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2703Y1 - Foul Water Drain Unit - Google Patents

Foul Water Drain Uni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2703Y1
KR200292703Y1 KR2020020021606U KR20020021606U KR200292703Y1 KR 200292703 Y1 KR200292703 Y1 KR 200292703Y1 KR 2020020021606 U KR2020020021606 U KR 2020020021606U KR 20020021606 U KR20020021606 U KR 20020021606U KR 200292703 Y1 KR200292703 Y1 KR 20029270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wage
disc
disk
outlet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1606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미선
Original Assignee
이미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미선 filed Critical 이미선
Priority to KR202002002160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2703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270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2703Y1/en

Links

Landscapes

  • Sew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하수 배출구를 일지점에 고정하여 설치한 상태에서도 배출통과 하수 배관의 연결이 자유로운 배출구를 제공토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 배출구에 관한 것으로,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wage outlet, characterized in that to provide a free outlet for the connection of the discharge pipe and the sewage pipe even when the sewage outlet is fixed to one point,

바닥면과 테두리부를 갖는 제 1 원판과, 테두리부만을 갖는 제 2 원판이 겹쳐진 형태이며, 상기 제 1 원판의 바닥면을 통해 하수를 유입하는 하수 유입부과; 상부가 개구된 바닥면과 테두리부로 이루어지며 테두리부가 상기 하수 유입부의 제 2 원판의 테두리부에 슬라이딩 결합되어 360°회동하는 제 3 원판과, 하부가 개구된 바닥면과 테두리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3 원판에 일체형으로 겹쳐지는 형태로 결합되는 제 4 원판을 포함하며, 상기 제 3 원판과 제 4 원판 사이에 절개부를 형성하여 제 3 원판 및 제 4 원판의 공간부 통해 하수를 이동시키는 하수 중계부와; 상기 하수 중계부의 제 4 원판에 슬라이딩 결합되어 360°회동 가능한 제 5 원판을 포함하며, 상기 4 원판과 제 5 원판이 이루는 공간부와 상기 제 5 원판의 가장자리 일측에 형성된 배출홀을 통해 하수를 하수배관으로 배출하는 하수 배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다.A first source plate having a bottom surface and an edge portion and a second disc having only an edge portion overlapping each other, and a sewage inflow portion for introducing sewage through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disc; The upper surface is formed of the bottom surface and the rim portion, and the rim portion is slidingly coupled to the rim portion of the second disc of the sewage inlet, the third disc rotates 360 °, and the bottom is formed of the bottom surface and the rim portion A fourth disc coupled to the disc in an integral form, and a sewage relay unit for making a cut between the third disc and the fourth disc to move the sewage through the space of the third disc and the fourth disc; ; Sewage is sewage through the discharge portion formed in the space portion formed by the fourth disk and the fifth disk and the edge hole of the fifth disk, the fifth disk is slidably coupled to the fourth disk of the sewage relay unit 360 degrees 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sewage discharge portion discharged to the pipe.

Description

위생 하수 배출구{Foul Water Drain Unit}Sanitary Sewage Outlet

본 고안은 하수 배출구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하수 배출구를 일지점에 고정하여 설치한 상태에서도 배출통과 하수 배관의 연결이 자유로운 배출구를 제공토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하수 배출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wage outlet, and more particularly, to a sanitary sewage outlet characterized in that to provide a free outlet for the connection of the discharge pipe and the sewage pipe even when the sewage outlet is fixed to one point.

일반적으로 사용되어지는 하수 배출구는 욕조 내지 바닥면에 고이는 하수를 하수 배관으로 배출하면서 동시에 하수 배관 밑에서 올라오는 악취를 간단하고 확실하게 이중으로 차단하는 장치이다.The sewage outlet which is generally used is a device that simply and reliably doubles the odor coming out of the sewage pipe while discharging sewage accumulated in the tub or the bottom into the sewage pipe.

