapes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모터와 연결된 팬에 의해 진공상태가 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와 탈부착 되는 기다란 흡입관이 일측에 설치되며, 개구된 하부를 통해 먼지나 이물질이 흡입되는 원통형상의 흡입통과; 상기 흡입통 내에 설치되어 흡입되는 공기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체로 구성된 진공청소기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는 상부에 유입공이 형성되며 수직으로 설치되는 관 형상의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스크루 식의 회전날개와; 상기 흡입통의 하부 내주면에 기밀하게 설치되며 내부에 세척수 통로가 형성되고, 하부면에 다수의 배출공이 형성되면서 가장자리에 여러 개의 솔이 부착된 링 형상의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과 회전축을 일체화시키는 다수의 연결관으로 구성되고,
상기 흡입통은 회전체의 회전축을 지지하는 베어링 케이싱이 상부에 설치되며, 이 베어링 케이싱의 상부에 공급구가 설치되고, 공급구의 일측에 세척수를 공급하는 호스가 연결된 구조에 의하여 회전체에 부착된 솔로 표면에 붙은 먼지나 이물질을 털어 내어 흡입함과 동시에 공급되는 세척수를 이용하여 딱딱하게 달라붙은 이물질까지도 제거하므로 매우 깨끗하게 청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진공청소기{vacuum cleaner}
본 고안은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진공청소기의 흡입력으로 솔을 회전시켜 이물질을 털어 내도록 하면서 세척수가 공급되도록 하는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진공청소기는 흡입구, 모터, 회전날개, 필터, 먼지받이 케이스, 배기구로 되어 있으며 정류자 전동기(commutator motor)로 회전날개를 1만 회 이상 회전시켜 내부를 진공상태로 만들고 먼지나 찌꺼기를 흡입구를 통해 빨아들이며, 빨아들인 먼지 ·찌꺼기 등은 필터에서 걸러주고 공기는 배기구로 빠져나간다.
그러나, 이러한 진공청소기는 단순히 흡입만 하기 때문에 표면에 달라붙은 이물질은 흡입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출원인에 의해 종래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는 "진공청소기의 흡입노즐"이 출원되어 특허등록 제247886호로 등록되었으며, 그 구조는 다음과 같다.
본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먼지를 흡입하는 진공청소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연결되는 기다란 흡입관(1)과; 상기 흡입관(1)의 말단에 설치되며 하부가 개구된 원통형상의 흡입통(2)과; 상기 흡입통(2)의 내부에 회전되게 설치되며, 회전축(3a)을 중심으로 그 외주면에 회전날개(3b)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솔(3c)이 부착된 회전체(3)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한 진공청소기는 흡입통(2)을 통하여 외부의 공기를 빨아 들일 때 흡입되는 공기가 회전날개(3b)와 마찰되면서 회전날개(3b)를 회전시키고, 회전날개(3b)와 연결된 회전체(3)가 회전되면서 회전체(3)의 하부에 부착된 다수의 솔(3c)에 의해서 표면에 달라붙은 이물질도 제거할 수 있었다.
