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3362Y1 - 신체의 조명과 관찰기능을 갖는 다기능 화장용 유니트 - Google Patents

신체의 조명과 관찰기능을 갖는 다기능 화장용 유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3362Y1
KR200293362Y1 KR2020000029070U KR20000029070U KR200293362Y1 KR 200293362 Y1 KR200293362 Y1 KR 200293362Y1 KR 2020000029070 U KR2020000029070 U KR 2020000029070U KR 20000029070 U KR20000029070 U KR 20000029070U KR 200293362 Y1 KR200293362 Y1 KR 20029336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cover
main body
mirror
puf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907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연우
Original Assignee
이연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연우 filed Critical 이연우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336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3362Y1/ko

Links

Landscapes

  • Mirrors, Picture Frames, Photograph Stands, And Related Fastening Devices (AREA)
  • Securing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야간에 자신의 얼굴 또는 기타의 사물을 조명시킬 수 있도록 하여 조명된 부위를 거울 통해 관찰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내부에 고형체의 화장분과 이를 사용하기 위한 간단한 화장용 소도구를 수납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써 좀더 상세하게는 신체 또는 기타 사물을 조명하여 주기 위한 램프와 분첩 등의 화장용 소도구를 수납할 수 있는 분첩 수납실을 구비하는 본체에 회동 절첩이 가능하게 덮개를 결합하되 덮개에는 고형체의 화장분과 브러쉬 등의 화장용 소도구를 수납할 수 있는 다수의 수납구조를 구비시키며, 본체의 분첩 수납실에는 필요에 따라 수납실의 개폐하는 커버 기능과 아울러 신체를 관찰할 수 있는 기능을 겸하는 거울을 구비토록 한 것으로, 기본적인 사물의 조명기능은 물론 정전 시 또는 조명이 없는 장소에서 불시에 간단한 얼굴 화장을 하거나 신체를 관찰할 필요성이 존재하는 경우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으며, 하나의 몸체에 조명구조와 거울, 화장품, 화장품용 도구 등을 동시에 수용하는 것이 가능하여 휴대와 보관이 편리하며, 기능의 다양성으로 인하여 제품의 구매 경쟁력과 사용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신체의 조명과 관찰기능을 갖는 다기능 화장용 유니트{THE MULTI FUNCTION UNIT FOR COSMETIC WITH LIGHTING AND OBSERVATION}
본 고안은 야간에 자신의 얼굴 또는 기타의 사물을 조명시킬 수 있도록 하여 조명된 부위를 거울 통해 관찰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내부에 고형체의 화장분과이를 사용하기 위한 간단한 화장용 소도구를 수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일반적인 후레쉬 기능에 부가하여 주위에 조명이 없는 어두운 곳에서도 분 화장 등의 간단한 화장이 가능하도록 한 다기능의 화장용 유니트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신체 또는 기타 사물을 조명하여 주기 위한 램프와 분첩 등의 화장용 소도구를 수납할 수 있는 분첩 수납실을 구비하는 본체에 회동 절첩이 가능하게 덮개를 결합하되 덮개에는 고형체의 화장분과 브러쉬 등의 화장용 소도구를 수납할 수 있는 다수의 수납구조를 구비시키며, 본체의 분첩 수납실에는 필요에 따라 수납실의 개폐하는 커버 기능과 아울러 신체를 관찰할 수 있는 기능을 겸하는 거울을 구비토록 한 것으로, 기본적인 사물의 조명기능은 물론 정전 시 또는 조명이 없는 장소에서 불시에 간단한 얼굴 화장을 하거나 신체를 관찰할 필요성이 존재하는 경우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으며, 하나의 몸체에 조명구조와 거울, 화장품, 화장품용 도구 등을 동시에 수용하는 것이 가능하여 휴대와 보관이 편리하며, 기능의 다양성으로 인하여 제품의 구매 경쟁력과 사용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화장품 또는 화장품용 소도구는 제각기 물품별로 독립적인 사용목적을 가지고 있으며 별도로 판매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여행 등으로 인해 집안이 아닌 외부에서 화장을 하기 위해서는 품목별로 다수의 화장품 또는 화장품용 소도구를 일일이 별도로 챙겨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으며 휴대물의 부피가 커져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며 이러한 이유로 실내가 아니면 화장에 적합한 장소를 찾기 어려웠다.
더우기 항시 조명구조와 거울을 동시에 휴대하고 다니지 않는 한 야간의 조명이 없는 장소에서 사물을 비춰 보거나 신체의 오염이나 손상 시 해당 부위를 스스로 관찰하는 것이 불가능하여 후속 조치를 제대로 할 수 없었으며
실내에서의 화장 중에 정전이 발생거나 혹은 야외의 조명이 없는 어두운 장소에서 갑작스레 분화장 등의 간이 화장을 할 필요성이 있는 경우 화장을 할 수 없었으며, 화장을 하더라도 화장한 얼굴을 스스로 볼 수 없어 화장상태를 고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었다.또한 일반적으로 알려진 휴대용 조명기구(플래쉬 등)의 경우에도 사용목적이 조명이 국한되어 사용효과가 제한적이었다.