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4323Y1 - Magic necktie - Google Patents

Magic neckti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4323Y1
KR200294323Y1 KR2020020023942U KR20020023942U KR200294323Y1 KR 200294323 Y1 KR200294323 Y1 KR 200294323Y1 KR 2020020023942 U KR2020020023942 U KR 2020020023942U KR 20020023942 U KR20020023942 U KR 20020023942U KR 200294323 Y1 KR200294323 Y1 KR 20029432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e
magic
narrow
narrow portion
w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3942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미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스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스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스날
Priority to KR202002002394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4323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432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4323Y1/en

Links

Landscapes

  • Details Of Gar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매직 넥타이에 관한 것으로서, 넥타이 대폭부의 안쪽에 넥타이 소폭부를 수납할 수 있는 수단을 자체적으로 구비하여 별도의 고정수단 없이도 넥타이 소폭부를 효과적이고 간편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넥타이 착용시 넥타이 소폭부의 흔들거림으로 인해 신경이 쓰이는 등의 불편함을 해소하고, 외관상으로도 단정한 이미지를 보여줄 수 있도록 한 매직 넥타이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agic tie, which has a means for storing a tie narrow portion inside the tie wide portion so that the tie narrow portion can be effectively and conveniently fixed without a separate fixing means, so that when the tie is narrowed The aim is to provide a magic tie that eliminates discomfort such as shaking and provides a neat image in appearance.

Description

매직 넥타이{Magic necktie}Magic necktie

본 고안은 매직 넥타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넥타이 대폭부의 안쪽으로 넥타이 소폭부를 수납할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함으로써, 넥타이 착용시 넥타이 소폭부의 흔들거림으로 인해 신경이 쓰이는 등의 불편함을 해소하고, 외관상으로도 단정한 이미지를 보여줄 수 있도록 한 매직 넥타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agic tie, and more particularly, by providing a means for storing the neck tie portion inwardly of the tie portion, thereby eliminating inconveniences such as anxiety caused by the shaking of the tie portion when wearing the tie. It's all about the Magic Tie, which makes it look neat in appearance.

일반적으로 넥타이는 사회생활을 하는 사람들에게는 필수품이라 할 수 있을 만큼 널리 사용되고 있는 의류의 일종으로서, 특히 거의 매일같이 정장을 입어야 하는 직장 남성들에게는 옷차림의 변화를 줄 수 있는 유일한 수단이라 할 수 있다.In general, a tie is a kind of clothing that is widely used as a necessity for social workers, and is the only means of changing the dress, especially for working men who have to wear a suit almost every day.

이렇게 넥타이는 남성 성인들이 정장차림시에 와이셔츠 위에 착용하여 단추 부위를 덮도록 가지런히 늘어뜨려 다양한 이미지를 연출하는데 효과적이라 할 수 있다.Like this, it is effective to produce various images by arranging men's adults to wear them on the shirts while they dress up to cover the button area.

기존의 넥타이들은, 도 1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비교적 폭이 넓게 형성되어 있고 안쪽면에는 라벨(10)이 부착된 대폭부(11)와, 비교적 폭이 좁게 형성되어 있고 매듭을 짓는 부분인 소폭부(12)로 되어 있다.Existing neckties, as shown in Figs. 1 and 2, are formed relatively wide and the inner side is a large width 11 with a label 10 attached, and relatively narrow and knotted It is the narrow part 12 which is a part.

여기서, 미설명 부호 13은 넥타이 핀을 나타낸다.Here, reference numeral 13 denotes a tie pin.

이러한 넥타이를 착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넥타이를 와이셔츠 위로 목에 감아 매듭을 지어 착용하게 되며, 대부분의 경우 넥타이가 움직임에 따라 소폭부가 흔들리는 것을 막기 위해 소폭부를 라벨의 내측으로 끼워 넣고 있다.When the tie is to be worn, the necktie is wrapped around the neck of the shirt and worn in a knot. In most cases, the neck is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label to prevent the neck from shaking as the neck moves.

