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3342Y1 - 엄지발가락수용부를 갖는 양말 - Google Patents

엄지발가락수용부를 갖는 양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3342Y1
KR200293342Y1 KR2020020023837U KR20020023837U KR200293342Y1 KR 200293342 Y1 KR200293342 Y1 KR 200293342Y1 KR 2020020023837 U KR2020020023837 U KR 2020020023837U KR 20020023837 U KR20020023837 U KR 20020023837U KR 200293342 Y1 KR200293342 Y1 KR 20029334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e
big toe
toes
sock
sock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38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재석
최장호
Original Assignee
제이티엘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이티엘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제이티엘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200238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334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334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3342Y1/ko
Priority to PCT/KR2003/001579 priority patent/WO2004014164A1/en
Priority to AU2003252545A priority patent/AU2003252545A1/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1/00Hosiery; Panti-hose
    • A41B11/004Hosiery with separated toe s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ocks And Pantyhos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엄지발가락수용부를 갖는 양말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신체의 하중을 엄지발가락과 그 외의 발가락으로 정확히 분산시켜 경기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엄지발가락수용부를 갖는 양말에 의하면, 발을 수용하는 양말에 있어서, 상기 발을 수용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로부터 연장된 후 하나 이상의 골이 형성되도록 봉합되고, 그 골을 기준으로 발가락을 수용하는 발가락수용부로 되어 있다. 따라서, 따로 형성된 발가락수용부로 발가락 사이의 힘의 분산이 골고루 이루어지고, 이로 인해 운동시 집중해야 될 엄지발가락의 힘이 균일하게 적용되어 경기력의 향상이 월등하게 되는 작용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엄지발가락수용부를 갖는 양말{The socks has the big toe accommodation}
본 고안은 양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포츠 등의 운동을 하는경우 신체의 하중을 엄지발가락과 그 외의 발가락으로 정확히 분산시켜 경기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엄지발가락수용부를 갖는 양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간의 발은 매우 복잡한 기관으로 사실상 서로 같은 발은 자연계에서 찾아 볼 수 없다.
대부분의 과학자들에 의하면, 인간이 다른 생물체와 비교하여 독보적으로 구분되는 점이 바로 '발'인 것이다.
인간은 직립 보행을 함으로써 급진적인 발전을 했고, 이 직립 보행을가능하게 한 것이 바로 발이다.
이러한, 발의 엄지발가락은 모든 발가락과 신경계를 지배하고 있으며, 엄지발가락에는 머리와 뇌의 반사점이 존재하기 때문에 지적인 사고 능력에 관여하는 것을 알려져 있어 엄지발가락을 일명 '생각하는 발가락'이라고 호칭할 수 있다.
일례로, 골프를 하는 경우 체중을 싣는 곳은 양발의 발중앙에 중심을 잡는 것이 일반적이나, 거리를 내고자할 때는 중앙보다 엄지발가락쪽에 중심을 옮긴 후 스윙을 해야 한다.
다른예로, 테니스의 경우 라켓을 잡을 때에 발바닥 전면으로 정지해서는 안되고, 발가락에 중심을 싣고 정지한 후 양 엄지발가락에 힘을 넣어서 정지한 다음 라켓을 집어서 발리를 한다.
한편, 또 다른 예로, 축구에 있어서 토킥으로 슛 토킥을 하는 경우 발의 휘두름거리가 짧고 단시간에 찰 수 있어 많이 사용한다. 즉, 토킥의 요령은 엄지발가락을 세워서 차는 것으로, 발끝을 쭉 편 상태에서 차면 발톱이 아프고 볼의 중심을맞추기 어렵지만 엄지발가락을 세워서 차면 몸이 안정되고 볼의 중심을 킥하기 쉬워진다.
이렇게, 운동경기 등에서 다양한 기능을 하는 발 또는 발가락을 수용하는 양말(1)은 도 1에 도시되어 있듯이, 발가락(2) 전체를 수용하도록 형성된 것이 일반적이다. 즉 운동경기를 하는 경우 전체 발가락 5개가 동시에 수용되는 양말(1)의 특성상 특정의 발가락(2)에 힘을 주는 경우, 그 힘의 분산이 정확하지 아니하여 정교한 발가락(2)의 사용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 양태에 있어서, 본 고안에 따른 엄지발가락 수용부를 갖는 양말은, 전술한 문제를 모두 해소하고, 운동시 효과적인 발가락의 사용, 특히 엄지발가락의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양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 및 효과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고안에 따른 공지의 양말을 보인 것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엄지발가락 수용부를 갖는 양말의 구성을 보인 것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엄지발가락 수용부를 갖는 양말의 단면도를 보인 것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본체 10a: 골
