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4126Y1 - 벤츄리관을 이용한 열교환기 튜브 자동세정장치 - Google Patents

벤츄리관을 이용한 열교환기 튜브 자동세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4126Y1
KR200294126Y1 KR2020020023549U KR20020023549U KR200294126Y1 KR 200294126 Y1 KR200294126 Y1 KR 200294126Y1 KR 2020020023549 U KR2020020023549 U KR 2020020023549U KR 20020023549 U KR20020023549 U KR 20020023549U KR 200294126 Y1 KR200294126 Y1 KR 20029412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eaning body
conduit
fluid
cleaning
venturi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354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설원실
재 돌 김
한인근
정 인 윤
Original Assignee
정 인 윤
한인근
재 돌 김
설원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 인 윤, 한인근, 재 돌 김, 설원실 filed Critical 정 인 윤
Priority to KR202002002354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412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412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4126Y1/ko

Links

Landscapes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셀엔드튜브(shell & tube)형식 열교환기의 튜브 내부 자동세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펌프, 압축기 등과 같은 가압ㆍ감압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벤츄리관 등과 같은 유체속도 증속기구의 흡인력을 이용하여 유체자력으로 열교환기 내부에 스폰지 볼과 같은 세정체를 투입시켜 스케일, 슬라임 등 전열 방해물질을 제거함으로서 열교환기 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벤츄리관을 이용한 열교환기 튜브 자동세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세정체 분리기에 부속되어 세정체 분리기에 세정체가 정체되어 유체흐름을 방해하는 것을 방지하여 주는 세정체 홀더가 더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벤츄리관을 이용한 열교환기 튜브 자동세정장치{Heat exchange tube auto cleaning system using venturi tube}
본 고안은 셀엔드튜브(shell & tube)형 열교환기의 튜브 내부 자동세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열교환기 튜브 내부에 스폰지 볼과 같은 세정체를 투입시켜, 유체 흐름에 의해 튜브 내부를 통과하게 함으로서 튜브 내부의 부착물을 제거하여 열교환기 성능을 향상시키고 또 수명을 연장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열교환기 튜브 자동세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냉동장치나 화학플랜트에서는 셀 내부에 다수의 튜브를 배열한 셀엔드튜브(shell & tube)형 열교환기가 많이 사용되어 왔으며, 이 형식의 열교환기에서 열매체로 사용되는 유체는 대부분 냉각탑에서 대기와 열교환하여 냉각되는데, 열교환기를 장시간 사용하게 되면 대기 중의 미생물, 먼지 등의 이물질이 유체로 유입되어 이들이 열교환기 튜브 내면에 쌓여 스케일, 슬라임 등의 부착물을 형성, 열교환기 성능이 저하되고 수명이 단축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어, 이들 부착물을 정기적으로 세정해 줄 필요가 있다.
상기 부착물의 세정장치로는 종래부터 스폰지 볼과 같은 세정체를 이용하여 이것을 튜브 내부로 유체흐름에 의해 강제적으로 통과시켜 튜브 내벽의 부착물을 제거하는 열교환기 튜브 세정장치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장치는, 도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펌프에 의해 유체가 유입되는 유체 유입관에 열교환기가 설치되고, 상기 열교환기 출구에는 원통형체가 구비된 분리기가 설치되며, 상기 분리기는 회수도관을 통하여 저장탱크용 체, 세정체 저장부, 유체 저장부, 깔때기로 구성되는 세정체 저장탱크와 연통되게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저장탱크는 또한 투입도관을 통하여 유체 유입관과 연통되어 있다. 그리고 저장탱크의 한 쪽에는 압축된 공기를 공급하는 압축기가 자동밸브가 구비된 공기공급관에 의해 연결되어 있으며, 저장탱크의 다른 한쪽에는 공급된 압축공기를 감압하는 감압용 자동밸브가 설치되어 있다.