그러나, 수분이 함유되어 있던 이물질 등은 표면에 붙은 상태에서 장시간 지나게 되면 딱딱하게 눌러붙게 되는데,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와 같이 솔이 구비된 진공청소기로도 제거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세척수가 공급되도록 하여 딱딱하게 눌러붙은 이물질이 부풀어 제거되도록 하는 진공청소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진공청소기는 모터와 연결된 팬에 의해 진공상태가 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와 탈부착 되는 기다란 흡입관이 일측에 설치되며, 개구된 하부를 통해 먼지나 이물질이 흡입되는 원통형상의 흡입통과; 상기 흡입통 내에 설치되어 흡입되는 공기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체로 구성된 진공청소기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는 상부에 유입공이 형성되며 수직으로 설치되는 관 형상의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스크루 식의 회전날개와; 상기 흡입통의 하부 내주면에 기밀하게 설치되며 내부에 세척수 통로가 형성되고, 하부면에 다수의 배출공이 형성되면서 가장자리에 여러 개의 솔이 부착된 링 형상의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과 회전축을 일체화시키는 다수의 연결관으로 구성되고,
상기 흡입통은 회전체의 회전축을 지지하는 베어링 케이싱이 상부에 설치되며, 이 베어링 케이싱의 상부에 공급구가 설치되고, 공급구의 일측에 세척수를 공급하는 호스가 연결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에 따른 진공청소기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진공청소기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3a, 3b는 본 고안에 따른 진공청소기의 회전체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a의 A-A선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진공청소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흡입관 20 : 흡입통 30 : 회전체
31 : 회전축 32 : 회전날개 33 : 프레임
34 : 배출공 35 : 연결관 36 : 솔
40 : 베어링 케이싱 50 : 공급구 51 : 유입구
60 : 물통 B : 베어링 H : 호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진공청소기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a, 3b는 본 고안에 따른 진공청소기의 회전체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진공청소기는 본체에 연결된 기다란 흡입관(10)에 결합되어 하부의 개구부를 통해 이물질이 흡입되는 흡입통(20) 및 상기 흡입통(20) 내에 설치되어 회전되는 회전체(30)로 이루어지며, 회전체(30)의 내부를 통해 세척수가 솔(36)이 있는 부위로 공급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회전체(30)는 수직의 회전축(31)과, 회전축(31)의 외주면에 형성된 회전날개(32)와, 회전축(31)의 하부에 형성된 프레임(33) 및 회전축(31)과 프레임(33)을 연결하는 연결관(35)으로 구성된다.
상기 회전축(31)은 그 내부로 세척수가 흐르도록 중공축으로 형성되고, 상부 말단에는 세척수가 유입되는 다수의 유입공(31')이 형성된다. 이러한 회전축(31)의 외주면에는 스크루 방식의 회전날개(32)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회전축(31)의 하부에는 링 형상의 프레임(33)이 다수의 연결관(35)에 의해 회전축(31)의 말단과 일체로 형성되는데, 이 프레임(33)도 그 내부에 세척수통로가 형성되고, 바닥면에 다수의 배출공(34)이 형성되며, 바닥면 가장자리에는 다수의 솔(36)이 돌아가며 부착된다. 이와 같은 프레임(33)은 그 외주면과 흡입통(20)의 내주면과의 틈새를 최소화하여 기밀하게 한다.
그리고, 상기 회전축(31)과 연결관(35) 및 프레임(33)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을 작게 하여 세척수의 공급이 조금씩 배출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체(30)의 회전날개(32)를 경사진 다수의 판체로 구성할 수 도 있다.
한편, 상기 흡입통(20)은 그 상부에 회전체(30)의 회전축(31)을 지지하는 베어링(B) 및 베어링 케이싱(40)이 설치되어 회전체(30)가 원활하게 회전되도록 하는데, 베어링 케이싱(40)의 상부로 회전체(30)의 회전축(31)이 일부 돌출 된다. 그리고, 베어링 케이싱(40)의 상부에는 공급구(50)가 설치된다. 여기서, 공급구(50)는 그 내부에 소정의 공간을 갖으며, 일측에는 세척수가 공급되는 유입구(51)가 형성된다. 이러한 유입구(51)에는 호스(H)가 연결되어 세척수가 공급된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진공청소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상기 공급구(50)의 일측에 물통(60)을 설치하고, 물통(60)과 공급구(50)의 유입구(51)가 연결되도록 하여 회전체(30)로 세척수가 공급되도록 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진공청소기의 작동과정을 설명한다.
본체에 구비된 모터를 구동시키면, 모터에 연결된 팬이 회전하여 본체 내부가 진공상태로 되고, 흡입관(10)과 연결된 흡입통(20)의 하부로부터 먼지나 이물질을 빨아들이게 된다. 이때, 상기 흡입통(20)에 설치된 회전체(30)는 흡입되는 공기에 의해 회전하게 된다. 즉, 흡입되는 공기가 경사진 회전날개(32)와 부딪히면서 빨려 들어가기 때문에 회전체(30)는 회전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청소하고자 하는 표면에 회전체(30)의 솔(36)을 살짝 밀착시켜 이물질이 솔(36)에 의해 제거 되도록 한다.