그런데, 이러한 하수 배출구는 통상적으로 바닥면에 타일 등을 설치하는 작업을 하는 도중에 타일 사이에 배치되게 되는바, 통상 하수 배관 작업이 모두 이루어진 다음에 타일 공사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하수 배출구를 원하는 지점에 부착시키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By the way, such a sewage outlet is usually disposed between the tiles during the installation of the tile, etc. on the floor surface, since the construction of the tile is usually made after all the sewage piping work, the sewage outlet to the desired point There was a problem that was difficult to attach.

즉, 타일을 정렬시키게 되면, 하수 배출구가 위치하는 지점은 타일의 정 중앙면에 설치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지만, 하수 배관과 연결하는 과정에서 상기 하수 배출구가 타일의 정 중앙면에 위치하기 어렵게 되는 것이다.That is, when the tiles are aligned, the point where the sewage outlet is located is most preferably installed at the center of the tile, but the sewage outlet is difficult to be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tile in the process of connecting with the sewer pipe. .

이는 하수 배관을 미리 설치하고, 하수 배출구를 상기 하수 배관에 맞추어서 설치해야 하므로 통상의 공사순서상 필연적으로 발생할 수 밖에 없다.Since sewage pipes are installed in advance and the sewage outlets must be installed in accordance with the sewage pipes, it is inevitably occurring in a normal construction order.

따라서, 타일의 정 중앙면에 하수 배출구를 위치시키기 곤란하여 일방향으로 치우치거나, 아니면 일개의 타일을 벗어나게 되어 다수개의 타일을 부수고 설치해야 하는 등 미관상 미려하지 못하게 되는 단점이 있었다.Therefore, it is difficult to position the sewage outlet on the center surface of the tile is biased in one direction, or off one tile, there was a disadvantage in that it is not aesthetically beautiful, such as having to break up and install a plurality of tiles.

본 고안은 하수 배관이 어디에 위치하더라도 타일의 정 중앙면에 하수 배출구의 하수 유입판이 위치할 수 있도록 다층 구조의 하수 배출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ewage outlet of a multi-layer structure so that the sewage inlet plate of the sewage outlet is located on the center surface of the tile, no matter where the sewer pipe is located.

본 고안의 또다른 목적은 악취 유입이 용이하게 차단되는 하수 배출부를 더 포함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urther include a sewage discharge that is easily blocked odor inflow.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As a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본 고안은 바닥면과 테두리부를 갖는 제 1 원판과, 테두리부만을 갖는 제 2 원판이 겹쳐진 형태이며, 상기 제 1 원판의 바닥면을 통해 하수를 유입하는 하수 유입부과; 상부가 개구된 바닥면과 테두리부로 이루어지며 테두리부가 상기 하수 유입부의 제 2 원판의 테두리부에 슬라이딩 결합되어 360°회동하는 제 3 원판과, 하부가 개구된 바닥면과 테두리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3 원판에 일체형으로 겹쳐지는 형태로 결합되는 제 4 원판을 포함하며, 상기 제 3 원판과 제 4 원판 사이에 절개부를 형성하여 제 3 원판 및 제 4 원판의 공간부 통해 하수를 이동시키는 하수 중계부와; 상기 하수 중계부의 제 4 원판에 슬라이딩 결합되어 360°회동 가능한 제 5 원판을 포함하며, 상기 4 원판과 제 5 원판이 이루는 공간부와 상기 제 5 원판의 가장자리 일측에 형성된 배출홀을 통해 하수를 하수배관으로 배출하는 하수 배출부로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a form in which a first disc having a bottom surface and an edge portion and a second disc having only an edge portion overlap each other, and a sewage inflow portion for introducing sewage through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disc; The upper surface is formed of the bottom surface and the rim portion, and the rim portion is slidingly coupled to the rim portion of the second disc of the sewage inlet, the third disc rotates 360 °, and the bottom is formed of the bottom surface and the rim portion A fourth disc coupled to the disc in an integral form, and a sewage relay unit for making a cut between the third disc and the fourth disc to move the sewage through the space of the third disc and the fourth disc; ; Sewage is sewage through the discharge portion formed in the space portion formed by the fourth disk and the fifth disk and the edge hole of the fifth disk, the fifth disk is slidably coupled to the fourth disk of the sewage relay unit 360 degrees It is characterized by consisting of the sewage discharge portion discharged to the pipe.

