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3649Y1 - 단일시트로 제조되는 우산지붕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단일시트로 제조되는 우산지붕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3649Y1
KR200293649Y1 KR2020020021996U KR20020021996U KR200293649Y1 KR 200293649 Y1 KR200293649 Y1 KR 200293649Y1 KR 2020020021996 U KR2020020021996 U KR 2020020021996U KR 20020021996 U KR20020021996 U KR 20020021996U KR 200293649 Y1 KR200293649 Y1 KR 20029364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mbrella
single sheet
joining
bonding
roo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199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무락
이범근
Original Assignee
이범근
이무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범근, 이무락 filed Critical 이범근
Priority to KR202002002199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364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364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3649Y1/ko

Links

Landscapes

  • Walking Sticks, Umbrellas, And Fa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정다각형의 단일시트(11)로 제조되는 우산지붕(1)으로서, 상기 단일시트(11)는, 상기 정다각형의 중심(22)과 꼭지점(21)을 잇는 가상선(12) 각각에 대해 서로 인접한 채 대칭을 이루고, 상기 단일시트(11)의 외주 모서리로(23)부터 상기 가상선 상의 일지점(14) 바로 전 까지 수렴식으로 이어지는 복수의 접합선(15a, 15b)과; 상기 접합선(15a, 15b)과 같은 길이로 상기 접합선(15a, 15b)을 따라 제공된 복수의 접합영역(16a, 16b)을 포함하며, 상기 접합영역(16a) 각각이 그 사이의 가상선(12)을 사이에 두고 인접하는 접합영역(16b)과 서로 접합되어 전체적으로 활형 구조를 이루며, 상기 접합에 의해 우산살대(3)가 통과되는 통로(19a)가 형성되어지도록 상기 접합영역(16a, 16b) 사이에는 비접합영역(16c)이 제공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단일시트로 제조되는 우산지붕 및 그 제조방법{UMBRELLA CANOPY MANUFACTURED FROM A SINGLE SHEET AND THE METHOD FOR MAKING THE SAME}
본 고안은 일반적으로 우산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단일시트로 제조되는 우산지붕(canopy) 및 그 우산지붕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여기에서, 용어 "우산"은 비를 막는데 사용하는 일반적인 의미의 우산을 포함하는 것은 물론이고 양산, 파라솔과 같이 이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 모든 것들을 함축하는 것이다.
효율적인 우산이 되기 위해서는, 우산지붕 위에 물이 축적되지 않는 것이 필수적이며, 그렇지 않을 경우, 우산지붕 위의 물이 우산 사용을 쉽지 않게 할 것이며, 우산지붕에 손상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일반적인 우산지붕은 활형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활형 구조의 우산지붕은 그 위에 떨어지는 물이 방사상 방향으로 흘러 그 외주 모서리에서 아래로 떨어지게 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활형 구조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 조각 형상과 같은 복수의 원단 조각(31)들로 만들어지며, 각각의 원단 조각(31)들은 원단 조각 각각의외주 모서리(32) 보다 길며 그 중간에 볼록부(33a)를 갖는 측면 모서리(33)를 가지며, 그 결과, 모든 원단 조각(31)들의 측면 모서리(33)들이 함께 재봉될 때, 활형 구조가 우산지붕(30)에 제공되어진다. 하지만, 이러한 우산지붕(30)은 원단 조각 각각을 재봉하는 공정이 필수적이므로 제조가 쉽지 않고 제조 비용 또한 크다.
