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3743Y1 - 화물차량용 화물결박장치 - Google Patents

화물차량용 화물결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3743Y1
KR200293743Y1 KR2020020021349U KR20020021349U KR200293743Y1 KR 200293743 Y1 KR200293743 Y1 KR 200293743Y1 KR 2020020021349 U KR2020020021349 U KR 2020020021349U KR 20020021349 U KR20020021349 U KR 20020021349U KR 200293743 Y1 KR200293743 Y1 KR 20029374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ertion hole
cargo
freight
side plates
belt inse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134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영달
Original Assignee
(주)한영정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영정공 filed Critical (주)한영정공
Priority to KR202002002134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374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374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3743Y1/ko

Links

Landscapes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화물차량에 적재된 화물을 결박시키는데 사용되는 화물결박장치에 관한 것으로, 화물차량에 설치되어 적재된 화물을 평벨트나 로프 등으로 결속시키는데 사용되는 결박장치로서, 상판(21), 상판(21)의 좌,우측에 입설된 측판(22, 22), 상기 측판(22,22)의 일측면에 힌지 결합된 포올(23)을 갖고 화물 차체에 고정 설치되는 결박장치몸체(20)와; 상기 몸체(20)의 측판(22,22) 하단에 회전 가능하게 횡설되고, 길이방향으로 관통된 벨트삽입장공(31)과, 벨트삽입장공(31)의 일단에 절곡 연결된 후크형 고리(32)를 갖고, 양단에 육각단면으로 돌출된 육각머리부(33, 33)가 구비된 회전봉(30)과; 상기 회전봉(30)의 일단에 일체로 축설되어 상기 포올(23)과 치형물림되는 래치휠(40)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화물차량용 화물결박장치{Freight binding device for vehicle}
본 고안은 화물차량에 적재된 화물을 결박시키는데 사용되는 화물결박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로프는 물론 평벨트의 일단을 확고하게 연결시킬 수 있도록 한 화물차량용 화물결박장치에 관한 것이다.
화물차량에 적재된 화물은 운반의 안전성을 위해 로프나 평벨트로 결박시키는 경우가 있다. 이럴 경우를 대비해 화물차량에는 화물결박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종래의 화물결박장치로는 선출원된 공개번호 실1989-0006725호(공개일, 1989.05.15; 화물자동차용 화물 결박장치)가 있다. 이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박봉(18)이 형성된 결박관(4) 및 래치휠(5) 및 포올(13), 레바축공(21)이 형성된 로프조절봉(6)을 좌,우 브라켓트(2,3)에 동일 축선상으로 일체로 고정설치하여 구성된 결박장치(1)를 화물차의 하부에 고정 설치하여 레바(23)로 로프를 결박하는 것에 있어서, 좌,우 브라켓트(2,3) 사이에 상기 결박관(4)을 설치하며, 좌측 브라켓트(2)의 외주면에 래치휠(5) 및 포올(13)을, 우측 브라켓트(3)의 외주면에 로프조절봉(6)을 동일 축선상에 위치되게 각각 고정설치한 것으로, 결박봉(18)에 로프의 일단을 건 상태에서 레바(23)를 회전시켜서 로프를 조임한다. 이때 래치휠(5)은 포올(13)에 걸림되어 로프의 풀림을 방지된다. 그리고 로프를 풀 경우에는 래치휠(5)로부터 포올(13)의 걸림을 해제시킨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화물 결박장치는, 결박봉(18)에 연결되기 위해 로프만이 가능하였다.
즉, 단면이 대략 직사각 형태를 갖는 평벨트의 경우는 별도의 연결고리를 설치해야 하고, 연결고리를 사용한다 하더라도 결박관(4)에 감김상태가 불량하게 되어 평벨트를 그대로 사용할 수 없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로프는 물론이고 평벨트도 손쉽게 끼워 조임시킬 수 있도록 한 화물차량용 결박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화물차량용 화물결박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화물차량용 화물결박장치조립체의 설치상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화물차량용 화물결박장치조립체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화물차량용 화물결박장치조립체의 정면도.