따라서 예를 들어 상기와 같이 실내에서의 화장 중에 정전이 발생거나 혹은 야외의 조명이 없는 어두운 장소에서 갑작스레 분화장 등의 간이 화장을 할 필요성이 있어 화장과 조명이 동시에 요구되는 경우에는 각기 화장품, 화장도구, 조명기구가 개별적으로 구비하여야 하는 것이어서 현실적으로 여러 기능의 물품을 동시에 휴대하기가 매우 번거롭고 망실의 위험도 많아 실효성이 없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기존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 보완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야간의 조명이 없는 장소에서 임의의 물체를 조명해 관찰하거나 자신의 얼굴 등의 신체 일 부위를 본인 스스로 관찰이 가능하도록 함과 아울러 간단한 간이 화장을 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필요한 경우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으며, 하나의 몸체에 조명구조와 거울, 화장품, 화장품용 도구 등을 동시에 수용하는 것이 가능하여 휴대와 보관이 편리하며, 기능의 다양성으로 인하여 제품의 구매 경쟁력과 사용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며,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신체 또는 사물을 조명하여 주기 위한 램프와 분첩 또는 스펀지 등의 화장용 소도구를 수납할 수 있는 수납실 및 관찰용 거울을 구비하는 본체에 회동 절첩이 가능하게 덮개를 결합하되 덮개에는 고형체의 화장분 및 브러쉬 등의 화장용 소도구를 수납할 수 있는 다수의 수납실을 구비토록 한 것으로,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의 구성을 보이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구성을 보이는 단면 예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보이는 도면.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를 보이는 정면 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본체 2:분첩 수납실
2':수분 발산공 3:거울
4:덮개 5:화장분 수납실
6:커버 7:화장도구 수납실
8:램프 ML:로커CL:로커 S:스위치
도 1은 본 고안의 구성을 보이는 사시도로서,
본체(1)의 상면에 요입 형성되며 바닥에 외부로 관통되는 다수의 수분 발산공(2')이 구비되며 화장용 분첩이나 스펀지(P)를 수납하기 위한 분첩 수납실(2)과;
닫힘 상태를 선택적으로 구속하는 로커(ML)를 구비하며 상기 분첩 수납실(2)의 상부에 힌지를 통하여 일방향으로 절첩 가능하게 설치되는 거울(3)과;닫힘 상태를 선택적으로 구속하는 로커(CL)를 구비하는 상기 본체(1)의 타측단에 회동 절첩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덮개(4)와;
상기 덮개(4)의 내면에 요입 설치되며 고형체의 화장분(CP)을 수납하기 위한 화장분수납실(5)과;
상기 덮개(4)의 내면에 요입 설치되며 브러쉬 등의 화장용 소도구를 수납하기 위한 화장도구수납실(7)과;상기 화장분수납실(5)과 화장도구수납실(7)를 선택적으로 개폐시켜줄 수 있도록 상기 덮개(4)에 일방향으로 절첩 가능하게 설치되는 커버(6)와;
상기 본체(1)의 일측 상면에 노출 설치되는 조명창(8')의 내부에 고정 설치되는 램프(8)와;상기 본체(1)의 램프(8)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상태로 설치되며 램프(8)의온,오프를 제어하기 위한 스위치(S)를 각각 포함하여서 된 것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구성예를 보인 것으로,
덮개(4)의 길이를 본체(1)의 전체 길이와 같도록 하여 덮개(4)를 덮었을 경우 램프(8)가 덮개(4)에 가려져 은폐되도록 한 것으로, 램프(8)를 사용하기 위해서 덮개(4)를 오픈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지만 램프(8)를 외부로부터 보호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는 것이다.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상기에서 램프(8)는 본체(1)의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베터리(미도시함) 및 스위치(S)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상태로 구성된다.
도 3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보인 도면으로서 조명이 없는 어두운 곳에서 일반적인 사물을 관찰하기 위해서는 덮개(4)를 닫힌 상태로 그대로 둔 상태에서 간단히 스위치(S)를 눌러 램프(8)를 점등시키면 일반적인 후레쉬의 기능과 같이 사용하게되는 것이며,한편 신체의 일부(얼굴)을 보기 위해서는 덮혀 있는 덮개(4)를 열어 본체(1)에 설치된 거울(3)을 노출시키도록 한 상태에서 스위치(S)를 눌러 램프(8)를 점등시켜 불빛을 신체의 해당 조명부위를 비추도록 하면 불빛에 비춰진 신체의 해당부위가 거울(3)에 비춰져 사용자가 자신의 신체를 관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거울(3)에 반사되는 얼굴이나 신체가 조명에 의해 밝아짐으로써 주위의 다른 조명이 없더라도 본인 스스로 거울(3)을 통해 자신의 얼굴을 관찰 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거울(3)은 주기능인 사물을 비춰 관찰할 수 있게 하는 기능 외에 거울(3)을 닫은 상태에서 거울(3)이 분첩 수납실(2)을 입구를 덮어주게 됨으로써 분첩 수납실(2)내에 수용되는 분첩이나 스펀지에 외부의 이물질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어두운 곳에서 간편하게 간이 화장을 할 필요성이 발생되는 경우에는 덮개(4)를 연 상태에서 거울(3)과 커버(6)를 열어 본체(1)의 분첩 수납실(2)과 화장분수납실(5) 및 화장도구수납실(7)을 오픈시켜 분첩이나 스펀지(P), 브러쉬 등의 화장용 소도구를 인출한 상태에서 거울(3)의 반사면이 얼굴을 비출수 있도록 다시 거울(3)을 원위치로 닫고 스위치(S)를 눌러 램프(8)를 점등시켜 불빛을 얼굴에 비추어 조명된 얼굴을 거울(3)을 통해 관찰하면서 고형체의 화장분(CP)을 얼굴에 화장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화장을 하면서 분첩이나 스펀지(P)에 흡수되는 얼굴에서의 땀이나 수분등은 분첩 수납실(2)의 바닥에 외부로 통하도록 형성된 다수의 수분 발산공(2')을 통해 신속하게 외부로 발산하는 것이 가능하다.상기 화장분수납실(5)내에는 고형체의 화장분(CP)를 수용하게 되는 것이며, 커버(6)는 고형체의 화장분(CP)의 유출을 방지함과 아울러 외부의 이물질이 고형체의 화장분(CP)에 침투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상기 화장분수납실(5)에는 화장에 필요한 브러쉬 등의 화장용 소도구를 수납하는 것이며, 이 또한 커버(6)에 의해 소도구의 이탈과 아울러 소도구가 외부의 이 물질에 의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하나의 몸체에 조명구조와 거울, 화장품, 화장용 소도구 등을 동시에 수용하는 것이 가능하여 휴대와 보관이 편리하며, 야간의 조명이 없는 장소에서 일반적인 사물의 조명은 물론 자신의 얼굴 등의 신체 일 부위를 본인 스스로 관찰할 수 있어 신체의 오염이나 이상 여부를 가시적으로 인지할 수 있으며, 어두운 곳에서도 간단한 간이 화장을 행할 수 있어 필요 시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으며, 기능의 다양성으로 인하여 제품의 구매 경쟁력과 사용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2)