또한, 우산살대를 우산지붕에 조립할 때, 이를 고정하는 부분은 각각의 우산살대와 우산지붕에 이들을 고정하는 수단이 구비되어야 하는데, 이러한 공정은 일반적으로 우산살대를 우산지붕에 실 등으로 재봉하거나 꿰매는 노동소모적인 공정을 통해 달성되며, 하나의 우산살대 당 네 개의 고정부위를 갖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우산살대를 우산지부에 재봉하거나 꿰매는 공정, 즉 우산살대에 대한 우산지붕의 고정부분을 줄이는 노력이 계속되어 지고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 언급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한 장의 정다각형의 일체형 원단으로 제조되는 우산지붕 및 그 우산지붕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우산살대와 우산지붕을 고정시키는 고정부위를 감소시킬 수 있는 우산지붕 및 그 우산지붕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제조가 용이하고 경제적인 우산지붕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우산지붕으로 만들어진 우산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우산지붕 제조시 우산지붕 내측을 이루는 단일시트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우산지붕에 활형 구조를 제공하기 위해 복수의 접합영역이 제공되어 있는 정팔각형 단일시트의 배면도.
도 3은 도 1 및 도 2 실시예의 우산지붕에 우산살대가 맞물린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도 1 및 도 2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우산의 내측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우산살대가 고정된 상태를 보이기 위한 우산지붕의 배면도.
도 5는 도 1 내지 도 4 실시예의 우산지붕을 제조하는 각각의 단계를 나타내는 순서도.
도 6은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우산지붕 제조를 위한 정팔각형 단일시트의 배면도.
도 7은 도 6 실시예의 우산지붕으로 만들어진 우산을 도시한 배면도.
도 8은 도 6 실시예의 우산지붕으로 만들어진 우산을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우산지붕을 제조하기 위한 단일시트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종래 우산지붕을 제조하기 위해 8개의 파이형상 원단을 서로 맞대어 놓은 상태를 도시한 도면.
상술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중심부와 복수의 꼭지점을 잇는 복수의 가상선을 갖는 정다각형의 단일시트로 제조되는 우산지붕을 제공한다.
상기 단일시트는, 각각의 꼭지점으로부터 이와 상응하는 가상선 상의 일지점까지 연장된 주름선 각각에 대해 서로 인접한 채 대칭을 이루고, 상기 단일시트의 외주 모서리로부터 상기 주름선의 말단점 바로 전 까지 수렴식으로 이어지는 접합선과; 상기 접합선과 같은 길이로 상기 접합선을 따라 제공된 접합영역을 포함한다.
상기 우산지붕은 서로 인접하는 접합영역들이 그 사이의 주름선을 사이에 두고 서로 접합되어 전체적으로 활형 구조를 이룬다.
이 때, 상기 접합영역 사이에는 비접합영역이 제공되므로, 우산제조 또는 조립시 우산살대가 통과될 수 있는 통로가 형성되어진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우산지붕 제조방법은 원단을 중심부와 복수의 꼭지점을 잇는 복수의 가상선을 갖는 정다각형의 단일시트로 재단하는 재단단계와; 상기 가상선 각각에 대해 인접한 채 대칭을 이루며 외주 모서리로부터 가상선 바로 전까지 연장되어 있는 접합영역을 상기 단일시트 상에 표시하는 접합영역 표시단계와; 활모양의 우산지붕을 형성하도록 상기 접합영역을 접합하는 접합영역 접합단계를 포함하며, 여기에서, 상기 접합영역 사이에는 비접합 영역이 제공되어 우산살대가 통과되는 통로가 형성된다.
또한, 본 고안은 정다각형의 단일시트로 제조되는 우산지붕을 제공하되, 상기 단일시트는, 상기 정다각형의 중심과 꼭지점을 잇는 가상선 각각에 대해 서로인접한 채 대칭을 이루고, 상기 단일시트의 외주 모서리로부터 상기 가상선 상의 일지점까지 수렴식으로 이어지는 복수의 접합선과; 상기 접합선을 따라 인접부분이 서로 접해지도록 제공된 복수의 접합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접합영역 각각이 그 사이의 가상선을 사이에 두고 인접하는 접합영역과 서로 접합되어 전체적으로 활형 구조를 이루며, 상기 접합영역의 접합에 의해 형성되는 주머니의 막혀진 부분에 개구부를 형성시켜, 우산살대가 통과되는 통로를 형성시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우산지붕을 제조하기 위해서, 본 고안은 중심부와 꼭지점을 잇는 복수의 가상선을 갖는 정다각형의 단일시트로 우산지붕 원단을 재단하는 재단단계와; 상기 가상선 각각에 대해 인접한 채 대칭을 이루며 외주 모서리로부터 가상선까지 연장되어 있는 접합영역을 상기 단일시트 상에 표시하는 접합영역 표시단계와; 활모양의 우산지붕을 형성하도록 상기 접합영역을 접합하는 접합영역 접합단계와; 상기 접합에 의해 막혀진 채 형성된 주머니에 우산살대가 통과하는 개구부를 형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지붕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가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우산지붕(10)을 갖는 우산(1)이 전체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는 본 고안에 따른 우산지붕(10)이 8각형 구조로 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는 본 고안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우산지붕(10)은 원형, 정사각형, 정오각형, 정육각형 등의 정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질 수 있다.