먼저 튜브의 내부를 청소하고자 할 때는, 분리기로 유체가 흐르도록 분리기전후의 밸브를 조작한 후, 세정체회수 도관에 설치된 밸브는 닫고 세정체투입 도관에 설치된 밸브는 개방한 상태에서 공기 공급관에 설치되어 있는 자동밸브를 도시되지 않은 제어판넬에 의해 개방하면 압축기에 의해 압축된 공기가 저장탱크의 유체저장부로 공급되어 저장되어 있던 유체가 공기의 압력에 의해 깔때기를 통하여 상부로 이동하여 체의 상부에 있는 세정체를 세정체투입 도관을 통하여 열교환기 입구 유체유입 도관으로 투입되게 된다. 세정체가 모두 투입되고 나면 공기 공급관에 설치된 자동밸브는 도시되지 않은 제어판넬에 의해 닫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유체유입 도관에 투입된 세정체는 유체의 유동력에 의하여 열교환기를 통과하게 되며, 이 때 열교환기 튜브 내부를 청소한다. 열교환기를 통과한 세정체를 포함한 유체는 세정체 분리기에서 유체는 원통형체의 통기부를 통하여 빠져나가고, 세정체만 유체의 와류에 휩쓸려 회전하며 남아 있게 된다. 이 상태에서 세정체회수 도관에 설치된 밸브를 열고 세정체투입 도관에 설치된 밸브를 닫은 후, 감압용 자동밸브를 열어 저장탱크 내의 압축공기를 밖으로 배출하면, 즉 저장탱크 내를 감압하면 세정체는 분리기와 저장탱크의 압력차에 의해 세정체회수 도관을 통하여 저장탱크로 회수된다. 이와 같은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열교환기 튜브 내부의 스케일 등 이물질이 청소되어 진다.
또 다른 종래의 장치로는,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유체유입 도관, 열교환기, 세정체 분리기, 저장탱크, 펌프 및 밸브와 이들을 연결하는 도관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장치의 구성과 작동개요는 상기의 장치와 유사하나, 다만 세정체를 저장탱크에서 유체유입 도관으로 투입하거나 또는 세정체 분리기에서 저장탱크로회수할 때, 감압 또는 가압장치로 압축기 대신 펌프를 사용한다는 점이 다르며, 또 세정체 분리기에 구비된 원통형체의 비통기부 부분을 유선형으로 하였다는 점이 다르다.
그러나 상기의 종래의 장치는 세정체를 저장탱크로부터 열교환기 입구측 유체유입 도관으로 투입하거나, 세정체 분리기로부터 저장탱크로 회수하기 위해 압축기나 펌프가 구비되어야 하므로, 장치설비 비용이 증가하고, 장치의 구성이 복잡하며, 장치의 유지관리에도 많은 어려움이 있고, 또한 압축기나 펌프를 가동하는 데 별도의 동력이 필요하다.
그리고 세정체 분리기에 있어서도, 열교환기를 통과한 세정체를, 작동원리상, 세정체 분리기에 모두 모은 다음 저장탱크로 회수할 수밖에 없어서, 많은 양의 세정체가 분리기의 원통형체에 머물러 있게 되며, 이는 곧 유체통로 일부를 폐쇄하는 결과가 되어 유체흐름에 대한 저항증가 요소가 될 뿐아니라, 세정체가 원통형체와 마찰하여 마모가 발생하여 사용수명이 짧아진다는 단점이 있다. 또 많은 양의 세정체가 뒤엉켜 세정체 회수용 도관 입구를 막아 세정체 회수가 완전하지 못하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세정체 분리기의 체가 원통형으로 되어 있어 유체가 원통형체의 개구부를 통과할 때 흐름방향이 90˚로 꺾이게 되어 유체와류 발생에 따른 압력손실이 증가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또 다른 종래 장치로는,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열교환기 입구 유체유입 도관에 전동밸브를 설치하고, 상기 유체유입 도관과 병렬로 벤츄리관을 설치하여, 유체유입 도관에 설치된 전동밸브를 닫아 벤츄리관으로 유체를 흐르게 하여 이 때 발생하는 벤츄리의 흡인력에 의해 세정체를 유체유입 도관으로 흡인하는 방식이 있다.