또한, 상기 하수 유입부는 오물의 걸림구조를 하는 2차 유입판과; 상기 2차 유입판 상부에 얹어져 1차로 오물의 걸림를 담당하는 1차 유입판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In addition, the sewage inlet and the secondary inlet plate having a catch structur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rimary inlet plate mounted on top of the secondary inlet plate to primarily handle the catch of dirt.

또한, 상기 하수 유입부의 상부에는 타일을 부착하여 이루어짐이 특징이다.In addition, the upper part of the sewage inlet is characterized in that made by attaching a tile.

또한, 상기 하수 유입부의 하부에는 보강판이 방사형으로 다수개 장착된 것이 특징이다.In addition, the lower part of the sewage inlet is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reinforcing plates are radially mounted.

또한, 상기 제 1 원판의 지름이 제 2 원판의 지름보다 더 큰 것이 특징이다.In addition, the diameter of the first disc is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second disc.

또한, 상기 제 4 원판의 지름이 제 3 원판의 지름보다 더 큰 것이 특징이다.In addition, the diameter of the fourth disc is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third disc.

또한, 상기 하수 배출부는 냄새의 역류를 막기 위해 하수가 일정 양만큼 항상 머무를 수 있도록 엘(L)자 형태의 배출구를 더 결합시켜 이루어진 것이 특징이다.In addition, the sewage discharge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urther made to combine the discharge port of the L (L) shape so that the sewage always stays by a certain amount to prevent the backflow of the odor.

또한, 상기 하수 유입부와, 하수 중계부 및 하수 배출구는 슬라이딩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합성수지재로 제작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sewage inlet, the sewage relay and the sewage outlet is preferably made of a synthetic resin so that the sliding can be made smoothly.

도 1은 본 고안의 분해사시도.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의 결합상태도.2 is a combined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의 단면도.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고안의 동작상태도.Figure 4 is an operating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1차 걸림막 2: 2차 걸림막1: 1st jammer 2: 2nd jammer

10: 하수 유입부 11: 제 1 원판10: sewage inlet 11: first disc

12: 제 2 원판 13: 보강판12: 2nd disc 13: gusset

14: 타일 20: 하수 중계부14 tile 20 sewer relay

21: 제 3 원판 22: 제 4 원판21: 3rd disc 22: 4th disc

30: 하수 배출부 31: 제 5 원판30: sewage discharge part 31: fifth disc

32: 배출홀 33: 배출통32: discharge hole 33: discharge container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하기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irst of all,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mpon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as much as possible even if displayed o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고안의 분해사시도.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의 결합상태도.2 is a combined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의 단면도.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고안의 동작상태도로서,4 is an operation state diagram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크게 하수 유입부(10)와, 하수 중계부(20) 및 하수 배출부(30)로 이루어진다. 화장실 바닥면이나 세면장소의 바닥면에 존재하는 하수는 먼저 하수 유입부(10)에 흘러들어가게되고, 하수 중계부(20)를 거쳐 이동하게 되며, 최종적으로 하수 배출부(30)를 통해 배출되어 하수 배관에 도달하게 된다.As shown, the subject innovation consists of a sewage inlet 10, a sewage relay 20, and a sewage outlet 30. Sewage existing on the floor of the toilet or the bottom of the wash place is first flowed into the sewage inlet 10, is moved through the sewage relay 20, and finally discharged through the sewage discharge unit 30 Sewer pipes are reached.

상기 하수 유입부(10)는 제 1 원판(11)과, 제 2 원판(12) 및, 상기 제 1 원판(11)과 제 2 원판(12)의 외부방향으로 연장되어 이들을 지지하는 보강판(13)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하수는 제 1 원판(11)과 제 2 원판(12)을 통해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보강판(13)의 상부에는 타일(14)이 설치되는바, 선택된 타일에 구멍을 내어 보강판(13) 상부에 결합시킨 상태로 제품을 출하한다.The sewage inlet 10 may include a reinforcing plate extending outwardly of the first disc 11, the second disc 12, and the first disc 11 and the second disc 12 to support them ( 13), and the sewage is moved through the first disc 11 and the second disc 12. And, the tile 14 is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reinforcing plate 13, the product is shipped in a state in which a hole in the selected tile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reinforcing plate (13).