우산지붕(10)은 하나의 평평한 단일시트로 만들어지며, 그 단일시트(11)는 종래에 우산지붕의 소재로 널리 이용되던 직물원단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고, 중합체, 바람직하게는 PVC, PP, PE로 만들어진 원단 또는 직물원단과 중합체 원단을 서로 합지하여 만들어진 원단을 이용할 수도 있다.
여기에서, 중합체 원단 또는 직물-중합체 합지 원단은 이하에서 다시 설명될 접착제 접합, 열접합, 고주파 접합 등에 적합하다.
우산을 피고 접을 때 그 형상이 유지되어질 수 있도록, 상기 언급된 원단들이 적당한 탄성을 갖고 있어야 하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실이다.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우산지붕(10)은 먼저 정팔각형의 평평한 원단시트(11)로 준비된다.
도 2에는, 본 고안의 구성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상기 정팔각형의 중심(22)과 각각의 꼭지점(21)을 잇는 가상선(12)이 전체적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우산(1) 조립시, 그 가상선(12) 상에는 우산살대(3; 도 4 참조)가 놓여지게 될 것이다. 여기에서, 상기 중심(22)에는 우산대(2; 도1 참조)가 제공되어 우산(1)을 전체적으로 지지하며, 이는 당업자에게 자명하고 본 고안의 사상과는 관련이 적으므로 본 명세서에서는 그 설명이 생략될 것이다.
각각의 가상선(12) 상의 일 지점, 바람직하게는 그 가상선의 약 1/2이 되는 지점과 각각의 꼭지점 사이에는 도면에서 일점쇄선으로 도시된 주름선(13)이 제공된다. 여기에서, 주름선(13)은, 단일시트를 이루는 직물원단, 중합체 원단 또는 직물-중합체 합지 원단의 특성상, 실질적으로 임의의 가공이 이루어지는 부분이 아니며,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될 바와 같이, 우산지붕(10)이 제조되어 펴져 있는 상태에서, 주름이 형성되어 있는 부분의 중심선이므로, "주름선"이라는 용어로 칭해진 것이다.
한 편, 상기 단일시트(11)는 상기 주름선(13) 각각에 대해 서로 대칭을 이루면서 인접하고 있는 각각 한 쌍의 접합선(15a, 15b)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그 접합선(15a, 15b) 각각은 단일시트(11) 상에 있는 각각 외주 모서리 상의 지점들로부터 상기 주름선(13)을 사이에 두고 그 주름선(13)의 내측 말단점(14)을 향해 수렴식으로 연장된다.
이 때, 상기 접합선(15a, 15b)은, 이하 상세히 설명되는 접합 영역(16a, 16b)의 접합시 우산살대가 통과하는 통로(19a; 도 3 참조)가 형성될 수 있도록, 내측 말단점(14)에 도달하기 전에 소정 위치에서 그 연장이 끝나며, 이는 도 2에 잘 도시되어 있다.