그러나 상기 방식은, 일반적으로 유체 유입관의 구경이 150A 이상인 점을 고려하면 여기에 설치되는 전동밸브의 가격이 매우 고가인 점, 일반적으로 열교환기의 압력손실이 5mAq 이상이며 이 압력손실을 극복하고 세정체를 세정체 분리기로부터 유체유입 도관으로 흡인하기 위해서는 벤츄리관에서 유체속도 매우 빠르게 하여 적어도 5mAq 이상의 정압손실이 발생하여야 하며, 이는 유체 순환펌프의 양정을 상승시키는 결과가 되어 펌프의 동력을 증가시키고 또 과부하에 의한 고장을 초래할 수 있다는 점에서 실용적이지 못하다.
본 고안은 종래의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열교환기 입구측 및 출구측에 벤츄리관을 설치하여, 열교환기 입구측에 설치된 세정체투입용 벤츄리관의 흡인력에 의해 세정체 회수기에 저장되어 있는 세정체를 열교환기 입구측에 투입하고, 열교환기 출구측에 설치된 세정체회수용 벤츄리관의 흡인력에 의해 세정체를 세정체 분리기로부터 세정체 회수기로 회수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어, 종래의 세정장치에서와 같은 별도의 펌프나 압축기를 구비할 필요가 없으므로, 설치 및 제작이 간단하여 경제적이며, 펌프나 압축기 가동에 소요되는 에너지도 절약할 수 있고, 장치 유지관리에 비용과 시간이 절약된다는 장점이 있다.
또 종래 열교환기 입구 유체유입 도관관에 전동밸브를 설치하고, 상기 유체유입 도관과 병렬로 벤츄리관을 설치하여, 세정체를 투입할 때만 전동밸브를 열어벤츄리관에 유체를 흐르게 하는 방식에 비해, 상기 본 고안방식은 벤츄리관을 열교환기 입구 및 출구 2개소에 설치하고, 상기 벤츄리관이 세정체 회수기를 매개로 유체유입 도관 및 세정체 분리기와 연통되어 있어 종래 방식에 비해 벤츄리에서의 유체속도 증가가 높지 않아도 세정체 투입 및 회수가 가능하다. 즉 벤츄리에서의 압력손실이 매우 작아도 세정체 투입 및 회수가 가능하다. 따라서 유체유입 도관에 전동밸브를 설치하고 병렬로 벤츄리관을 설치할 필요 없이, 유체유입 도관에 직접 벤츄리관을 설치할 수 있어 매우 경제적이다.
또한 세정체 분리기에 있어서도, 분리기용 체의 형태를 원뿔대형으로 하고, 이를 유체흐름과 경사지게 설치함으로써 유체가 원뿔대형 체를 통과할 때 흐름방향 변화를 작게 하여 유체 와류 발생에 따른 압력손실을 최소화하였으며, 또 세정체 분리기에 세정체 홀더를 더 구비하여 세정체 분리기에서 분리된 세정체를 즉시 세정체 홀더로 흡인하여 세정체 분리기의 원뿔대형 체에는 세정체가 정체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원뿔대형 체를 통과하는 유체에 대한 저항발생 요소를 제거하였으며, 또한 세정체와 원뿔대형 체가 마찰하여 생기는 세정체 마모를 방지하였다.