상기 제 1 원판(11)과 제 2 원판(12)은 2개의 원이 겹쳐진 형태이고, 마치 오뚜기 형상이다. 상기 제 1 원판(11)은 원형 바닥면(11a)과 이에 상응하는 테두리부(11b)로 이루어지며, 상기 테두리부(11b)에는 걸림턱이 설치되어, 상기 걸림턱에 2차 걸림막(2)이 얹혀지고, 상기 2차 걸림막(2) 상부에 1차 걸림막(1)이 얹혀진 상태이다. 상기 제 2 원판(12)은 테두리부(12a)만이 돌출된 상태이며 후술하는 제 3 원판(21)에 결합된다. 상기 제 1 원판(11)의 원형 바닥면(11a)은 제 2 원판(12)이 겹치는 부분이 절개되어 있어, 절개면을 타고 하수가 이동하게 된다. 상기 1차 걸림막(1) 및 2차 걸림막(2)은 다수개의 홀이 형성되어 있어, 하수는 아래로 내려가고 이물질은 걸림막(1, 2)에 걸리도록 하여 이물질이 배수관에 쌓여 막히는 현상을 2중으로 차단토록 한다.The first original plate 11 and the second original plate 12 are in the form of two circles overlapping each other, as if the shape of the Ottogi. The first disc 11 is composed of a circular bottom surface 11a and an edge portion 11b corresponding thereto, and a locking jaw is installed at the edge portion 11b, and the second locking membrane 2 is disposed on the locking jaw. ) Is placed, and the first locking membrane 1 is placed on the second locking membrane 2. The second disc 12 is a state in which only the edge portion 12a is protruded and is coupled to the third disc 21 to be described later. In the circular bottom surface 11a of the first disc 11, a portion where the second disc 12 overlaps is cut, and the sewage is moved on the cut surface. The first blocking membrane 1 and the second locking membrane 2 are formed with a plurality of holes, so that the sewage is lowered and foreign substances are caught by the blocking membranes 1 and 2 so that foreign substances are accumulated in the drain pipe and blocked. Block the phenomenon twice.

상기 하수 중계부(20)는 제 3 원판(21)과 제 4 원판(22)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제 1 원판(11)을 통과한 하수는 제 3 원판(21)과 제 4 원판(22)을 통해 이동하게 된다.The sewage relay 20 includes a third disc 21 and a fourth disc 22, and the sewage passing through the first disc 11 is the third disc 21 and the fourth disc 22. Will move through).

상기 제 3 원판(21)과 제 4 원판(22) 역시 제 1 원판(11)과 제 2 원판(12)의 결합상태와 비슷하게 오뚜기 형상을 하고 있다. 또한, 상기 제 3 원판(21)은 하수 유입부(10)의 제 2 원판(12)의 테두리부(12a)와 슬라이딩 결합되어, 상기 제 2 원판(12)의 테두리부(12a)에 지지되면서 360°회전할 수 있는 구조이다. 또한, 상기 제 4 원판(22)은 제 3 원판(21)과 겹쳐져 결합된 형태이며, 동시에 맞물리는 지점에 절개부가 형성되어 하수의 배출을 중계할 수 있다. 상기 제 3 원판(21)은 상부가 개구된 형태로서 바닥면(21a)과 테두리부(21b)로 이루어지며 제 2 원판(12)과 결합시 발생하는 공간부(21c)를 통해 하수를 이송하게 되고, 여기서 이송된 하수는 제 4 원판(22)으로 이동하게 된다.The third disc 21 and the fourth disc 22 also have an pentagon shape similar to the coupling state of the first disc 11 and the second disc 12. In addition, the third disc 21 is slidably coupled to the edge portion 12a of the second disc 12 of the sewage inlet portion 10 and is supported by the edge portion 12a of the second disc 12. It can be rotated 360 °. In addition, the fourth original plate 22 is overlapped with the third original plate 21 and is coupled to each other, and at the same time, a cutout is formed at an interlocking point to relay the discharge of sewage. The third disc 21 is formed in the form of an upper portion of the bottom surface 21a and the edge portion 21b and transfers the sewage through the space portion 21c generated when the second disc 12 is engaged. The sewage transferred here is moved to the fourth disc 22.