도 5는 도 4의 우측면도.
도 6은 도 4의 A-A선에서 본 단면도.
도 7,8은 본 고안에 따른 화물차량용 화물결박장치조립체의 사시도로서, 평벨트와 로프를 이용한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결박장치몸체 22 : 측판
23 : 포올 30 : 회전봉
31 : 벨트삽입장공 32 : 후크형 고리
33 : 육각머리부 40 : 래치휠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결박장치조립체(10)가 화물차량(5)에 수개 설치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3은 상기 결박장치조립체(10)의 사시도로서, 도면부호 20은 결박장치몸체이다.
상기 결박장치몸체(20)는, 단면이 L자형인 상판(21)과, 상판(21)의 좌,우측에 입설된 측판(22,22)과, 상기 측판(22,22)의 일측면에 힌지 결합된 포올(23)을 갖고 있다.
상기 상판(21)은 본 장치가 화물 차체에 고정 되는 부분으로 예로, 용접으로 연결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판(20)과 측판(22,22)은 하나의 주물로 제작될 수도 있고, 용접으로 상호 연결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포올(23)은 측판(22)의 힌지핀(24)에 힌지 연결되어 회동 자유롭게 설치된다. 포올(23)은 자중에 의해 일방향으로 회전되어 후술할 래치휠(40)의 치형홈에 걸림되는 조부(爪部)(23a)와 포올(23)을 회전시켜 래치휠(40)의 치형홈으로부터 걸리헤제시키기 위해 회전유도턱(23b)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몸체(20)의 측판(22,22) 하단에는 회전봉(30)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상기 회전봉(30)에는 일정구간 길이방향으로 관통된 벨트삽입장공(31)과, 벨트삽입장공(31)의 일단에 절곡 연결된 후크형 고리(32)가 구비되어 있다. 벨트삽입장공(31)의 길이는 평벨트의 폭과 같거나 적어도 크게 되어 있다.
이때 후크형 고리(32)는 단면이 원형으로 되어 있고, 일단이 도 6과 같이 회전봉(30)에 삽입되어 용접으로 고정되어 있다. 도 6은 도 4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4는 결박장치조립체(10)의 정면도이다.
그리고 회전봉(30)의 양단에는 육각단면으로 돌출된 육각머리부(33,33)가 구비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2개의 육각머리부(33,33)를 구비하였으나 어느 하나만을 구성하여도 좋다.
본 실시예에서는 래치휠(40)과 가까운 육각머리부(33)는 회전봉(30)과 일체형으로 제작되어 있고, 다른 한쪽의 육각머리부(33)가 육각너트로 구성되어 용접으로 고정하여서 된 것이다.
육각머리부(33,33)는 일반적인 스패너는 물론이고 육각래치공구(도시안됨)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종래와 같이 레버를 회전시키는 방식이 아니므로 레버가 불필요하다.
상기 회전봉(30)의 일단에는 상기 포올(23)과 치형물림되는 래치휠(40)이 축설되어 있다.
이때 래치휠(40)과 회전봉(30)은 주물로 제작하여 한 몸체로 구성될 수 있고, 분리 조립되는 구성으로 할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도 7,8과 같이 평벨트(11)와 로프(12)를 다 사용할 수 있다.
로프(12)를 사용할 경우에는 도 12와 같이 후크형 고리(32)에 연결하고, 평벨트(11)를 사용할 경우에는 도 7과 같이 회전봉(30)의 벨트삽입장공(31)에 끼워넣으면 된다.
이같은 상태에서 육각래치공구를 어느 한쪽의 육각머리부(33)에 끼워넣고 래치휠(40)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정회전시키게 되면, 평벨트(11)의 연결단부가 꺾임되어 회전봉(30)에 감아진다. 이때 래치휠(40)은 치형홈의 경사면으로 포올(23)을 들어올리면서 회전한다.
이같이 하여 화물을 에워싼 평벨트(11)가 긴장되어 화물을 조임하게 되면, 회전봉(30)은 역회전하지 않는다. 그 이유는 포올(23)의 조부(23a)가 래치휠(40)의 치형홈의 수직턱에 걸림되기 때문이다.
한편, 화물을 결박시킨 평벨트(11)의 긴장을 풀고자 할 경우는 포올(23)의 회전유도턱(23b)을 강제적으로 들어올린다. 이렇게 되면 래치휠(40)로부터 포올(23)의 이물림이 해제되어 회전봉(30)이 자유롭게 회전가능하기 때문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화물차량용 결박장치에 따르면 로프는 물론이고 평벨트를 감김 조임시킬 수 있어 사용자의 선택의 폭이 넓다.
또한 종래의 회전레버가 삭제됨으로서 구성이 간단해지고 차량에 설치시 예기치 못한 물체에 의해 걸리적거리는 불편을 줄일 수 있다.