  1. 본체(1)의 상면에 요입 형성되며 바닥에 외부로 관통되는 다수의 수분 발산공(2')이 구비되며 화장용 분첩이나 스펀지(P)를 수납하기 위한 분첩 수납실(2)과;
    닫힘 상태를 선택적으로 구속하는 로커(ML)를 구비하며 상기 분첩 수납실(2)의 상부에 힌지를 통하여 일방향으로 절첩 가능하게 설치되는 거울(3)과;
    닫힘 상태를 선택적으로 구속하는 로커(CL)를 구비하며 상기 본체(1)의 타측단에 회동 절첩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덮개(4)와;
    상기 덮개(4)의 내면에 요입 설치되며 고형체의 화장분(CP)을 수납하기 위한 화장분수납실(5)과;
    상기 덮개(4)의 내면에 요입 설치되며 브러쉬 등의 화장용 소도구를 수납하기 위한 화장도구수납실(7)과;
    상기 화장분수납실(5)과 화장도구수납실(7)를 선택적으로 개폐시켜줄 수 있도록 상기 덮개(4)에 일방향으로 절첩 가능하게 설치되는 커버(6)와;
    상기 본체(1)의 일측 상면에 노출 설치되는 조명창(8')의 내부에 고정 설치되는 램프(8)와;
    상기 본체(1)에 램프(8)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상태로 설치되며 램프(8)의 온,오프를 제어하기 위한 스위치(S)를 각각 포함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의 조명과 관찰기능을 갖는 다기능 화장용 유니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4)의 길이를 본체(1)의 길이와 같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의 조명과 관찰기능을 갖는 다기능 화장용 유니트.
KR2020000029070U 2000-07-25 2000-10-18 신체의 조명과 관찰기능을 갖는 다기능 화장용 유니트 KR200293362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1260U KR200209940Y1 (ko) 2000-07-25 2000-07-25 신체의 조명과 관찰기능을 갖는 다기능 화장용 유니트
KR2020000021260 2000-07-25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9964A Division KR100397957B1 (ko) 2000-12-21 2000-12-21 신체의 조명과 관찰기능을 갖는 다기능 화장용 유니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3362Y1 true KR200293362Y1 (ko) 2002-11-01