상기 하수 배출구는 제 5 원판(31)과 배출통(33)으로 이루어지며, 제 4 원판(22)에 위치되는 하수는 제 5 원판(31)의 배출홀(32)을 통해 이동하게 된다.The sewage discharge port is composed of a fifth disc 31 and a discharge cylinder 33, the sewage located in the fourth disc 22 is moved through the discharge hole 32 of the fifth disc 31.

상기 제 5 원판(31)은 제 4 원판(22)의 테두리부(22b)에 결합되어 제 4 원판(22)의 바닥면(21a)과 일정한 크기의 공간부(22c)를 갖도록 한다. 또한, 제 5 원판(31)은 제 4 원판(22)에 슬라이딩 결합되므로 제 4 원판(22)의 테두리부(22b)를 따라 360°회동 가능하다. 마치 제 5 원판(31)이 제 4 원판(22)의 중심점을 중심으로 원회전하는 것처럼 인식될 수 있다.The fifth disc 31 is coupled to the edge portion 22b of the fourth disc 22 to have a bottom surface 21a of the fourth disc 22 and a space portion 22c of a constant size. In addition, since the fifth disc 31 is slidably coupled to the fourth disc 22, the fifth disc 31 may be rotated 360 ° along the edge portion 22b of the fourth disc 22. It can be recognized as if the fifth disc 31 rotates in a circle about the center point of the fourth disc 22.

한편, 상기 제 4 원판(22)의 지름은 제 3 원판(21)의 지름보다 크게 구성하였는바, 이는 하수의 저장을 용이하게 하고 하수가 중계되는 면적은 줄이면서도 최종 출력쪽의 면적을 크게 하여 회전변위를 크게하면서 동시에 장치의 전체 크기를 줄이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에 상응하여 제 1 원판(11)의 크기를 제 2 원판(12)의 크기보다 더 크게 하였다. 물론 제 2 원판(12)의 지름은 제 3 원판(21)의 지름과 동일하다.On the other hand, the diameter of the fourth disc 22 is configured to be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third disc 21, which facilitates the storage of sewage and reduces the area where the sewage is relayed, while increasing the area of the final output side. This is to reduce the overall size of the device while increasing the rotational displacement. Correspondingly, the size of the first disc 11 is made larger than that of the second disc 12. Of course, the diameter of the second disc 12 is equal to the diameter of the third disc 21.

그리고, 제 5 원판(31)의 일측에는 배출홀(32)이 형성되고, 상기 배출홀(32)에는 배출통(33)이 설치되어 배출홀(32)을 통과한 하수는 배출통(33)을 통과하게며, 상기 배출통(33)은 하수 배관과 연결되어 하수가 최종적으로 하수배관으로 이동하게된다. 상기 배출통(33)은 엘(L)자 형태로서 하수배관을 통해 하수가 배출될때 일정한 양의 하수가 남아 있도록 하여 하수배관을 타고 넘어오는 악취를 제거토록 한다.In addition, a discharge hole 32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fifth disc 31, and a discharge cylinder 33 is installed at the discharge hole 32, and the sewage that has passed through the discharge hole 32 is discharge cylinder 33. Passing through, the discharge container 33 is connected to the sewage pipe so that the sewage is finally moved to the sewage pipe. The discharge container 33 is in the form of an L (L) form so that a certain amount of sewage remains when the sewage is discharged through the sewer pipe to remove the odor coming over the sewer pipe.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은 하수 유입부(10)를 이루는 제 2 원판(12)과 하수 중계부(20)를 이루은 제 3 원판(21)이 슬라이딩 결합되어 회전이 가능하므로 상기 제 2 원판(12)의 중심점을 중심으로 제 4 원판(22)의 위치 이동이 가능하다. 즉, 제 3 원판(21)의 중심점을 중심으로 제 4 원판(22)의 위치를 자유롭게 변화시킬 수 있으며, 위치점은 제 3 원판(21)의 중심점을 중심으로 360°까지이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de as described above, the second disc 12 constituting the sewage inlet 10 and the third disc 21 constituting the sewage relay 20 are slidably coupled and rotated to allow the second disc 12 to be rotated. It is possible to move the position of the fourth disc 22 about the center point. That is, the position of the 4th disc 22 can be changed freely about the center point of the 3rd disc 21, and a position point is 360 degree centering around the center point of the 3rd disc 21. As shown in FIG.

