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2911Y1 - 개선된 이쑤시게 - Google Patents

개선된 이쑤시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2911Y1
KR200292911Y1 KR2020020021330U KR20020021330U KR200292911Y1 KR 200292911 Y1 KR200292911 Y1 KR 200292911Y1 KR 2020020021330 U KR2020020021330 U KR 2020020021330U KR 20020021330 U KR20020021330 U KR 20020021330U KR 200292911 Y1 KR200292911 Y1 KR 20029291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thpick
teeth
food
body portion
improv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133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보
Original Assignee
김영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보 filed Critical 김영보
Priority to KR202002002133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291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291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2911Y1/ko

Links

Landscapes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이쑤시게에 관한 것이다. 특히, 치아와 치아 사이에 끼는 음식물 찌꺼기를 잇몸을 상하지 않게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개선된 이쑤시게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이쑤시게는 치아와 치아사이의 음식물 찌꺼기를 제거할 때 바늘부가 치아들 사이에 간격이 좁으면 잘 들어가지 않아 음식물 찌꺼기가 잘 제거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렇게 잘 제거되지 못한 음식물을 제거하기 위해 이쑤시게의 사용자는 더욱 심하게 이쑤시게의 바늘부를 치아 사이에 밀어넣게 되며, 이로 인해 잇몸이 붓게되고 피가 나게 되며, 장기적으로는 구강내의 치아구조가 나빠지게 되는 원인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치아와 치아 사이에 끼는 음식물 찌꺼기를 잇몸을 상하지 않게 제거할 수 있는 이쑤시게에 있어서, 봉 형태의 몸체부(10)와; 상기 몸체부(10)의 끝부분에 4각의 널판지 형태로 형성되는 돌출부(20); 및 상기 돌출부(20)의 반대편 몸체부(10)의 끝부분에 형성되는 손잡이부(30)가 일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이쑤시게를 제시한다.

Description

개선된 이쑤시게{Improved toothpick}
본 고안은 이쑤시게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치아와 치아 사이에 끼는 음식물 찌꺼기를 잇몸을 상하지 않게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개선된 이쑤시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이쑤시게는 봉형태의 몸체부과 상기 몸체부의 끝부분에 원뿔 형태로 형성되는 바늘부, 그리고 상기 바늘부의 반대편 몸체부의 끝부분에 형성되는 손잡이부로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이쑤시게는 치아와 치아사이의 음식물 찌꺼기를제거할 때 바늘부가 치아들 사이에 간격이 좁으면 잘 들어가지 않아 음식물 찌꺼기가 잘 제거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렇게 잘 제거되지 못한 음식물을 제거하기 위해 이쑤시게의 사용자는 더욱 심하게 이쑤시게의 바늘부를 치아 사이에 밀어넣게 되며, 이로 인해 잇몸이 붓게되고 피가 나게 되며, 장기적으로는 구강내의 치아구조가 나빠지게 되는 원인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종래의 이쑤시게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병원의 치과에서는 이 사이의 음식물 찌꺼기는 치실을 사용하여 제거할 것을 권장하고 있지만, 어금니와 같이 치아들의 상부가 서로 맞물려 있는 치아들 사이에는 치실이 들어가지 못하며, 이를 강제로 밀어넣으려 하면 치실이 끊어지게 되는 또다른 문제점이 발생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원통형 이쑤시게의 앞부분을 널판지 형태로 만듦으로서 치아와 치아 사이에 끼는 음식물 찌꺼기를 잇몸을 상하지 않게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개선된 이쑤시게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써 본 고안은
치아와 치아 사이에 끼는 음식물 찌꺼기를 잇몸을 상하지 않게 제거할 수 있는 이쑤시게에 있어서,
봉 형태의 몸체부(10)와;
상기 몸체부(10)의 끝부분에 4각의 널판지 형태로 형성되는 돌출부(20); 및
상기 돌출부(20)의 반대편 몸체부(10)의 끝부분에 형성되는 손잡이부(30)가 일체로 구성되며, 상기 돌출부(10)의 앞부분은 라운딩(22)되는 각이진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이쑤시게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개선된 이쑤시게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개선된 이쑤시게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개선된 이쑤시게의 확대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몸체부 20 : 돌출부
22 : 라운딩 30 : 손잡이부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그 작용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개선된 이쑤시게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개선된 이쑤시게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개선된 이쑤시게의 확대도이다.
도 1,2,3에 도시된 본 고안에 따른 이쑤시게를 살펴보면, 봉 형태의 몸체부(10)와; 상기 몸체부(10)의 끝부분에 4각의 널판지 형태로 형성되는 돌출부(20); 그리고 상기 돌출부(20)의 반대편 몸체부(10)의 끝부분에 형성되는 손잡이부(30)가 일체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이쑤시게의 몸체부(10)는 예컨대 6cm 정도의 길이로 형성되고, 돌출부(20)는 1cm 정도로서 이쑤시게의 총 길이는 7cm 정도로 형성되며, 손잡이부(30)의 지름은 0.2cm 정도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이쑤시게의 돌출부(20)는 이쑤시게의 일반적인 뽀족한 형태 대신에 라운딩(22)되는 각이진 널판지 형태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앞부분의 너비는 예컨대 0.1cm, 두께를 0.1mm, 길이를 1cm 로 만듦으로서 치아와 치아 사이에 끼는 음식물 찌꺼기를 잇몸을 상하지 않게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쑤시게의 돌출부(20)는 탄력이 있는 부드러운 재질로서 플라스틱, 전분, 나무 등으로 몸체부(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쑤시게의 손잡이부(30)는 특별한 형태가 필요없이 기존의 이쑤시게 형태의 모양을 유지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개선된 이쑤시게에 따르면, 원통형 이쑤시게의 앞부분을 널판지 형태로 만듦으로서 이쑤시게가 이를 쑤시는 것이 아니라 단지 이의 틈 사이를 가볍게 드나드는 정도에서 치아와 치아 사이에 끼는 음식물 찌꺼기를 잇몸을 상하지 않게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이는 일반 사람들의 치아 건강 관리에 도움을 줄 수 있다.