도 1은 종래의 압축기를 이용한 열교환기 튜브 자동세정장치 구성도
도 2는 종래의 펌프를 이용한 열교환기 튜브 자동세정장치 구성도
도 3 종래의 벤츄리관을 이용한 열교환기 튜브 자동세정장치 구성도
도 4는 본 고안의 벤츄리관을 이용한 열교환기 튜브 자동세정장치 구성도
도 5는 본 고안의 세정체 분리기 단면도
도 6는 본 고안의 세정체 회수기 단면도
도 7는 본 고안의 세정체반송유체회수 도관을 유체 순환펌프 흡입측과 연통되게 설치한 다른 실시예의 구성도
도 8은 본 고안의 벤츄리관을 이용한 열교환기 튜브 자동세정장치의 세정체 투입 작용도
도 9은 본 고안의 벤츄리관을 이용한 열교환기 튜브 자동세정장치의 세정체 회수 작용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 : 유체유입 도관 2 : 열교환기
3 : 세정체 분리기 4 : 세정체 분리기 체
5 : 유체유출 도관 6 : 세정체 홀더
7 : 세정체 회수기 8 : 세정체투입용 벤츄리관
9 : 세정체회수용 벤츄리관 10 : 세정체회수 도관
11 : 세정체투입 도관 12 : 세정체반송유체유입 도관
13 : 세정체반송유체회수 도관 14 : 세정체홀딩유체회수 도관
15 : 전자밸브 16 : 수동 볼밸브
17 : 유체 순환펌프 18 : 세정체
19 : 세정체 홀더 체 20 : 덮개
21 : 사이트글라스 22 : 세정체 회수기 체
23 : 저장탱크 24 : 자동밸브
25 : 공기 공급관 26 : 압축기
27 : 펌프 28 : 전동밸브
29 : 벤츄리관
본 고안은 셀엔드튜브(shell & tube)형식 열교환기에서와 같이 셀(shell)측에 피냉각 유체가 흐르고 튜브(tube)내에 냉각유체가 흐르는 열교환기에 있어서, 열교환기를 중심으로, 열교환기 입구측에 세정체투입용 벤츄리가 설치되고, 출구측에 세정체회수용 벤츄리관이 설치되며, 상기 세정체회수용 벤츄리관 출구측에는 세정체 홀더가 부속된 세정체 분리기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세정체 홀더는 세정체홀딩용유체회수 도관을 통하여 세정체 회수용 벤츄리관과 연통되게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세정체 분리기는 세정체회수 도관을 통하여 세정체 회수기와 연통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세정체 회수기는 세정체투입 도관, 세정체반송유체회수 도관 및 세정체반송유체유입 도관을 통하여 세정체투입용 벤츄리관, 세정체회수용 벤츄리관 및 유체유입 도관과 연통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세정체투입 도관, 세정체회수 도관, 세정체반송유체유입 도관, 세정체반송유체회수 도관 및 세정체홀딩유체회수 도관에는 각각 전자밸브가 설치되어 있어 이들 전자밸브의 개폐에 의해 세정체가 투입되거나 회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벤츄리관을 이용한 열교환기 튜브 자동세정장치는 도4, 도5 및 도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유체유입 도관, 세정체투입용 벤츄리관, 열교환기, 세정체회수용 벤츄리관, 세정체 분리기, 세정체 회수기 및 밸브와 이들을 연결하는 배관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열교환기를 중심으로, 열교환기 입구측에는 세정체투입용 벤츄리관이 설치되어 있고, 출구측에는 세정체회수용 벤츄리관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세정체회수용 벤츄리관 출구측에는 세정체 분리기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세정체투입용 벤츄리관과 세정체회수용 벤츄리관은 오리피스, 인젝트 등 유체속도를 증가시킴으로서 흡인력을 발생하는 기구로 대신 설치할 수도 있으며, 상기 세정체회수용 벤츄리관을 설치하는 대신 세정체반송유체회수 도관과 세정체홀딩유체회수 도관을,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존 설치되어 있는 유체 순환펌프 흡입측에 연결하여 세정체 분리기로부터 세정체 회수기로 세정체를 회수할 수도 있다.
상기 세정체 분리기는 체의 구조를 경사지게 원뿔대형으로 설치하고 유체입구와 유체출구를 같은 방향으로 배치하여 유체가 체를 통과할 때 방향변화를 작게 하여 유체 와류 발생에 따른 압력손실을 최소화하였으며, 또 세정체 분리기에 세정체 홀더를 더 구비하여 세정체 분리기에서 분리된 세정체를 즉시 세정체 홀더로 흡인하여 세정체 분리기의 체에는 세정체가 정체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체를 통과하는 유체에 대한 저항발생 요소를 제거하였으며, 또한 세정체와 체가 마찰하여 생기는 세정체 마모를 방지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세정체투입용 벤츄리관과 세정체회수용 벤츄리관에는 연통되게 세정체투입 도관과 세정체반송유체회수 도관이 설치되어 있고, 세정체회수 도관, 세정투입 도관, 세정체반송유체유입 도관, 세정체반송유체회수 도관 및 세정체홀딩유체회수 도관의 유로에는 각각 전자밸브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전자밸브들은 도시되지 않은 제어판넬에 의해 제어된다.