또한, 하수 배출부(30)를 이루는 제 5 원판(31)은 제 4 원판(22)과 슬라이딩 결합되어 회전이 가능하므로 제 4 원판(22)의 중심점을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다.즉, 제 5 원판(31)의 배출홀(32)이 제 4 원판(22)의 어느 방향으로든지 위치될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since the fifth disc 31 constituting the sewage discharge part 30 is rotatably coupled to the fourth disc 22, the fifth disc 31 may be rotated about the center point of the fourth disc 22. The discharge hole 32 of the fifth disk 31 may be located in any direction of the fourth disk 22.

따라서, 본 고안을 이용하게 되면 제 4 원판(22)의 자유로운 회전이동과 더불어 상기 제 4 원판(22)에 슬라이딩 결합된 제 5 원판(31)에 형성된 배출홀(32)이 제 4 원판(22) 상에서 자유로운 위치이동이 가능하기 때문에 2개의 회전변위를 이용하여 다양한 위치를 설정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charge hole 32 formed in the fifth disc 31 slidingly coupled to the fourth disc 22 with the free rotational movement of the fourth disc 22 is the fourth disc 22. Since it is possible to move the position freely, it is possible to set various positions using two rotational displacements.

이에 따라, 제 1 원판(11)으로부터 가장 먼 거리에 배출홀을 위치시킬 경우에는 제 1 원판(11)과 제 4 원판(22)을 일직선상에 위치시키고, 제 5 원판(31)의 배출홀(32)을 일직선의 가장 끝자리에 위치시키면 되고, 제 1 원판(11)으로부터 가장 가까운 거리에 배출홀(32)을 위치시킬 경우에는 제 1 원판(11)과 제 4 원판(22)을 겹친 상태에서 제 5 원판(31)의 배출홀(32)이 겹쳐진 부분의 중앙에 위치토록 하면 된다.Accordingly, when the discharge hole is located at the longest distance from the first disc 11, the first disc 11 and the fourth disc 22 are positioned in a straight line, and the discharge hole of the fifth disc 31 is located. What is necessary is just to position 32 at the end of a straight line, and when the discharge hole 32 is located in the nearest distance from the 1st disk 11, the 1st disk 11 and the 4th disk 22 overlapped. In this case, the discharge hole 32 of the fifth disc 31 may be positioned at the center of the overlapped portion.

도 4는 저면에서 바라본 회전 상태도로서, 이때 보이는 면은 제 3 원판(21)과 제 5 원판(31) 및 배출홀(32)인바, 제 3 원판(21)이 회전운동을 하게 되고, 또한 동시에 제 5 원판(31)이 회전하여 2개의 회전변위를 갖음을 알 수 있다.4 is a rotational view as seen from the bottom surface, wherein the visible surface is the third disc 21, the fifth disc 31 and the discharge hole 32, the third disc 21 is rotated, and at the same time It can be seen that the fifth disc 31 rotates to have two rotational displacements.

한편, 이때 하수 중계부(20)를 이루는 제 4 원판(22)과 하수 유입부(10) 사이에 공간이 뜨기 때문에 이를 지지하기 위해서 하수 유입부(10)의 하단에 보강판(13)을 방사방향으로 더 설치하였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 space between the fourth disk 22 and the sewage inlet 10 forming the sewage relay 20 floats to support the radiation of the reinforcing plate 13 to the lower end of the sewage inlet 10 Further installed in the direction.