접합영역(16a, 16b)은 상기 접합선(15a, 15b)에 인접하게 그 접합선(15a, 15b)과 같은 길이로 그 전체를 따라 제공된 부분이며, 우산살대(3)가 통과하는 통로(19a)가 도 3의 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성될 수 있도록, 접합선(15a, 15b)을 따라 내측 말단점(14) 바로 전까지 제공된다.
따라서, 각각 한 쌍의 접합영역(16a, 16b)이 주름선(13) 부근의 비접합영역(16c)을 사이에 두고 서로 접합되면, 상기 단일시트(10)는 도 1에 도시된 활형상의 우산지붕(1)을 이루게 되며, 접합선(16a, 16b)을 따라 가상적으로 이어진 원 부분(20a)에는 우산지붕(1)의 경사도가 급격하게 바뀌는 볼록부(20)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성되어진다.
또한, 우산살대(3)가 통과하는 통로(19a)를 둘러싸는 우산살대 고정부(19)를 나타내는 우산의 배면도가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합영역(16a, 16b)의 접합에 의해 형성된 고정부(19)는 우산살대(3)를 보강하는 역할을 하여 우산살대(3)를 우산지붕(10)에 고정시키는 부위를 줄이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제, 도 5를 참조로 하여,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우산지붕을 제조하는 방법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이루어질 것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우산지붕 제조방법은 정다각형의 단일시트(11)를 재단하는 재단단계(S10)와, 재단된 단일시트(11) 상에 접합영역(16a, 16b)을 표시하는 접합영역 표시단계(S20)와, 그 접합영역(16a, 16b)을 접합하는 접합시켜 활모양의 우산지붕을 형성시키는 접합단계(S30)를 포함한다.
상기 재단단계(S10)에서는 중합체 또는 직물-중합체 원단이 소정 크기의 정다각형으로 재단되며, 재단된 단일시트(11)는 정다각형이므로 중심부와 복수의 꼭지점을 잇는 복수의 가상선(12)을 갖고 있다.
상기 접합영역 표시단계(S20)에서 표시된 접합역역(16a, 16b)은 상기 가상선(12) 각각에 대해 인접한 채 대칭을 이루며 외주 모서리(23)로부터 가상선(12) 바로 전까지 연장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접합영역(16)은 이후 기술될접합단계(S30)를 위한 공정으로서, 용어 "표시"는 단일시트(11)에 대한 직접적인 소정의 표시수단으로 표시하는 것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고, 그 다음 단계인 접합단계(S30)를 위해 접합될 부분을 미리 정하는 것을 의미한다. 즉, 자동화 장치 등에서 상기 접합이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그 자동화장치에 접합되는 영역을 미리 입력시키는 것 또한 접합영역의 표시에 포함된다 할 것이다.
이 때, 재단단계(S10)와 접합영역 표시단계(S20) 사이 또는 접합영역 표시단계(S20) 후에는 단일시트(11)의 중심에 우산대(2)가 통과하는 구멍을 형성시키는 단계가 포함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접합단계(40)는 접합단계(S30)에서 표시된 접합영역(16a-16f)을 재봉하거나 그 접합영역(16a, 16b)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접착하거나, 소정의 접합수단, 예를 들면, 열접합 수단 또는 고주파 접합 수단 등에 의해 접합시킴으로써 달성되며, 이 때, 상기 접합은, 접합영역(16a, 16b)이 가상선(12) 바로 전까지만 연장되어 있으므로, 우산살대(3)가 통과되는 통로(19a)를 남긴 채 이루어진다.
이 때, 접착제 도포에 의한 접합 또는 열접합 또는 고주파 접합 등은 기존의 직물 섬유로 이루어진 원단에서는 불가능하거나 가능하더라도 접합효율이 떨어진다. 따라서, 접착제 도포에 의한 접합 또는 열접합 또는 고주파 접합의 경우에는, 단일시트는 예를 들면, PVC, PE, PP 등을 포함하는 중합체층을 포함하거나 중합체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우산지붕 및 그 우산지붕의 제조방법에 대한 설명이 이루어질 것이다.