상기 세정체회수 도관과 세정체투입 도관의 사이에는 세정체 회수기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세정체 회수기는 내부에 세정체 회수기용 체가 설치되어 있고, 상부 덮개에는 사이트글라스가 구비되어 있어 세정체의 유동과 마모 정도를 관찰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또한 상부 덮개는 탈착이 용이한 구조로 되어 있어 세정체가 마모되었을 때 쉽게 교체가 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고안의 작동개요를 도8 및 도9를 예로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8을 통하여 세정체를 유체유입 도관에 투입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수동 볼밸브는 모두 열려있고 전자밸브는 모두 닫혀있는 상태에서, 상기세정체 회수기의 상부 덮개를 열어 적당 개수의 세정체를 넣은 후 덮개를 닫은 다음, 도시되어 있지 않은 제어판넬에 의해 세정체투입 도관, 세정체반송유체유입 도관, 세정체홀딩유체회수 도관에 설치되어있는 각각의 전자밸브를 열면, 유체유입 도관을 흐르던 유체 일부가 세정체투입용 벤츄리관의 흡인력에 의해 세정체반송유체유입 도관으로 유입되어 세정체 회수기, 세정체투입 도관을 거쳐 세정체투입용 벤츄리관으로 유입되며, 이 때 세정체 회수기에 저장되어 있던 세정체가 반송유체와 함께 열교환기로 유입된다. 세정체는 유체유입 도관을 흐르는 유체에 휩쓸러 열교환기 내를 통과하면서 튜브 내벽에 부착되어 있는 스케일, 슬라임 등 부착물을 제거한다. 열교환기를 통과한 세정체는 세정체 분리기에서 유체흐름 방향과 경사지게 설치된 원뿔대형 체에 의해 유체와 세정체가 분리되어, 유체는 유체유출 도관을 통하여 다음 공정으로 이송되고, 세정체는 세정체회수용 벤츄리관의 흡인력에 의해 세정체 분리기에 머물지 않고 분리 즉시 세정체 홀더로 유입되어 일시 정체하게 된다.
다음은 도9를 통하여 세정체 회수 과정을 설명하면, 열교환기로의 세정체 투입이 완료되고 나면, 도시되어 있지 않은 제어판넬에 의해 세정체투입 도관, 세정체반송유체유입 도관, 세정체홀딩유체 회수관에 설치되어 있는 각각의 열려있는 전자밸브를 닫고, 세정체회수 도관과 세정체반송유체회수 도관에 설치되어 있는 각각의 전자밸브를 연다. 세정체홀딩유체회수 도관에 설치된 전자밸브가 닫히고 세정체회수 도관과 세정체반송유체회수 도관에 설치되어 있는 전자밸브가 열리면, 세정체회수용 벤츄리관의 흡인력에 의해 세정체 홀더에 일시 정체하고 있던 세정체는 반송유체와 함께 세정체회수 도관을 통해 세정체 회수기로 흡인되어 온다. 상기 세정체 회수기로 흡인되어 온 세정체는 세정체회수기 체에 의해 걸려져 세정체는 세정체 회수기에 남고, 반송유체만 세정체회수용 벤츄리관에 흡인된다. 세정체가 세정체 회수기에 모두 회수되면 도시되어 있지 않은 제어판넬에 의해 세정체회수 도관과 세정체반송유체회수 도관에 설치되어 있는 전자밸브가 닫힌다. 그리고 일정시간이 경과되면 다시 도시되어 있지 않은 제어판넬에 의해 세정체투입 도관, 세정체반송유체유입 도관, 세정체홀딩유체회수 도관에 설치되어 있는 각각의 전자밸브를 열어 세정체가 열교환기로 투입되어 상기와 같은 과정을 반복한다.