10b: 발가락수용부 10c: 엄지발가락수용부
12: 엄지발가락 14: 나머지발가락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발을 수용하는 양말에 있어서, 상기 발을 수용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로부터 연장된 후 하나 이상의 골이 형성되도록 봉합되고, 그 골을 기준으로 발가락을 수용하는 발가락 수용부로 나뉘어져 구성되므로서 달성된다.
또한, 상기 발가락 수용부에는 엄지발가락이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을 간략히 설명하면, 도 2은 본 고안에 따른 엄지발가락 수용부를 갖는 양말의 구성을 보인 것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엄지발가락 수용부를 갖는 양말의 단면도를 보인 것이다.
먼저, 도 2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발을 수용하는 양말에 있어서, 상기 발의 몸체를 수용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로부터 연장된 후 하나 이상의 골이 형성되도록 봉합되고, 그 골을 기준으로 발가락을 수용하는 발가락 수용부를 포함한다.
본체(10)는 발을 수용하는 수용체로서, 공지의 양말과 동일한 형상이다.
그리고, 본체(10)의 일단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선단은 봉합되며, 하나 이상의 골(10a)을 갖도록 형성된 발가락수용부(10b)가 형성된다.
이러한, 발가락수용부(10b)는, 다시 엄지발가락(12)을 수용하도록 형성된 엄지발가락수용부(10c)를 갖는다.
또한, 엄지발가락수용부(10c)는 골(10a)을 경계로 하여 나머지 발가락(14)과 나뉘어 지도록 형성된다.
즉, 봉합된 골(10a)을 경계로 하여 엄지발가락(12)과 나머지 발가락(14)을 수용하여, 본 고안은 자유로운 엄지발가락(12)의 활동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하는 양말을 제공하는 것이다.
여기에서, 엄지발가락수용부(10c)에 대한 역할을 설명해 두고 싶다. 그 역할은, 발가락 사이를 이격시켜 발가락 끼리 마찰방지 통증 및 충격흡수기능인 것으로 일반적으로 이해할 수 있나, 이 명세서에서는 하나의 운동, 골프를 예로 하여 설명한다.
즉, 경사가 심한 그린에서 성공적인 퍼팅이나 샷을 하기 위해서 다른 몸동작을 억제하여야 하므로, 스탠스를 약간 넓게 취한 다음, 엄지발가락(12)이 공을 향하게 하면 흔들리지 않는 스탠스를 취하게 된다.
즉, 퍼팅 또는 샷을 하는 경우 몸의 무게 중심을 항시, 발의 엄지발가락(12)에다 두고 몸을 움직이게 된다. 따라서, 엄지발가락(12)의 자유로운 움직임은 퍼팅 또는 샷의 필수적인 조건임을 알 수 있다.
한편, 통상의 양말은 통으로 되어 있음이 일반적이고, 즉 엄지발가락(12)을 따로 움직일 경우 나머지 발가락(14) 역시 동시에 같이 움직이므로, 효과적으로 엄지발가락으로의 힘이 분산되지 않음을 당업자라면 알 수 있을 것이고,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별도의 엄지발가락수용부(10c)를 갖추어 운동시 힘의 분산을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게 하는데 그 역할이 있다.
다음에는, 상술한 구성으로 인한 작용 및 이에 따른 효과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엄지발가락 수용부를 갖는 양말의 엄지발가락(12)을 수용하는 엄지발가락수용부(10c)가 형성된 양말의 본체(1)가 구비된다. 한편, 발에 힘을 주어 무게중심을 이동할 경우에는 엄지발가락(12)에 힘이 가해지게 되고, 가해진힘은 발가락으로 분산하게 되는데, 본 고안은 양말이 가지고 있는 일정한 수용공간 안에서 움직이지 아니하고, 별도로 형성된 엄지발가락수용부(10c)로 인해 엄지발가락(12)이 따로 움직여 자유로운 발가락의 움직임이 된다.
따라서, 상기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지듯이, 엄지발가락(12)에 가해진 힘은 다른 방해 없이 일정한 힘을 받거나, 뺄 수 있어 엄지발가락(12)을 이용해야 하는 운동경기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에 있어서, 그 밖에 여러 가지 변형예가 가능한 것은 말할 것도 없다. 예를 들면, 필요에 따라서는 엄지 및 검지발가락을 일체로 할 수도 있다. 또한, 새끼발가락만 따로 수용하는 것도, 본 고안으로부터 일탈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은 그 정신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일탈하는 일없이, 다른 여러 가지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전술한 실시예는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해서는 안된다. 본 고안의 범위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해서 나타내는 것으로써, 명세서 본문에 의해서는 아무런 구속도 되지 않는다. 다시, 특허청구범위의 균등 범위에 속하는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고안의 범위 내의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엄지발가락 수용부를 갖는 양말에 의하면, 따로 형성된 엄지발가락수용부로 발가락 사이의 힘의 분산이 골고루 이루어지고, 이로 인해 운동시 집중해야 될 엄지발가락의 힘이 균일하게 적용되어 경기력의 향상이 월등하게 되는 작용효과가 있다.