그러나,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폭부를 라벨 내측으로 끼웠다 하더라도 소폭부가 완전히 고정되지 못하기 때문에 라벨의 아래쪽으로 늘어진 소폭부의 일정부분이 여전히 흔들리거나 옆으로 삐져나옴으로 인해 신경이 많이 쓰이는 불편함이있었고, 외관상으로도 단정치 못한 느낌을 줄 수 있는 등 여러 개선의 소지가 있었다.However, as shown in Figure 1, even if the narrow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label because the narrow portion is not completely fixed, a certain portion of the narrow portion that is stretched below the label is still uncomfortable due to the shaking or sticking out sideways There were a number of improvements, including the appearance of a neat appearance.

한편,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넥타이 자체를 와이셔츠에 고정시키거나 또는 대폭부와 소폭부를 함께 고정시키기 위하여 넥타이 핀을 사용하는 경우도 있으나, 이것 역시 아래쪽으로 늘어진 소폭부의 흔들거림을 막기에는 역부족이며, 넥타이 핀 구입에 따른 경제적인 부담감이 가중됨은 물론, 분실의 우려가 높고 착용하는데 번거로움이 있는 등 그 효과가 미흡한 실정이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2, in order to fix the tie itself to the shirt or a wide portion and a narrow portion may be used tie pins, but this also prevents the shaking of the narrow width of the down In addition, the economic burden due to the purchase of tie pins is increased, and there is a high risk of loss and inconvenience in wearing.

따라서,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넥타이 대폭부의 안쪽에 넥타이 소폭부를 수납할 수 있는 수단을 자체적으로 구비하여 별도의 고정수단 없이도 넥타이 소폭부를 효과적이고 간편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넥타이 착용시 넥타이 소폭부의 흔들거림으로 인해 신경이 쓰이는 등의 불편함을 해소하고, 외관상으로도 단정한 이미지를 보여줄 수 있도록 한 매직 넥타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in view of such a point, and more specifically,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and easily fix the neck narrow portion without a separate fixing means by providing a means for accommodating the neck narrow portion inside the neck portion. By doing so,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discomfort such as anxiety caused by the shaking of the neck portion of the tie when wearing the tie, and to provide a magic tie that can show a neat image in appearanc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대폭부 및 소폭부를 갖는 넥타이에 있어서, 상기 대폭부의 안쪽면에 소폭부의 하단부 일정길이를 집어 넣을 수 있는 수납부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characterized in that in the tie having a wide portion and a narrow portion, the inner side of the wide portion is provided with an accommodating portion for inserting a predetermined length of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narrow portion.

또한, 상기 수납부는 2겹으로 되어 있는 대폭부의 안감을 가로방향으로 길게 절개한 구조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accommodating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lining of the wide part made of two ply cu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또한, 상기 수납부는 대폭부에 부착되어 있는 라벨의 내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housing is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on the inside of the label attached to the wide portion.

도 1은 기존 넥타이의 소폭부를 처리하는 일 구현예를 보여주는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processing the narrow portion of the existing tie

도 2는 기존 넥타이의 소폭부를 처리하는 다른 구현예를 보여주는 사시도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processing the narrow portion of the existing tie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넥타이의 소폭부를 처리하는 바람직한 구현예를 보여주는 사시도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for processing the narrow portion of the ti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도 3의 수납 전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before storage of FIG.

도 5는 도 3의 수납 후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after storage of FIG.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넥타이의 다른 사용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use state of the ti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

10 : 라벨 11 : 대폭부10 label 11: wide part

12 : 소폭부 13 : 넥타이 핀12: narrow part 13: tie pin

14 : 수납부14: storage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넥타이는 소폭부(12)의 흔들거림을 자체적으로 잡아줄 수 있는 수단을 포함하여 넥타이 착용시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데 특징이 있다.As shown in Figures 3 to 5, the tie provided i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eans capable of catching the shaking of the narrow portion 12 by itself to facilitate the convenience of wearing the tie have.

이를 위하여, 보통 2겹으로 되어 있는 대폭부(11)의 안쪽면, 즉 안감에 가로방향으로 길게 절개시킨 구조의 수납부(14)를 형성하고, 이곳을 통해 소폭부(12)를 끝에서부터 집어 넣는다.To this end, the receiving portion 14 having a structure in which the inner side of the wide portion 11, which is usually two-ply, that is, the incision in the transverse direction is elongated, is formed, and the narrow portion 12 is picked up from the end. Put it in.