본 고안은 열교환기 튜브 내부를 스폰지 볼과 같은 세정체를 이용하여 자동세정하는 장치에 있어서, 열교환기의 입구측에 세정체투입용 벤츄리관이 설치되고, 출구측에 세정체회수용 벤츄리관이 설치되며, 상기 세정체회수용 벤츄리관 출구측에 세정체 분리기가 설치되고, 상기 세정체 분리기 출구에는 세정체 회수기가 설치되되, 상기 세정체 회수기의 하부는 도관이 연결되어 둘로 분기하여 하나는 세정체반송유체유입 도관을 통하여 유체유입도관과 연통되고 다른 하나는 세정체반송유체회수 도관을 통하여 상기 세정체회수용 벤츄리관과 연통하고, 상기 세정체 회수기의 상부측면은 두개의 도관이 연결되어 하나는 세정체투입 도관을 통하여 세정체투입용 벤츄리관과 연통되고, 다른 하나는 세정체회수 도관을 통하여 상기 세정체 홀더의 하부와 연통되고, 상기 세정체투입 도관, 세정체회수 도관, 세정체홀딩유체회수 도관, 세정체반송유체유입 도관, 세정체반송유체회수 도관의 유로에는 각각 전자밸브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벤츄리관을 이용한 열교환기 튜브 자동세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세정체 분리기는 열교환기 출구측에서 들어오는 세정체를 유체와 분리하기 위한 원뿔대형의 세정체 분리기 체가 내부에 개재된 원통형으로, 길이방향으로 관통공이 형성되어 일측은 상기 세정체회수용 벤츄리관 출구와 연결되고 타측은 유체유출 도관과 연결되며, 상기 세정체 분리기 체와 연통하여 세정체 분리기의 하부에 세정체 홀더가 더 구성되되, 상기 세정체 홀더의 하부는 세정체회수 도관을 통하여 세정체 회수기와 연통되고 측면은 세정체홀딩유체회수 도관을 통하여 세정체회수용 벤츄리관과 연통되고, 세정체 홀더 체가 세정체 홀더의 내부에 원통형으로 개재되어 상기 세정체회수용 벤츄리관의 흡인력으로 세정체홀딩유체회수 도관으로 흐르는 유체와 세정체가 분리 가능하게 구성되어 세정체 분리기 체에 의해 분리된 세정체를 즉시 흡인하여 일시 보관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세정체 분리기의 하부에 세정체 홀더와 세정체홀딩유체회수 도관을 생략하고 구성하면, 즉 상기 세정체 분리기 체와 상기 세정체회수 도관을 직접 연결하여 구성하면, 상기 세정체는 종래의 장치와 유사하게 상기 세정체 분리기 체에 정체하게 된다. 그러나 이 경우에도 본 고안은 별도의 압축기나 펌프를 설치하지 않고 상기 세정체투입용 벤츄리관과 세정체회수용 벤츄리관의 흡인력으로 세정체를 열교환기 내로 투입하여 소정의 효과를 거둘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서, 상기 세정체회수용 벤츄리관을 설치하는 대신 세정체반송유체회수 도관과 세정체홀딩유체회수 도관을,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존 설치되어 있는 유체 순환펌프 흡입측에 연결하여 세정체 분리기로부터 세정체 회수기로 세정체를 회수할 수도 있으며, 상기 벤츄리 대신 오리피스, 인젝트 등 유체속도를 증가시킴으로서 흡인력을 발생하는 기구를 설치하여도 유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은 열교환기 입구 및 출구측에 설치되어 있는 세정체투입용 벤츄리관과 세정체회수용 벤츄리관의 흡인력을 이용하여 스폰지 볼과 같은 세정체를 열교환기 튜브 내부로 투입하거나 세정체 회수기로 회수하는 것이 가능하여, 종래 펌프나 압축기와 같은 유체기계에 의해 이와 같은 작동이 이루어졌던 방식에 비해, 제작이 간단하고, 제작비용이 적게 들며, 장치운전에 별도의 동력이 필요 없어 에너지절약 효과가 있고, 또한 장비유지관리에 있어서도 유지관리비 및 관리 인력이 현격히 절감된다는 장점이 있다.