Family

ID=7305699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1260U KR200209940Y1 (ko) 2000-07-25 2000-07-25 신체의 조명과 관찰기능을 갖는 다기능 화장용 유니트
KR2020000029070U KR200293362Y1 (ko) 2000-07-25 2000-10-18 신체의 조명과 관찰기능을 갖는 다기능 화장용 유니트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1260U KR200209940Y1 (ko) 2000-07-25 2000-07-25 신체의 조명과 관찰기능을 갖는 다기능 화장용 유니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020994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9940Y1 (ko) 2001-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083967A (ko) 화장품 케이스
US20050135088A1 (en) Portable light source with mirror
KR200293362Y1 (ko) 신체의 조명과 관찰기능을 갖는 다기능 화장용 유니트
KR20100007721U (ko) 조명 기능을 갖는 화장품용 컴팩트
KR200454547Y1 (ko) 화장품 케이스
KR100397957B1 (ko) 신체의 조명과 관찰기능을 갖는 다기능 화장용 유니트
US20060203473A1 (en) Portable illuminator with mirror
US20060006772A1 (en) Makeup cabinet
KR20020009371A (ko) 신체의 조명과 관찰기능을 갖는 다기능 화장용 유니트
KR100537015B1 (ko) 조명구조를 갖는 화장용 콤팩트
KR100474729B1 (ko) 조명과 거울 기능을 갖춘 다기능 케이스
KR102230284B1 (ko) 조명기능을 구비한 화장용 콤팩트
KR200348184Y1 (ko) 조명구조를 갖는 화장용 콤팩트
USD425538S (en) Light box
US2677044A (en) Illuminated powder compact
KR101951287B1 (ko) 조명 기능을 갖는 화장품 용기
KR200327515Y1 (ko) 신체의 조명과 관찰기능을 갖는 화장용 유니트
JPH0440498Y2 (ko)
KR200319262Y1 (ko) 조명장치를 갖는 화장품
KR200260209Y1 (ko) 백열전구를 장착한 휴대용 콤팩트
KR200416539Y1 (ko) 조명기구를 가진 화장용기
KR20050041396A (ko) 신체의 조명과 관찰기능을 갖는 다기능 화장용 유니트
JPS6024202Y2 (ja) 化粧キヤビネツト
KR200190815Y1 (ko) 화장용 케이스
US20040244811A1 (en) Cosmetics ca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