Claims (1)

  1. 발을 수용하는 양말에 있어서, 상기 발을 수용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로부터 연장된 후 하나 이상의 골이 형성되도록 봉합되고, 그 골을 기준으로 발가락을 수용하는 엄지발가락수용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엄지발가락수용부를 갖는 양말.
KR2020020023837U 2002-08-09 2002-08-09 엄지발가락수용부를 갖는 양말 KR200293342Y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3837U KR200293342Y1 (ko) 2002-08-09 2002-08-09 엄지발가락수용부를 갖는 양말
PCT/KR2003/001579 WO2004014164A1 (en) 2002-08-09 2003-08-06 Socks with big toe accommodation
AU2003252545A AU2003252545A1 (en) 2002-08-09 2003-08-06 Socks with big toe accommod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3837U KR200293342Y1 (ko) 2002-08-09 2002-08-09 엄지발가락수용부를 갖는 양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3342Y1 true KR200293342Y1 (ko) 2002-10-31

Family

ID=324643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3837U KR200293342Y1 (ko) 2002-08-09 2002-08-09 엄지발가락수용부를 갖는 양말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200293342Y1 (ko)
AU (1) AU2003252545A1 (ko)
WO (1) WO2004014164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8687B1 (ko) * 2011-04-25 2013-08-21 유원 혈당과 통증을 줄이며 근력을 강화시키는 양말
KR200472894Y1 (ko) * 2013-12-18 2014-05-27 노승권 발가락 압박용 탄성부재가 적용된 골프용 양말
WO2015093830A1 (ko) * 2013-12-18 2015-06-25 주식회사 지매드 골프용 양말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65624U (ko) * 1973-10-16 1975-06-13
JPS55168008U (ko) * 1979-05-17 1980-12-03
JPH0253903U (ko) * 1988-10-06 1990-04-18
JPH08311702A (ja) * 1995-05-17 1996-11-26 Nobuo Ueda 靴 下
JPH1112803A (ja) * 1997-06-24 1999-01-19 Yoshiko Okabe 外反母趾防止用靴下
JP3340968B2 (ja) * 1998-10-14 2002-11-05 芳子 岡部 外反母趾矯正ソックス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8687B1 (ko) * 2011-04-25 2013-08-21 유원 혈당과 통증을 줄이며 근력을 강화시키는 양말
KR200472894Y1 (ko) * 2013-12-18 2014-05-27 노승권 발가락 압박용 탄성부재가 적용된 골프용 양말
WO2015093830A1 (ko) * 2013-12-18 2015-06-25 주식회사 지매드 골프용 양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4014164A1 (en) 2004-02-19
AU2003252545A1 (en) 2004-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1096096A1 (ko) 비거리 증가 및 방향성이 정확해지는 골프화
KR200293342Y1 (ko) 엄지발가락수용부를 갖는 양말
US712196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ipulating a ball
US20010041622A1 (en) Golf swing training club
RU2015675C1 (ru) Наружная оболочка для футбольной обуви
Ramón-Llin et al. Time-motion analysis of Pádel players in two matches of the 2011 Pro Tour
KR102580959B1 (ko) 파크골프용 복사뼈 보호대
KR100836541B1 (ko) 폼 교정화
KR20220002207U (ko) 엄지발가락수용부를 갖는 양말
ES2341119T3 (es) Juego de pelota que se puede utilizar, por ejemplo, para el entreno de uno o mas jugadores de tenis.
KR20200002024U (ko) 스윙 연습용 탁구 라켓
KR200453597Y1 (ko) 타격과 콘트롤을 강화한 족구화
RU2349237C2 (ru) Спортивная обувь для игры с мячом, преимущественно в футбол
KR20200128830A (ko) 볼 타격용 운동기구
KR20160107129A (ko) 연습용 탁구라켓
KR102371760B1 (ko) 손에 착용되는 라켓을 이용한 놀이기구
KR200381557Y1 (ko) 축구화 밑창용 패드구조
KR20080000579U (ko) 골프화
JP6288687B1 (ja) 両面使用シャンク及び当該シャンクを備えた一対のスポーツシューズ
KR20180085436A (ko) 기능성 양말
US5993336A (en) Method of executing a tennis stroke
KR200423999Y1 (ko) 스웨이 방지용 골프화
KR200190360Y1 (ko) 티 수납구가 부착된 골프화
CN2372013Y (zh) 一种抛掷运动球具
KR200433364Y1 (ko) 회전 강화 축구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