또 종래 열교환기 입구 유체유입 도관에 전동밸브를 설치하고, 상기 유체유입 도관과 병렬로 벤츄리관을 설치하여, 세정체를 투입할 때만 전동밸브를 열어 벤츄리관에 유체를 흐르게 하는 방식에 비해서도, 상기 본 고안방식은 고가의 전동밸브 설치를 생략하고 유체유입 도관에 직접 압력손실이 매우 적은 벤츄리관을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여 경제적이고 유체 순환펌프의 무리한 부하증가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세정체 분리기에 있어서는, 체의 형태를 원뿔대형으로 하여 유체흐름과 경사지게 설치함으로써 유체가 체를 통과할 때 흐름방향 변화를 작게 하여 유체 와류 발생에 따른 압력손실을 최소화하였으며, 또 세정체 분리기에 세정체 홀더를 더구비하여 세정체 분리기에서 분리된 세정체를 즉시 세정체 홀더로 흡인하여 세정체 분리기의 원뿔대형 체에는 세정체가 정체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원뿔대형 체를 통과하는 유체에 대한 저항발생 요소를 제거였으며, 또한 세정체와 원뿔대형 체가 마찰하여 생기는 세정체 마모를 방지하였다. 이렇게 함으로써 유체 순환펌프에 소요되는 에너지를 절감하고 세정체의 사용수명을 연장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열교환기(2) 튜브 내부를 스폰지 볼과 같은 세정체(18)를 이용하여 자동세정하는 장치에 있어서, 열교환기(2)의 입구측에 세정체투입용 벤츄리관(8)이 설치되고, 출구측에 세정체회수용 벤츄리관(9)이 설치되며, 상기 세정체회수용 벤츄리관(9) 출구측에 세정체 분리기(3)가 설치되고, 상기 세정체분리기(3) 출구에는 세정체 회수기(7)가 설치되되, 상기 세정체 회수기(7)의 하부는 도관이 연결되어 둘로 분기하여 하나는 세정체반송유체유입 도관(12)을 통하여 유체유입 도관(1)과 연통되고, 다른 하나는 세정체반송유체회수도관(13)을 통하여 상기 세정체회수용 벤츄리관(9)과 연통하고, 상기 세정체회수기(7)의 상부측면은 두개의 도관이 연결되어 하나는 세정체투입 도관(11)을 통하여 세정체투입용 벤츄리관(8)과 연통되고, 다른 하나는 세정체회수 도관(10)을 통하여 상기 세정체 분리기(3)의 하부와 연통되고, 상기 세정체회수 도관(10), 세정체투입 도관(11), 세정체반송유체유입 도관(12), 세정체반송유체회수 도관(13), 세정체홀딩유체회수 도관(14)의 유로에는 각각 전자밸브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벤츄리관을 이용한 열교환기 튜브 자동세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체회수용 벤츄리관(9)를 설치하는 대신 세정체반송유체회수도관(13)과 세정체홀딩유체회수 도관(14)을 기존 설치되어 있는유체 순환펌프(17) 흡입측에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벤츄리관을 이용한 열교환기 튜브 자동세정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체 분리기(3)는 열교환기(2) 출구측에서 들어오는 세정체(18)를 유체와 분리하기 위한 원뿔대형의 세정체 분리기 체(4)가 내부에 개재된 원통형으로, 길이방향으로 관통공이 형성되어 일측은 상기 세정체회수용 벤츄리관(9)의 출구와 연결되고 타측은 유체유출 도관(5)과 연결되며, 상기 세정체 분리기 체(4)와 연통하여 세정체 분리기(3)의 하부에 세정체 홀더(6)가 더 구성되되, 상기 세정체 홀더(6)의 하부는 세정체회수 도관(10)을 통하여 세정체 회수기(7)와 연통되고, 측면은 세정체홀딩유체회수 도관(14)을 통하여 세정체회수용 벤츄리관(9)과 연통되고, 세정체 홀더 체(19)가 세정체홀더(6)의 내부에 원통형으로 개재되어 상기 세정체회수용 벤츄리관(9)의 흡인력으로 세정체홀딩유체회수 도관(14)으로 흐르는 유체와 세정체가 분리 가능하게 구성되어 세정체 분리기 체(4)에 의해 분리된 세정체(18)를 즉시 흡인하여 일시 보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벤츄리관을 이용한 열교환기 튜브 자동세정장치.