도 6 및 도 7에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우산지붕 단일시트(11)의 배면도 및 그 우산지붕 단일시트(11)로 만들어진 우산(1)의 배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8에는 도 6 실시예의 우산지붕으로 만들어진 우산(1)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6 내지 도 8에서 도 1내지 도 5의 제 1 실시예의 구성요소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도 1 내지 도 5에서 사용한 도면부호와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또한, 도 1 내지 도 5에서 도시된 우산지붕의 구성요소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우산지붕의 단일 시트(11)는, 가상선(12) 바로 전까지 접합선 및 접합영역이 제공되던 제 1 실시예와는 달리, 서로 인접하는 접합선들(15a, 15b) 및 접합영역들(16a, 16b)이 가상선(12)과 만나는 지점까지 연장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그 후, 접합영역들(16a, 16b)이 접합되면 8개의 주머니가 형성되어질 것이다. 이러한 주머니는 우산살대가 통과할 수 있는 통로가 막혀 있으므로, 그 막혀진 부분에 개구부(17: 도 7 참조)를 형성시켜 우산살대(3)가 통과될 수 있는 통로를 형성시킨다.
이렇게 해서 제조된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우산지붕(10)은, 앞서 기술된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우산지붕과 달리, 작업자가 우산살대 통로를 상하 양쪽 모두에 선택적으로 형성시킬 수 있으므로, 우산지붕(10)의 통로가 외측에서 봤을 때 돌출되어질 수 밖에 없었던 제 1 실시예보다, 외관상으로 더욱 매끈하게 보여질 수 있다(도 8 참조).
상술한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의 우산지붕(10)을 제조하는 방법은 서로 인접하는 접합영역(16a, 16b)이 서로 접할 수 있도록 형성시키고, 그 접합영역(16a, 16b)의 접합에 의해 막혀진 주머니 형태가 형성된다는 점과, 그 주머니의 끝을 우산살대(3)가 통과할 수 있도록 뚫어 우산살대(3)의 통로를 형성시킨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앞서 기술된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의 제조방법과 동일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상술한 제 1 및 제 2 실시예에서, 정팔각형의 단일시트 원단(11)을 우산지붕으로 이용하고 있지만,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상으로 이루어진 원단(11')이 사용되어질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즉, 도 9에 도시된 형상의 원단으로 우산지붕을 제조하는 경우, 기존의 접합영역(16a, 16b) 외에 그 내측에서 한 쌍을 이루는 접합영역(16a', 16b')이 더 제공되어, 각각 한 쌍을 이루는 접합영역(16a, 16b) 및 (16a', 16b')이 접합되면, 하나의 주머니가 형성되고, 그 주머니의 끝에 개구부를 형성시키면(미도시됨), 우산살대가 통과하는 통로가 상술한 제 1 및 제 2 실시예와 마찬가지의 형태로 형성될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우산지붕은 하나의 단일시트로 만들어지므로, 기존의 복수의 시트조각를 일일이 재봉하여 만들어지던 기존의 우산지붕에 비해 저렴하게 제조할 수 있으며, 그 단일시트의 접합에 의해 우산살대가 통과하는 통로가 형성된 고정부가 형성되므로, 우산지붕과 우산살대를 고정시키는고정부위가 감소될 수 있으며, 그 고정부가 우산살대가 휘는 것을 막아줄 수 있으므로, 기존 우산지붕에 비해 보다 내구적으로 제조될 수 있다.

Claims (3)

  1. 정다각형의 단일시트(11)로 제조되는 우산지붕(1)으로서, 상기 단일시트(11)는,
    상기 정다각형의 중심(22)과 꼭지점(21)을 잇는 가상선(12) 각각에 대해 서로 인접한 채 대칭을 이루고, 상기 단일시트(11)의 외주 모서리로(23)부터 상기 가상선 상의 일지점(14) 바로 전 까지 수렴식으로 이어지는 복수의 접합선(15a, 15b)과;
    상기 접합선(15a, 15b)과 같은 길이로 상기 접합선(15a, 15b)을 따라 제공된 복수의 접합영역(16a, 16b)을 포함하며,
    상기 접합영역(16a) 각각이 그 사이의 가상선(12)을 사이에 두고 인접하는 접합영역(16b)과 서로 접합되어 전체적으로 활형 구조를 이루며,
    상기 접합에 의해 우산살대(3)가 통과되는 통로(19a)가 형성되어지도록 상기 접합영역(16a, 16b) 사이에는 비접합영역(16c)이 제공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시트로 이루어진 우산지붕.