결국, 본 고안을 이용하게 되면 배출홀(32)을 다양한 지점에 위치시킬 수 있게 되므로 타일 공사시 하수배관의 위치에 관계없이 필요한 규격에 따라 그대로 진행하더라도 나중에 배출홀과 하수배관을 맞출 수 있으므로 잘못된 타일 바닥 공사로 인한 미관의 해침을 막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After all, using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discharge hole 32 can be located at various points, regardless of the position of the sewage pipe during the tile construction, even if the process proceeds according to the required specifications, the discharge hole and the sewage pipe can be fitted later.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aesthetics of the aesthetics caused by the tile floor construction.

즉, 종래에는 하수배관과 하수 배출구가 맞지 않을 경우 타일의 위치를 바꾸거나 깨트려서 이들을 결합시켜야 했으나, 본 고안을 이용하게 되면 제 4 원판과 제 5 원판을 회동시켜 하수배관과 배출통을 연결시키기 때문에 다양한 위치조절이 가능하여 원하는 형태로 타일공사를 진행할 수 있게 된다.That is, in the prior art, when the sewage pipe and the sewage outlet did not match, the tiles had to be changed or broken to combine them. However, when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the fourth and fifth discs are rotated to connect the sewer pipe and the outlet. Because of this, various positions can be adjusted and tile construction can be carried out in a desired form.

또한, 본 고안은 시공할 타일을 넘겨받아 하수 배출부에 미리 결합한 상태로 제공토록 함으로서 공사가 신속하게 진행될 뿐만 아니라 타일의 정중앙에 하수 유입부가 배치됨으로서 외관을 미려하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take over the tiles to be provided in advance to provide a state coupled to the sewage discharged in advance, as well as the construction proceeds quickly, the sewage inlet is arranged in the center of the tile can be beautiful in appearanc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을 이용하게 되면 하수 배출구의 위치에 상관없이 배출통과 하수 배관을 연결할 수 있으므로, 타일 공사시 미관을 해치지 않고 마무리 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Using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can be connected to the discharge pipe and sewage pipe irrespective of the position of the sewage outlet, thereby providing an effect that can be finished without damaging the aesthetics during tile construction.

비록 본 고안이 상기에서 언급한 바람직한 설명과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본 고안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첨부된 청구의 범위는 본 고안의 진정한 범위내에 속하는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은 포함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the above-mentioned preferred description, various other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appended claims may be determined to include such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s fall within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7)