이때의 수납부(14)는 소폭부(12)의 폭보다 약간 큰 폭으로 절개하여 소폭부(12)의 수납 및 인출시 불편함이 없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receiving portion 14 is preferably cut to a width slightly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narrow portion 12 so that there is no inconvenience during storage and withdrawal of the narrow portion 12.

또한, 수납부(14)를 형성하기 위한 절개부위의 가장자리를 자체 박음질하여 잦은 수납 및 인출로 인해 가장자리가 닳거나 해지는 등의 문제를 고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desirable to take into account the problem of the edges of the cut-out portion for forming the accommodating portion 14 to be worn or pulled out due to frequent storage and withdrawal.

이렇게 수납부(14)를 통해 하단 일정길이가 수납되는 소폭부(12)는 대폭부(11)의 안감과 바깥감 2겹 사이에 만들어져 있는 공간 내에 위치되면서 대폭부(11)와 일체감을 가질 수 있게 된다.Thus, the narrow portion 12, the lower predetermined length is received through the receiving portion 14 is located in the space made between the lining and the outer layer of the wide portion 11 can have a sense of unity with the wide portion 11. Will be.

특히, 상기 수납부(14)의 형성위치를 라벨(10)이 붙어있는 내측면에 설정하여 절개부위의 노출을 막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외관상으로도 전혀 문제가 되지 않게 된다.In particular, by setting the formation position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14 on the inner surface to which the label 10 is attache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exposure of the incision site, thereby no problem in appearance.

또한, 수납부(14)의 아래쪽 적당한 위치에서 라벨(10)의 아랫단 일측을 안감에 박음질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따라 소폭부(12)를 수납부(14)에 집어 넣을 때 소폭부(12)가 라벨(10)의 안쪽 공간을 통해 밑으로 빠지지 않고 걸리게 할 수 있고, 또 라벨(10)의 윗단을 살짝 당기면 수납부(12)가 쉽게 벌어질 수 있게 되므로, 소폭부(12)를 용이하게 수납부(14) 내에 집어 넣을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lower end side of the label 10 is sewn on the lining at a proper position below the storage portion 14, so that the narrow portion 12 when the narrow portion 12 is inserted into the storage portion 14. Can be caught without falling down through the inner space of the label 10, and when the upper end of the label 10 is slightly pulled out, the receiving portion 12 can be easily opened, so that the narrow portion 12 can be easily opened. It can be retracted in the accommodating part 14.

한편, 본 고안의 바람직한 구현예에서는 수납부(14)로 수납되는 소폭부(12)가 대폭부(11)의 2겹 사이가 만들어내는 공간 내에 수납되는 것을 제공하고 있으나, 이와는 달리 대폭부(11)의 내부 2겹 사이 공간에 수납부(14)와 통하는 별도의 주머니를 부착하여 이곳에 소폭부(12)를 집어 넣을 수 있는 것도 본 고안의 다른 구현예로 포함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d that the narrow portion 12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portion 14 is accommodated in the space created between the two layers of the wide portion 11, unlike the wide portion 11 Attaching a separate pocket communicating with the receiving unit 14 in the space between the inner two ply of) can also be included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can put the narrow portion 12 therein.

따라서, 통상적인 넥타이를 매는 방법에 의해 넥타이를 와이셔츠의 깃에 맨 다음, 적당한 착용길이로 넥타이를 단정하게 조절하고, 이때 늘어진 소폭부를 수납부 내로 집어 넣음으로써, 소폭부가 대폭부에 일체식으로 조합되면서 고정될 수 있게 되므로, 소폭부가 흔들리거나 옆으로 삐져나오는 등의 문제가 전혀 없게 되고, 이에 따라 넥타이로 인해 신경을 쓰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으며, 외관상으로도 단정치 못한 느낌을 받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erefore, by placing the tie on the collar of the shirt by the usual tie-tie method, the tie is adjusted neatly at an appropriate wearing length, and the narrow width portion is integrated into the storage portion by inserting the narrow width portion into the storage portion. Since it can be fixed while being combined, there is no problem that the narrow part is shaken or protrudes to the side, thereby eliminating the inconvenience of worrying about the tie, and it can also feel neat in appearance. Will be.