KR2020020023549U 2002-08-03 2002-08-03 벤츄리관을 이용한 열교환기 튜브 자동세정장치 KR20029412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3549U KR200294126Y1 (ko) 2002-08-03 2002-08-03 벤츄리관을 이용한 열교환기 튜브 자동세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3549U KR200294126Y1 (ko) 2002-08-03 2002-08-03 벤츄리관을 이용한 열교환기 튜브 자동세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4126Y1 true KR200294126Y1 (ko) 2002-11-04

Family

ID=731269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3549U KR200294126Y1 (ko) 2002-08-03 2002-08-03 벤츄리관을 이용한 열교환기 튜브 자동세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4126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46510A1 (ko) * 2012-09-20 2014-03-27 정우산기 주식회사 볼 재순환 장치
KR101431395B1 (ko) 2013-10-02 2014-08-18 진병윤 유량변동에 따른 직.병렬 겸용 폐열회수용 열교환기 시스템
KR101432521B1 (ko) * 2012-09-20 2014-08-21 정우산기 주식회사 볼 재순환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46510A1 (ko) * 2012-09-20 2014-03-27 정우산기 주식회사 볼 재순환 장치
KR101432521B1 (ko) * 2012-09-20 2014-08-21 정우산기 주식회사 볼 재순환 장치
US9835393B2 (en) 2012-09-20 2017-12-05 Jeongwoo Industrial Machine Co., Ltd. Apparatus for circulating balls for cleaning a pipe line
KR101431395B1 (ko) 2013-10-02 2014-08-18 진병윤 유량변동에 따른 직.병렬 겸용 폐열회수용 열교환기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059236B (zh) 一种改良的管道清洁系统
CN206587457U (zh) 一种管道过滤结构及空调系统
CN101839669B (zh) 一种中央空调冷凝器的在线清洗系统
CN105823371B (zh) 一种小型前端封头管箱清洗机
JP2016520785A (ja) 凝縮器におけるゴムボール洗浄の多点集中ボール放出システム
WO2005124261A1 (en) A heat exchanger aoto cleaning system using ejector
KR200294126Y1 (ko) 벤츄리관을 이용한 열교환기 튜브 자동세정장치
CN105797455A (zh) 一种排污水循环再利用自动清洗网式过滤器
CN102788528B (zh) 胶球清洗系统
KR100607685B1 (ko) 펌프이용 열교환기튜브 자동세정장치
KR100476534B1 (ko) 유체자력을 이용한 열교환기 튜브 자동세정장치
KR200294153Y1 (ko) 열교환기 튜브 자동세정장치
CN204227989U (zh) 换热器在线清洗装置
CN201889307U (zh) 一种改良的管道清洁系统
CN206793149U (zh) 一种危废预处理系统的过滤装置
JPH05280890A (ja) 伝熱管自動クリーニング装置
CN205784828U (zh) 一种小型前端封头管箱清洗机
CN214120920U (zh) 一种换热器清洗装置
CN1969166B (zh) 使用喷射器的热交换器自动清洁系统
CN113522028A (zh) 具备远程故障判断装置的供水超滤设备及故障判断方法
KR100537943B1 (ko) 볼순환펌프를 이용한 열교환기튜브 자동세정장치
CN114458591A (zh) 一种给水泵用防变形的可拆卸式滤网及其安装方法
KR200294127Y1 (ko) 볼 순환펌프를 이용한 열교환기 튜브 자동세정장치
CN209069091U (zh) 一种无动力在线清洗装置
CN108548449A (zh) 一种无动力在线清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