바닥면과 테두리부를 갖는 제 1 원판과, 테두리부만을 갖는 제 2 원판이 겹쳐진 형태이며, 상기 제 1 원판의 바닥면을 통해 하수를 유입하는 하수 유입부과;A first source plate having a bottom surface and an edge portion and a second disc having only an edge portion overlapping each other, and a sewage inflow portion for introducing sewage through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disc; 상부가 개구된 바닥면과 테두리부로 이루어지며 테두리부가 상기 하수 유입부의 제 2 원판의 테두리부에 슬라이딩 결합되어 360°회동하는 제 3 원판과, 하부가 개구된 바닥면과 테두리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3 원판에 일체형으로 겹쳐지는 형태로 결합되는 제 4 원판을 포함하며, 상기 제 3 원판과 제 4 원판 사이에 절개부를 형성하여 제 3 원판 및 제 4 원판의 공간부 통해 하수를 이동시키는 하수 중계부와;The upper surface is formed of the bottom surface and the rim portion, and the rim portion is slidingly coupled to the rim portion of the second disc of the sewage inlet, the third disc rotates 360 °, and the bottom is formed of the bottom surface and the rim portion A fourth disc coupled to the disc in an integral form, and a sewage relay unit for making a cut between the third disc and the fourth disc to move the sewage through the space of the third disc and the fourth disc; ; 상기 하수 중계부의 제 4 원판에 슬라이딩 결합되어 360°회동 가능한 제 5 원판을 포함하며, 상기 4 원판과 제 5 원판이 이루는 공간부와 상기 제 5 원판의 가장자리 일측에 형성된 배출홀을 통해 하수를 하수배관으로 배출하는 하수 배출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하수 배출구.Sewage is sewage through the discharge portion formed in the space portion formed by the fourth disk and the fifth disk and the edge hole of the fifth disk, the fifth disk is slidably coupled to the fourth disk of the sewage relay unit 360 degrees Sanitary sewage outlet,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the sewage discharge portion discharged to the pip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하수 유입부는 오물의 걸림 구조를 하는 2차 유입판과;The sewage inlet portion and the secondary inlet plate having a structure for catching dirt; 상기 2차 유입판 상부에 얹어져 1차로 오물의 걸림를 담당하는 1차 유입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하수 배출구.The sanitary sewage outle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rimary inlet plate on the top of the secondary inlet plate to cover the first dirt.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하수 유입부의 상부에는 타일을 결합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하수 배출구.Sanitary sewage outlet, characterized in that made by coupling the tile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ewage inlet.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하수 유입부의 하부에는 보강판이 방사형으로 다수개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하수 배출구.The lower portion of the sewage inlet sanitary sewage outlet,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reinforcing plates are mounted radially.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 1 원판의 지름이 제 2 원판의 지름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하수 배출구.Sanitary sewage outlet, characterized in that the diameter of the first disc is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second disc.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 4 원판의 지름이 제 3 원판의 지름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하수 배출구.Sanitary sewage outlet, characterized in that the diameter of the fourth disc is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third disc.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하수 배출부는 냄새의 역류를 막기 위해 하수가 일정양만큼 항상 머무를 수 있도록 엘(L)자 형태의 배출구를 더 결합시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하수 배출구.The sewage discharge portion is sanitary sewage discharge, characterized in that further made to combine the discharge port of the L (L) shape so that the sewage always stays by a certain amount to prevent the backflow of the odor.
KR2020020021606U 2002-07-19 2002-07-19 Foul Water Drain Unit KR200292703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1606U KR200292703Y1 (en) 2002-07-19 2002-07-19 Foul Water Drain Uni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1606U KR200292703Y1 (en) 2002-07-19 2002-07-19 Foul Water Drain Unit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2616A Division KR100560149B1 (en) 2003-05-22 2003-05-22 Foul Water Drain Uni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2703Y1 true KR200292703Y1 (en) 2002-10-25

Family

ID=730845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1606U KR200292703Y1 (en) 2002-07-19 2002-07-19 Foul Water Drain Uni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2703Y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620564C (en) Fixture for disposing of bodily waste having an anti-overflow feature and a method for making the same
GB2475413A (en) Clogging resistant drain
JP4252553B2 (en) Drainage equipment in the building
US20180266094A1 (en) Floor sink strainer and assembly
JP5651830B2 (en)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tank and drainage
KR200292703Y1 (en) Foul Water Drain Unit
KR100560149B1 (en) Foul Water Drain Unit
KR20070035953A (en) Drainpipe joint and drainpipe structure using the same
KR20110014441A (en) Drain unit of sink
CN211200661U (en) Pre-buried anti-back overflow floor drain
JP2003003548A (en) Drain valve
KR200387058Y1 (en) Double exhausting apparatus for sewer
CN209081524U (en) One kind is novel to strain water installations
KR101194420B1 (en) Drain unit for preventing smell of apartment house
KR101054723B1 (en) Drainage
TWM599875U (en) Confluence drainage device
KR101186776B1 (en) The washstand drainage device which possessed a globe fixed a conduit pipe
JP6427469B2 (en) A low tank installed in the box of the simple flush type temporary toilet and a temporary toilet installed with the low tank
JP4795786B2 (en) Drainage with trap
KR200181575Y1 (en) Draining member for veranda on buildings
CN215888518U (en) Floor drain structure convenient to installation
JP5473013B2 (en) Basic through-pipe structure
KR200364108Y1 (en) Drain Trap
KR20120007819U (en) Alien substance emission function having drain watershoot
KR200169068Y1 (en) An apparatus of a drain for bathroo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927

Year of fee payment: 4

EXTG Extinguishment