Claims (1)

  1. 화물차량에 설치되어 적재된 화물을 평벨트나 로프 등으로 결속시키는데 사용되는 결박장치로서,
    상판(21), 상판(21)의 좌,우측에 입설된 측판(22,22), 상기 측판(22,22)의 일측면에 힌지 결합된 포올(23)을 갖고 화물 차체에 고정 설치되는 결박장치몸체(20)와;
    상기 몸체(20)의 측판(22,22) 하단에 회전 가능하게 횡설되고, 길이방향으로 관통된 벨트삽입장공(31)과, 벨트삽입장공(31)의 일단에 절곡 연결된 후크형 고리(32)를 갖고, 양단에 육각단면으로 돌출된 육각머리부(33,33)가 구비된 회전봉(30)과;
    상기 회전봉(30)의 일단에 일체로 축설되어 상기 포올(23)과 치형물림되는 래치휠(40)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량용 화물결박장치.
KR2020020021349U 2002-07-16 2002-07-16 화물차량용 화물결박장치 KR20029374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1349U KR200293743Y1 (ko) 2002-07-16 2002-07-16 화물차량용 화물결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1349U KR200293743Y1 (ko) 2002-07-16 2002-07-16 화물차량용 화물결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3743Y1 true KR200293743Y1 (ko) 2002-11-01

Family

ID=731262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1349U KR200293743Y1 (ko) 2002-07-16 2002-07-16 화물차량용 화물결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3743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9694B1 (ko) * 2016-09-05 2017-11-21 박상권 화물용 끈 조임장치의 스토퍼
KR20230085015A (ko) 2021-12-06 2023-06-13 최치행 벨트 조임용 결속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9694B1 (ko) * 2016-09-05 2017-11-21 박상권 화물용 끈 조임장치의 스토퍼
KR20230085015A (ko) 2021-12-06 2023-06-13 최치행 벨트 조임용 결속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148026C (en) Winch bar
US7216849B2 (en) Winch, vehicle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of operating associated thereto
US7108246B2 (en) Winch for cargo tie-down straps
US8272820B2 (en) Rope fastening device
US6939095B1 (en) Selectively removable tie-down anchor
US7360978B2 (en) Combination chain and strap tie down apparatus and system
US5941666A (en) Dunnage securement device
US20070215848A1 (en) Leverage tool for tightening devices
US5664918A (en) Cargo tie down device
US4884928A (en) Belt binder for cargo binder chains
US7484917B2 (en) Strap tie down apparatus and system
US5180262A (en) Adjustable chain vehicle tie-down apparatus
US5316266A (en) Strap extender and tensioning system
US6092437A (en) Winch bar
KR200293743Y1 (ko) 화물차량용 화물결박장치
ES2350044T3 (es) Cabrestante, vehículo que incluye el mismo y método de funcionamiento asociado al mismo.
US6789384B2 (en) Adjustable hook and chain
AU2014344797B2 (en) A tie down assembly
CA1060328A (en) Anti-skid attachment for vehicle tires
JP4781996B2 (ja) ウインチ、それを備えた運搬車、および繋留方法
JP3104849B2 (ja) 滑車の挟まれ防止装置
CA2507849C (en) Winch, vehicle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of operating associated thereto
CA1319674C (en) Winch device
CA2577739A1 (en) Leverage tool for tightening devices
KR900009393Y1 (ko) 화물 자동차용 화물 결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01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