Claims (2)

  1. 치아와 치아 사이에 끼는 음식물 찌꺼기를 잇몸을 상하지 않게 제거할 수 있는 이쑤시게에 있어서,
    봉 형태의 몸체부(10)와;
    상기 몸체부(10)의 끝부분에 4각의 널판지 형태로 형성되는 돌출부(20); 및
    상기 돌출부(20)의 반대편 몸체부(10)의 끝부분에 형성되는 손잡이부(30)가 일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이쑤시게.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10)의 앞부분은 라운딩(22)되는 각이진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이쑤시게.
KR2020020021330U 2002-07-16 2002-07-16 개선된 이쑤시게 KR20029291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1330U KR200292911Y1 (ko) 2002-07-16 2002-07-16 개선된 이쑤시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1330U KR200292911Y1 (ko) 2002-07-16 2002-07-16 개선된 이쑤시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2911Y1 true KR200292911Y1 (ko) 2002-10-25

Family

ID=731262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1330U KR200292911Y1 (ko) 2002-07-16 2002-07-16 개선된 이쑤시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291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535991A1 (en) Toothbrush having flossing dispenser on handle and method for using same
US20150020843A1 (en) Advanced toothpick
KR200441684Y1 (ko) 이쑤시개
KR200458375Y1 (ko) 치실을 포함하는 이쑤시개
KR200292911Y1 (ko) 개선된 이쑤시게
KR20110046167A (ko) 이쑤시개
CN203970591U (zh) 组合式口腔保健多用牙签
KR20100006116U (ko) 잇몸 마사지 기능을 갖는 이쑤시개
US10898303B2 (en) Three-in-one tooth-cleaning device structured as toothpick, interdental brush, and floss pick
US5682912A (en) Oral hygiene and lingual stimulation device
KR200235879Y1 (ko) 이쑤시개
KR200288981Y1 (ko) 이쑤시개
KR200283021Y1 (ko) 이쑤시개
KR200246662Y1 (ko) 이쑤시게
KR200411995Y1 (ko) 치아 및 잇몸 보호용 이쑤시개
KR200295084Y1 (ko) 1회용 이쑤시개
KR100311360B1 (ko) 침상 모 칫솔
JP2001252291A (ja) 繊維形成の歯磨き爪楊枝
KR200233785Y1 (ko) 브러시가 구비된 이쑤시개
JP3055083U (ja) つまようじ
KR20040017007A (ko) 1회용 이쑤시개
KR200196045Y1 (ko) 이쑤시개
CN2928032Y (zh) 塑料牙签
KR200357424Y1 (ko) 치실 홀더
KR200220966Y1 (ko) 귀이 개를 겸한 이쑤시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