한편, 본 고안에 제공하는 넥타이는 여러가지 활용적인 측면을 가질 수 있는데, 예를 들면 도 6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넥타이의 안쪽 수납부(14)를 이용하여볼펜 등의 필기구를 끼울 수 있으므로, 별도의 필기구를 소지해야 하는 등의 번거로움없이 필기구 소지와 관련한 편의를 도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tie provided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 variety of practical aspects, for example, as shown in Figure 6 can be inserted writing instruments such as a ballpoint pen using the inner storage portion 14 of the tie, separate writing instruments It will be possible to facilitate the convenience of possession of writing instruments without the hassle of having to carry.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넥타이의 대폭부 안쪽에 소폭부를 수납할 수 있는 수단을 자체적으로 구비한 넥타이를 제공함으로써, 넥타이 착용시 소폭부의 흔들거림으로 인해 신경이 쓰이는 등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외관상으로도 단정한 이미지를 보여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ie having its own means for storing the narrow portion inside the wide portion of the tie, thereby eliminating inconveniences such as anxiety due to the shaking of the narrow portion when the tie is worn. There is an advantage, and it is effective to show a neat image in appearance.

Claims (4)

대폭부(11) 및 소폭부(12)를 갖는 넥타이에 있어서, 상기 대폭부(11)의 안쪽면에 소폭부(12)의 하단부 일정길이를 집어넣을 수 있는 수납부(14)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직 넥타이.In a tie having a wide portion 11 and a narrow portion 12, an accommodating portion 14 capable of inserting a predetermined length of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narrow portion 12 is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large portion 11. Magic tie characterized in tha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14)는 2겹으로 되어 있는 대폭부(11)의 안감을 가로방향으로 길게 절개한 구조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직 넥타이.2. The magic ti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housing portion (14)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lining of the wide portion (11) in two layers is cut in the transverse direction.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14)는 대폭부(11)에 부착되어 있는 라벨(10)의 내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직 넥타이.The magic tie according to claim 1 or 2, characterized in that the accommodating portion (14) is formed inside the label (10) attached to the wide portion (11).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14)는 필기구를 끼워 소지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직 넥타이.The magic tie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accommodating portion (14) is adapted to hold a writing instrument.
KR2020020023942U 2002-08-10 2002-08-10 Magic necktie KR200294323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3942U KR200294323Y1 (en) 2002-08-10 2002-08-10 Magic neckti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3942U KR200294323Y1 (en) 2002-08-10 2002-08-10 Magic neckti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4323Y1 true KR200294323Y1 (en) 2002-11-04

Family

ID=730782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3942U KR200294323Y1 (en) 2002-08-10 2002-08-10 Magic neckti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4323Y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67422B2 (en) Hooded scarf
US6339846B2 (en) Pocket for portable telephone in clothes
US8931116B2 (en) Pre-knotted adjustable necktie
US6775846B1 (en) Sleeve holder
KR200294323Y1 (en) Magic necktie
US7322049B1 (en) Necktie
US2743452A (en) Combined necktie and retaining tab
JP5383165B2 (en) Removable clothing for accessories
US6061838A (en) Bag for holding a necktie and adapted for use as a handkerchief
JP7344529B2 (en) clothing
JP3207406B2 (en) Clothes sleeve adjustment method
JP2007332471A (en) Garment provided with function for preventing loss of writing material
JP2000314022A (en) Collar structure of stand-up collar jacket
JP4093905B2 (en) Jacket
JP3119969U (en) New Ascot Thailand
KR200244971Y1 (en) Shirt with tie
KR200199782Y1 (en) Necktie
KR200231710Y1 (en) Korean clothes outerwear
JP3073447U (en) Putting jacket and putting pants
JP2003013308A (en) Easy kimono
JP2007162197A (en) Muffler free from becoming untidy
KR200345235Y1 (en) Neck shawl
KR200199781Y1 (en) Necktie
KR200219374Y1 (en) a necktie can fix to button of dress-shirt
JPS6045601A (en) Five-finger protecting double sock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