한편, 공급구(50)에 연결된 호스(H)를 통하여 세척수가 공급되면 유입구(51)를 통하여 공급구(50)의 내부에 모이게 되고, 세척수는 회전축(31)의 유입공(31')을 통해 회전축(31) 내부로 흐르게 된다. 회전축(31)으로 흐르는 세척수는 회전축(31)의 하부에 형성된 연결관(35)의 내부로 흐르고, 연결관(35)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링 형상의 프레임(33)의 세척수통로로 흐르게 되어 결국에는 프레임(33)의 배출공(34)으로 배출된다.
이때, 상기 세척수는 프레임(33)의 하부 가장자리에 부착된 솔(36)의 내부에서 배출되므로, 외부로 세척수가 노출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세척수가 공급됨으로 인해 표면에 딱딱하게 달라붙은 이물질도 깨끗하게 떨어지면서 세척수는 공기 및 이물질과 함께 본체로 빨려 들어가게 된다. 본체로 빨려 들어간 먼지나 이물질은 필터에 걸러지고, 공기는 배출구를 통해 빠져나가며, 세척수는 별도의 집진기를 통해 걸러지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진공청소기는 회전체에 부착된 솔로 표면에 붙은 먼지나 이물질을 털어 내어 흡입함과 동시에 공급되는 세척수를 이용하여 딱딱하게 달라붙은 이물질까지 제거하므로 매우 깨끗하게 청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모터와 연결된 팬에 의해 진공상태가 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와 탈부착 되는 기다란 흡입관이 일측에 설치되며, 개구된 하부를 통해 먼지나 이물질이 흡입되는 원통형상의 흡입통과; 상기 흡입통 내에 설치되어 흡입되는 공기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체로 구성된 진공청소기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는 상부에 유입공이 형성되며 수직으로 설치되는 관 형상의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스크루 식의 회전날개와; 상기 흡입통의 하부 내주면에 기밀하게 설치되며 내부에 세척수 통로가 형성되고, 하부면에 다수의 배출공이 형성되면서 가장자리에 여러 개의 솔이 부착된 링 형상의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과 회전축을 일체화시키는 다수의 연결관으로 구성되고,
    상기 흡입통은 회전체의 회전축을 지지하는 베어링 케이싱이 상부에 설치되며, 이 베어링 케이싱의 상부에 공급구가 설치되고, 공급구의 일측에 세척수를 공급하는 호스가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구는 그 일측에 물통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의 회전날개는 경사를 갖는 다수의 판체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KR2020020019607U 2002-06-28 2002-06-28 진공청소기 KR20029467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9607U KR200294675Y1 (ko) 2002-06-28 2002-06-28 진공청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9607U KR200294675Y1 (ko) 2002-06-28 2002-06-28 진공청소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4675Y1 true KR200294675Y1 (ko) 2002-11-13

Family

ID=730844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9607U KR200294675Y1 (ko) 2002-06-28 2002-06-28 진공청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467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85692B1 (ko) 진공청소기의 먼지통
KR100504896B1 (ko)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
KR20050090719A (ko) 진공청소기의 필터 청소 장치
KR100474900B1 (ko) 진공 청소기의 배기 장치
KR100761762B1 (ko) 로봇청소기
KR100619754B1 (ko) 건습식 복합형 업라이트 청소기
KR200294675Y1 (ko) 진공청소기
JPH04288111A (ja) 電気掃除機
KR20050019270A (ko) 물청소 겸용 진공청소기
EP1426004A2 (en) Electric vacuum cleaner
KR200381912Y1 (ko) 로봇청소기
KR100504890B1 (ko) 업라이트 청소기의 취약부흡입장치
KR100595551B1 (ko) 복합 청소기
KR100444551B1 (ko) 사이클론방식 진공청소기
KR20060106236A (ko) 진공청소기의 흡입장치
KR20090071234A (ko) 진공청소기
KR100635642B1 (ko) 로봇청소기
KR200356670Y1 (ko) 진공청소기 흡입관의 사이클론 집진장치
KR101943939B1 (ko) 필터 기능을 갖는 건식 석션장치
KR100504893B1 (ko) 진공청소기의 취약부흡입장치
KR100539759B1 (ko) 복합 청소기
KR100194383B1 (ko) 진공청소기
KR100492593B1 (ko) 업라이트 청소기
KR20030030315A (ko) 진공흡입펌프를 이용한 산업용 수봉식 진공청소기
KR20050081547A (ko) 진공청소기의 먼지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008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