  2. 정다각형의 단일시트(11)로 제조되는 우산지붕(1)으로서, 상기 단일시트(11)는,
    상기 정다각형의 중심(22)과 꼭지점(21)을 잇는 가상선(12) 각각에 대해 서로 인접한 채 대칭을 이루고, 상기 단일시트(11)의 외주 모서리로(23)부터 상기 가상선 상의 일지점(14) 까지 수렴식으로 이어지는 복수의 접합선(15a, 15b)과;
    상기 접합선(15a, 15b)을 따라 인접부분이 서로 접해지도록 제공된 복수의 접합영역(16a, 16b)을 포함하며,
    상기 접합영역(16a) 각각이 그 사이의 가상선(12)을 사이에 두고 인접하는 접합영역(16b)과 서로 접합되어 전체적으로 활형 구조를 이루며,
    상기 접합영역(16b)의 접합에 의해 형성되는 주머니의 막혀진 부분에 개구부(17)를 형성시켜, 우산살대(3)가 통과되는 통로(19a)를 형성시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시트로 이루어진 우산지붕.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단일시트(11)는 중합체 원단 또는 직물-중합체 합지원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지붕.
KR2020020021996U 2002-07-23 2002-07-23 단일시트로 제조되는 우산지붕 및 그 제조방법 KR20029364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1996U KR200293649Y1 (ko) 2002-07-23 2002-07-23 단일시트로 제조되는 우산지붕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1996U KR200293649Y1 (ko) 2002-07-23 2002-07-23 단일시트로 제조되는 우산지붕 및 그 제조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3361A Division KR20040009421A (ko) 2002-07-23 2002-07-23 단일시트로 제조되는 우산지붕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3649Y1 true KR200293649Y1 (ko) 2002-10-31

Family

ID=731265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1996U KR200293649Y1 (ko) 2002-07-23 2002-07-23 단일시트로 제조되는 우산지붕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364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73724B1 (en) Windproof umbrella (B)
KR200293649Y1 (ko) 단일시트로 제조되는 우산지붕 및 그 제조방법
US6155278A (en) Ventilated umbrella
US20070151586A1 (en) Windproof umbrella with integral upper canopy and method of making same
US5488966A (en) Umbrella canopy and method of forming same
US6681785B2 (en) Waterproof structure of tent
KR20040009421A (ko) 단일시트로 제조되는 우산지붕 및 그 제조방법
US7063029B1 (en) Umbrella, umbrella cover, and method of making
US4011599A (en) Article of apparel collar and lapel construction
US7754037B2 (en) Manufacturing method for a seamless hat
JP2018183557A (ja)
KR200385637Y1 (ko) 우산천 연결구조
US7581504B1 (en) Printed umbrella, umbrella cover, and method of making
CN110522140A (zh) 一种雨伞的防漏雨接缝结构及其制造方法
CN217242965U (zh) 一种梅花伞伞架
KR101279138B1 (ko) 우산
CN206791867U (zh) 一种外翻型五折雨伞骨
JP2002177029A (ja) 樋付洋傘
KR102031498B1 (ko) 안전 우산
US20230075653A1 (en) Seamless attached tent
JPH1156433A (ja) 風圧開放窓孔付き雨傘
CN213639916U (zh) 伞布与伞骨的一体构造
CN210563726U (zh) 一种帐篷内胆
KR102538970B1 (ko) 파라솔의 월 봉제구조 및 이의 봉제방법
JP7125076B1 (ja) 傘および傘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41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